KR20110098647A -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647A
KR20110098647A KR1020110016046A KR20110016046A KR20110098647A KR 20110098647 A KR20110098647 A KR 20110098647A KR 1020110016046 A KR1020110016046 A KR 1020110016046A KR 20110016046 A KR20110016046 A KR 20110016046A KR 20110098647 A KR20110098647 A KR 20110098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mming
sheet
area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166B1 (ko
Inventor
다쿠로 스기우라
고조 마츠오
신고 마스다
고타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Abstract

과제
복수의 조광 영역을 개별적으로 조광할 때에,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광원 유닛 (5) 으로부터의 광을 조광 영역 (16) 에 도광하고, 도광한 광을 조광 영역 (16) 에 있어서 출광하는 도광 시트 (13) 로서,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16A1-4) 과 백색 조광 영역 (16B) 으로 구획된다. 시트 단면 (35) 과 슬릿 (31) 에 의해 구획된 다색 조광 영역 (16A1) 에는, 출사 방향이 시트 단면 (35) 을 향하도록 광원 유닛 (5R3) 이 배치되어, 백색 조광 영역 (16B) 에 대한 적색 광의 누설 광을 경감시킨다.

Description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LIGHT GUIDE SHEET, CONTACT SPRING ATTACHMENT SHEET AND SWITCH DEVICE}
본 발명은,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전화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단말의 조작 키를 조광하는 도광 시트가 개발되어 있다. 이 도광 시트는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휴대 단말의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또, 도광 시트의 단부 근방에는, 광원이 배치되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 시트의 단면으로부터 시트 내에 입사된다. 시트 내에 입사된 광은, 휴대 단말의 조작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조광 영역에서 확산되어, 조작 키를 내측으로부터 점등시킨다.
그런데, 최근, 휴대 단말 기능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특정한 조작 키를 다른 조작 키와 상이한 색으로 점등시켜 사용자에 대해 조작 방법을 유도하는 휴대 단말이 개발되고 있다. 이 휴대 단말에서는, 특정한 조작 키의 조광 영역과 다른 조작 키의 조광 영역을 상이한 발광색으로 조광하기 위해, 인접하는 조광 영역 사이에서의 혼색을 억제하는 도광 시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도광 시트는, 복수의 조광 영역을 슬릿으로 구획하고, 슬릿의 단면을 차광재로 덮음으로써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경감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46653호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도광 시트에서는, 슬릿 및 차광재에 의해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이 경감되지만, 슬릿의 단면에 차광재를 형성해야 하고, 제조 공수 (工數) 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조광 영역을 개별적으로 조광할 때에,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광 시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광 영역에 도광하고, 도광한 광을 상기 조광 영역에서 출광하는 도광 시트로서, 슬릿에 의해 복수의 조광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시트 단면과 슬릿에 의해 구획된 제 1 조광 영역은,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당해 시트 단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입광부로부터 제 1 조광 영역에 입광한 광이 다른 조광 영역을 지나지 않고 시트 단면을 향하기 때문에, 제 1 조광 영역으로부터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슬릿에 차광재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하는 경우가 없고, 비용이 증대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광 영역은, 상기 제 1 광원과는 상이한 발광색의 제 2 광원으로부터 입광되는 제 2 입광부를 갖는 다색용 조광 영역이고, 상기 제 2 입광부는,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을 구획하는 시트 단면을 향함과 함께,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입광부로부터 제 1 조광 영역에 입광한 광도 다른 조광 영역을 지나지 않고 시트 단면을 향하기 때문에, 제 1 조광 영역이 다색용 조광 영역이라도,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제 1 광원으로부터의 입광 방향과 제 2 광원으로부터의 입광 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제 1 입광부와 제 2 입광부를 이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 1 입광부와 제 2 입광부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여, 광원 근방의 강한 광이 다른 조광 영역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슬릿은 도광 시트를 관통하여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관통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관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차광 효과는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 시트에 있어서, 상기 다색용 조광 영역은, 상기 다색용 조광 영역 이외의 조광 패턴보다 확산성이 큰 조광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확산성이 큰 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다색용 조광 영역에서 유색 광이 조광되는 경우에, 조광 영역에 있어서 유색 광을 강하게 확산시켜, 백색 광이 조광되는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조광 영역에서의 혼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상기 제 1 조광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조광 영역은, 제 3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의 상기 제 1 입광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도광 시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광 영역에 도광하고, 도광한 광을 상기 조광 영역에서 출광하는 도광 시트로서, 슬릿에 의해 복수의 조광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시트 단면과 슬릿에 의해 구획된 제 1 조광 