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538A -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538A
KR20110092538A KR1020100012014A KR20100012014A KR20110092538A KR 20110092538 A KR20110092538 A KR 20110092538A KR 1020100012014 A KR1020100012014 A KR 1020100012014A KR 20100012014 A KR20100012014 A KR 20100012014A KR 20110092538 A KR20110092538 A KR 2011009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user
data
training
psychological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6316B1 (en
Inventor
윤혜선
김용승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316B1/en
Publication of KR2011009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Abstract

PURPOSE: A self management method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a result of a psychological training by enabling a user to perform a psychological testing and the psychological training of a mental psychological counselor through a user terminal. CONSTITUTION: A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201) transmits a psychological testing question data to a user terminal(102).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psychological testing answer data for cre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class determination unit(202) determines a class of the user compri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기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Self-management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자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하여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management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allowing a user to perform self-management by performing a psychological test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through a user terminal.

종래에는 심리 상담사가 사용자와 직접 대면하여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경우, 심리 상담사는 매번 많은 사용자들과 직접 대면하여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밖에 없어 관리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심리 상담사는 사용자들의 심리 훈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직접 대면할 수 밖에 없어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ast, a psychological counselor face-to-face with a user to perform psychological tests and psychological training. In this case, the psychological counselor had to face-to-face with many users each time to perform psychological tests and psychological training, which resulted in poor management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psychological counselor had to face-to-face in order to grasp the degree of psychological training of the users,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was reduced in terms of time, space and cost.

한편,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받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심리 상담사를 매번 대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단순히 페이퍼 형태로 제공되는 심리 검사를 형식적으로 답변함으로써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사용자들이 선수인 경우, 심리 상담사를 대면하기 위해 별도로 일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시합에 참여하기 전에 필요한 심리 훈련을 제때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psychological test and psychological training users also ha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face the psychological counselor every time, and simply by formally answering the psychological test provided in the form of paper, the accuracy of the psychological test and psychological training was inferior. there was. In particular, if the users are players, it is difficult to schedule separately to face the psychological counselor,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receive the required psychological training in tim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match.

