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31B1 -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031B1
KR101557031B1 KR1020130090980A KR20130090980A KR101557031B1 KR 101557031 B1 KR101557031 B1 KR 101557031B1 KR 1020130090980 A KR1020130090980 A KR 1020130090980A KR 20130090980 A KR20130090980 A KR 20130090980A KR 101557031 B1 KR101557031 B1 KR 10155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pecific
user terminal
module
reque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627A (ko
Inventor
신태수
Original Assignee
(주)모스트비주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스트비주얼 filed Critical (주)모스트비주얼
Priority to KR102013009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IMAGE CONTENTS REGISTRATION SERVICE}
본 발명은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컨텐츠의 보호 및 이미지 콘텐츠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한미 FTA에 따른 저작권법 개정 등 이미지 저작권 관련법이 강화됨에 따라 이미지 저작권자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침해가 우려된다.
한미 FTA에 따른 저작권법에 의해 현 저작권법이 대거 수정되었으며, 법에 의해 정확한 피해규모 내용증명 없이 바로 고발가능하며, 침해시 벌금도 수천만원에 이른다.
또한 DSLR 등의 보급에 따라 일반인의 사진 품질이 향상되고 있어 향후 시장개방에 따른 국내 사용자의 이미지를 보호하고 유통하는 서비스가 시급한 실정이다.
인터넷 상의 모든 이미지는 이미 저작권이 형성되고 있으나 저작권 존재의 표기만으로는 일반 사용자에게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부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 개인의 이미지 자산을 보호하고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 및 이미지 콘텐츠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 사용자 개인의 이미지 자산을 보호하고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 및 이미지 콘텐츠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는,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할 때 이미지 썸네일 또는 워터마킹 처리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비주얼 분석을 통해 이미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이미지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된 이미지는 클라우드 기반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의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하는 이미지 분류 모듈;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이미지 보정 모듈; 및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 썸네일하고 워터마킹을 실행하는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할 때 상기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에 의해 이미지 썸네일 또는 워터마킹 처리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분류 모듈은, 상기 이미지의 비주얼 분석을 통해 이미지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이미지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모듈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된 이미지는 클라우드 기반 분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사용자 개인의 이미지 자산을 보호하고 이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이미지 콘텐츠 시장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이미지 콘텐츠의 유통 단계가 축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운영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S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S41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 제1 사용자 단말(300) 및 제2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시스템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이미지 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가 저작권이 있을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저작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특정 스텝들(steps)을 거쳐 가공한 후 저작권이 있는 이미지 콘텐츠로 관리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이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에 원하는 이미지 제공을 요청하면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이를 통보하여 해당 이미지를 추적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의 해당 이미지 구매 결정이 있을 경우 이미지 비용을 정산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 이미지 분류 모듈(120), 추출 모듈(130), 이미지 보정 모듈(140),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 저작권 관리 모듈(160), 제지 관리 모듈(170), 통신 모듈(180) 및 저장 모듈(190)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은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등록 요청받은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분석된 패턴을 기초로 상기 저장 모듈(190)에 저장된 기존 존재 데이터와 매칭되는 지(즉, 동일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은 이미지가 가지는 컬러, 모양, 질감 등에 관한 고유 특징을 수치화하여 DNA를 추출하고 추출된 DNA를 이용해 저장 모듈(190)에 저장된 기존 존재 데이터와 동일성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은 통계적 접근법, 신경망 접근법, 구조적 접근법 또는 패턴 매칭 기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적 접근법, 신경망 접근법, 구조적 접근법 또는 패턴 매칭 기법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으나, 간단히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통계적 접근법은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이고, 신경망 접근법은 패턴의 분류를 입력 자극(pattern)에 대한 처리 단위(neurons)로 이루어진 망(network)의 응답 과정으로 분류 인식을 행하는 접근법이며, 구조적 접근법은 패턴의 구조적인 유사성을 조사하여 이를 이용 분류 인식을 행하는 방법이다.