영역은,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당해 시트 단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입광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상기 제 1 조광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조광 영역은, 제 3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의 상기 제 1 입광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제 3 입광부로부터 제 2 조광 영역에 입광한 광은, 제 1 입광부에 광을 입광하는 제 1 광원의 배면에 의해 차광되기 때문에, 제 2 조광 영역으로부터 제 1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광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사이에는, 상기 슬릿을 걸치도록 테이프가 붙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에 의해 도광 시트의 복수의 슬릿에 의해 강도가 저하된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는, 상기 도광 시트와, 상기 도광 시트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점 스프링을 유지하는 유지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광 시트의 조광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억제한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상기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와, 상기 복수의 접점 스프링이 이접 (離接) 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 및 복수의 광원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광 시트의 조광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억제한 스위치 장치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의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한 전류값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조광 영역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여, 유색 광으로 조광되는 조광 영역과 백색 광으로 조광되는 조광 영역에 있어서의 색의 차이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시트의 복수의 조광 영역을 개별적으로 조광할 때에,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스위치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스위치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원 유닛의 배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광 시트의 조광 영역에 형성된 조광 홈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주로 휴대 전화, 리모콘, 오디오 기기 및 전자 카메라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입력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은, 설명의 편의상, 키 매트 부재를 생략하고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는, 도시되지 않은 휴대 전화의 케이싱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광원 유닛 (5R1 -4, 5W1 -9) 과 복수의 고정 접점 (6) 이 형성된 회로 기판 (2) 을 갖고 있다. 회로 기판 (2) 의 상면에는,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3) 가 첩착 (貼着) 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3) 는, 각 고정 접점 (6) 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스프링 (12) 을 유지하는 유지 시트 (11) 와, 유지 시트 (11) 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 (14) 를 개재하여 첩착된 도광 시트 (13) 에 의해 구성된다.
도광 시트 (13) 의 상면에는, 각 접점 스프링 (12) 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조광 영역 (1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조광 영역 (16) 에는, 작은 조광 홈 (17) (도 6 참조) 에 의해 조광 패턴이 형성되고, 광원 유닛 (5) 으로부터 도광 시트 (13) 내에 입사된 광을 상방으로 확산 또는 반사시켜, 출광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조광 홈 (17) 은, 각 조광 영역 (16) 의 형성 지점에 따라 상이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휴대 전화의 케이싱에는, 회로 기판 (2) 에 대향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조작 패널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에는 고정 접점 (6) 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조작 키 (18) 가 배치된 키 매트 부재 (19)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키 (18) 는, 상면에 키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부를 갖고 있다. 문자부는 투광성을 갖고 있고, 조광 영역 (16) 으로 확산된 광에 의해 케이싱 내부로부터 조광된다.
회로 기판 (2) 은, 절연성 재료에 의해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 접점 (6) 및 도시되지 않은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 접점 (6) 은, 각각 고리 형상의 주변 고정 접점 (21) 과, 주변 고정 접점 (21) 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 형상의 중앙 고정 접점 (22) 으로 구성되고, 주변 고정 접점 (21) 및 중앙 고정 접점 (22) 은 도체 패턴을 개재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광원 유닛 (5R1 -4, 5W1 -9) 은, 발광 다이오드 (LED) (24) 를 갖고 구성되고, 도광 시트 (13) 의 일 단면에 대해 약간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 광원 유닛 (5R1 -4) 은, 조작 키 (18) 를 적색으로 점등시키는 적색 LED 를 갖고, 광원 유닛 (5W1 -9) 은, 조작 키 (18) 를 백색으로 점등시키는 백색 LED 를 갖고 있다. 광원 유닛 (5R1 -4, 5W1 -9) 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도광 시트 (13) 내를 방사 방향으로 전반 (傳搬) 하여 조광 영역 (16) 에 도광된다.
각 접점 스프링 (12) 은, 예를 들어 도전성이 있는 금속판 등에 의해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접점 스프링 (12) 은, 팽출 방향을 상방을 향하여 주변 고정 접점 (21) 상에 재치되고, 가압 조작에 의한 반전시에 중앙 고정 접점 (22) 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조작에 의해 접점 스프링 (12) 이 반전되면, 중앙 고정 접점 (22) 과 주변 고정 접점 (21) 이 접점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도통된다.