따라서, 심리 상담사 및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심리 검사를 수행하고,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more efficient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is requi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sychological counselor and user.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심리 상담사가 심리 검사를 수행하고, 심리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psychological counselor to perform a psychological test and provide a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through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관리 시스템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사용자 등급 결정부 및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management system transmits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a user terminal, and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grad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는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사용자 행위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심리 훈련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receives a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self-management system and collects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and a psychological test from the user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or receiving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user's behavior for collecting the response dat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self-management system, and provides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for feeding back a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processor and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담사 시스템은 상담사가 제공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급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selor system transmits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provided by a counselor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communicator, a user grade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user's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and stor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n a user-specific database,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tored in the user-specific database.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nd transmit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사용자 행위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심리 훈련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counselor system and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or genera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A user behavior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user's behavior,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counselor system,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for feeding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s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counselor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자기 관리 수행 방법에 있어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self-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the user, determining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t may include a ste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은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rough a self-management system includes: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self-management system,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a user, and the user Detecting the user's behavior fo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and perform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Receiving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a user; And feeding back a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담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은 상담사가 제공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counselor system through a user terminal may include transmitt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provided by a counselor to a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the user, determining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to the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담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은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rough a counseling system includes: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counseling system,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a user, and hearing from the user Detecting the user's behavior for generating test answer data;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receiv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user, and feeding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unselor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모바일용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심리 상담사의 심리 검사와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어, 심리 훈련의 결과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 user may perform a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of a psychological counselor through a mobile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rai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태의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어 심리 훈련의 결과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perform various types of psychological tests and psychological training such as images, voices, and texts through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rai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심리 상담사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에 대한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바로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에 적용할 수 있어 심리 훈련의 결과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ychological counselor can easily check the progress of the user's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can directly apply the user's feedback to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raining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부의 전문적인 사용자만이 심리 상담사와 직접 대면하여 엘리트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하던 것을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s may receive professional counseling through a user terminal that only a part of professional users perform an elite psychological test and psychological training in direct contact with a psychological counsel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심리 상담사가 제공하는 심리 훈련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로 재편집함으로써 심리 훈련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a psychological counselor may be re-edited in a style desired by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to improve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상담사 시스템, 자기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답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심리 훈련 포인트에 따른 사용자의 등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심리 훈련 과정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담사 시스템, 자기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자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상담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담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자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unselor system, a self-manage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that perform a self-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collected by a user terminal from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answers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user's rating according to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etween a counselor system, a self-manage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unselor system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etween a counselor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자기 관리 시스템(100), 상담사 시스템(101) 및 사용자 단말기(102)가 도시되어 있다. 상담사 시스템(101) 및 사용자 단말기(102)의 개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담사 시스템(101)은 심리 상담사가 심리 데이터 및 심리 훈련 데이터를 자기 관리 시스템(10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02)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담사 시스템(101)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며,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심리 검사 데이터 및 심리 훈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심리 검사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을 위해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기 위한 심리 검사지를 의미하며, 심리 훈련 데이터는 심리 검사지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심리 훈련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 a self-management system 100, a counselor system 101, and a user terminal 102 are shown. The number of counselor system 101 and user terminal 102 may be one or more than one. The counselor system 101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 psychological counselor can provide psychological data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via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The form of the counselor system 101 is not limited, and may provid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Psychological test data refers to a psychological test paper for grasping the user's psychology for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fers to various data for conducting psychological training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response to the psychological test paper. .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상담사 시스템(101)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2)를 중개하여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통한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may mediate at least one counselor system 101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2 to perform a self management method through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사용자 단말기(102)는 상담사 시스템(101)에서 제공하는 심리 검사지 및 심리 훈련 프로그램을 자기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2)를 통해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나,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이동의 제약이 없는 모바일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2)는 심리 검사 및 심리 훈련을 위해 자기 관리 시스템(102)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2 may receive a psychological test sheet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the counselor system 101 through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The user may perform psychological testing and psychological training via the user terminal 102. Although the form of the user terminal 102 is not limited, a mobile form having no limitation of movement in time or space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2 may include a func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2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이하에서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기(102)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user terminal 10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상담사 시스템, 자기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unselor system, a self-manage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that perform a self-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 사용자 등급 결정부(202) 및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elf-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201, a user rating determiner 202,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203.

먼저, 자기 관리 시스템(100)을 중심으로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self management method centering on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는 상담사 시스템(101)으로부터 제공받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는 상담사 시스템(101)으로부터 상담사의 노하우가 반영된 특성 불안을 검사하기 위한 SCAT, 상태 불안을 검사하기 위한 CSAI-2, 내적 동기를 검사하기 위한 IMI, 특성 자신감을 검사하기 위한 TSCI, 심리적 극복 기술을 검사하기 위한 ASCI-28 또는, 심리 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PPI 등의 다양한 심리 검사지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최적화된 형태의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2)가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는 상담사 시스템(101)을 통해 전달받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02)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201 may transmi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provided from the counselor system 101 to the user terminal 102. In one example,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201 is a SCAT for examining characteristic anxiety reflecting the counselor's know-how from the counseling system 101, CSAI-2 for examining state anxiety, IMI for testing internal motivation, characteristic confidence Various psychological test strips, such as TSCI for testing a test, ASCI-28 for testing a psychological coping technique, or PPI for measuring a psychological skill, are converted into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102. Transmit to 102.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2 is a mobile terminal,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201 converts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counseling system 101 into an interface optimized for a mobile environment, and thereby the user terminal 102. ) Can be sent. Alternatively, when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201 transmits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the user terminal 102 may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into an optimized form in a mobile environment.

그런 다음,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201)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해 답변할 수 있다. 이 때,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는 일반적인 설문지 형식이 아닌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201 may then receiv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02.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201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psychological test respons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 use time for the user terminal, a frequency of use and a place of use, a user schedule, a user voice, and a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Can be received from 102. The user may answer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102. In this case,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may be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that is intuitively displayed to the user rather than a general questionnaire form.