패턴 매칭 기법은 이미지에서 비주얼인 기하학형태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의 특정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패턴 매칭 기법은 기하학형태정보만 있기에 전보다 데이터사용이 쉬워지고 회전이나 스케일변화에도 대응 할 수 있게 되며, 결과로 X, Y좌표, 회전각도, 스케일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류 모듈(120)은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에서 분석된 이미지의 패턴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분류 모듈(120)은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이 이미지의 비주얼 분석을 통해 패턴을 분석한 경우, 그에 맞는 분류 카테고리를 선별하여 해당 이미지를 분류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분류 모듈(120)은 이미지 비주얼 분석을 수행되면, 분석에 따라 이미지 키워드를 추출해 확정하고, 확정된 추출 키워드에 따른 카테고리를 선별하여 해당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모듈(130)은 분류된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 모듈(19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미지 정보는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meta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exif meta 정보는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회전 방향, 날짜와 시간, 색 공간, 초점 거리, 플래시, ISO 속도, 조리개, 셔터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보정 모듈(140)은 제1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을 반영한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할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보정 모듈(140)은 이미지 보정 전에 상기 이미지의 상태(예컨대, 색상 정보 등)를 파악하고, 파악한 상태에 기초해 이미지 보정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보정 모듈(140)은 이미지 보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특정 영역만 자를 수 있고, 특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의 색상 조절, 콘트라스트(contrast) 조절, 밝기 조절, 모자이크, 역광 조절 등을 포함한 각종 이미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보정 모듈(140)은 상기 이미지에 테두리를 줄 수 있고, 텍스트를 입력시킬 수 있고, 스티커 또는 말풍선을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받은 이미지를(로부터) 이미지 썸네일 및 워터마킹을 실행하거나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받은 이미지에 워터마킹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 모듈(190)에 저장 및/또는 상기 요청받은 이미지를 이미지 썸네일하여 상기 저장 모듈(19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받은 이미지에 워터마킹이 된 경우, 이를 분리해 내어 이미지 썸네일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른 형태의 워터마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모듈(16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받은 이미지가 저작권이 있을지를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저작권 관리 모듈(160)은,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이 이미지가 가지는 컬러, 모양, 질감 등에 관한 고유 특징을 수치화하여 DNA를 추출하고 추출된 DNA를 이용해 저장 모듈(190)에 저장된 저작물과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별하면,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의 이용을 차단토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모듈(160)은, 상기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이 확인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별하면, 상기 이미지 분류 모듈(120), 추출 모듈(130), 이미지 보정 모듈(140),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 등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지 관리 모듈(170)은 미리 설정된 제지 기준에 따라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를 제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지 기준은 예컨대, 상기 저작권 관리 모듈(160)에 의해 확인결과 사용자가 저작권 위반 이미지를 등록하려고 하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기준에 해당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 모듈(18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300, 400)과 데이터(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저장 모듈(190)에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 모듈(190)은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클라우드 기반으로 썸네일 이미지, 원문이미지, 기타 변경 이미지 등으로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운영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은 송수신 모듈(210), 추적 관리 모듈(220), 정산 모듈(230), 구매 관리 모듈(240) 및 배포 관리 모듈(250)을 포함한다.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300, 400)과 데이터(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추적 관리 모듈(220)은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이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특정 이미지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이를 통보하여 해당 특정 이미지가 있는지를 추적한다.
상기 구매 관리 모듈(24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의 특정 이미지의 구매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매 관리 모듈(240)은 상기 추적 관리 모듈(220)의 추적결과 상기 특정 이미지가 있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의 구매결정이 있을 경우 배포 관리 모듈(250)을 통해 상기 특정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정산 모듈(23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이 상기 특정 이미지의 구매결정이 있을 경우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한 비용 정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비용 정산 처리는 사용자의 사용량을 분석하여 사용량에 따른 비용 청구가 처리되는 것을 포함하며, 사용자별로 정산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산 모듈(230)에서 정산될 수 있는 여러 정산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정산 모듈(230)은 정산을 위해 지불 시점에 따라 선불제(일정금액을 지불하고 지불한 사용자에게 그에 합당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또는 후불제(서비스를 사용한 양만큼의 금액을 지불하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산 모듈(230)은 정산을 위해 지불량에 따라 정액요금제(일정한 금액을 지불한 후 그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류방식), 정량요금제(일정한 시간을 쓰도록 인증받는 방식으로 시간단위로 일정시간을 정해놓고, 그 시간만큼 금액을 내는 방식) 또는 종량요금제(사용한만큼 금액을 지불하는 방식)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산 모듈(230)은 정산을 위해 인증방식에 따라 IP 주소 인증 방식(콘텐츠를 거래하는 사용자는 크게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유저계정(ID: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가지고 들어오게 되는데, 이중 IP 주소부분을 체크해서 IP가 인증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 사용자 인증방식(사용자는 IP와 ID를 가지고 들어오는데, 이중 아이디 부분을 체크해서 인증하는 방식), 또는 포인트 충전방식(제공처에서 정해진 일정한 금액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금액을 지불하고 그에 합당한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산 모듈(230)은 정산을 위해 무통장 입금 방식, 카드결제 방식, 핸드폰 결제 방식, ARS 결제 방식, 상품권 결제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산 모듈(230)은 정산을 위해 이미지 퀄리티를 고려하여 비율에 따라 금액을 정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거래 건수에 따른 비율로 정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배포 관리 모듈(250)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의 구매결정이 있을 경우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상기 특정 이미지를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특정 이미지를 배포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코드를 배포하여 이미지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배포 관리 모듈(250)은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이미지 콘텐츠 제공 요청 및 이미지 콘텐츠 등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400)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포 관리 모듈(250)은 제1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400)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지원할 수 있어 이를 예컨대 카페, 블로그, 쇼핑몰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등록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10).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300)이 등록 요청하는 이미지의 저작권 중복 여부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고(S20),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한다(S30).
예컨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가 가지는 컬러, 모양, 질감 등에 관한 고유 특징을 수치화하여 DNA를 추출하고 추출된 DNA를 이용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들과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가공한다(S40). 이때, 상기 이미지의 가공은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것,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것 및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썸네일 수행 및 워터마킹 처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가공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한다(S50).