유지 시트 (11) 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 시트 (26) 와 스페이서 시트 (27) 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 (26) 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절연 필름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 (26) 의 하면에는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접점 스프링 (12) 이 유지됨과 함께, 스페이서 시트 (27) 가 일체화된다.
스페이서 시트 (27) 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절연 필름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고정 접점 (6) 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접점 스프링 (12) 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시트 (27) 의 하면에는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유지 시트 (11) 가 복수의 접점 스프링 (12) 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 (2) 의 상면에 첩착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단면도에서는, 3 개의 접점 스프링 (12) 의 수용부가 공기 연통로에 의해 연통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광 시트 (13) 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을 갖는 투명 필름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광 시트 (13) 에는, 특정한 조광 영역 (16) 을 구획하도록 복수의 슬릿 (31) 이 형성되어 있다. 특정한 조광 영역 (16) 이란, 백색 광 및 적색 광에 의해 조광되는 다색 조광 영역 (16A1-4) 이다. 즉, 도광 시트 (13) 는, 슬릿 (31) 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16A1-4) 으로부터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적색 광의 누설 광을 경감시키고 있다.
다색 조광 영역 (16A1-4) 은, 적색 LED 를 갖는 광원 유닛 (5R1 -4) 및 백색 LED 를 갖는 광원 유닛 (5W1 -4) 에 의해 다색 조광된다. 이 다색 조광 영역 (16A1-4) 에 광을 입광시키는 광원 유닛 (5R1 -4, 5W1 -4) 은, 출사 방향을 시트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문에, 광원 유닛 (5R1 -4, 5W1 -4) 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시트 외측으로 전반되기 때문에,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이 경감된다. 또한, 적색 광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A1-4) 을 조광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유색 광이면 되고, 예를 들어 녹색 광으로도 조광해도 된다.
다색 조광 영역 (16A1-4) 이외의 백색 조광 영역 (16B) 은, 백색 LED 를 갖는 광원 유닛 (5W5 -9) 에 의해 백색 조광된다. 이 백색 조광 영역 (16B) 에 광을 입광시키는 광원 유닛 (5W5 -9) 은, 출사 방향을 시트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문에, 광원 유닛 (5W5 -9) 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복수의 백색 조광 영역 (16B) 으로 전반되고, 복수의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 조광시킨다. 이 경우, 백색 광은, 주위의 조광 영역에 대한 광 누설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다색 조광 영역 (16A1-4) 으로 전반되지 않도록 배치 각도나 배치 위치로 되어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의 조광 영역 근방 및 슬릿 근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부분 단면도로서, (a) 가 조광 영역 근방, (b) 가 슬릿 근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 (5) 내의 발광 다이오드 (24) 의 발광 중심과 도광 시트 (13) 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가 위치 맞춤되어 있다. 광원 유닛 (5) 내의 발광 다이오드 (24) 가 발광한 광은, 도광 시트 (13) 에 입사하여 도광 시트 (13) 의 상하면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전반된다. 그리고, 도광 시트 (13) 내를 전반한 광은, 도광 시트 (13) 의 조작 키 (18)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조광 영역 (16) 에서 반사 및 확산되고, 조작 키 (18) 를 향하여 출사된다.
또, 도광 시트 (13) 는 고른 투명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광원 유닛 (5) 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방사 방향으로 전반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도광 시트 (13) 는, 광원 유닛 (5) 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광 영역 (16) 으로 전반하고, 조작 키 (18) 의 문자부를 내측으로부터 균일하게 조광한다. 또, 도광 시트 (13) 는, 조작 키 (18) 의 가압 조작시의 조작 느낌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얇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 조작 키 (18) 가 가압되면, 접점 스프링 (12) 이 반전되고, 중앙 고정 접점 (22) 과 주변 고정 접점 (21) 이 접점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도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조광 영역 (16) 을 도광 시트 (13) 상면의 작은 조광 홈 (17) 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 시트 (13) 내를 전반하는 광을 조작 키 (18) 를 향하여 출사시키는 구성이면 되고, 예를 들어, 조광 영역 (16) 을 도광 시트 (13) 하면의 작은 조광 홈에 의해 구성으로 해도 되고, 백색 도트의 인쇄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 시트 (13) 의 일부에 있어서는,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도광 시트 (13) 가 분할되어 있다. 도광 시트 (13) 의 상하면에는,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강도가 저하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슬릿 (31) 을 걸치도록 테이프 (32, 33) 가 첩착되어 있다. 테이프 (32) 는, 흑색의 테이프로서, 상면측으로부터 도광 시트 (13) 를 보강한다. 테이프 (33) 는, 흑색의 양면 테이프로서, 유지 시트 (11) 의 상면에 첩착되어 하면측으로부터 도광 시트 (13) 를 보강한다. 테이프 (32, 33) 는, 흑색 이외여도 되고, 차광 가능 또는 반사 가능한 테이프이면 된다.