사용자 등급 결정부(202)는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등급 결정부(202)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grade determiner 202 may determine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rating determiner 202 may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a user's rating.

일례로, 사용자 등급 결정부(202)는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경기력/비경기력, 자기 통제 및 관계 통제로 구성된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력/비경기력, 자기 통제 및 관계 통제는 자기 관리 모델의 4개의 축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user rating determiner 202 may determine the rating of the user by apply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the self-management model consisting of athletic performance / non-competitive,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For example, play / non-match, self 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four axes of the self management model.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203)는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203)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훈련을 위한 진술 항목을 포함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203 may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transmit the generat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or 203 may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a statement item for psychological training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그러면,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203)는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심리 훈련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결과를 피드백받고, 피드백 결과를 심리 훈련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The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203 may receive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02 and apply the feedback result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2)의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수행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102)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204), 사용자 행위 센서부(205),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206) 및 심리 훈련 피드백부(20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2)의 형태는 데스크탑, 휴대폰, PDA, PMP 등 제한이 없으나, 모바일 형태의 단말기가 가장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user terminal 102.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02 may include a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204, a user behavior sensor unit 205,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206,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20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of the user terminal 102 is not limited, such as desktop, mobile phone, PDA, PMP, the mobile terminal is most preferred.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204)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204)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자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or 204 may receiv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and collec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processor 204 may receive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이 때,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는 상담사의 노하우가 적용된 심리 검사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 검사지는 상담사 시스템(101)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2)에 설치된 심리 훈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2)는 심리 검사지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2)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2)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답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naire data may be a psychological test paper to which the counselor's know-how is applied, and such a psychological test paper may be provided from the counselor system 101. Fo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 psychological train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2, the user terminal 102 may display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including a psychological test sheet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2 may display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the user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Then, the user may answer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2.

사용자 행위 센서부(205)는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 심리 검사 정보의 일례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행위 센서부(205)를 통해 수집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자리 관리 시스템(100)은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behavior sensor 205 may detect a user's behavior fo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An example of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Psychological test response data collected through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205 may be transferred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Then, the seat management system 100 may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grade of the user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have.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206)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자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고,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206)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심리 훈련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생성되는 진술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206 may receiv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and provid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or 206 may generate a signal word CUE WORD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In this cas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may include a statement item generat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심리 훈련 피드백부(207)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심리 훈련 결과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피드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2)는 모바일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심리 훈련 결과가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피드백되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이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207 may feed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s may be fed back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terminal 102 is most preferably in a mobile form,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are most often fed back to the self-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이하에서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기(102)가 동작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nner in which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and the user terminal 102 oper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collected by a user terminal from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례로, 사용자 행위 센서부(205)는 가속도 센서부(301), 터치 센서부(302), GPS 센서부(303), 음성 인식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205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unit 301, a touch sensor unit 302, a GPS sensor unit 303,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304.

가속도 센서부(301)는 사용자 움직임(305)을 센싱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부(301)는 심리 훈련을 실행하는 사용자 움직임(305)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를 데이터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는 속도와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부(301)는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 움직임(305),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횟수(307), 직관적인 인터네피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해 어떠한 답변이 선택되는 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311)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1 may sense the user movement 305. That is,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1 may data the acceler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user movement 305 for perform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Specifically, acceleration is a concept including velocity and direction. Therefore,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1 senses the acceleratio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any response to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displayed through the user movement 305,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terminal 307, and the intuitive internet interface is answered. The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311 indicating whether it is selected may be data.

터치 센서부(302)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부(30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어느 위치를 터치하였는 지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302)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시간(306), 사용 횟수(307), 사용자가 입력한 스케쥴(308), 직관적인 인터네피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해 어떠한 답변이 선택되는 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311)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unit 302 may sense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touch sensor unit 302 may sense which position the user touched on the display. The touch sensor unit 302 senses a user's touch, so that the user's touch time 306, the number of times of use 307, the schedule 308 input by the user, and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isplayed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The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311 indicating which answer is selected for the data may be dataized.

