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348A -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 Google Patents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348A
KR20110097348A KR1020100017152A KR20100017152A KR20110097348A KR 20110097348 A KR20110097348 A KR 20110097348A KR 1020100017152 A KR1020100017152 A KR 1020100017152A KR 20100017152 A KR20100017152 A KR 20100017152A KR 20110097348 A KR20110097348 A KR 2011009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drill
support
coupled
height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081B1 (ko
Inventor
장기환
Original Assignee
장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환 filed Critical 장기환
Priority to KR102010001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0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4Damping the reaction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8Supports; Devices for holding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in working position
    • B25D17/30Pillars and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005Adjustable tool components; Adjustable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51Use of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슬라브에 앵커를 타정하게 되는 해머드릴을 지면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에 미끄럼방지판(12)이 힌지(13) 결합되어지는 지지수단(1)과; 상기 지지수단(1)에 지렛대 방식의 연결핀(7)으로 연결되어 연결핀(7)을 축으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1 높낮이조절수단(2)과;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에 결합되어지고 안테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2 높낮이조절수단(3)과;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화수단(4)과; 상기 충격완화수단(4)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드릴(100)을 고정시키게 되는 해머드릴 고정수단(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High and low regulation supporter structure of hammer drill}
본 발명은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슬라브에 앵커를 타정하게 되는 해머드릴을 지면에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조절하여 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인 천장 슬라브에 해머드릴로 앵커를 타정할 구멍을 천공할 때에는 작업자가 작업대위에 올라가서 해머드릴을 들고 팔을 뻗어 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천공을 하면 해머드릴의 무게와 천공시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팔이 쉽게 피로하게 되거나 아프게 됨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작업을 할 수 없어 수시로 작업을 중지하고 피로를 풀어주거나 쉬어야하기 때문에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인력과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장시간 천공작업을 한 작업자의 경우에는 수전증이 발생하거나 천공시 날리는 콘크리트 분진이 작업자의 안면에 떨어져 작업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며, 특히 분진을 흡입하게 되어 건강을 해치게 됨은 물론 부주의로 작업대에서 떨어져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첫째, 해머드릴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어두운 실내에서 드릴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드릴 작업시 해머드릴의 진동에 따른 충격을 최대한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수직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드되어 해머드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지렛대 방식으로 또 다시 해머드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 기능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작업장의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울퉁불퉁하거나 미끄러워도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안정적인 작업 및 작업의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섯째, 해머드릴의 드릴 작업시 발생되어지는 먼지나 분진을 밑으로 떨어지지 않게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안면에 분진이 떨어지지 않아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미끄럼방지판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지렛대 방식의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연결핀을 축으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1 높낮이조절수단과;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에 결합되어지고 안테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2 높낮이조절수단과;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해머드릴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화수단과; 상기 충격완화수단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드릴을 고정시키게 되는 해머드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 조절 서포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머드릴을 해머드릴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의 하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1 높낮이조절수단과 지렛대 방식으로 