이 슬릿 (31) 근방에서는, 조광 영역 (16) 을 통과함으로써 광량이 소비되기 때문에, 복수의 슬릿 (31) 으로 전반되는 광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도광 시트 (13) 내를 전반된 광은, 복수의 슬릿 (31) 및 테이프 (32, 33) 에 의해 차광되고, 인접하는 조광 영역 (16) 에 대한 누설 광이 대폭 저감된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광원 유닛의 배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광원 유닛의 배치 구성 설명도로서, (a) 가 광원 유닛의 배치 구성, (b) 가 각 LED 의 전류값 설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4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 시트 (13) 의 조광 영역 (16) 은, 적색 또는 백색으로 조광되는 다색 조광 영역 (16A1-4), 백색으로 조광되는 백색 조광 영역 (16B) 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 도광 시트 (13) 에는, 복수의 광원 유닛 (5R1-4, 5W1 -9) 이 배치되어 있다. 다색 조광 영역 (16A1) 은,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시트 단면 (35) 과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사각형 형상으로 구획되어 있고, 광원 유닛 (5R3, 5W3) 에 의해 조광된다. 다색 조광 영역 (16A2) 은, 폭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시트 단면 (35) 및 길이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시트 단면 (36) 과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광원 유닛 (5R4, 5W4) 에 의해 조광된다.
다색 조광 영역 (16A3) 은, 폭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시트 단면 (37) 및 길이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시트 단면 (38) 과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광원 유닛 (5R1, 5W1) 에 의해 조광된다. 다색 조광 영역 (16A4) 은, 다색 조광 영역 (16A3) 에 인접하여 복수의 슬릿 (31)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광원 유닛 (5R2, 5W2) 에 의해 조광된다. 또, 나머지의 백색 조광 영역 (16B) 은, 광원 유닛 (5W5 -9) 에 의해 조광된다.
도 5(a) 에 나타내는 다색 조광 영역 (16A1) 에서는, 구획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R3) 이 배치되고, 구획 영역의 다른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W3) 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 (5R3) 의 출사 방향은, 시트 단면 (35) 을 향해 있고, 다색 조광 영역 (16A1) 에 경사로부터 입광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광원 유닛 (5W3) 의 출사 방향은, 시트 단면 (35) 을 향해 있고, 광원 유닛 (5R3) 의 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되어 있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1) 에는, 광원 유닛 (5R3, 5W3) 에 대응하여 제 1, 제 2 입광부 (41, 4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입광부 (41, 42) 는, 광원 유닛 (5R3, 5W3) 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시트 단면 (35) 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 유닛 (5R3, 5W3) 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백색 조광 영역 (16B) 을 통과하지 않고 시트 단면 (35) 을 향하기 때문에, 백색 조광 영역 (16B) 에 대한 누설 광이 경감된다. 따라서, 광원 유닛 (5R3) 으로부터의 적색 광의 누설 광에 의한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의 혼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 유닛 (5R3, 5W3) 의 배치 구성에 의해,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키기 때문에, 슬릿 (31) 에 차광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장치 (1) 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5(b) 에 나타내는 다색 조광 영역 (16A2) 에 있어서도, 다색 조광 영역 (16A1) 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구획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R4), 다른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W4) 이 배치되고, 각각 시트 단면 (36, 35) 을 향해 있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2) 에는, 광원 유닛 (5R4, 5W4) 에 대응하여 제 1, 제 2 입광부 (43, 44) 가 형성되고, 각각 입광 방향이 시트 단면 (36, 35) 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16A2) 에 있어서도 다색 조광 영역 (16A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c) 에 나타내는 다색 조광 영역 (16A3) 에 있어서도, 다색 조광 영역 (16A1) 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구획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R1), 다른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W1) 이 배치되고, 각각 시트 단면 (38, 37) 을 향해 있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3) 에는, 광원 유닛 (5R1, 5W1) 에 대응하여 제 1, 제 2 입광부 (45, 46) 가 형성되고, 각각 입광 방향이 시트 단면 (38, 37) 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16A3) 에 있어서도 다색 조광 영역 (16A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c) 에 나타내는 다색 조광 영역 (16A4) 에서는, 구획 영역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R2) 이 배치되고, 구획 영역의 다른 모서리부에 광원 유닛 (5W2) 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 (5R2) 의 출사 방향은, 다색 조광 영역 (16A3) 의 제 1 입광부 (45) 를 향해 있다. 또, 광원 유닛 (5W2) 의 출사 방향은, 광원 유닛 (5R3) 의 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정되어 있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4) 에는, 광원 유닛 (5R2, 5W2) 에 대응하여 제 3, 제 4 입광부 (48, 49) 가 형성되어 있다.
