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819A -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819A
KR20110096819A KR1020100016294A KR20100016294A KR20110096819A KR 20110096819 A KR20110096819 A KR 20110096819A KR 1020100016294 A KR1020100016294 A KR 1020100016294A KR 20100016294 A KR20100016294 A KR 20100016294A KR 20110096819 A KR20110096819 A KR 2011009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ame
tuner
control uni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은
노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819A/ko
Publication of KR2011009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3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03J7/186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uning resonant circuits and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2200/12Radio receiver combined with a GPS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지역에서 다른 지역을 이동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은 이동체에 놓인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1 방송을 선택하는 제1 튜너와,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에서 선택하는 제2 튜너와,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제1 방송에 대한 수신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작아지면, 제1 방송과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제2 방송을 추적하여 선정하고 제1 방송을 제2 방송으로 음 단절없이 자동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System for Tracing and Hearing Identical Broadcast on Multi Frequency Network}
본 발명은 지역 이동시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는 가시청 구역마다 주파수를 바꾸어 방송하는 방식의 방송 네트워크로서,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 Multi Frequency Network)에서 동일한 방송을 지역마다 다른 주파수로 송출하고 청취하는 방송 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면, 서울에서 MBC 표준 FM 방송 주파수 95.9㎒를 청취하고 있던 운전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듣고 있던 방송이 바뀌거나 노이즈만 듣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전 방송을 계속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수동적인 조작에 의해 수신 주파수를 해당 지역에서 제공되는 동일 방송의 다른 주파수로 변경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지역에서 다른 지역을 이동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체에 놓인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1 주파수의 제1 방송을 선택하는 제1 튜너;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2 주파수의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에서 선택하는 제2 튜너; 및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제1 방송에 대한 수신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작아지면, 제1 방송과 동일 방송 네트워크-여기서, 동일 방송 네트워크는 동일한 방송을 가시청 구역마다 주파수를 바꾸어 방송하는 네트워크를 칭함-상의 제2 방송을 추적하고, 수신 채널을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자동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방송국 정보,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현재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제2 방송을 판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방송에 대한 유력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화면표시장치에 유력 후보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제1 방송과 제2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기화한 후 현재 수신 중인 제1 방송을 제2 방송으로 전환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좋다.
제어부는 제1 방송에 대하여 획득한 전계의 세기를 토대로 제1 방송에 대한 수신 강도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은 제어부의 기능 제어에 따라 제1 방송을 출력하고, 제2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증폭부 및 증폭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제어부에 연결되는 위치 추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토대로 제2 방송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은 제어부에 연결되는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방송의 출력 중에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 스캔하고, 수신 감도가 양호한 동일 방송 목록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방송을 수신하면서 현재 지역에서 다른 지역을 이동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자동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청취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특정 방송의 수신 중에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추적하고, 동일 방송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오디오 내용을 비교하여 자동 전환함으로써, 차량 이동 등으로 인해 방송 청취 지역이 변경되어도, 청취자가 사전지식 및 별도의 튜닝 조작 없이 동일 방송을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운전 등과 같은 상황에서 방송 추적을 위해 운전자의 튜닝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이 적용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튜너부의 일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이 적용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방송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지역 예컨대 서울, 청주, 대전, 충주 등에서 동일한 방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로 송출되는 방송 네트워크를 칭한다. 동일 방송 네트워크는 멀티 주파수 네트워크로도 불린다.
