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851A -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 Google Patents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851A
KR20110092851A KR1020100012514A KR20100012514A KR20110092851A KR 20110092851 A KR20110092851 A KR 20110092851A KR 1020100012514 A KR1020100012514 A KR 1020100012514A KR 20100012514 A KR20100012514 A KR 20100012514A KR 20110092851 A KR20110092851 A KR 2011009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bbin
rope
base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최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동 filed Critical 최경동
Priority to KR102010001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851A/ko
Publication of KR2011009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묘사가 감긴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종묘사가이드를 상기 회전몸체의 반경축과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심플하면서도 작업효율을 놓일 수 있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해초류의 포자가 부착된 종묘사를 양식용 로프에 감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외주면에 상기 종묘사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가 통과되기 위한 로프통과공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보빈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종묘사가 지지되며 통과되도록 가이드하는 종묘사통과고리가 구비된 종묘사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가이드는, 상기 양식용 로프에 상기 종묘사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상기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그 외형이 형성하는 가이드축이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반경축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APPARATUS FOR WINDING SEEDLING LINE OF SEAWEEDS}
본 발명은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묘사가 감긴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종묘사가이드를 상기 회전몸체의 반경축과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심플하면서도 작업효율을 놓일 수 있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미역이나 다시마 등과 같은 해초류의 포자가 부착되어 발아된 종묘사를 양식용 로프에 사람이 직접 감거나 회권기를 사용하여 감아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0-0002075호에는 양식용 로프가 관통되게 지나는 관체를 파지하여 양식용 로프 주위를 공전시키면 종묘사가 감긴 회전륜이 상기 관체와 일체로 상기 양식용 로프 주위를 공전됨과 동시에 종묘사가 풀리면서 자전되면서 종묘사가 상기 로프에 감기는 '미역 종묘사 회권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2-0001519호에는 회전기어를 손으로 회전시켜 로울러가 유착되고 기어가 형성된 회동관을 회전시키면 로울러가 양식용 로프 주위를 공전됨과 동시에 종묘사가 풀리면서 자전되면서 종묘사가 상기 로프에 감기는 '미역 종묘사 회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0-0002075호에 개시된 '미역 종묘사 회권기'는 작업자가 관체를 파지하여 회전륜과 함께 양식용 로프 주위를 공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작업능률이 나쁜 단점을 갖는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2-0001519호에 개시된 '미역 종묘사 회권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종묘사가 감긴 로울러가 양식용 로프의 주위를 공전되기 때문에 로울러의 편심 공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또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3813호에는 '해초류의 종묘사 회권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3813호에 개시된 '해초류의 종묘사 회권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해초류의 종묘사 회권기'는 베이스(10')와,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력발생수단(20')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지나기 위한 유도구(32')가 형성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 상기 종묘사(1)가 지지되면서 지나기 위한 가이드(33')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권부(30')와, 상기 회전력발생수단(20')의 회전을 상기 회권부(30')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수단(40')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지나기 위한 관통구멍(52')이 형성되고 상기 종묘사(1)가 감기기 위한 외주면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회권부(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보빈의 편심 공전으로 인한 진동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종묘사(1)를 양식용 로프(2)에 감기 위해서 구동모터 등의 회전력발생수단(20')을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무게 및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양식용 선박(미도시)이 멈추어서 상기 양식용 로프(2)가 더 이상 양식장 내 바닷물 속으로 투입되지 않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력발생수단(20')을 강제로 멈추지 않는 이상 상기 양식용 로프(2)에 상기 종묘사(1)가 한 곳에 집중적으로 감겨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하나의 양식용 로프에 한 줄의 종묘사만을 감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어 있어서 한줄감기만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종묘사를 하나의 양식용 로프에 동시에 감는 예를 들면 두 줄의 종묘사를 하나의 로프에 동시에 감는 쌍줄감기 등은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고, 복수개의 양식용 로프를 작업하기 위해서는 복수대의 종묘사 회권기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베이스가 바닥에 밀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작업방향을 전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을 양식용 로프 주위로 공전시키지 않고 종묘사를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을 수 있어 보빈의 편심 공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종묘사가 감긴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종묘사가이드를 상기 회전몸체의 반경축과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심플하면서도 작업효율을 놓일 수 있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보빈을 베이스의 상측에 상호 직렬 및 병렬로 배열시킴으로써 종묘사에 해초류의 포자가 빈약하게 발아되었을 경우 요구되는 복수개의 종묘사를 하나의 양식용 로프에 동시에 감는 다줄감기가 가능하고, 작업인원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복수개의 양식용 로프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으며, 베이스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작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해초류의 포자가 부착된 종묘사를 양식용 로프에 감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외주면에 상기 종묘사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가 통과되기 위한 로프통과공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보빈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종묘사가 지지되며 통과되도록 가이드하는 종묘사통과고리가 구비된 종묘사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가이드는, 상기 양식용 로프에 상기 종묘사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상기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그 외형이 형성하는 가이드축이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반경축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상기 