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760A -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760A
KR20110096760A KR1020100016196A KR20100016196A KR20110096760A KR 20110096760 A KR20110096760 A KR 20110096760A KR 1020100016196 A KR1020100016196 A KR 1020100016196A KR 20100016196 A KR20100016196 A KR 20100016196A KR 20110096760 A KR20110096760 A KR 2011009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ondenser
radiator
transfer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옥렬
송용진
정순안
이상현
윤신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760A/ko
Publication of KR2011009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6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압축 송풍기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분배밸브를 이용하여 두 열교환기에 적정량으로 분배한 후, 각 열교환기 전면에 설치된 다공 냉각 노즐로 열교환기 전면에 골고루 냉각풍을 분사시키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은 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00); 상기 라디에이터(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200);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 송풍기(300); 상기 압축 송풍기(3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사이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410) 및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420);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 상기 제1이송부(4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500); 상기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501);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밸브(600); 및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송풍량 및 분배밸브(600)의 압축공기 분배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개별 냉각과 각 열교환기에 필요한 양 만큼의 풍량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소모 동력 및 소음 저감이 가능하고, 콘덴서 냉각 시 발생하던 라디에이터의 과냉을 방지하여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엔진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기 전면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쿨링 모듈의 두께가 축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 of Condenser and Radiator}
본 발명은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압축 송풍기로부터 생성된 냉각풍을 제어 가능한 분배밸브를 이용하여 두 열교환기에 적정량으로 분배한 후, 각 열교환기 전면에 설치된 다공 냉각 노즐로 열교환기 전면에 골고루 냉각풍을 분사시키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는 차량 내부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Condenser)(20)와 상기 콘덴서(20)의 후방에 위치하여 엔진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Radiator)(10),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10)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상기 콘덴서(20)와 라디에이터(1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냉각팬(30)이 설치되어 쿨링모듈(1)을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콘덴서(20)는 냉방 사이클 과정 중에 압축기(미도시)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 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고, 팽창수단(미도시)으로 송출한다.
또, 상기 라디에이터(10)는 열교환기의 범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라디에이터(10)는 엔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항상 고온ㆍ고압의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매우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며, 상기 열이 적절히 냉각되지 않으면 과열로 인하여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는 각종 부품이 손상되므로, 상기 실린더 주위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재킷을 구비하고, 상기 재킷 내부의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엔진이 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즉, 라디에이터(10)는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가 워터펌프에 의해 순환되면서, 외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하여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며 최적의 운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쿨링모듈(1)의 냉각팬(30)은 라디에이터(10)와 콘덴서(20)를 동시에 냉각시키기 위해서 많은 풍량이 필요하게 되며, 둘 중 한 열교환기만 냉각이 필요한 경우에도 냉각팬(30)에서 발생한 냉각풍이 두 열교환기를 동시에 통과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쿨링모듈(1)이 장착된 차량은 콘덴서만 냉각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냉각팬(30)에서 생성되는 냉각풍에 의해 라디에이터(10)가 지나치게 냉각되어 엔진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이에 따른 엔진효율감소로 연비가 낮아진다.
또한, 엔진과열로 인한 급격한 냉각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라디에이터(10)를 냉각하거나, 냉매의 활발한 응축작용으로 콘덴서(20)를 냉각해야 할 경우, 냉각팬(30)의 회전수가 높아져 이에 따른 소음과 소모 동력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제어유닛의 신호에 따라 압축 송풍기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분배밸브를 이용하여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에 적정량으로 분배한 후, 각 열교환기 전면에 설치된 압축공기 분사수단을 통해 압축공기를 열교환기 전면에 골고루 분사하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개별 냉각이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소모 동력 및 소음 저감이 가능하고, 콘덴서 냉각 시 발생하던 라디에이터의 과냉을 방지하여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은 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00); 상기 라디에이터(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200);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 송풍기(300); 상기 압축 송풍기(3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사이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410) 및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420);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 상기 제1이송부(4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500); 상기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501);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밸브(600); 및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송풍량 및 분배밸브(600)의 압축공기 분배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는 각각 압축공기를 상기 라디에이터(100) 및 콘덴서(200) 전 영역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이송 안내하는 다수 개의 횡방향 안내부(512) 및 일측이 상기 압축공기 이송라인(400)과 연결되며 상기 횡방향 안내부(512)로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횡방향 안내부(512)를 서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안내부(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공기 안내부(510);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 또는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510) 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노즐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은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의 개별 냉각이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소모 동력 및 소음 저감이 가능하고, 콘덴서 냉각 시 발생하던 라디에이터의 과냉을 방지하여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은 부피가 작은 다공냉각노즐로 구성된 분사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냉각팬에 비해 쿨링모듈의 두께를 감소시켜 엔진룸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쿨링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쿨링모듈과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분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쿨링모듈과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의 두께를 비교해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은 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00); 상기 라디에이터(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200);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 송풍기(300); 상기 압축 송풍기(3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사이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410) 및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420);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 상기 제1이송부(4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500); 상기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501);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밸브(600); 및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송풍량 및 분배밸브(600)의 압축공기 분배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는 열교환기의 범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는 엔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라디에이터(100)는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냉각수가 워터펌프에 의해 순환되면서, 외부에 열을 방출하도록 하여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며 최적의 운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콘덴서(200)는 라디에이터(100)의 전방부에 비치되어 냉방 사이클 과정 중에 압축기(미도시)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 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며, 이 과정에서 액화열이 발생된다.