도 5는 도 4의 S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한 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한다(S41).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한다(S43). 이때, 상기 이미지 정보는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 meta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exif meta 정보는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회전 방향, 날짜와 시간, 색 공간, 초점 거리, 플래시, ISO 속도, 조리개, 셔터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한다(S45). 이때, 상기 이미지의 보정은 특정 영역의 이미지 커팅, 특정 각도의 이미지 회전, 이미지 색상 조절, 콘트라스트(contrast) 조절, 밝기 조절, 모자이크, 역광 조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등록요청받은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한다(S47). 이때,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S41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이미지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한 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이미지의 비주얼 분석을 통해 이미지 키워드를 추출한다(S411). 상기 비주얼 분석을 통한 키워드 추출은 이미지에 찍힌 기본적 특성을 중심으로 그에 맞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키워드가 추출되면 추출된 키워드에 따른 카테고리에 맞춰 이미지를 분류한다(S413).
도 7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이 원하는 특정 이미지 제공을 요청받는다(S100).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S200).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의 저장 모듈(190)에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제2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받은 특정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특정 이미지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한다(S300). 만일, 상기 특정 이미지에 이미 DRM 처리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스텝(step)은 생략된다. 상기 DRM 처리는 워터마킹(watermarking),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의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한 구매 정산이 확인되면 상기 요청받은 특정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한다(S400).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
이미지 인식 필터링 모듈(110)
이미지 분류 모듈(120)
추출 모듈(130)
이미지 보정 모듈(140)
워터마킹 및 썸네일 모듈(150)
저작권 관리 모듈(160)
제지 관리 모듈(170)
통신 모듈(180)
저장 모듈(190)
운영 서비스 시스템(200)
송수신 모듈(210)
추적 관리 모듈(220)
정산 모듈(230)
구매 관리 모듈(240)
배포 관리 모듈(250)
제1 사용자 단말(300)
제2 사용자 단말(400)

Claims (10)

  1. 이미지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 중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영 서비스 시스템이,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이미지의 제공을 요청받는 단계;
    제공 요청받은 상기 특정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상기 특정 이미지가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이미지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한 구매 정산이 확인된 후, 요청받은 상기 특정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를 가공하는 단계는,
    판별결과, 매칭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경우 등록 요청받은 상기 이미지를 특정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의 보정은 상기 이미지의 특정 영역의 커팅, 특정 각도로의 회전, 색상 조절, 콘트라스트(contrast) 조절, 밝기 조절, 모자이크, 역광 조절, 상기 이미지에 테두리 설정, 텍스트 입력, 스티커나 말풍선의 삽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또는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할 때 이미지 썸네일 또는 워터마킹 처리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비주얼 분석을 통해 이미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에 맞춰 이미지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이미지 정보 및 카테고리에 맞춰 분류된 이미지는 클라우드 기반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90980A 2013-07-31 2013-07-31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5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80A KR101557031B1 (ko) 2013-07-31 2013-07-31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80A KR101557031B1 (ko) 2013-07-31 2013-07-31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27A KR20150015627A (ko) 2015-02-11
KR101557031B1 true KR101557031B1 (ko) 2015-10-05

Family

ID=5257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980A KR101557031B1 (ko) 2013-07-31 2013-07-31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36B1 (ko) * 2017-01-20 2017-11-15 이진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기부 및 기부 콘텐츠 구매 방법
KR102090770B1 (ko) * 2018-10-12 2020-03-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영상 인식 모델 생성과 영상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424760B1 (ko) * 2021-07-12 2022-07-25 김정윤 이미지 거래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27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553A1 (en) Management of drone operations and security in a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US7587412B2 (en) Mixed media reality brokerage network and methods of use
US11182757B2 (en) Trusted transaction system for digital asset licensing
CN105531670A (zh) 智能移动应用开发平台
CN107077570A (zh) 用于检测通过数据分发通道发送敏感信息的尝试的系统和方法
US2022034296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tecting, Monitoring, and Reporting Use Of Content
JP2017527894A (ja) 手書きを使用するユーザ識別登録の管理
KR101557031B1 (ko) 이미지 콘텐츠 등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248785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931200A (zh) 一种数据序列化方法、移动终端和可读存储介质
CN108140074B (zh) 管理应用特定的特征权限
KR20210099152A (ko) 문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15631A (ko) 이미지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46276B1 (ko) 전자책 서비스 방법
US202001866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watermark for electronic terminal
US20220405413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904773B1 (en) Digital media marking system
KR101633402B1 (ko) 명함관리 시스템
KR20180025297A (ko)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739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entity specific data assets
KR101458155B1 (ko) 편집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30212B1 (ko) 다차원 코드를 이용한 랜딩 페이지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시스템 및 접속 제어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접속 방법
KR100923412B1 (ko) Rtc 설정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45882B1 (ko) 문자 인식과 검색 순위 정보를 이용한 피싱 방지 방법 및 시스템
JP6589052B2 (ja) 知的財産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