다색 조광 영역 (16A4) 의 제 3 입광부 (48) 는, 광원 유닛 (5R2) 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다색 조광 영역 (16A3) 의 제 1 입광부 (45) 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다색 조광 영역 (16A3) 의 제 1 입광부 (45) 에 있어서의 입광 방향의 연장 상에, 다색 조광 영역 (16A4) 의 제 3 입광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입광부 (48) 로부터 다색 조광 영역 (16A4) 에 입광한 광은, 광원 유닛 (5R1) 의 배면에 의해 차광되기 때문에, 다색 조광 영역 (16A4) 으로부터 다색 조광 영역 (16A3) 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4) 의 제 4 입광부 (49) 는, 광원 유닛 (5W2) 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백색 조광 영역 (16B) 을 향하고 있지만, 백색 광이기 때문에 누설 광에 의해 백색 조광 영역 (16B) 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이와 같이, 광원 유닛 (5R2, 5W2) 의 배치 구성에 의해,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키기 때문에, 슬릿 (31) 에 차광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장치 (1) 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 광원 유닛 (5R1 -4, 5W1 -4) 의 주위에도, 복수의 슬릿 (3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31) 에 의해, 광원 유닛 (5R1 -4, 5W1 -4) 근방의 강한 광이 다른 조광 영역 (16) 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색 조광 영역 (16A1-3) 이 제 1 조광 영역, 다색 조광 영역 (16A4) 이 제 2 조광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각 광원 유닛 (5R1 -4, 5W1 -9) 의 전류 설정값이, 각 조광 영역 (16) 에 있어서 균일한 휘도가 얻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광원 유닛 (5R1 -4) 은, 휘도가 낮은 적색 광을 출사하기 때문에, 전류값이 높게 (예를 들어, 10.0 [mA]) 설정되어 있다. 한편, 광원 유닛 (5W1 -9) 은, 다색 조광 영역 (A1-4) 용과 백색 조광 소역 (B) 용으로 상이한 전류값이 설정되어 있다. 다색 조광 영역 (A1-4) 용 광원 유닛 (5W1 -4) 은, 단일의 조광 영역을 조광시키기 때문에, 전류값이 낮게 (예를 들어, 3.0 [mA]) 설정되어 있다. 백색 조광 영역 (B) 용 광원 유닛 (5W5 -9) 은, 복수의 조광 영역을 조광시키기 때문에, 전류값이 높게 (예를 들어, 7.5 [mA])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장치 (1) 는, 발광색의 차이나, 조광시키는 조광 영역 수의 차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적색 광으로 조광되는 조광 영역과 백색 광으로 조광되는 조광 영역에 있어서의 색의 차이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각 광원 유닛 (5R1 -4, 5W1 -4) 에 의해, 다색 조광 영역 (A1-4) 을 동시에 조광시키지 않도록,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조광 영역에 형성된 조광 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광 시트의 조광 영역에 형성된 조광 홈의 설명도로서, (a) 가 백색 조광 영역, (b) 가 다색 조광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는, 광원 유닛 (5W) 으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조광 홈 (17) 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광원 유닛 (5W) 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는, 광량이 많기 때문에 조광 홈 (17) 을 얕게 형성해도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만, 광원 유닛 (5W) 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는, 광량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원 유닛 (5W) 으로부터 먼 위치에서는, 조광 홈 (17) 을 깊게 함으로써 광을 강하게 확산시켜,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의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색 조광 영역 (16A) 에서는, 조광 홈 (17) 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 조광 홈 (17) 의 깊이는, 백색 조광 영역 (16B) 의 광원 유닛 (5W) 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어서의 조광 홈 (17) 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깊게 형성된 조광 홈 (17) 이 다색 조광 영역 (16A) 에 입광된 적색 광을 강하게 확산시켜, 인접하는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키기 때문이다. 이 구성에 의해, 광원 유닛 (5R) 으로부터의 적색 광의 누설 광에 의한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의 혼색이 억제된다. 또, 다색 조광 영역 (16A) 의 광원 유닛 (5) 은, 적은 광량으로 충분한 휘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백색 조광 영역 (16B) 의 광원 유닛 (5) 과 비교하여, 전류값을 적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b) 참조).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다색 조광 영역 (16) 에 있어서 제 1 입광부로부터 입광한 광이 다른 조광 영역을 지나지 않고 시트 단면을 향하기 때문에, 다색 조광 영역 (16A) 으로부터 백색 조광 영역 (16B) 으로의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색 조광 영역 (16A) 으로부터의 적색 광의 누설 광이 경감되고, 백색 조광 영역 (16B) 에서의 혼색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슬릿 (31) 에 차광재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하는 경우가 없고, 비용이 증대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광 시트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 시트는, 도광 가능한 시트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에 의해 도광 시트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원 유닛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 시트의 각 조광 영역을 균일하게 발광시킬 수 있는 광량을 갖고 있으면, 어떠한 광원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광 시트는, 제 1 조광 영역을 다색 조광 