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656A -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 Google Patents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56A
KR20110094656A KR1020100014206A KR20100014206A KR20110094656A KR 20110094656 A KR20110094656 A KR 20110094656A KR 1020100014206 A KR1020100014206 A KR 1020100014206A KR 20100014206 A KR20100014206 A KR 20100014206A KR 20110094656 A KR20110094656 A KR 2011009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structure
concrete
panel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문
손성곤
손성익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656A/ko
Publication of KR2011009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절토면에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에 상기 옹벽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들 및 양 측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들의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넬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옹벽 구조물의 전면벽 일부가 판넬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및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판넬이 목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옹벽 구조물이 친환경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Retaining Wall and unit therefor}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미감을 향상시키는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구조물이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로서, 절토면 및 경사면의 높이 또는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절토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 붕괴하여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토지역의 경사면을 보강하여 안정화 시킬 수 있도록 보강구조물로서 옹벽구조물을 설치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옹벽의 전면벽은 상당량의 콘크리트 및 철근 등이 내설되므로,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 때문에 각 기업체에서 제품 생산의 단가를 낮추기 위한 많은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옹벽구조물은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기초(3)가 절토사면(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3)상에 옹벽(1)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토사면(2)의 토사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옹벽(1)은 도로(4)나, 상기 절토사면(2)이 끝나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특히, 도로, 인도 및 주거단지에 시공되는 옹벽의 경우 도로가 끝나는 지점이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까지 옹벽을 전면벽으로 배치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도로, 인도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로 하여금, 단순한 미관을 일으켜 미감을 떨어트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미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절토사면에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에 상기 옹벽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들 및 양 측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들의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넬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들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가 두께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며,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들에 상기 판넬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슬라이딩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판넬들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단이 높아지는 계단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단 구조의 수평부분에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토사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양측으로 상기 판넬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사면 또는 절토면에 설치되며, 복수 개가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옹벽 구조물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기초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면들에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들로 목재로 형성된 판넬들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가 두께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판넬들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단이 높아지는 옹벽 구조물용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에서는, 옹벽 구조물의 전면벽 일부가 판넬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판넬이 목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옹벽 구조물이 친환경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옹벽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로서, 2개의 콘크리트 기둥들 사이에서 판넬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옹벽구조물(100)은 콘크리트 기초(150), 콘크리트 기둥(110)들, 판넬(120)들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는 절토사면(140)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의 상부에는 상기 옹벽구조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리트 기둥(110)들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의 최전방 상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는 "L"자 횡단면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은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110)의 높이가 두께방향으로 갈수록 증가 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은 두께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각각 삽입홈(130)이 복수 개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홈(130)에는 상기 판넬(120)들이 일대일 대응하도록 슬라이딩 삽입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판넬(120)들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의 두께방향을 따라 단이 높아지는 계단 구조로 설치되어, 토사(143)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 고정된다. 상기 판넬(120)들은 목재 및 합성수지재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당량의 콘크리트를 적은양의 목재 및 합성수지재등으로 대체함으로, 시공자의 원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판넬(120)들이 상기 계단구조로 시공됨에 따라 상기 판넬(120)들 배면의 수평부분에는 토사(143)가 노출되게 된다. 노출된 상기 토사(143)에는 꽃, 나무등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여, 도로, 인도 및 주거단지의 미관을 자연과 최대한 일체화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판넬(120)들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단이 증가되는 계단 구조를 가진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 제일 하단의 삽입홈(130a)에는 삽입되는 하부 판넬(120a)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하부 판넬(120a)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 상면에 놓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판넬(120a)을 제외한 나머지 상부의 판넬(120b)들은 양측면의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130b)부분을 제외한 하단에 돌출부(133) 형성되어 상기 토사(143)에 묻혀 상기 토사(143)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옹벽 구조물(100)이 계단 구조를 가지므로, 생태계의 이동통로를 확보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옹벽 구조물(100)이 일반적인 형태(도 1 참조)에서 벗어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자연과 일체화된 형태를 제공한다.
상기 최 하단의 삽입홈(130a)에 고정되는 상기 하부 판넬(120a)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 상면에 놓여 고정되며, 상기 최 하단에 삽입되는 상기 하부 판넬(120a)을 제외한 상부의 각 판넬(120b)들은 상기 하단의 돌출부(133)가 상기 토사(143)에 묻힘으로서, 상기 토사(143)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벽을 목재 및 합성수지재 등으로 대체함으로서, 별도의 배수시설이 없이 자체적으로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와 상기 콘크리트 기둥(110)들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옹벽 구조물(110)은 옹벽 구조물용 유닛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110)과, 이에 일체로 결합된 상기 콘크리트 기초(150)의 분할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장에서 상대적으로 중량 및 크기가 작은 상기 유닛을 낱개로 제작한 후, 상기 유닛들을 현장에서 서로 인접시켜서(또는 밀착시켜서) 배치하거나, 설정 간격으로 이격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판넬(120)들을 상기 삽입홈(130)들에 슬라이딩 삽입하여, 인접하는 유닛들을 서로 고정한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200)이 전술한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00)과 상이한 점은, 상기 옹벽 구조물(200)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 기초(250) 상에 2개의 콘크리트 기둥(210)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내측면에만 삽입홈(2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30)들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230)들에 목재로 형성된 판넬(220)들이 계단 구조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210)의 측면은 두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토사가 측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21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00)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둥(11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옹벽 구조물에서는 옹벽을 부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옹벽의 교체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옹벽 구조물에서는 판넬들을 삽입홈들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옹벽 구조물의 구조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 특히, 계절이나 이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기 판넬의 모양(또는 무늬)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일부 판넬에 손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판넬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해체 작업 시,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기초 및 콘트리트 기둥들만 부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해체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법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옹벽구조물 110: 콘크리트 기둥
120: 판넬 130: 삽입홈
140: 절토사면 150: 콘크리트 기초