GPS 센서부(303)는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한 GPS 상의 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GPS 센서부(303)는 GPS 상의 좌표를 센싱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장소(309)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이 때, GPS 센서부(303)는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것에 동의하는 경우에, GPS 상의 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The GPS sensor unit 303 may sense the coordinates on the GPS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The GPS sensor unit 303 may sense the coordinates on the GPS, thereby converting the usage place 309 of the user terminal into data. In this case, the GPS sensor unit 303 may sense the coordinates on the GPS when the user agrees to announce his or her location.

음성 인식부(304)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마이크 등을 통해 사용자 음성(310)을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음성 인식부(304)는 입력되는 음성 중 주변의 잡음과 사용자 음성(310)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음성(310)만을 센싱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304 may sense the user voice 310 through a microphon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voice recognition unit 304 may distinguish only the user's voice 310 by dividing the surrounding noise from the user's voice 310 among the input voic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행위 센서부(205)에 포함되는 가속도 센서부(301), 터치 센서부(302), GPS 센서부(303), 음성 인식부(304)는 사용자 움직임(305),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306), 사용횟수(307) 및 사용 장소(309), 사용자 스케쥴(308), 사용자 음성(310),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3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자기 관리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자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움직임(305),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306), 사용횟수(307) 및 사용 장소(309), 사용자 스케쥴(308), 사용자 음성(310),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311)을 각각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하고, 심리 훈련 포인트를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1, the touch sensor unit 302, the GPS sensor unit 303,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304 included in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205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user. At least one of the movement 305, the usage time 306 for the user terminal, the frequency of use 307 and the usage place 309, the user schedule 308, the user voice 310, and the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311 Includ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may be collected from the user. Then,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The self-management system includes user movement 305, usage time 306 for the user terminal, frequency of use 307 and place of use 309, user schedule 308, user voice 310,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311 ) May be converted into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nd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may be applied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a user's rating of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답변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answers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가 도시된다.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는 질문에 대한 복수의 답변이 제시되는 직관적인 형태이며, 사용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번호로 입력하거나, 터치하여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를 참고하면, 종래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심리 검사지보다 직관적으로 인식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흥미를 가지고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에 답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1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is shown.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1 is an intuitive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nswers to a question are presented, and a user may input an answer to the question by a number or touch to select an answer. Referring to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401, since the form is more intuitively recognized tha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heet provided to the user, the user may answer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401 with interest.

또 다른 방법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2)가 도시된다. 일례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2)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보다 도식화된 형태를 나타낸다.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2)는 특정 질문에 대해 오각형의 꼭지점에 답변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움직여서 오각형의 중심에 위치한 포인터가 실제 입력하고자 하는 답변에 대응하는 오각형의 꼭치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포인터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센싱될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4,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2 provided through a user terminal is shown. In one exampl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2 is more schematized than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1.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2 may be placed at the vertices of the pentagon for a particular question. At this time, the user may move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point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entagram is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pentagram corresponding to the answer to be actually inpu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may be sens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 402)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심리 검사에 보다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401, 402)는 일례에 불과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401 and 402 may be provided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so that the user may be more interested i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401 and 402 illustrated in FIG. 4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n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ying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If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inpu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collec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 use time of the user terminal, a frequency of use and a place of use, a user schedule, a user voice, and a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그러면, 자기 관리 시스템은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훈련 포인트는 정신력 관리 포인트, 훈련 관리 포인트, 몸 관리 포인트,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 대인 관계 관리 포인트, 생활 관리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는 상담사의 노하우에 따라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될 수 있다.The self-management system may then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may include a mental power management point, a training management point, a body management point, a unique behavior management point,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point, and a life management point.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may be converted into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ccording to the counselor's know-how.

일례로, 도 4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움직여 3번 답변을 선택한 경우, 3번 답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3번 답변에 정신력 관리 포인트가 3점,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가 2점, 대인관계 관리 포인트가 3점이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의 심리 훈련 포인트는 각각 정신력 관리 포인트가 3점,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가 2점, 대인관계 관리 포인트가 3점으로 결정된다. 심리 훈련 포인트들은 상담사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답변하였을 때, 각각의 질문에 대한 심리 훈련 포인트가 합산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n FIG. 4, when the user selects the answer 3 by moving the user terminal, the answer is converted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preset in the answer 3. For example, if answer 3 has 3 mental management points, 2 behavioral management points, and 3 personal relations management points,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re 3 mentality management points and 3 unique behaviors, respectively. Two management points and three interpersonal management points are determin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unselor. In this process, when a user answers a plurality of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for each question may be summed.