작동되는 제 2 높낮이조절수단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해머드릴의 견고한 고정으로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없이 지면에서 용이하게 천장 슬라브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해머드릴 고정수단에 고정되어지는 해머드릴의 높낮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머드릴 고정수단에 충격완화수단을 연결하게 됨으로써 해머드릴이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충격완화수단이 흡수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게 되어 해머드릴의 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장시간 작업에 따른 수전증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 이와 함께 작업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해머드릴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수집하게 됨으로써 깨끗한 작업 환경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의 해머드릴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수단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높낮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높낮이조절수단의 정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높낮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집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집수단의 결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수집수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예시도로서,
(a)는 천장 슬라브에 구멍을 천공하기 전의 예시도이며,
(b)는 천장 슬라브에 구멍을 천공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의 해머드릴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수단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높낮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높낮이조절수단의 정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높낮이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해머드릴(100)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면에서 해머드릴(100)을 천장 슬라브(200)로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 구조로서, 해머드릴 고정수단(5)과, 충격완화수단(4)과, 제 1 높낮이조절수단(2) 및 제 2 높낮이조절수단(3)과, 지지수단(1)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은 안쪽면으로 해머드릴(100)이 안착되어지도록 안착부(50a)가 형성되어진 본체(5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본체(50) 정면부에 안착부(50a)에 안착되어지는 해머드릴(100)을 고정시키게 되는 복수의 고정벨트(45)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본체(50) 양측면에 해머드릴(100)이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도록 냉각홀(50b)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50)의 후면부에는 해머드릴(100) 작업시 드릴(110)을 밝혀줄 수 있도록 조명부(5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에서 조명부(52)는 해머드릴(100)의 드릴(110)을 비출 수 있도록 상부로 발광되어지게 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50)는 강판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충격완화수단(4)은 해머드릴 고정수단(5)의 본체(50) 하부에 형성되어지는 탈착클러치(40)와, 상기 탈착클러치(40)의 외면에 결합되어지는 고무링(41)과, 상기 탈착클러치(40)의 내면에 장착되어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스프링베어링(42)과, 상기 탈착클러치(40) 하부에 결합되어지는 클러치(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탈착클러치(40)는 외측면에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의 지지파이프(30) 내벽면에 형성되어지는 장착홈(3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편(40a)이 형성되어지며, 하부면에 상기 클러치(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40b)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클러치(43)는 상부면에 상기 홈부(40b)에 끼워져 상기 클러치(43)가 탈착클러치(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편(43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지지수단(1)은 상,하로 다수의 높이조절홀(10a)이 형성되어지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에 힌지(13)로 결합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방지판(12)과,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지게 되는 연결봉(11)으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봉(11)은 지지대(10)에 결합되어 높이조절홀(10a)에 높이조절핀(14)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의 고정홀(11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지지대(10)와 연결봉(11)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11)이 지지대(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스프링(9)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판(12)은 미끄럼이나 바닥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은 상기 연결봉(11)에 연결핀(7)으로 연결되어지게 되는 상부조절바(20) 및 하부조절바(21)와, 상기 상,하부조절바(20,21)에 연결핀(7)으로 연결되어지는 승하강봉(22)과, 상기 승하강봉(22)에 형성되어지게 되는 조정기어핸들(23)을 포함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상부조절바(20)는 상기 연결봉(11)의 상단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봉(11)에 연결핀(7)으로 번갈아가면서 