영역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조광 영역은, 시트 단면과 슬릿에 의해 구획된 영역이면 되고, 예를 들어 적색 광만의 단일 광원으로 조광하는 조광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색 조광 영역은, 적색 광과 백색 광에 의해 조광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색 조광 영역은, 상이한 발광색으로 조광되는 영역이면 되고, 2 종류의 유색 광에 의해 조광되는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색 조광 영역은, 2 종류의 발광색으로 조광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3 종류 이상의 발광색으로 조광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색 조광 영역의 조광 패턴이, 다색 조광 영역 이외의 조광 패턴보다 확산성이 큰 것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색 조광 영역의 조광 패턴은,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유색 광의 누설 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광의 확산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광 패턴을 조광 홈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유색 광의 누설 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조광 홈의 깊이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 조광 패턴을 백색 도트의 인쇄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색 조광 영역에 있어서의 도트 밀도가, 다른 조광 영역에 대한 유색 광의 누설 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도트 밀도를 갖고 있으면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광 시트는, 상하면에 슬릿을 걸치도록 테이프가 첩착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 시트는, 슬릿에 의한 강도의 저하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면, 상하면의 편측에만 테이프를 첩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테이프를 첩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테이프는, 차광용 또는 반사용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 시트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접점 스프링이 유지된 스위치 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도광 시트를 사용하는 스위치 장치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만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조광 영역을 개별적으로 조광할 때에,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영역 사이의 누설 광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특히, 휴대 전화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에 유용하다.
1 스위치 장치
2 회로 기판
3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5R1 광원 유닛 (제 1 광원)
5W1 광원 유닛
5R2 광원 유닛 (제 2 광원)
5W2 광원 유닛
5R3 광원 유닛 (제 1 광원)
5W3 광원 유닛
5R4 광원 유닛 (제 1 광원)
5W4 광원 유닛
6 고정 접점
11 유지 시트
12 접점 스프링
13 도광 시트
14 양면 테이프
16A1 다색 조광 영역 (제 1 조광 영역)
16A2 다색 조광 영역 (제 1 조광 영역)
16A3 다색 조광 영역 (제 1 조광 영역)
16A4 다색 조광 영역 (제 2 조광 영역)
16B 백색 조광 영역
17 조광 홈
18 조작 키
19 키 매트 부재
31 슬릿
32, 33 테이프
35-38 시트 단면
41, 43, 45 제 1 입광부
42, 44, 46 제 2 입광부
48 제 3 입광부

Claims (13)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광 영역에 도광하고, 도광한 광을 상기 조광 영역에서 출광하는 도광 시트로서,
    슬릿에 의해 복수의 조광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시트 단면과 슬릿에 의해 구획된 제 1 조광 영역은,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당해 시트 단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광 영역은, 상기 제 1 광원과는 상이한 발광색의 제 2 광원으로부터 입광되는 제 2 입광부를 갖는 다색용 조광 영역이고,
    상기 제 2 입광부는,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을 구획하는 시트 단면을 향함과 함께,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색용 조광 영역은, 상기 다색용 조광 영역 이외의 조광 패턴보다 확산성이 큰 조광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상기 제 1 조광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조광 영역은, 제 3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의 상기 제 1 입광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상기 제 1 조광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조광 영역은, 제 3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의 상기 제 1 입광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6.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광 영역에 도광하고, 도광한 광을 상기 조광 영역에서 출광하는 도광 시트로서,
    슬릿에 의해 복수의 조광 영역이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시트 단면과 슬릿에 의해 구획된 제 1 조광 영역은,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당해 시트 단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입광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중 상기 제 1 조광 영역에 인접하는 제 2 조광 영역은, 제 3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입광 방향이 상기 제 1 조광 영역의 상기 제 1 입광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제 3 입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 사이에는, 상기 슬릿을 걸치도록 테이프가 붙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광 시트와, 상기 도광 시트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점 스프링을 유지하는 유지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9. 