보빈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빈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상호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상기 보빈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빈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보빈의 후방에서 상기 로프통과공으로 통과되는 상기 양식용 로프가 놓일 수 있는 로프안착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보빈의 편심 공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별도의 구동모터 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심플하면서도 작업효율을 놓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복수개의 종묘사를 하나의 양식용 로프에 동시에 감는 다줄감기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작업인원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복수개의 양식용 로프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베이스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작업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주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용상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해초류의 포자가 부착되어 발아된 종묘사(1)를 양식장에서의 바닷물로 투입되는 양식용 로프(2)에 감는 장치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베이스(10)와, 보빈(20)과, 회전몸체(30)와, 종묘사가이드(40)와, 회전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보빈(20) 등 나머지 구성이 설치되어 지지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에는 로프안착대(11)와, 보빈결합구(12)와, 로프가이드(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프안착대(11)는 상기 보빈(20)의 후방에서 상기 보빈(20)에 형성된 로프통과공(21)으로 통과되는 상기 양식용 로프(2)가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로프안착대(11)는 후술할 회전지지대(50)와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서 그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즉, 상기 베이스(10)가 상기 회전지지대(50)에 의해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작업방향의 전환을 위해 상기 베이스(1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로프안착대(11)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로프안착대(11)에 놓인 상기 양식용 로프(2)도 함께 회전됨으로써 작업방향이 전환되더라도 상기 양식용 로프(2)는 항상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원활하게 상기 보빈(20)으로 공급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빈결합구(12)는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상기 보빈(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상기 보빈(12)의 개수에 대등되는 개수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의 배열로 총 6개가 상호 병렬 및 직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보빈결합구(12)에 상기 보빈(2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보빈(20)을 고정할 수 있는 보빈고정핸들(1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프가이드(13)는 상기 보빈(20)의 전방에서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지지되며 통과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로프가이드(13)는 상기 보빈(20)을 통과하여 상기 종묘사(1)가 감긴 상태에서 양식장의 바닷물로 투입되는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빈(20)은 중공원통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종묘사(1)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보빈결합구(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2)가 통과되기 위한 로프통과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2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몸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빈(20)은 상기 보빈결합구(12)에서 탈거되어 별도의 기구를 통해 상기 종묘사(1)가 그 외주면에 감기고, 외주면에 상기 종묘사(1)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보빈결합구(12)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고정핸들(12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회권부(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 등의 회전력발생수단(20') 및 회전력전달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회권부(30')의 회전에 따라 보빈(50')에 감긴 종묘사(1)가 풀리도록 상기 보빈(50') 자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즉 상기 보빈(50') 자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헛바퀴를 돌며 자전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빈(20)은 상기 보빈결합구(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2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몸체(3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빈(20)에 감긴 종묘사(1)가 풀림과 동시에 풀려지는 상기 종묘사(1)가 상기 양식용 로프(2)에 감기게 되는 메카니즘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20)에는 그 외주면에 감긴 상기 종묘사(1)가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플랜지(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빈(20)은 총 6개로 구비되고, 상기 6개의 보빈(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3×2의 배열을 갖는 상기 보빈결합구(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개의 종묘사(1)를 하나의 양식용 로프(2)에 동시에 감는 다줄감기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작업인원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복수개의 양식용 로프(2)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양식용 로프(2)에 2개의 종묘사(2)를 동시에 감는 쌍줄감기가 가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로 3개의 양식용 로프(2)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2대를 상호 직렬로 배열하게 되면 하나의 양식용 로프(2)에 4개의 종묘사(2)를 동시에 감는 4줄감기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회전몸체(30)는 상기 보빈(2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보빈(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빈(20)의 외주면과 접하는 곳에 베어링(31)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상기 보빈(20) 상에서 마찰력을 극소화하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몸체(30)가 구동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몸체(30)에 고정되는 후술할 종묘사가이드(40)에 작용하는 상기 종묘사(1)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원활한 회전이 요구되기 때문에 마찰력을 극소화하며 회전될 수 있는 상기 베어링(31)을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상기 종묘사가이드(40)는 상기 회전몸체(3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일단부(40a)는 상기 회전몸체(30)에 고정되되 타단부(40b)에는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중심(C)으로부터 반경방향(R)으로 상기 보빈(20)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종묘사(1)가 지지되며 통과되도록 하는 종묘사통과고리(3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종묘사가이드(40)는 상기 회전몸체(30)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가 상기 보빈(20)에 감겨있는 종묘사(1)의 감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보빈(20)을 중심으로 공전되게 되면 상기 보빈(20)에 감긴 종묘사(1)는 풀림과 동시에 상기 보빈(20)에서 풀려지는 종묘사(1)는 상기 양식용 로프(2)에 감겨지는 원리인 것이다.