상기 압축 송풍기(300)는 냉각용의 공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를 상기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100)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분배밸브(600)는 밸브의 개폐율을 조절하여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로 적정량의 압축공기를 분배한다.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송풍량과 분배밸브(600)의 압축공기 분배율은 전자제어유닛(7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700)은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엔진으로부터 냉각수 온도와 압축기 압력, 차량 속도, 외기 온도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에서 필요한 송풍량을 결정하고, 총 요구 송풍량을 기준으로 압축 송풍기(300)에서 공급해야 하는 송풍량과 분배밸브(600)의 분배량을 결정해서 제어한다.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압축공기 토출구에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이 연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이송라인(400)은 분배밸브(600)와 연결되고, 상기 분배밸브(60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1이송부(410)와 제2이송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 송풍기(30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을 통해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까지 이송된다.
상기 제1분사부(500)는 상기 제1이송부(4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 전 영역에 압축공기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분사하고, 상기 제2분사부(501)는 상기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덴서(200)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 전 영역에 압축공기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분사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는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이송 안내하는 압축공기 안내부(510)와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510)는 가운데가 중공된 관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이송 안내하는 다수 개의 횡방향 안내부(512) 및 일측이 상기 압축공기 이송라인(400)과 연결되며 상기 횡방향 안내부(512)로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횡방향 안내부(512)를 서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안내부(5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510) 일측에는 복수개의 노즐부(520)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 또는 라디에이터(100) 전방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돌출형성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부(520)는 횡방향 안내부(512)의 일측 면에 형성된 압축공기 분사구(521); 분사구 외주면에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노즐 고정부(524); 및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하측 단부의 외주면 일정 높이구간에 제1체결부(523)가 형성된 노즐(522);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노즐 고정부 내주면에는 제1체결부(523)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525)가 형성되며 제1체결부(523)와 제2체결부(525) 결합에 의해 상기 노즐(522)이 노즐고정부(524)에 결합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체결부(523)와 제2체결부(525)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 결합구조를 따랐으나, 볼트 너트 결합방법으로 한정하지 아니하며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얼마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의 종방향 안내부(511)는 중앙에 구비되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를 통해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종방향 안내부(511)를 지나 양쪽 방향으로 분기되는 횡방향 안내부(512)를 따라 흐르며, 횡방향 안내부(512) 일측에 구비되는 노즐부(520)를 통해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100) 전 영역에 골고루 분사된다.