결합되어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각도조절홀(20a)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조절바(20)는 일단부에 손잡이(24)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손잡이(24)와 연접되는 상부에 해머드릴(100)의 전원선(120)과 연결되어지는 연결코드(25) 및 해머드릴(1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26)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은 상기 충격완화수단(4)과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의 승하강봉(22)에 연결되어지며, 다단의 안테나식 지지파이프(30)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30) 외부에는 해머드릴(100)의 전원선(120)을 걸 수 있도록 전선가이드(34)가 형성되어지며, 각각의 지지파이프(30) 내부에는 각 지지파이프(30)가 서로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스프링(9)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승하강봉(22)에 결합되어지는 최하단의 지지파이프(30)에는 상기 승하강봉(22)에 고정핀(8)으로 고정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높이조절홀(3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30)의 측면부에는 상기 조정기어핸들(23)에 맞물려 조정기어핸들(23)의 회전에 따라 지지파이프(3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조정기어(32)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의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머드릴(100)의 외부에 드릴(110)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분진수집수단(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분진수집수단(6)은 먼지나 분진을 수집하게 되는 자바라형의 수집통(6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집통(60) 내면에 수집통(60)이 수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이완될 수 있도록 하는 팽창스프링(6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집통(60) 하부에 수집통(60) 내로 수집되는 분진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패킹(62) 및 상기 패킹(62)을 고정시키게 되는 죔버클(63)이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패킹(62)은 스펀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본체(50)의 안착부(50a)에 해머드릴(100)을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벨트(51)로 해머드릴(100)을 본체(5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에 해머드릴(100)을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해머드릴(100)을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 및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을 이용하여 해머드릴(100)이 천장 슬라브(200)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머드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의 안테나식 지지파이프(30)를 길게 늘리고 상기 승하강봉(22)에 결합되어지는 지지파이프(30)를 상,하로 이동시켜 필요한 높이조절홀(31)에 고정핀(8)을 끼워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기어핸들(23)을 돌려 조정기어핸들(23)에 기어로 맞물려지는 조정기어(32)를 따라 지지파이프(30)가 상,하로 가이드되어져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되어지는 연결봉(11)을 상,하로 이동시켜 지지대(10)의 필요한 높이조절홀(10a)을 고정홀(11a)과 연통시킨 다음 높이조절핀(14)을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연결봉(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조절바(20)의 손잡이(24)를 잡은 상태에서 상부조절바(20)를 누르거나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상부조절바(20)가 연결핀(7)을 축으로 시소 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조절바(20)가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상부조절바(20)에 연결되어지는 승하강봉(22)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에 따라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에 고정된 해머드릴(100)을 상부로 올릴 수 있으면서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을 지렛대 방식으로 작동시켜 해머드릴(100)을 천장 슬라브(200)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에 힌지(13)로 연결된 미끄럼방지판(12)을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해머드릴(100)을 작동시키게 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가 해머드릴(100)의 진동에도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가 미끄럼방지판(12)에 힌지(13)로 연결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1)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바닥면의 굴곡에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에 고정되어지는 해머드릴(100)의 전원선(120)을 전선가이드(34)에 걸은 다음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코드(25)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설치한 상태에서 스위치(26)를 작동시키게 되면 전원 연결되어지는 해머드릴(100)의 드릴이 회전되면서 천장 슬라브(200)에 구멍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의 해머드릴(100)로 천공 작업시 야간이나 실내가 어둡게 되면 상기 조명부(52)를 발광시켜 상기 해머드릴(100) 작업시 작업자가 드릴(110)의 위치나 작업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해머드릴(100)을 작동하게 되면 상기 해머드릴(100)로부터 높은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과 제 2 높낮이조절수단(3) 사이에 형성되어지는 충격완화수단(4)에 의해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완화시켜 작업자가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전달받지 