예를 들면, 서울에서 운전자가 차량(100)에 탑승하여 MBC 표준 FM 방송을 청취하면서 청주와 대전을 거쳐 다시 충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서울, 청주, 대전 및 충주 지역에서의 MBC 표준 FM 방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송출되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MBC 표준 FM 방송을 계속 청취하기 위해서는, 서울에서는 95.9㎒로, 청주에서는 107.1㎒로, 대전에서는 92.5㎒로, 및 충주에서는 96.1㎒로 각각 수신기의 주파수를 튜닝해야 한다. 수신기는 라디오(radio) 또는 라디오 기능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칭한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은 차량 안정에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정확한 방송 주파수를 모르는 경우, 이동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동일 방송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실제로, 각 지역에 대한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주파수들을 모르는 경우, 청취자가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시 청취하고 있던 방송을 실질적으로 단절 없이 청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각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동일 방송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이하, 추적청취 시스템이라 함)은 차량이 이동할 때 차량 내의 제어부에서 동일 방송 네트워크의 특정 방송(예컨대, MBC 표준 FM)을 자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추적청취 시스템의 제어부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이를 포함하는 구성부를 칭한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기가 장착된 차량이 A 지역에서 B 지역으로 이동할 때, 차량의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제어부에서는 현재 차량에서 수신 중인 방송의 오디오 내용을 비교하여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동일 방송으로 자동 전환시켜 준다. 이러한 작동과정은 시스템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이루어지므로 청취 방송의 음 단락이 없게 수행될 수 있다. 현재의 수신방송 상태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외부에 표시 또는 출력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추적청취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취자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튜너부의 제1 튜너(-여기서, 제1 튜너는 메인 튜너에 대응함-)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이 선택된다(S110).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은 제1 주파수의 제1 방송일 수 있다. 수신되는 제1 방송은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그에 의해 청취자가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S120).
다음, 제어부는 제1 방송의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하다가 방송 상태의 열화를 감지한다(S130). 방송 상태의 열화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제1 방송 즉 본 방송의 전계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135).
다음, 제어부는 튜너부의 제2 튜너(-여기서, 제2 튜너는 서브 튜너에 대응함-)에서 현재 방송 네트워크를 판별한다(S140). 현재 방송 네트워크는 차량 이동에 따라 가시청 구역이 변하는 특정 방송의 여러 주파수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방송 네트워크 판별은 안테나로 들어오는 여러 주파수들에서 전계 감도가 우수한 신호들 중 현재 방송과 일정 부분 이상 유사한 패턴의 오디오 정보를 가진 방송 주파수를 비교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방송 네트워크 판별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통해 현재 지역을 확인하고, 현재 지역에 상응하는 방송 네트워크상에서 현재 방송-여기서, 제1 방송에 대응함-에 상응하는 동일 방송을 추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145a).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방송 네트워크 판별은 동일 방송 네트워크에 등록된 현재 방송의 각 지역 주파수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송 주파수 데이터베이스(DB)에서 현재 방송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 방송을 추출하고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145b).
전술한 현재 방송 네트워크 판별은 GPS 정보와 방송 주파수 DB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제어부는 현재 방송 네트워크 판별에 의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동일 방송 리스트를 작성한다(S150). 그리고, 작성된 동일 방송 리스트 상의 각 방송에 대하여 전계 분석을 수행한다(S160).
다음, 제어부는 전계 분석 결과에 따라 가장 우수한 전계를 가진 특정 방송-여기서, 특정 방송은 제2 방송에 대응함-을 동일 방송으로 선정한다(S170). 그리고, 제어부는 전계 분석 결과에 따라 제2 방송의 유력 후보 리스트를 스피커나 화면표시장치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제1 방송과 제2 방송의 오디오를 비교한다(S180). 그리고, 오디오 비교 결과, 제2 방송의 오디오 내용이 제1 방송의 오디오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현재의 수신 방송을 제1 방송에서 제2 방송으로 전환한다(S190). 이때, 제2 방송의 전계는 제1 방송의 전계보다 세다.
전술한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에서 동일한 방송을 추적청취하는 방법은 다양한 구조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몇 가지 일례를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적청취 시스템(300)은 메인 튜너(main tuner, 310), 서브 튜너(sub tuner, 320), 제어부(330), 및 출력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앰프(AMP, 340)와 스피커(SPK, 3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튜너(310)는 안테나로 들어오는 방송 주파수들 중 특정 주파수를 선별하여 그 속에서 오디오 신호를 끌어내는 모듈 또는 이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부를 칭한다. 메인 튜너(310)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는 제어부(330)로 전달된다.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탑승한 청취자 또는 차량에 탑재된 추척청취 시스템의 제어부는 메인 튜너(310)를 통해 제1 방송을 수신한다.