제 7 항에 기재된 도광 시트와, 상기 도광 시트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조광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점 스프링을 유지하는 유지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10. 제 8 항에 기재된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와, 상기 복수의 접점 스프링이 이접 (離接) 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 및 복수의 광원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의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한 전류값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2. 제 9 항에 기재된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와, 상기 복수의 접점 스프링이 이접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 및 복수의 광원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의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복수의 광원에 대한 전류값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10016046A 2010-02-26 2011-02-23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KR101267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743 2010-02-26
JP2010041743A JP5036835B2 (ja) 2010-02-26 2010-02-26 導光シート、接点ばね付き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647A true KR20110098647A (ko) 2011-09-01
KR101267166B1 KR101267166B1 (ko) 2013-05-24

Family

ID=446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46A KR101267166B1 (ko) 2010-02-26 2011-02-23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36835B2 (ko)
KR (1) KR101267166B1 (ko)
CN (1) CN102192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1587A (ja) * 2012-02-02 2013-08-19 Alps Electric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このメンブレンスイッチユニットを用いたキーボード装置
JP6319789B2 (ja) * 2014-02-27 2018-05-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およびライトガイドを用いた照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8981A (ja) * 2006-03-17 2007-09-27 Asuko:Kk 疑似フルカラー表示装置および道路標識
JP2008235021A (ja) * 2007-03-20 2008-10-02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入力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機器
JP2009117233A (ja) * 2007-11-08 2009-05-28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用照光部材、及びスイッチ用照光部材を有するスイッチ装置
JP2009140871A (ja) * 2007-12-10 2009-06-25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用照光部材、及びスイッチ用照光部材を有するスイッチ装置
JP2009146652A (ja) * 2007-12-12 2009-07-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操作キー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87855A (ja) * 2008-02-08 2009-08-20 Shin Etsu Polymer Co Ltd 携帯電話の照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166B1 (ko) 2013-05-24
CN102192479A (zh) 2011-09-21
CN102192479B (zh) 2013-03-20
JP2011181211A (ja) 2011-09-15
JP5036835B2 (ja)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844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8362928B2 (en) Keypad assembly
US7851717B2 (en) Light-guide sheet,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JP2009146652A (ja) 操作キー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068109A (ko) 양자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9146653A (ja) シート状導光体及び操作キー照明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1267166B1 (ko)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CN105703758B (zh) 背光触摸按键
JPWO2008072666A1 (ja) 照光式入力装置
EP1523023B1 (en) Self-lighting type push-button input device
JP2009152022A (ja) シート状導光体及び操作キー照明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7946720B2 (en) Light guide sheet, movable contact structure using the light guide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vable contact structure, and switch using the light guide sheet and the movable contact structure
CN214099471U (zh) 键盘装置
JP4910056B2 (ja) 接点ばね付き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KR101345664B1 (ko) 휴대 단말기
KR200439070Y1 (ko) 광원용 인쇄형 도파로 시트
US20110315534A1 (en) Light guide sheet, movable contact body using same, and switch
CN113871239A (zh) 键盘及电子设备
JP4954054B2 (ja) 表示装置及び操作スイッチ
KR101049375B1 (ko) 다중 도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변환형 다중 키패드
KR1009004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체의 발광장치 및 그발광장치가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체
JP6628087B2 (ja) 操作装置
CN203242543U (zh) 一种发光键盘
CN220208800U (zh) 发光键盘、背光模组及发光灯板
JP2009283174A (ja) ライトガイド層を備えた照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