않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해머드릴(100)의 작동시 해머드릴(100)로부터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의 본체(50)에 냉각홀(5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각홀(50b)에 의해 해머드릴(100)에서 발생된 열이 공기 순환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냉각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해머드릴(100)이 천장 슬라브(200)에 구멍을 천공하게 되면 그에 따라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해머드릴(100) 외면에 고정된 분진수집수단(6)의 수집통(60) 내로 분진이 수집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수집통(60) 내부로 분진이 수집되어지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 구조를 잡고 있는 작업자 쪽으로 분진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해머드릴(100)로 천장 슬라브(200)에 구멍을 천공할 때 천공되는 구멍이 점점 깊어지게 되면 자바라 형태의 수집통(60)이 수축되어지게 되며, 작업 완료 후 상기 해머드릴(100)을 천장 슬라브(200)로부터 빼내게 되면 상기 팽창스프링(61)의 팽창력에 의해 수집통(60)이 이완되면서 완상태로 복귀되어 다음 작업시 분진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수집통(60)의 상단부를 천장 슬라브(20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지지수단 2 : 제 1 높낮이조절수단
3 : 제 2 높낮이조절수단 4 : 충격완화수단
5 : 해머드릴 고정수단 6 : 분진수집수단
7 : 연결핀 8 : 고정핀
9 : 이탈방지스프링 10 : 지지대
10a,31 : 높이조절홀 11 : 연결봉
11a : 고정홀 12 : 미끄럼방지판
13 : 힌지 14 : 높이조절핀
20 : 상부조절바 20a : 각도조절홀
21 : 하부조절바 22 : 승하강봉
23 : 조정기어핸들 24 : 손잡이
25 : 연결코드 26 : 스위치
30 : 지지파이프 32 : 조정기어
33 : 장착홈 34 : 전선가이드
40 : 탈착클러치 40a : 결합돌편
40b : 홈부 41 : 고무링
42 : 스프링베어링 43 : 클러치
43a : 끼움편 50 : 본체
50a : 안착부 50b : 냉각홀
51 : 고정벨트 52 : 조명부
60 : 수집통 61 : 팽창스프링
62 : 패킹 63 : 죔버클
100 : 해머드릴 110 : 드릴
120 : 전원선

Claims (9)

  1. 바닥면에 미끄럼방지판(12)이 힌지(13) 결합되어지는 지지수단(1)과;
    상기 지지수단(1)에 지렛대 방식으로 연결되어 연결핀(7)을 축으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1 높낮이조절수단(2)과;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에 결합되어지고 안테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되는 제 2 높낮이조절수단(3)과;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화수단(4)과;
    상기 충격완화수단(4)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드릴(100)을 고정시키게 되는 해머드릴 고정수단(5);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은,
    상,하로 다수의 높이조절홀(10a)이 형성되어지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부에 힌지(13)로 결합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방지판(12)과,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지게 되는 연결봉(11)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봉(11)은 지지대(10)에 결합되어 높이조절홀(10a)에 높이조절핀(14)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다수의 고정홀(11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대(10)와 연결봉(11)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11)이 지지대(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스프링(9)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은,
    상기 지지수단(1)에 연결핀(7)으로 연결되어지게 되는 상부조절바(20) 및 하부조절바(21)와,
    상기 상,하부조절바(20,21)에 연결핀(7)으로 연결되어지는 승하강봉(22)과,
    상기 승하강봉(22)에 형성되어지게 되는 조정기어핸들(23)을 포함하여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조절바(20)는 상기 지지수단(1)의 상단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지지수단(1)에 연결핀(7)으로 번갈아가면서 결합되어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각도조절홀(20a)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절바(20)는 일단부에 손잡이(24)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손잡이(24)와 연접되는 상부에 해머드릴(100)의 전원선(120)과 연결되어지는 연결코드(25) 및 해머드릴(1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26)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은,
    상기 충격완화수단(4)과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이 승하강봉(22)에 연결되어지며,
    다단의 안테나식 지지파이프(30)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파이프(30) 외부에는 해머드릴(100)의 전원선(120)을 걸 수 있도록 전선가이드(34)가 형성되어지며, 각각의 지지파이프(30) 내부에는 각 지지파이프(30)가 서로 빠지지 않도록 이탈방지스프링(9)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승하강봉(22)에 결합되어지는 최하단의 지지파이프(30)에는 상기 제 1 높낮이조절수단(2)에 고정핀(8)으로 고정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높이조절홀(3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지지파이프(30)의 측면부에는 상기 조정기어핸들(23)에 맞물려 조정기어핸들(23)의 회전에 따라 지지파이프(3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조정기어(32)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수단(4)은,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 2 높낮이조절수단(3)의 내벽면에 형성되어지는 장착홈(3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편(40a)이 형성되어지고, 하부면에 홈부(40b)가 형성되어지는 탈착클러치(40)와;
    상기 탈착클러치(40)의 외면에 결합되어지는 고무링(41)과;
    상기 탈착클러치(40)의 내면에 장착되어 해머드릴(100)의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스프링베어링(42)과;