심리 훈련 포인트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자기 관리를 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자기관리란 사용자가 신체적, 정신적인 면뿐만 아니라 훈련과 사생활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자기 스스로를 조절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자기 관리는 사용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기술이나 전략들을 사용하여 변화를 주도하는 과정이며, 개인이 변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스스로 환경요건을 수정하고 행동결과를 조정하며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refl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and may be a criterion for the user to manage himself. Self-management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users control themselves in various aspects, from physical and mental aspects to training and privacy. In addition, self-management is the process of inducing change by using technology or strategies to change user's behavior, and it means modifying environmental requirements, coordinating and managing behavioral results by individuals in an effort to change.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은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자기 관리 모델은 4개의 축에 대응하는 경기력/비경기력, 자기 통제 및 관계 통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ransform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can be applied to the self management model. As an example, as can be seen in FIG. 5, the self-management model may be comprised of game / non-match,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corresponding to four axes.

자기 관리 모델은 경기력 관련여부의 차원(경기력/비경기력)과 자기통제 여부의 차원(자기 통제 및 관계 통제)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심리 훈련 포인트가 배치될 수 있다. 자기 통제는 사용자 스스로가 통제가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관계 통제는 타인 또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서 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 훈련 포인트 중 사용자의 경기력과 직접 관련된 포인트는 정신력 관리 포인트, 훈련 관리 포인트, 몸 관리 포인트이고 경기력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요인은 생활 관리 포인트, 대인관계 관리 포인트,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일 수 있다. 한편, 경기력과 관련된 자기 관리 요인 중에서 정신력 관리 포인트와 몸 관리 포인트는 자기통제의 영역에 해당하며, 훈련 관리는 자기통제와 관계통제의 영향을 모두 받을 수 있다. The self-management model is set in terms of performance related (match / non-match) and self-control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and each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can be placed. Self-control means that the user himself is in 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means control in interaction with others or the environment. Amo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point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user may be mental power management points, training management points, body management points, and factor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athletic performance may be life management poi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points, and unique behavior management point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lf-management factors related to athletic performance, mental power management points and body management points correspond to the areas of self-control, and training management may be affected by both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은 각각 사용자의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심리 훈련 포인트들은 상담사의 노하우에 따라 사용자의 등급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자기 관리 모델을 통해 상담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리 상태 중 어느 부분이 취약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되는 사용자의 등급은 사용자별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pplied to the self-management model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grad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may be differently determined by the user's grade according to the counselor's know-how. The self-management model allows the counselor system to determine which part of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is vulnerable. The user's grade determined in this way may be composed of a user-specific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may be databas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수인 경우, 사용자는 자기 관리 방법을 실행한 날짜와 시합과 관련된 시즌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자기 관리 방법을 실행한 날짜가 시즌 기간에 속하지 않으면, 자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비 시즌임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a player, the user may enter the date of execution of the self-management method and the season period associated with the match. If the date of executing the self-management method does not belong to the season period, the self-management system may confirm that the user is non-season.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답변함으로써 심리 훈련 포인트 중 사용자가 취약한 부분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심리 훈련 포인트의 평균 점수가 30점인 사용자에 대해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가 10점인 경우, 비시즌 기간이라는 정보와 고유행동 관리가 평균 이상이라는 정보가 자기 관리 모델에 입력된다. 그러면, 자기 관리 모델을 통해 상담사는 도 5에서 가로 축의 자기 통제 부분이 부족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족한 부분인 자기 통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상담사는 징크스를 극복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셀프 토크를 위한 심리 훈련 데이터, 이미지 트레이닝을 위한 심리 훈련 데이터, 롤 모델 제공을 위한 심리 훈련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answers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a user vulnerable portion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For example, when a behavior management point is 10 for a user having an average score of 30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information about a non-season period and information on management of unique behavior above an average is input to the self-management model. Then, the counselor can determine that the self-control part of the horizontal axis is lacking in FIG. 5.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ack of self-control, the counselor provides the user with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hat overcomes Jinx,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or self-talk,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or image training,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or role model provision. Can provid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심리 훈련 포인트에 따른 사용자의 등급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llustrates a user's rating according to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stored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자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X에 대한 정신력 관리 포인트, 훈련 관리 포인트, 몸 관리 포인트,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 대인 관계 관리 포인트, 생활 관리 포인트를 포함하는 심리 훈련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자기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할 수 있다. 각각의 심리 훈련 포인트는 상담사의 노하우에 따라 등급이 산출될 수 있다. 각각의 심리 훈련 포인트로부터 산출된 사용자의 등급은 도 6에 도시된 방사형 차트로 직관적으로 표시되며, 심리 훈련 포인트를 통해 도출된 사용자의 등급으로 구성된 심리 훈련 프로필이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방사형 차트는 일례에 불과하고,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elf management system may determine a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including a mental power management point, a training management point, a body management point, a unique behavior management point,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point, and a life management point for the user X. At this time, the self-management system may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collected from the user into a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Each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may be graded according to the counselor's know-how. The rating of the user calculated from each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is intuitively displayed by the radial chart shown in FIG. 6,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composed of the ratings of the user derived through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may be stored in a user-specific database. The radial chart shown in FIG. 6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이러한 사용자의 등급은 사용자별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할 수 있다. 상담사 시스템은 심리 훈련 프로필에 포함된 사용자의 등급을 참고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훈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등급은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Such user ratings may constitute a user-specific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The counselor system may provide customiz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user's grade included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The user's rating may be updated through a feedback process for psychological training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심리 훈련 과정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각각의 사용자 등급은 4가지 등급(S, A, B, 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등급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횟수, 출석 기록, 음성 기록, 과제 수행, 자기 진술 항목 작성 여부, 자신만의 전략 입력, 프로그램 적용 후기 등의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참여도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each user class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may be classified into four grades (S, A, B, and C). The user level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user's participation in psychological training data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ser terminal, attendance record, voice record, task performance, whether to write a self-representation item, input of own strategy, and a program application review.

