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233A -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233A
KR20110098233A KR1020100017742A KR20100017742A KR20110098233A KR 20110098233 A KR20110098233 A KR 20110098233A KR 1020100017742 A KR1020100017742 A KR 1020100017742A KR 20100017742 A KR20100017742 A KR 20100017742A KR 20110098233 A KR20110098233 A KR 2011009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pattern code
augmented reality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봉
최선영
김태현
최훈
한희
Original Assignee
김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봉 filed Critical 김태봉
Priority to KR102010001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8233A/ko
Publication of KR2011009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 및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마커 생성 선택 단계;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업로드 단계; 상기 업로드 결과에 대한 미리보기 단계; 상기 콘텐츠 미리보기 결과에 따른 사용자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 상기 콘텐츠 지정후 도메인 자동 연동 반영 단계; 상기 생성 마커 사용자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 및 상기 폼 입력 단계;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 및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Multi Connection Processing, Automatic Marker creation Augmented Reality Web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record}
본 발명은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함에 있어 증강현실 이미지 인식 및 정보 처리의 효율성 향상과 빠른 처리 속도 보장, 마커(Marker)의 생성 및 관리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무인화된 자동화 체계로 소요 비용 및 시간 절감, 증강현실을 웹서비스로 용이하게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카메라(웹캠, CCD 등)를 이용 현실을 증강하여 각종 디스플레이(모니터,TV,모바일 등)에 현실과 콘텐츠(2D, 이미지, 사진, 3D, 동영상, 텍스트 등)를 결합하여 마치 실제 하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여 주는 수단이자 기술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표준화된 증강현실은 마커(Marker)라 불리는 이미지 패턴을 보유한 표식수단을 통하여 이를 사용자단 단말기(PC, 노트북, 모바일 기기 등)의 카메라(웹캠, CCD 등)에 비추며 이때 이를 처리하고자 하는 증강현실 소프트웨어는 이 마커의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여 지정된 형태와 일치할 경우 이에 해당되는 지정된 콘텐츠를 불러내어 사용자단 단말기에 표시하는 구조를 띈다. 마커는 저작시 저작자가 다양하고 서로다른 이미지 패턴을 입력케 하여야 하며 이때 각기 다른 콘텐츠를 해당 마커에 지정하여 해당 마커가 카메라로 인식시 지정된 콘텐츠가 사용자단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설정을 한다.
이때 마커의 인식률은 크게 카메라의 성능(화소, 렌즈 등)에 좌우가 되며 마커의 이미지 패턴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마커의 인식률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마커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이미지 패턴을 가져야 하나 그럴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각기 다른 콘텐츠를 사용함에 있어 그 규모와 가짓수가 방대할수록 단일 증강현실 모듈에서 이를 처리함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구조적 한계로 인식 가능한 마커의 숫자(즉, 인식 대상이자 표현 수단의 방법수)가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증강현실 저작에 있어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소수의 마커만을 생성하고 등록하는 수준이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수의 각기다른 마커를 저작하는 경우 이를 인력에 의한 기존의 수작업 형태로는 빠른 처리가 어려우며 인건비 및 시간적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웹서비스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전달되는 서비스 체계로서 서버 시스템과 웹운용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지원, 관리 프로그램과 DB로 구성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TCP/IP 기반의 HTTP 프로토콜로 운용이 된다.