서브 튜너(320)는 안테나에서 들어오는 여러 주파수들의 방송을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신한다. 서브 튜너(320)는 제1 방송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며 제1 방송과 동일한 방송(즉,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에서 튜닝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튜너(310) 및 서브 튜너(3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직접 변환 수신 구조 또는 낮은 중간주파수 수신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직접 변환(DC: Direct Conversion) 수신 구조는 고주파수 대역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저대역(Baseband)으로 주파수 변환시키기 때문에 이미지 신호가 없는 수신 구조를 칭한다. 낮은 중간주파수(Low-IF) 수신 구조는 RF 신호를 직접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 대역보다 다소 높은 주파수 대역에 채널이 놓이도록 근접 DC(near-DC) 근처로 설정된 중간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메인 튜너(310) 및 서브 튜너(320)는 독립적인 모듈들로 각각 구현되거나 단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메인 튜너(310)에서 나오는 제1 방송이 출력부의 스피커(350)로 출력되도록 작동한다. 제어부(330)는 디지털 신호 처리(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메인 튜너(310), 서브 튜너(320) 또는 이 둘 모두와 단일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칩으로는 DiRaNa(상품명) 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차량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제1 방송의 전계를 분석하여 제1 방송의 수신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작은 지를 판단한다. 기준 강도는 청취가능한 범위에서 제1 방송의 수신 전계의 최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서브 튜너(320)에서 받은 신호들 중 제1 방송과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유효한 방송(제2 방송)을 판별하고 추적한다. 제2 방송의 판별 및 추적은 제1 방송과 제2 방송의 오디오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제1 방송 신호의 수신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낮을 때 또는 낮아질 것이 예상될 때, 제2 방송의 후보군을 선정하고 전계 분석을 통해 가장 유력한 방송을 제2 방송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적청취 시스템(300a)은 메인 튜너(310), 서브 튜너(320), 제어부(330a), 앰프(340), 스피커(350), 데이터베이스(360), 위치 추적 장치(GPS, 370), 및 마이컴(MiCom, 38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적청취 시스템(300a)은 데이터베이스(360), 위치 추적 장치(370) 및 마이컴(380)을 포함한 구성부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추적청취 시스템(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데이터베이스(360)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방송 주파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방송 주파수들은 동일 방송이지만 각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다. 데이터베이스(360)는 제어부(330)에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360) 또는 제어부(330a)에 탑재된 방송DB관리 모듈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360)는 방송 주파수 DB 또는 방송 DB로 언급될 수 있다.
위치 추적 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370)는 이동체로서의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위치 추적 장치(370)에서 계산된 차량의 현재 위치는 마이컴(380)으로 전달된다.
마이컴(380)은 적어도 하나의 대규모집적회로(LSI: Large Scale Intergrated)가 연산 처리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기억장치 및 주변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회로가 부가된 보드에 탑재되는 극소형 컴퓨터를 칭한다. 마이컴(380)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제1 방송과 동일한 방송으로서 유효한 최상의 기지국을 추적한다.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는 ABSF(Alternative Best Station Follow)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30a)에서는 제1 방송과 동일한 제2 방송을 판별하기 위하여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모든 방송을 추적하는 기능부나 이러한 기능부를 포함하는 구성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추적청취 시스템(300a)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방송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거나 위치 추적 장치(370)에서 계산된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방송국의 해당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이동에 따른 가시청 지역의 변경시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현재 방송을 더욱 손쉽게 자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튜너부의 일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적청취 시스템은 듀얼튜너(510), 레귤레이터(Regulator, 560), 및 제어부(5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듀얼튜너(510)는 듀얼 중간 주파수 튜너(Dual IF Tuner)로 구현된다.
듀얼튜너(510)는 안테나에 각각 연결되는 FM 광대역 대역통과필터(Frequency Modulation Wideband BandPass Filter, FM wideband BPF)(522), AM 광대역 대역통과필터(Amplitude Frequency Modulation Wideband BandPass Filter, AM wideband BPF)(524), 와이브로 대역통과필터(WiBro BandPass Filter, WB BPF)(526)를 구비한다.