도 6에서, 방사형 차트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은 다음과 같은 심리 훈련 포인트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In FIG. 6, it is assumed that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determined through the radial char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1. 정신력 관리 포인트- 30점1. Mentality Management Points-30 points

2. 몸관리 포인트- 30점2. Personal care points-30 points

3. 고유행동 관리 포인트-40점3. Unique Behavior Management Points-40 points

4. 대인관계 관리 포인트-10점4. Interpersonal Management Points-10 points

5. 생활관리 포인트-15점5. Life Management Points-15 points

6. 훈련관리 포인트-10점6. Training Management Points-10 points

그러면, 자기 관리 시스템은 포인트의 합산 결과가 미리 설정한 합산 점수 이상인지, 그리고 개별 포인트가 미리 설정한 기준 점수 이상인지를 고려하여 도 7과 같은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n, the self-management system may determine the user's grade as shown in FIG. 7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sum result of the poin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sum score and whether the individual points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reference score.

일례로, 사용자의 등급이 S등급이 되기 위해서는 6가지 포인트가 모두가 각각의 기준 점수를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S 등급인 사용자는 체력, 기술, 인지능력, 심리 기술을 모두 갖춘 사용자이기 때문에, 정신력 관리 포인트가 40점이상 몸관리 포인트가 40점이상 등 6가지 항목 모두가 40점 이상인 사용자에 대해서는 S 등급이 결정된다. 반면 몸관리 포인트만 40점 이상일 경우나 또는 어느 항목도 충족이 안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C 등급이 결정된다.For example, in order for a user's grade to be S grade, all six points must satisfy each reference score. For example, a user with a S rating is a user with all physical, techn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skills. The S grade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the C grade is determined for the user who has more than 40 health care points or none of the items.