웹서비스는 사용자단 단말기에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표준화된 웹브라우저가 지원하는 각종 플러그인(웹브라우저 기능 확장 추가 모듈)을 통하여 Active-X나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사용자 접근성이 용이한 특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인하여 현재 전세계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가 이러한 웹서비스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 그에 대한 반증이라 할 것이다. 즉, 증강현실을 처리하고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 일체를 기존 사용자단 단말기에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실행 방식이 아닌 사용자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준화된 웹서비스 상에서 동일한 효과가 능력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다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동 시간대에 몰려 특정 웹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버시스템에 과부하를 일으킬 경우 정상적인 웹서비스가 불가능하여진다. 웹서비스는 도메인(URL)이란 구분 체계를 가지며 도메인을 통해 각기 다른 웹서비스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고 이를 찾아갈 수 있게 지원한다. 도메인은 메인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으로 크게 구분하고 해당 웹서비스 관리자가 이를 다시 도메인 후 부의 디렉토리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방문하는 동일 도메인내의 다수의 콘텐츠와 서비스에 혼동되지 않고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사용자가 다중 마커를 사용함에 있어 다중의 콘텐츠가 단일 웹서비스 도메인에서 단일 내지 소수의 증강현실 모듈로 서비스 될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다수의 사용자와 그들의 각기 다른 마커를 인식하고 이미지 처리를 하는데 있어 증강현실 모듈에 사전 저작하여 등록케하고 인지 및 처리케하는 마커의 숫자가 일정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 접속 사용자 집중시(동시 증강현실 처리량 집중과 동일) 서비스 시스템 처리량의 집중에 따른 효율성과 성능 하락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함에 있어 증강현실 이미지 인식 및 정보 처리의 효율성 향상과 빠른 처리 속도 보장, 마커(Marker)의 생성 및 관리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무인화된 자동화 체계로 소요 비용 및 시간 절감, 증강현실을 웹서비스로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 및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플래시 파일 자동 수신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표시 플래시에 의한 카메라 열기 허용 단계; 상기 화상 인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화상 이미지 분해를 통한 이진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처리부가 위치한 웹서비스 서버 전송 단계; 및 수신된 이미지 분해 이진화 정보와 마커 패턴 체계의 비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는, 상기 마커 추적 결과 일치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단 결과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미 인식 단계는, 상기 복제 마커 특징 판단 단계; 및 상기 복제 마커 부정 사용자 정보 기록과 경고 발송과 접속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의 이미지 패턴을 좌표값으로 사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미 식별시 상기 마커인식으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하는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웹서비스로부터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웹서비스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단으로 수신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 방법에 있어서,사용자 마커 생성 선택 단계;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업로드 단계; 상기 업로드 결과에 대한 미리보기 단계; 상기 콘텐츠 미리보기 결과에 따른 사용자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 상기 콘텐츠 지정후 도메인 자동 연동 반영 단계; 상기 생성 마커 사용자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 및 상기 폼 입력 단계;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 및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는, 상기 마커 생성을 위한 단계별 항목 분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는, 상기 패턴코드 생성시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는, 상기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결과를 패턴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중복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등록 비 선택 단계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다수의 예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는, 상기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수행하기 위해 웹서비스 서버단 및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 서버단 및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 및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플래시 파일 자동 수신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표시 플래시에 의한 카메라 열기 허용 단계; 상기 화상 인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화상 이미지 분해를 통한 이진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처리부가 위치한 웹서비스 서버 전송 단계; 및 수신된 이미지 분해 이진화 정보와 마커 패턴 체계의 비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는, 상기 마커 추적 결과 일치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단 결과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미 인식 단계는, 상기 복제 마커 특징 판단 단계; 및 상기 복제 마커 부정 사용자 정보 기록과 경고 발송과 접속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의 이미지 패턴을 좌표값으로 사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미 식별시 상기 마커인식으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하는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웹서비스로부터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웹서비스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단으로 수신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을 수행하기 위해 웹서비스 서버단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 서버단에서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선택 단계;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업로드 단계; 상기 업로드 결과에 대한 미리보기 단계; 상기 콘텐츠 미리보기 결과에 따른 사용자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 상기 콘텐츠 지정후 도메인 자동 연동 반영 단계; 상기 생성 마커 사용자 송신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자동 마커 생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 및 상기 폼 입력 단계;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 및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는, 상기 마커 생성을 위한 단계별 항목 분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는, 상기 패턴코드 생성시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는, 상기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결과를 패턴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중복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등록 비 선택 단계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다수의 예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는, 상기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증강현실의 서비스 운용 및 제공 영역을 기존 제한된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확장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접근성이 유리한 웹서비스 형태로 확장하며, 더우기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각기 다른 마커와 각기 다른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하여 동시에 대량 접속을 하더라도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라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형태의 서비스 구성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규모 동영상 웹서비스인 유튜브와 유사 개념의 대규모 증강현실 포털 웹서비스가 구축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대규모 웹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인 자동 마커 생성을 통해 마커(Marker)의 생성 및 관리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무인화된 자동화 체계로 소요 비용 및 시간 절감을 기대한다. 또한 마커에 패턴코드 체계를 적용하여 패턴코드를 통한 증강현실 웹서비스 URL 접속에 유연하게 적용하여 접근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다중의 마커 및 콘텐츠의 효과적인 접근과 효율성 증대로 보다 높은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상의 마커의 복사방지 방법과 기록매체를 통해 증강현실에 사용되는 마커의 불법복제에 따른 피해예방과 방지가 가능함에 따라 보안성과 수익성 향상이 동시에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마커 생성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가 적용된 결과 예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웹서비스가 사용자단 단말기에서 표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자동 저작이 적용된 마커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마커(102), 카메라(103), 사용자단말기(104), 자동저작프로그램(130), 생성부(132), 검증부(133), 복제방지부(134), 배포부(135), 웹서비스부(110), 증강현실 프로그램(120), 인식부(122), 처리부(123), 데이타저장부(124)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마커 생성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가 적용된 결과 예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웹서비스가 사용자단 단말기에서 표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자동 저작이 적용된 마커 도면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0)은 마커(102), 카메라(103), 사용자단말기(104), 자동저작프로그램(130), 생성부(132), 검증부(133), 복제방지부(134), 배포부(135), 웹서비스부(110), 증강현실 프로그램(120), 인식부(122), 처리부(123), 데이타저장부(124)를 포함한다.