Claims (7)

  1. 경사면 또는 절토면에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에 상기 옹벽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들; 및
    양측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들의 상기 삽입홈들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넬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둥들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는 일체로 형성되는 옹벽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가 두께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홈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홈들에 상기 판넬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슬라이딩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복수 개의 판넬들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단이 높아지는 계단 구조를 가지는 옹벽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의 수평부분에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토사가 노출되는 옹벽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양측으로 상기 판넬이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옹벽구조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목재로 형성되는 옹벽구조물.
  7. 경사면 또는 절토면에 설치되며, 복수 개가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옹벽 구조물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기초; 및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면들에 각각 두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삽입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들로 목재로 형성된 판넬들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각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가 두께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판넬들은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단이 높아지는 옹벽 구조물용 유닛.
KR1020100014206A 2010-02-17 2010-02-17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KR20110094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6A KR20110094656A (ko) 2010-02-17 2010-02-17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6A KR20110094656A (ko) 2010-02-17 2010-02-17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56A true KR20110094656A (ko) 2011-08-24

Family

ID=4493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06A KR20110094656A (ko) 2010-02-17 2010-02-17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6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172A (zh) * 2018-09-21 2019-02-19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适用于边坡绿化的板柱式组合构件及其施工方法
CN110805026A (zh) * 2019-11-20 2020-02-18 福建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内桩设置竖向预应力锚索的门架式抗滑桩
CN112459108A (zh) * 2020-12-04 2021-03-09 安徽丰之源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可防水土流失的水利挡土墙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172A (zh) * 2018-09-21 2019-02-19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适用于边坡绿化的板柱式组合构件及其施工方法
CN110805026A (zh) * 2019-11-20 2020-02-18 福建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内桩设置竖向预应力锚索的门架式抗滑桩
CN112459108A (zh) * 2020-12-04 2021-03-09 安徽丰之源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可防水土流失的水利挡土墙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707B1 (ko) 잔디블록 조립체
CN103069077A (zh) 绿化停车场、栽植单元保护件以及绿化停车场构成件单元
KR20110094656A (ko) 옹벽구조물 및 옹벽구조물용 유닛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JP3182345U (ja) 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101427336B1 (ko) 우수유입장치
KR20110003841U (ko) 식생 옹벽블록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0776810B1 (ko)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KR100520888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조경울타리 설치구조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KR100685705B1 (ko) 건축물 비탈면 옹벽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200369397Y1 (ko) 도로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JP3830458B2 (ja) 遮音壁
KR20120029554A (ko) 주차경계선용 블록
KR20110117495A (ko) 배수구가 구비된 도로 경계석
KR101187117B1 (ko) 블럭설치용 구조체
KR100462902B1 (ko) 조립식 콘크리이트 블럭을 이용한 중앙분리대
KR200474932Y1 (ko) 조립식 화단을 이용한 광고판
KR100897420B1 (ko) 옹벽설치용 기초 블록
KR101819836B1 (ko) 옹벽축조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