또한, 듀얼튜너(510)는 제1 튜너부(530) 및 제2 튜너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튜너부(530, 550)는 단일 모듈 형태로 구성되며, 그 각각은 FM wideband BPF(522)에 연결되는 FM 자동이득조절기(FM AGC: FM Automatic Gain Control); AM wideband BPF(524)에 연결되는 AM 자동이득조절기(AM AGC); WB BPF(526)에 연결되는 와이브로 자동이득조절기(WB AGC); FM AGC와 WB ACG에 연결되는 믹서(Mixer)(이하, 제1 믹서); AM AGC에 연결되는 또 다른 믹서(이하, 제2 믹서); 제1 믹서에 연결되는 중간주파수 대역통과필터(IF BPF); 제2 믹서에 연결되는 또 다른 중간주파수 대역통과필터(IF BPF); 두 IF BPFs에 연결되는 중간주파수 출력부(IF OUT); 제1 튜너부(530), 제2 튜너부(550) 및 제어부(570) 간의 I2C 인터페이스를 허용하는 I2C 컨트롤(I2C Control); 제1 믹서 또는 제2 믹서에 연결되며 각 믹서에서의 주파수 변환에 필요한 LO(Local Oscillator)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믹서들은 LO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한다. IF OUT의 출력은 제어부(570)로 전달된다. FM wideband BPF(522)의 출력은 FM 고주파 버퍼를 통해 제1 튜너부(530)의 FM AGC와 제2 튜너부(550)의 FM AGC로 각각 전달된다. 전압제어발진기는 레귤레이터(560)로부터 기준전압을 공급받는다.
또한, 각 튜너부(530, 550)는 제1 믹서 또는 제2 믹서에 연결되는 필터 뱅크(Filter Bank)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대역폭으로 도플러 필터 뱅크를 선정하면, 표적 스펙트럼 에너지를 손실없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70)는 제1 튜너부(530)의 I2C 콘트롤과 제2 튜너부(550)의 I2C 콘트롤과 I2C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제1 튜너부(530) 및 제2 튜너부(550)와 통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70)는 제1 튜너부(530)의 VCO 및 제2 튜너부(550)의 VCO를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570)의 제어에 의해 제1 튜너부(530)는 제1 방송을 수신하고, 제2 튜너부(550)는 백그라운드 상태로 제2 방송을 수신한다. 그 이외의 제어부(57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330 또는 33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은 도 3의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의 제어부에 탑재가능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MF(Main Frequency) 관리 모듈(610), 가상 AF(Assistance Frequency) 관리 모듈(630), 방송 DB(642), GPS 모듈, 및 방송DB 관리 모듈(650)을 포함한다. 여기서, MF는 전술한 제1 방송에 대응하고, 가상 AF는 전술한 제2 방송에 대응한다.
MF 관리 모듈(610)은 메인 튜너 또는 제1 튜너부를 통해 제1 방송의 수신을 관리하고, 제1 방송의 수신 중에 제1 방송의 수신 감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질 때 동일 방송 네트워크의 제2 방송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 제2 방송을 검색(Search)한 후, 제1 방송을 유효한 제2 방송으로 자동 전환(Switch)하도록 기능한다. 제2 방송으로의 전환시, MF 관리 모듈(610)은 가상AF 관리 모듈(630) 또는 방송DB 관리 모듈에서 제공하는 가상AF 목록(626) 즉 유효한 제2 방송 후보의 목록을 토대로 제2 방송을 선정한다.
가상AF 관리 모듈(630)은 서브 튜너 또는 제2 튜너부를 통해 안테나로 들어오는 여러 주파수들을 백그라운드 스캔(Background Scan)하고, 양호 방송 목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가상AF 관리 모듈(630)은 생성된 양호 방송 목록(624)의 각 방송과 MF 관리 모듈(610)에서 받은 제1 방송 간의 오디오 또는 음성을 비교한 후 상관관계에 따라 가상AF 목록을 생성한다.
또한, 가상AF 관리 모듈(630)은 방송DB 관리 모듈(650)에서 받은 인근 방송 목록(622)의 각 방송과 MF 관리 모듈(610)에서 받은 제1 방송 간의 오디오 또는 음성 비교 상관관계에 따라 가상AF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근 방송 목록(622), 양호 방송 목록(624) 및 가상AF 목록(626)에는 업데이트(Update) 상태,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될 수 있다.
