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369A - 한자 학습 놀이교구 - Google Patents

한자 학습 놀이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369A
KR20110093369A KR1020100013384A KR20100013384A KR20110093369A KR 20110093369 A KR20110093369 A KR 20110093369A KR 1020100013384 A KR1020100013384 A KR 1020100013384A KR 20100013384 A KR20100013384 A KR 20100013384A KR 20110093369 A KR20110093369 A KR 2011009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character
block
chinese characters
chinese
kan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영
Original Assignee
이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영 filed Critical 이채영
Priority to KR102010001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369A/ko
Publication of KR2011009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재질로 하여서 되는 정육각면체로 되는 다수개의 블럭체(100)와, 상기 블럭체(100)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부(220)를 갖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결합 되는 것으로 내면에, 상기 블럭체(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격자 구획되면서 표면에 숫자가 표시되는 숫자부(310)를 갖는 커버(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육면체로 되는 형태를 갖는 교구에 각각 한자, 그 음과 훈, 부수, 획수 등이 표기되도록 하여 교구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 내면에 표기되어 있는 숫자판을 이용하여 각종 단어 연결놀이나 퀴즈놀이 등을 통해 한자 학습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하여, 한자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자 학습 놀이교구{CHINESE CHARACTER STUDYING GAME-TEACHING TOOLS}
본 발명은 놀이를 통하여 한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자 학습 놀이교구에 대한 것으로, 원목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육각면체에 한자와, 부수, 음,훈, 획수 등을 음각 표시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한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한자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한자 학습 놀이교구에 관한 것이다.
한자는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우리나라는 물론, 주변 여러 민족들의 문화형성에 영향을 끼친 표의문자(表意文字)로서, 일본, 베트남 등에서는 오늘날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문자이다.
'한글'이라는 빛나는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문자문화 속에서도 '한자'가 미치는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한글'과 '한자'가 가지는 문자 자체의 상호 보완적인 특성때문이다.
즉,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인 한글과 같은 문자는 음소(音素)를 나누어 표시하는 표음(表音)문자인데 반해, 한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글자마다 특정한 말뜻을 포함하고 있는 표의(表意)문자인 것이다.
상기한 한글과 같은 표음문자의 경우, 불가피한 동음이의어의 사용으로 인해 문자 자체만으로는 그 뜻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동음이의어를 명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한자 학습이 선행되여야 하고, 또한 중국의 경제적 급부상으로 인하여 한자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어 근래 들어서는 성인은 물론 어린이들에게도 한자 학습에 대한 의욕이 고취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은 한자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의 한자교육은 그 열기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 우선 한자의 원리를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한자의 원리등을 분석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는 책들이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와 있지만, 공부에 가장 기본이 되는 교과 과정과는 별개로 학습을 하여야 하고, 여러 과외 공부중에 새롭게 하나 더 공부를 하여야 하는 애물단지 과목으로 인식이 되어져서 흥미를 잃어버리는 공부가 된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한자교육은 한자 하나하나의 음과 뜻을 익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 종래의 한자 학습용 교재도 한자를 나열하고 각 한자에 대한 음과 뜻을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쉽게 익히지도 못하고 그 한자의 정확한 쓰임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각 교육과정에서 한글전용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고는 하나, 그 의미에서 한자를 채택하되 음만 한글로 표기하는 용어들이 대부분이어서, 전문용어나 학술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현실에 따라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여 두뇌 개발이나 학습 능력을 고취 시킬 있도록 하기 위한 교습 혹은 학습도구나 교구 등이 많이 출현 되어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자의 짜임새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그 뜻을 나타내는 상형자(부수 자의 70%∼80%)와 두 개 이상의 부수 자가 결합하여(뜻+뜻) 또 다른 뜻을 만들어내는 회의자와, 뜻을 가진 글자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결합하여(뜻+음) 이루어진 형성자와 그 외 전주자, 가차자, 지사자가 있다.