마커(102)는 이미지 및 문자 패턴의 결합으로 표현되는 수단이며 지정된 콘텐츠를 호출하여 서비스를 표시하기 위한 일종의 표식 체계이다.
카메라(103)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된 영상 획득 장치로 마커를 인식하고 추적하는 장치적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기(104)는 PC나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이며,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하여 네트워크에 의하여 통신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카메라(103)로부터 입력받은 마커(102)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비스 서버 시스템에 송신하고 그 결과값을 수신한다.
자동저작프로그램(130)은 생성부(132), 검증부(133), 복제방지부(134),배포부(135)를 포함한다. 더불어 증강현실 프로그램(120)과 연동되어 마커 생성 및 관리에 대한 일련의 연속 동작을 수행한다.
생성부(132)는 마커의 패턴코드(610) 생성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정해진 영문과 숫자 등의 인식체계를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생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정해진 생성 규칙에 따라 선택적 무작위 추출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검증부(133)는 생성부(132)를 통해 생성된 마커의 패턴코드(610)가 기존 데이에 장부(124)에 등록된 마커 패턴코드(610)와의 중복방지를 위한 비교 절차를 수행한다.
복제방지부(134)는 배포된 마커를 불법복제하거나 조작하여 사용 권한이 없는 자가 사용할 경우 이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복제방지부(134)는 출력된 마커(102)에 위조방지 홀로그램을 부착하고 이에 대한 패턴 인식 변형의 특징이 발견될 경우 해당 접속 및 사용자에 대하여 접속 차단 및 경고를 수행하며 그 부정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배포부(135)는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마커 패턴코드(610)를 완성된 마커(600)로 배포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메일 자동 전송 등의 형태로 배포할 수 있다.
웹서비스부(110)는 증강현실 웹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웹어플리케이션 서버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이타베이스, 사용자 단말기(104)단에서 수신되고 구동되어야 할 플래시 파일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표준화된 TCP/IP기반하의 HTTP 규약을 준수하여 동작한다.
증강현실 프로그램(120)는 인식부(122), 처리부(123), 데이타저장부(124)를 포함한다. 더불어 증강현실 프로그램(120)은 웹서비스부(110)를 통하여 최종 획득한 수신정보인 마커(102)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여 데이타저장부(124)에 위치한 콘텐츠를 송신하여 화면에 표시케 한다.
인식부(122)는 상기 마커(120)를 인식한 이미지 정보값과 공간좌표정보를 구분하여 마커 추적을 지속 수행한다.