문제는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가 어떠한 메카니즘으로 상기 보빈(20)을 중심으로 공전하는냐인데 그에 대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종묘사가이드(40)는 상기 양식용 로프(2)에 상기 종묘사(1)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2)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상기 종묘사(1)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20)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20)에서 상기 종묘사(1)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1)가 상기 양식용 로프(2)에 감길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3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종묘사가이드(40)의 외형이 형성하는 가이드축(G)이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중심(C)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반경축(R)과 소정의 경사각(α)을 이루도록 기울어져 있다.
즉, 상기 가이드축(G)과 상기 반경축(R)이 소정의 경사각(α)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종묘사(1)가 함께 당겨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축(G) 상에 위치되는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에 상기 종묘사(1)의 장력에 따른 상기 회전몸체(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모멘트가 발생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양식용 로프(2)을 당기는 외력은 초기에는 작업자의 인력이 될 수 있지만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일단 양식장에의 바닷물 속으로 입수되는 경우에는 바닷물의 표면장력 등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2)는 바닷물이 잡게 되고 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를 실은 선박이 움직이게 되면 선박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2)는 상대적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선박의 움직임이 멈춰 양식용 로프(2)가 더이상 바닷물에 의해 당겨지지 않고 멈춘 상태라고 하더라도 선박의 움직임과는 무관하게 회권부(30')는 회전력발생수단(20') 및 회전력전달수단(40')에 의해 회전되게 되고 그에 따라 종묘사(1)는 양식용 로프(2)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감겨버리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선박의 움직임에 따라 종묘사(1)를 양식용 로프(2)에 감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묘사(1)의 일단이 상기 양식용 로프(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종묘사(1) 또한 상기 양식용 로프(2)와 함께 당겨지게 되고, 당겨지는 상기 종묘사(1)는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에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에 발생된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3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는 상기 보빈(20)을 공전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빈(20)을 공전하는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에 의해 상기 보빈(20)에 감겨있던 상기 종묘사(1)는 풀리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양식용 로프(2)에는 상기 종묘사통과고리(31)가 공전하는 방향으로 나선형 상으로 상기 종묘사(1)가 감기게 되는 원리인 것이다.