방송DB 관리 모듈(650)은 방송DB(642) 및 GPS 모듈(6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받은 정보를 토대로 인근 방송 목록을 생성하거나 현재 위치에 따른 현재 방송을 판별한다. 현재 방송 판별에 대한 정보는 인근 방송 목록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로서 FM 방송 네크워크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일한 방송을 지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송출하는 또 다른 방송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동일 방송을 지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송출하고 청취 또는 시청하는 경우라면, AM 방송 네트워크, 단파 방송 네트워크, 와이브로 방송 네트워크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300a: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310: 메인 튜너
320: 서브 튜너
330, 330a, 570: 제어부
510: 듀얼튜너
530: 제1 튜너부
550: 제2 튜너부

Claims (10)

  1. 이동체에 놓인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1 방송을 선택하는 제1 튜너;
    상기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들 중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에서 선택하는 제2 튜너; 및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방송에 대한 수신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방송과 동일 방송 네트워크-여기서, 상기 동일 방송 네트워크는 동일한 방송을 가시청 구역마다 주파수를 바꾸어 방송하는 네트워크를 칭함-상의 상기 제2 방송을 추적하여 선정하고 상기 제1 방송을 상기 제2 방송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방송국 정보,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현재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상기 제2 방송을 판별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송에 대한 유력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화면표시장치에 상기 유력 후보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작동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과 상기 제2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기화한 후 현재 수신 중인 상기 제1 방송을 상기 제2 방송으로 전환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에 대하여 획득한 전계의 세기를 토대로 상기 제1 방송에 대한 수신 강도를 판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기능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방송을 출력하고 이어서 상기 제2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위치 추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추적 장치로부터 받은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방송을 선택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동일 방송 네트워크상의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송의 출력 중에 상기 제2 방송을 백그라운드 스캔하고, 수신 감도가 양호한 동일 방송 목록을 생성하는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KR1020100016294A 2010-02-23 2010-02-23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KR20110096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94A KR20110096819A (ko) 2010-02-23 2010-02-23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94A KR20110096819A (ko) 2010-02-23 2010-02-23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19A true KR20110096819A (ko) 2011-08-31

Family

ID=4493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294A KR20110096819A (ko) 2010-02-23 2010-02-23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33A (ko) * 2012-05-21 2013-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ab 방송 수신기 및 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733A (ko) * 2012-05-21 2013-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ab 방송 수신기 및 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EP2632065B1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broadcasting station
US8054923B2 (en) Radio receiver
JP4159964B2 (ja) オーディオ放送受信装置及び自動選局方法
KR20110096819A (ko) 동일 방송 네트워크 추적청취 시스템
JP2008042743A (ja) 無線受信機およびアンテナ切替制御方法
KR20100132947A (ko) 단일-튜너 시스템을 위하여 로컬 환경에 fm 튜너 감도를 동적으로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12328A (ko) 라디오 방송국명 표시 장치 및 방법
JP4173171B2 (ja) ラジオ受信機及び搬送波検出方法
JP3660974B2 (ja) Rds受信機及びその受信方法
KR20010083581A (ko) 라디오의 동일 방송 자동 선국장치
KR101360466B1 (ko) 라디오 주파수 자동 검출방법
JP2000138566A (ja) 放送受信装置
JPH05102799A (ja) Rdsラジオ受信方法
JP3254377B2 (ja) 受信装置
JPS5885623A (ja) Am受信機の同調方法
KR101940116B1 (ko) 이동체 라디오의 채널 동기화 수신 방법
KR102219431B1 (ko)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전환 방법
JP2009141468A (ja) 放送受信機、およびチャネルシーク方法
KR200180979Y1 (ko) 오디오주파수 자동검색장치
EP3490173A1 (en) Satellite receiver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satellite signals
EP4364325A1 (en) Opportunistic muting of all-digital stations during noisy acquisition
JPH04103024U (ja) Rds受信機
JPH11266144A (ja) チューナー自動選局装置
KR200190031Y1 (ko) 라디오의 동일 방송 자동 선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