처리부(123)는 인식부(122)에서 입력된 마커(120)의 정보과 일치되는 콘텐츠를 데이타저장부(124)에서 검색하여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타저장부(124)는 마커(120)별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기록하고 있으며 상기 저작프로그램(130)을 통하여 생성되고 검증된 신규 콘텐츠 정보도 기록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이다.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시스템(200)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201)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202)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220)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221); 및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222)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22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201)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20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플래시 파일 자동 수신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표시 플래시에 의한 카메라 열기 허용 단계; 상기 화상 인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203)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화상 이미지 분해를 통한 이진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처리부가 위치한 웹서비스 서버 전송 단계; 및 수신된 이미지 분해 이진화 정보와 마커 패턴 체계의 비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204)는, 상기 마커 추적 결과 일치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단 결과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미 인식 단계(210)는, 상기 복제 마커 특징 판단 단계; 및 상기 복제 마커 부정 사용자 정보 기록(211)과 경고 발송(212)과 접속 차단(21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205)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의 이미지 패턴을 좌표값으로 사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미 식별시 상기 마커인식으로 회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206)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하는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웹서비스로부터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207)는, 상기 웹서비스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단으로 수신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마커 생성을 제공하는 예시 흐름도이다.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 프로그램(30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330); 및 상기 폼 입력 단계(331);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332); 및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333); 및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334); 및 상기 출력 단계(335);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336); 복사장비 정보등록(337)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301)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302)는, 상기 마커 생성을 위한 단계별 항목 분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303)는, 상기 패턴코드 생성시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304)는, 상기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결과를 패턴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중복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305)는,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3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등록 비 선택 단계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다수의 예제 콘텐츠를 선택(320)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31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최종선택(313)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저장 및 도메인 연동 반영(31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웹서비스가 사용자단 단말기에서 표시된 도면이다.
상기 도 4는 사용자단 단말기(104)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카메라(103)을 통해 획득한 화상정보를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이는 웹서비스를 통하여 플래시 파일 형태로 증강현실이 웹서비스로 진행되고 있는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가 적용된 결과 예시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화면은 사용자단 단말기(104)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카메라(103)을 통해 획득한 화상정보를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이는 웹서비스를 통하여 플래시 파일 형태로 증강현실이 웹서비스로 진행되고 있는것을 포함하며, 마커(102)를 통하여 사용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지정된 콘텐츠가 현실에 증강되어 모니터로 투영되고 있는것을 보여준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자동 저작이 적용된 마커 도면이다.
마커(600)는 마커 패턴코드(610)와 마커 표시자(620)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마커 패턴코드(610)는 영문, 숫자 등의 조합과 배열에 의하여 다양한 경우 수와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는 다시 상기 접속 도메인(URL)과 연계하여 URL의 서브도메인 또는 메인도메인 또는 디렉토리명 또는 파일명 등으로 적용되어 단일 웹서비스 서버에서 다중의 증강현실 프로그램(120)을 다중 시스템 프로세스로 처리할 수 있는 분산 효과를 가져오고 이를 통해 처리 및 동시 다중 접속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에서 접속 단계의 생략 및 접근성이 향상되는 잇점을 갖는다.
-

Claims (32)

  1.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플래시 파일 자동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표시 플래시에 의한 카메라 열기 허용 단계; 및
    상기 화상 인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화상 이미지 분해를 통한 이진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처리부가 위치한 웹서비스 서버 전송 단계;
    수신된 이미지 분해 이진화 정보와 마커 패턴 체계의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는,
    상기 마커 추적 결과 일치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단 결과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미 인식 단계는,
    상기 복제 마커 특징 판단 단계; 및
    상기 복제 마커 부정 사용자 정보 기록과 경고 발송과 접속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의 이미지 패턴을 좌표값으로 사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미 식별시 상기 마커인식으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하는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웹서비스로부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방법
  10.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마커 생성 선택 단계;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업로드 단계;
    상기 업로드 결과에 대한 미리보기 단계;
    상기 콘텐츠 미리보기 결과에 따른 사용자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
    상기 콘텐츠 지정후 도메인 자동 연동 반영 단계; 및
    상기 생성 마커 사용자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
    상기 폼 입력 단계;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는,
    상기 마커 생성을 위한 단계별 항목 분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는,
    상기 패턴코드 생성시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는,
    상기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결과를 패턴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중복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는,