상기 종방향 안내부(511)와 횡방향 안내부(512)는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 압축공기 안내부(5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주행풍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 구동의 일예를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차량의 냉방시스템은 냉방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면, 압축기 압력이 높아지며, 상기 콘덴서(200)는 압축기(미도시)에서 송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외기와 열교환 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의 압력 정보는 상기 전자제어유닛(700)으로 전달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700)은 압축 송풍기(300)가 상기 콘덴서(200)를 냉각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정양의 압축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 송풍기(300)를 제어하고, 상기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100)에 적정량의 압축공기를 분배할 수 있도록 분배밸브(600)의 개폐율을 제어한다. 상기 분배밸브(600)는 상기 콘덴서(200)로만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전체 개폐율의 0%만을 개방하여, 상기 압축 송풍기(300)에서 생성된 총 송풍량 중 0%는 상기 제1이송부(410)와 제1분사부(500)를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100)에 분사되고, 나머지 100%는 상기 제2이송부(420)와 제2분사부(501)를 통해 상기 콘덴서(200)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100)에도 같은 양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려면, 상기 분배밸브(600)의 개폐율을 50%로 설정하여, 전체 압축공기의 50%는 라디에이터(100)로, 나머지 50%는 콘덴서(200)로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분배밸브(6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으로 한정하지 아니하며,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은 콘덴서(200) 및 라디에이터(100)의 개별 냉각이 가능함에 따라 전체적인 소모 동력 및 소음 저감이 가능하고, 콘덴서(200) 냉각 시 발생하던 라디에이터(100)의 과냉을 방지하여 엔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은 부피가 작은 다공냉각노즐로 구성된 분사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냉각팬에 비해 쿨링모듈의 두께를 감소시켜 엔진룸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
100 : 라디에이터
200 : 콘덴서
300 : 압축송풍기
400 : 압축공기 이송라인
410 : 제1이송부 420 : 제2이송부
500 : 제1분사부 501 : 제2분사부
510 : 압축공기 안내부
511 : 종방향 안내부 512 : 횡방향 안내부
520 : 노즐부 521 : 압축공기 분사구
522 : 노즐 523 : 제1체결부
524 : 노즐 고정부 525 : 제2체결부
600 : 분배밸브
700 : 전자제어유닛

Claims (3)

  1. 차량 전방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00); 상기 라디에이터(10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200);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 송풍기(300); 상기 압축 송풍기(3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이송하되, 상기 라디에이터(100)와 콘덴서(200) 사이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410) 및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제2이송부(420);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이송라인(400); 상기 제1이송부(4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500); 상기 제2이송부(4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501); 상기 제1이송부(410) 및 제2이송부(42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는 분배밸브(600); 및 상기 압축 송풍기(300)의 송풍량 및 분배밸브(600)의 압축공기 분배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는 각각 압축공기를 상기 라디에이터(100) 및 콘덴서(200) 전 영역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500) 및 제2분사부(50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압축공기를 이송 안내하는 다수 개의 횡방향 안내부(512) 및 일측이 상기 압축공기 이송라인(400)과 연결되며 상기 횡방향 안내부(512)를 서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방향 안내부(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공기 안내부(510); 상기 라디에이터(100) 전방측 또는 상기 콘덴서(200) 전방측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압축공기 안내부(510) 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노즐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시스템.
KR1020100016196A 2010-02-23 2010-02-23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KR20110096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96A KR20110096760A (ko) 2010-02-23 2010-02-23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96A KR20110096760A (ko) 2010-02-23 2010-02-23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60A true KR20110096760A (ko) 2011-08-31

Family

ID=4493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96A KR20110096760A (ko) 2010-02-23 2010-02-23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7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1237B2 (en) 2014-05-27 2016-11-0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low in vehicle
US9617907B2 (en) 2014-05-27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into vehicle engine compartment
US9920718B2 (en) 2014-05-28 2018-03-20 Hyundai Motor Company Air flow control system of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1237B2 (en) 2014-05-27 2016-11-0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low in vehicle
US9617907B2 (en) 2014-05-27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into vehicle engine compartment
US9920718B2 (en) 2014-05-28 2018-03-20 Hyundai Motor Company Air flow control system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7782B2 (ja) 燃料電池冷却装置
US9797351B2 (en) Ducted combustion systems utilizing duct cooling
CN1834554A (zh) 喷射器循环装置
CN111745307B (zh) 一种基于激光切割设备头的物理式气冷散热装置
CN114264088B (zh) 一种喷射和降膜组合的吸收塔及其吸收制冷系统和运行方法
KR20110096760A (ko) 콘덴서 및 라디에이터 냉각 시스템
US7886725B1 (en) Fuel economizer fuel vapor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776346A (zh) 一种高效氨水吸收式制冷装置
US8020537B2 (en) Fuel economizer fuel vapor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114803A (ja) Lpi車両用リターン燃料冷却システム
CN204060890U (zh) 发动机散热系统
CN215809660U (zh) 一种风冷式冷水机
KR20030066314A (ko) 피스톤식 내연 기관
JP2011127532A (ja)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JP2017061905A (ja)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冷却方法
RU2372228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истемы охлажде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2142284B1 (ko) 차량용 냉각장치
CN221036346U (zh) 冷水机组
CN111141043B (zh) 喷射引射补气的螺杆压缩复叠组合系统
KR102258481B1 (ko) 엔진 마운팅 구조
KR20200050504A (ko) 열 구동 냉동 시스템
CN213574356U (zh) 一种高效冷却式柴油发动机箱体
CN209413986U (zh) 一种牵引机动力保障系统
KR930007228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제트직기의 냉각장치
KR101559538B1 (ko) 칼리나 사이클용 흡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