이 모든 한자는 부수 자와 다른 두 세 개의 부수 자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뜻글자이다. 때문에 일차적으로 부수자를 혼동하지 않고 얼마나 잘 쓰고 익히느냐에 따라서 한자 학습의 성패가 달려 있다하겠다. 일차에서 확실하게 익힌 부수자는, 그 다음 단계에서 2∼3개의 부수 자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진 한자의 뜻을 익히고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되어, 새로운 한자를 쉽게 익힐 수 있다.
그러나 한자를 익히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컨데, 한문의 “차도(車道)”와 “차도(差度)”의 경우, 전자의 훈음과 독음은 “수레 차”와 “길 도”이고, 후자의 훈음과 독음은 “어긋날 차”와“법도 도”로서 그 뜻도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한문을 구성하는 한자를 학습하고자 할 경우, 개개의 한자의 훈음과 독음을 함께 파악하며 외워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한자학습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한문학습관련 방법 및 학습교재가 선출원되어 있으나, 주로 카드 또는 책자 형태의 것들로 어린이가 쉽게 한자 학습에 빠져들지 못하거나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발생하여, 처음부터 한자 학습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하게 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특히 어린이가 한자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놀이를 즐기며 한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를 재질로 하여서 되는 정육각면체로 되는 다수개의 블럭체(100)와,
상기 블럭체(100)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부(220)를 갖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결합 되는 것으로 내면에, 상기 블럭체(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격자 구획되면서 표면에 숫자가 표시되는 숫자부(310)를 갖는 커버(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각각 초음파 음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표시한 스티커(400)를 탈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에 결합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돌부(510)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의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표시하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부착판(5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삼각형체, 정삼각형체, 육면체, 원기둥체의 목재 조각으로 되는 가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육면체로 되는 형태를 갖는 교구에 각각 한자, 그 음과 훈, 부수, 획수 등이 표기되도록 하여 교구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 내면에 표기되어 있는 숫자판을 이용하여 각종 단어 연결놀이나 퀴즈놀이 등을 통해 한자 학습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하여, 한자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육면체를 갖는 형태의 교구면에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등의 표기를 음각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스티커 등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인지된 한자는 익히지 않은 한자로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한자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학습교구 셋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본체와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블럭체를 도시한 것으로 그 표면에 초음파 음각 처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초음파 음각 처리한 상태의 실제 촬영 사진
도 5는 도 3과는 달리 본 발명에 채택되는 블럭체의 표면으로 스티커 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스티커 부착을 위한 스티커 모음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과는 달리 본 발명에 채택되는 블럭체에 합성수지재의 부착판을 탈부착하여서 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본체 수용부측으로 글자를 배열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 놀이표
도 10 내지 도 11은 본체의 수용부에 배열되는 한자에서 커버의 숫자부측으로 한자를 찾아 놓을 수 있도록 예시한 놀이예시표
도 12는 글자별 단어표의 일예시도
도 13은 글자별 부수 색인표의 일예도