    상기 탈착클러치(40) 하부에 결합되어지며, 상부면에 상기 홈부(40b)에 끼워져 상기 탈착클러치(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편(43a)이 형성되어지는 클러치(43);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드릴 고정수단(5)은,
    안쪽면으로 해머드릴(100)이 안착되어지도록 안착부(50a)가 형성되어진 본체(5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본체(50) 정면부에 안착부(50a)에 안착되어지는 해머드릴(100)을 고정시키게 되는 복수의 고정벨트(5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본체(50) 양측면에 해머드릴(100)이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공기순환으로 식혀줄 수 있도록 냉각홀(50b)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0)의 후면부에는 해머드릴(100) 작업시 드릴(110)을 밝혀줄 수 있도록 조명부(52)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드릴(100)의 외부에는 드릴(110)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분진수집수단(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분진수집수단(6)은 먼지나 분진을 수집하게 되는 자바라형의 수집통(6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집통(60) 내면에 수집통(60)이 수축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이완될 수 있도록 하는 팽창스프링(6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집통(60) 하부에 수집통(60) 내로 수집되는 분진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패킹(62) 및 상기 패킹(62)을 고정시키게 되는 죔버클(63)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KR1020100017152A 2010-02-25 2010-02-25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KR10116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52A KR101160081B1 (ko) 2010-02-25 2010-02-25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52A KR101160081B1 (ko) 2010-02-25 2010-02-25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348A true KR20110097348A (ko) 2011-08-31
KR101160081B1 KR101160081B1 (ko) 2012-06-28

Family

ID=4493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152A KR101160081B1 (ko) 2010-02-25 2010-02-25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0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9285A (zh) * 2015-02-02 2015-05-06 中铁十七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自制电锤打孔辅助装置
CN104942764A (zh) * 2015-07-10 2015-09-3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冲击钻高位操作架
CN105751166A (zh) * 2016-04-26 2016-07-13 湖南城市学院 一种便捷型高位钉钉子装置
CN108637981A (zh) * 2018-07-25 2018-10-12 泸州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高位伸缩电锤架
CN110181465A (zh) * 2019-07-03 2019-08-30 南京林业大学 一种天花板智能家居安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17A (en) * 1996-12-13 1998-10-13 Van Troba; Steven K. Apparatus for supporting a drill in an elevated position
JP2004276152A (ja) * 2003-03-13 2004-10-07 Autech Japan Inc 動力工具の作業用治具
KR100490469B1 (ko) * 2004-11-26 2005-05-18 합자회사 동화 천장면용 천공기
KR100857281B1 (ko) * 2007-02-16 2008-09-08 박종쾌 천장 앵커볼트공 천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9285A (zh) * 2015-02-02 2015-05-06 中铁十七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自制电锤打孔辅助装置
CN104942764A (zh) * 2015-07-10 2015-09-30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冲击钻高位操作架
CN105751166A (zh) * 2016-04-26 2016-07-13 湖南城市学院 一种便捷型高位钉钉子装置
CN108637981A (zh) * 2018-07-25 2018-10-12 泸州天灵开关有限公司 一种高位伸缩电锤架
CN110181465A (zh) * 2019-07-03 2019-08-30 南京林业大学 一种天花板智能家居安装机
CN110181465B (zh) * 2019-07-03 2024-04-05 南京林业大学 一种天花板智能家居安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081B1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081B1 (ko) 해머드릴의 높낮이조절 서포터 구조
CN205312978U (zh) 一种建筑施工平稳装置
ATE470620T1 (de) Baustellenmaschine
US10464204B2 (en) Tool arm mount for aerial work platform
CN104647314A (zh) 工作器具
CN105538237B (zh) 一种电锤打孔辅助装置
US7059423B1 (en) Jackhammer system
CN106825682B (zh) 高空钻孔自动操作装置
US11382422B1 (en) Overhead storage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CN211163326U (zh) 一种家具制作用打磨装置
KR20100046097A (ko) 석면 천장텍스 철거 기구 와 이를 사용한 석면 천장텍스철거 공법
CN104591029A (zh) 移动升降装置
CN210798838U (zh) 一种地铁施工顶板钻孔装置
CN209439489U (zh) 一种可伸缩高空作业辅助装置
CN109235888B (zh) 一种建筑工地用可自动钻孔打钉的模板安装装置
CN215595004U (zh) 一种吊杆安装装置
CN216506007U (zh) 一种墙体打孔装置
CN209721511U (zh) 一种防护栏可调的高空作业安全防护装置
CN201798811U (zh) 用于假牙的种钉打孔机
CN213116162U (zh) 一种房屋建筑施工基桩钻孔装置
ES2279015T3 (es) Caja de instalacion subterranea.
CN219668361U (zh) 一种爬楼机器人
CN214517748U (zh) 一种天花板打孔器
CN219557121U (zh) 一种幕墙清洗用可调节挂绳插杆
CN210649063U (zh) 一种物流加装激光打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