    상기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콘텐츠 등록 비 선택 단계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다수의 예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단계;
    콘텐츠 저장 단계; 및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자동 저작 방법


  17. 웹서비스상에서 다중 접속 처리를 위한 증강현실을 수행하기 위해 웹서비스 서버단 및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 서버단 및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송신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상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상기 접속할 URL의 서브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메인 도메인으로 입력 또는 디렉토리로 입력 또는 파일명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미 포함 URL 입력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후 접속후 입력메뉴에 직접 마커 패턴코드 입력 단계;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되는 증강현실 처리 플래시 경로 표시 또는 직접 연결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턴코드 포함 URL 입력으로 증강현실 서비스 기능 내장 플래시 구동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플래시 파일 자동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단 표시 플래시에 의한 카메라 열기 허용 단계; 및
    상기 화상 인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구동에 의한 마커 추적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한 화상 이미지 분해를 통한 이진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처리부가 위치한 웹서비스 서버 전송 단계;
    수신된 이미지 분해 이진화 정보와 마커 패턴 체계의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인식 단계는,
    상기 마커 추적 결과 일치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단 결과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추적에 의한 마커 미 인식 단계는,
    상기 복제 마커 특징 판단 단계; 및
    상기 복제 마커 부정 사용자 정보 기록과 경고 발송과 접속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인식에 의한 마커 공간 좌표 식별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의 이미지 패턴을 좌표값으로 사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미 식별시 상기 마커인식으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공간 좌표 식별에 의한 콘텐츠 송신 단계는,
    상기 마커 패턴코드와 일치하는 지정된 콘텐츠 정보를 웹서비스로부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6. 웹서비스상에서 자동 마커 생성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증강현실 웹서비스 서버단 및 사용자 단말기단에서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 마커 생성 선택 단계;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업로드 단계;
    상기 업로드 결과에 대한 미리보기 단계;
    상기 콘텐츠 미리보기 결과에 따른 사용자 선택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
    상기 콘텐츠 지정후 도메인 자동 연동 반영 단계; 및
    상기 생성 마커 사용자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마커 생성 비 선택 단계는,
    관리자 생성 메뉴 단계;
    상기 폼 입력 단계; 및 상기 중복 확인 단계;
    상기 콘텐츠 등록 및 저장 단계;
    상기 도메인 반영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 및
    상기 복제 방지 목적의 홀로그램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생성 메뉴 선택에 의한 카테고리 결정 단계는,
    상기 마커 생성을 위한 단계별 항목 분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기반 패턴코드 생성 단계는,
    상기 패턴코드 생성시 프로그램에 의한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생성을 통한 중복확인 단계는,
    상기 무작위 패턴코드 추출 결과를 패턴코드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중복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결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 결정에 따른 콘텐츠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으로 결정된 콘텐츠 저장 및 반영 단계는,
    상기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2. 제 26항에 있어서,
    콘텐츠 등록 비 선택 단계는,
    증강현실 웹서비스 제공 다수의 예제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단계;
    콘텐츠 저장 단계; 및
    도메인 연동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017742A 2010-02-26 2010-02-26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10098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742A KR20110098233A (ko) 2010-02-26 2010-02-26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742A KR20110098233A (ko) 2010-02-26 2010-02-26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33A true KR20110098233A (ko) 2011-09-01

Family

ID=4495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742A KR20110098233A (ko) 2010-02-26 2010-02-26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82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893A (ko) * 2013-10-11 2015-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양한 마커패턴을 이용하는 증강현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33908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2893A (ko) * 2013-10-11 2015-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양한 마커패턴을 이용하는 증강현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33908A (ko) * 2018-05-24 2019-12-04 시크릿타운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 인식 기반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726B2 (en) Distributing media content via media channels based on associated content being provided over other media channels
CN103282925B (zh) 在上载到因特网网站的多媒体中保护用户隐私的系统和方法
KR101993239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1886842B (zh) 使用基于阈值的匹配进行远程用户身份验证
CN102214271B (zh) 基于标签的个性化方案
KR101171321B1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한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757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 with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O2019161809A1 (zh) 基于4g/5g网络和二维码扫描识别的记录系统及方法
JP2005174317A5 (ko)
WO2019072126A1 (zh) 基于二维码扫描识别的全过程音视频记录系统及使用方法
JP4803604B2 (ja) Webブラウザ上で動作する顔認識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4579626A (zh) 一种基于单向传输的电子文档输出管控系统及方法
CN105975549A (zh) 一种基于web页面的自定义二维码识别方法
US2022034296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tecting, Monitoring, and Reporting Use Of Content
CN10609559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客户端
US2020027894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fingerprint of electronic file
US105797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authentication
CN104982002A (zh) 视频签名系统及方法
EP2525297A1 (en)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in a tag-based interaction
CN107222765B (zh) 网络摄像机的视频播放页面的编辑方法、服务器和系统
KR20110098233A (ko) 다중 접속 처리 및 자동 마커 생성 증강현실 웹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6031522A (ja) コンテンツ中継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中継配信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57031B1 (ko)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8731A (ko) 모바일 기반 이벤트 영상 관리 시스템
CN113486304A (zh) 一种图像或视频防盗版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