도 14는 숫자부에 한자를 배열하며 각 한자 낱말의 끝말을 이어 한자를 익히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육면체로 되는 다수개의 블럭체(100)와, 상기 블럭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300)와, 상기 블럭체(100) 표면에 부착가능한 스티커(400)와, 상기 블럭체(100) 표면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판(5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체(100)는 원목재로 구성하여 어린이가 만지며 놀더라도 유해한 성분이 어린이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럭체(100) 표면 즉 육면체의 각 표면에 한자(漢字)와,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漢字)의 예시문 등을 표기하게 되는데 그 각 표면상으로 표기되는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예시문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음각 처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블럭체(100) 표면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에 의한 음각 처리를 통하지 않은 가공되지 않은 표면에, 스티커(400)를 탈부착 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컨데 다수개로 인쇄 처리되어지되 그 이면에는 점착제가 도포처리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전면에는 각종 한자와 각 한자의 음, 훈, 부수, 획수 등이 인쇄 처리되고, 각 한자를 이용한 예시문 등을 인쇄한 다수의 스티커(400)를 구성하여 어린이 등 사용자가 해당 한자와 그 해당 한자에 적합한 음, 훈, 부수, 획수, 예시문 등을 찾아 하나의 블럭체(100) 육면에 각각 부착하며 완성된 블럭체(100)를 구성한 후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티커(400)를 이용하여, 공란으로 되어 있는 블럭체(100)에 해당 한자와 이에 해당되는 각 정보 즉 해당 한자의 음, 훈, 부수, 획수, 예시문 등을 하나의 블럭체(100) 육면에 각각 부착한 후, 놀이를 통해 한자 습득이 완성 되면 해당 스티커(400)를 다시 떼어 내어 새로운 한자와 그 한자에 해당되는 각 정보에 해당되는 스티커(400)를 붙여 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이와 달리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럭체(100)의 육면 표면에 결합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0)에 끼워지기 위한 부착판(5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판(50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사출 성형하도록 하는데 부착판(500)의 이면에는 상기 결합홈(110)에 끼워지기 위한 삽입돌부(510)가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블럭체(100)와 탈부착되도록 하고, 부착판(500)의 전면에는 다양한 한자가 인쇄처리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다양한 각 한자에 해당되는 정보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음, 훈, 부수, 획수, 예시문(예시어) 등이 각각 다른 부착판(500)에 인쇄되어, 하나의 블럭체(100) 육면에 한자와 이에 대한 정보가 각각 인쇄된 부착판(500)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판(500)에 의해 다양한 한자의 습득이 놀이를 통해 가능할 수 있고, 습득이 완성된 한자와 이에 대한 정보 등을 갖는 각 부착판(500)은 블럭체(100)로부터 떼어내어 새로운 한자 및 이에 대한 정보 등을 인쇄한 새로운 부착판(500)을 상기 블럭체(500)에 부착하여 놀이를 통해 한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한자 놀이 이외에 직삼각형체, 정삼각형체, 육면체, 원기둥체의 목재 조각으로 되는 가베(600)를 이용하여, 한자 학습 이외에도 다양한 가베 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한자 학습을 위한 놀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되는 블럭체(100)와 상기 블럭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 상단을 커버하는 커버(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럭체(100) 육면에 부착되기 위한 스티커(400) 또는 부착판(500) 및 가베(60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한자 학습 놀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서와 함께, 한자를 익히기 위한 한자문제지와 단어 조합지 및 한자 끝말을 이어가도록 유도하는 끝말 맞춤용 놀이용지 등을 구성하게 된다.
블럭체(100)의 육면에는 예컨데 초음파에 의해 미리 음각 된 형태로 한자와 그 한자의 음, 훈과 부수, 획수 및 예시어 등이 각각 각인되도록 하거나, 스티커(40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블럭체(100) 육면에 각각 결합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0)에 끼워지기 위한 삽입돌부(510)를 갖으며 전면에는 한자와 해당 한자의 음, 훈 및 부수, 획수와 예시어 등이 인쇄된 부착판(500)을 이용하여 한자 놀이를 위한 블럭체(100)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럭체(100)를 이용하여, 한자를 나열한 문제지(도 8 내지 도 11 참조)에 표기된 한자와 일치되는 한자를 갖는 블럭체(100)를 해당 칸에 놓여 질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커버(300)의 숫자부(310)에 문제지의 한자를 배열토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300) 숫자부(310)를 이용하여 최초 놓여지는 블럭체(100)의 한자와 연결되는 단어 등을 이용하여 끝말 잇기 놀이에 의해 해당 한자가 표기되어 있는 블럭체(100)를 배열하며, 게임의 우열을 가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한자 배열 게임에 의해 습득되는 한자가 있을 경우, 이미 습득된 한자를 제거하기 위해 다른 한자가 표기된 스티커(400) 및 그 해당한자의 음, 훈, 부수, 획수, 예시어 등이 인쇄된 스티커(400)를 블럭체(100) 육면에 각각 부착하여, 습득하고자 하는 새로운 한자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커(400) 형태뿐만 아니라 각종 한자와 해당 한자의 각 정보 등이 인쇄되어 있는 부착판(500)을 각각 블럭체(100) 육면에 결합하여 습득하고자 하는 한자를 지속적으로 교체, 교환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육면체로만 구성되는 블럭체(100)에 의한 놀이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형상을 갖는 가베(600)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형상을 갖는 가베 놀이를 즐길 수 있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블럭체 110; 결합홈