상기 회전지지대(50)는 상기 베이스(10)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10)를 지지하며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51)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안착대(11)와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서 그 작용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10)가 상기 회전지지대(50)에 의해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작업방향의 전환을 위해 상기 베이스(1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로프안착대(11)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로프안착대(11)에 놓인 상기 양식용 로프(2)도 함께 회전됨으로써 작업방향이 전환되더라도 상기 양식용 로프(2)는 항상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양식용 로프(2)가 원활하게 상기 보빈(20)으로 공급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의 사용상태 측면도를 도시하였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상판을 2단으로 적층함으로써 선박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다수의 양식용 로프(2)에 상기 종묘사(1)를 감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종묘사
2 양식용 로프
10 베이스
11 로프안착대
12 보빈결합구
13 로프가이드
20 보빈
21 로프통과공
30 회전몸체
31 베어링
40 종묘사가이드
41 종묘사통과고리
50 회전지지대
51 회전축

Claims (4)

  1. 해초류의 포자가 부착된 종묘사를 양식용 로프에 감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외주면에 상기 종묘사가 감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상기 양식용 로프가 통과되기 위한 로프통과공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의 보빈과,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상기 보빈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고정되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보빈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종묘사가 지지되며 통과되도록 가이드하는 종묘사통과고리가 구비된 종묘사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종묘사가이드는, 상기 양식용 로프에 상기 종묘사의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양식용 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종묘사통과고리에 지지되며 통과되는 상기 종묘사의 장력에 따른 회전모멘트에 의해 상기 종묘사통과고리가 상기 보빈을 공전하며 상기 보빈에서 상기 종묘사가 풀리도록 함과 동시에 풀려진 상기 종묘사가 상기 양식용 로프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그 외형이 형성하는 가이드축이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반경축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빈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상호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빈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보빈의 후방에서 상기 로프통과공으로 통과되는 상기 양식용 로프가 놓일 수 있는 로프안착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KR1020100012514A 2010-02-10 2010-02-10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KR2011009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14A KR20110092851A (ko) 2010-02-10 2010-02-10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14A KR20110092851A (ko) 2010-02-10 2010-02-10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51A true KR20110092851A (ko) 2011-08-18

Family

ID=4492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14A KR20110092851A (ko) 2010-02-10 2010-02-10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8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156B1 (ko) * 2012-06-05 2013-02-25 김진옥 해초류 종묘사의 배출이 용이한 회권기
KR101296867B1 (ko) * 2011-11-15 2013-08-14 조송남 톳 포자 줄감기장치
KR101525755B1 (ko) * 2015-01-08 2015-06-09 조호현 해초류 종묘사 회권장치
NL2019708A (en) * 2016-10-12 2018-04-16 Ihc Holland Ie Bv Seeding Device for Seaweed
CN110326565A (zh) * 2019-08-14 2019-10-15 浙江海洋大学 一种织网式贻贝自动包苗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67B1 (ko) * 2011-11-15 2013-08-14 조송남 톳 포자 줄감기장치
KR101237156B1 (ko) * 2012-06-05 2013-02-25 김진옥 해초류 종묘사의 배출이 용이한 회권기
KR101525755B1 (ko) * 2015-01-08 2015-06-09 조호현 해초류 종묘사 회권장치
NL2019708A (en) * 2016-10-12 2018-04-16 Ihc Holland Ie Bv Seeding Device for Seaweed
WO2018070871A1 (en) * 2016-10-12 2018-04-19 Ihc Holland Ie B.V. Seeding device for seaweed
CN109890200A (zh) * 2016-10-12 2019-06-14 Ihc荷兰Ie有限公司 海藻播种装置
JP2019534702A (ja) * 2016-10-12 2019-12-05 アイエイチシー・ホランド・アイイー・ベー・フェー 海藻種付装置
CN110326565A (zh) * 2019-08-14 2019-10-15 浙江海洋大学 一种织网式贻贝自动包苗机
CN110326565B (zh) * 2019-08-14 2024-05-07 浙江海洋大学 一种织网式贻贝自动包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2851A (ko) 해초류 종묘사 회권기
KR100962071B1 (ko) 해초류 종묘 양식로프 결속장치
CN106829579B (zh) 一种用于pvc人造革生产加工的收卷装置
CN102524201B (zh) 起网机
KR100917108B1 (ko) 복합 연사장치
US20090158781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rotatable blade for cutting a fabric tube
KR101525755B1 (ko) 해초류 종묘사 회권장치
KR100746752B1 (ko) 주낙 연승장치
KR20190010081A (ko) 해초류 종묘사 회권장치
KR20050053813A (ko) 해초류의 종묘사 회권기
US477784A (en) Machine for making wire cords and cables
CN203834118U (zh) 一种针织横机用送纱装置
JP2784143B2 (ja) 丸編機用の防塵装置
CN210796908U (zh) 一种纺织印染用染色装置
JP3155653U (ja) イカ釣り装置
CN107581113A (zh) 贻贝的附苗器的生产设备
CN207754450U (zh) 一种牡蛎清洗装置
JP2007082535A5 (ko)
CN201609960U (zh) 旋转缠绕机
CN210505099U (zh) 用于养殖水线清洗装置上的活动架
CN110301383A (zh) 一种贻贝包苗机
CN201305662Y (zh) 一种自动缫丝机的索添接绪装置及接绪机构
CN210816527U (zh) 一种无纺布成型托网的除丝装置
US1765117A (en) Braiding machine
US633957A (en) Cordage-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