200; 본체 210; 구획격판
220; 수용부 300; 커버
310; 숫자부 400; 스티커
500; 부착판 510; 삽입돌부
600; 가베

Claims (5)

  1. 목재를 재질로 하여서 되는 정육각면체로 되는 다수개의 블럭체(100)와,
    상기 블럭체(100)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획격판(210)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부(220)를 갖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와 결합 되는 것으로 내면에, 상기 블럭체(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격자 구획되면서 표면에 숫자가 표시되는 숫자부(310)를 갖는 커버(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각각 초음파 음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표시한 스티커(400)를 탈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100)를 이루는 정육면체의 각 표면에 결합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돌부(510)가 일면에 형성되고 타면의 표면으로 한자, 음, 훈, 부수, 획수, 해당 한자를 이용한 예시어를 표시하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부착판(5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직삼각형체, 정삼각형체, 육면체, 원기둥체의 목재 조각으로 되는 가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학습 놀이교구.
KR1020100013384A 2010-02-12 2010-02-12 한자 학습 놀이교구 KR20110093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84A KR20110093369A (ko) 2010-02-12 2010-02-12 한자 학습 놀이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84A KR20110093369A (ko) 2010-02-12 2010-02-12 한자 학습 놀이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69A true KR20110093369A (ko) 2011-08-18

Family

ID=4493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84A KR20110093369A (ko) 2010-02-12 2010-02-12 한자 학습 놀이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3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842B1 (ko) 2020-01-28 2020-12-24 주식회사 이음테크 기판 부상형 이송장치
KR102189840B1 (ko) 2020-01-28 2020-12-24 주식회사 이음테크 개별 구동식 기판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842B1 (ko) 2020-01-28 2020-12-24 주식회사 이음테크 기판 부상형 이송장치
KR102189840B1 (ko) 2020-01-28 2020-12-24 주식회사 이음테크 개별 구동식 기판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921A (en) Educational teaching and self-correcting apparatus adaptable to a variety of subject matters
US20100285437A1 (en) Didactic tools for learning mathematics
Willis et al. Multiply with MI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to master multiplication
KR20140130583A (ko) 알파벳 학습 과정을 통한 블록구조 보드게임
KR20110004339A (ko) 한글교습도구
KR20110093369A (ko) 한자 학습 놀이교구
CN202720798U (zh) 幼儿学习教具
Chen et al. 3D printing assisted in art education: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space learning
Kustiawan The development of diorama learning media transportation Themes to develop language skill children’s group B
US8079592B1 (en) Sudoku strategizer solution aide and strategy board game
US9342995B2 (en) Double-sided, front-to-back-aligned, tactile graphic learning aid
CN210639812U (zh) 一种多功能的语文教学用具
KR20130101226A (ko) 단어 철자 맞추기 방식의 교육용 미로블록 놀이판 구조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KR20210112611A (ko) 한글 낱말 학습을 위한 윷놀이 보드게임
KR200330572Y1 (ko) 한자 학습 교재
WO2017047175A1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JP6089255B1 (ja) 漢字学習用具
CN200959179Y (zh) 一种组合卡式娱乐教具
Madray et al. The Curriculum Material Center’s Vital Link to Play and Learning: What’s the Connection?
US20110027763A1 (en) Reading education tool
CN203724772U (zh) 配对游戏识字可换卡自动纠错玩具
Sani For a history of childhood and of his education in contemporary Italy.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f research (Bilingual Edition: English/Italian)
Dali et al. Creative learning in painting guidance for children Sanggar Seni Omah Ndeso Sleman
KR200173128Y1 (ko) 유아용 한자 교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