이렇게 결정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심리 훈련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심리검사 후 취약점을 보완 하기위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통한 심리 기술 훈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심리 기술 훈련 과정은 심리 훈련 프로필에 저장된 자료에 기초하여 관리되며, 피드백되는 심리 훈련 결과에 따라 심리 기술 훈련 과정의 단계가 변경될 수 있다. Differentiat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user grade. The user can perform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cess through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supplement the vulnerability after the psychological test. Each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course is manage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the stages of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cour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eedback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그리고, 사용자가 심리 훈련 데이터를 통해 심리 훈련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이용 형태에 따라 6가지 심리 훈련 포인트 별로 점수가 상승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심리 훈련 포인트가 업데이트되며, 사용자 등급도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사용 내용을 인식하여 포인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스케쥴 시간에 맞춰서 심리 훈련을 진행하면서 미리 설정한 횟수 이상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하면 자기 관리 포인트가 5점 상승할 수 있다. 만약, 상승된 점수로 인해 각 심리 훈련 포인트에 대해 등급별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급은 S 등급으로 결정되며, 이후 사용자는 S등급에 따른 심리 훈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user performs psychological training through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he score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for each of the six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ccording to the user's use type. This process updates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nd updates user rating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form in which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recognize the user's use content and convert the content into a point. In addition, if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while performing psychological training according to the schedule time input in advance, the self-management point may increase by five points. If, due to the elevated score meets the requirements for each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for each grade, the user's grade is determined as S grade, after which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S grade.

그리고,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심리 훈련 데이터의 내용, 심리 훈련의 방향, 사용자마다 설정된 캐릭터의 특징(외모, 의상 등)이 변경될 수 있다.The contents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direction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and the characteristics (appearance, costume, etc.) set for each us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grade.

심리 기술 훈련 과정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steps of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cess are as follows.

(1) 교육단계- (B, C 등급의 사용자)(1) Education level-(users of B and C grades)

- 심리 기술이 왜 중요한지에 중점을 둔다. Focus on why psychological skills are important

- 심리 기술이 어떻게 수행을 향상시키는가에 대해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Give examples of how psychological skills improve performance.

-심리기술은 신체기술처럼 연습을 통해서 배워야 한다는 점과 정규 연습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Emphasize that psychological skills, like physical skills, should be learned through practice and should be part of regular practice.

(2) 습득단계- (A, B 등급의 사용자)(2) Acquisition Level- (Users of Level A and B)

-여러 심리기술을 배우는 단계이다.-It is the stage of learning various psychological skills.

-구체적인 심리기술을 익히는 방법을 배우고 개인의 특수한 요구에 맞게 고쳐간다.-Learn how to learn specific psychological skills and adapt them to your specific needs.

(3) 연습단계 (S, A 등급의 사용자)(3) Practice Level (S, A Grade Users)

-배운 심리기술을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자동화시키는 단계이다.
-It is the step of automating the psychological skills learned through repetitive exercises.

사용자는 심리 훈련 과정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proceed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관적으로 구성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해 답변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통해 생성된 심리 훈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수행하는 심리 훈련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First, a user may answer an intuitively constructed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an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Then, the user may check the generat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hrough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Specifically,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 performed by the us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심리 훈련 데이터에 포함된 진술 항목이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1) Statement items included in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r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users.

(2) 그러면, 진술 항목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진술 항목은 음성, 영상,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심리 훈련 데이터를 통해 개인만의 진술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진술 항목의 노출 위치를 변경하거나, 인터페이스를 변경함으로써 진술 항목에 대한 훈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2) The statement item may then be exposed to the user via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tatement ite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various forms such as voice, video, and text, and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n individual statement item through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grade. In particular, the user can improve the training efficiency for the statement item by changing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statement item or the interface.

(3) 사용자 단말기는 진술 항목을 짧은 형태의 신호 단어(CUE WORD)로 압축하여 사용자에게 암기시킬 수 있다.(3) The user terminal may compress the statement item into a short signal word (CUE WORD) and memorize it to the user.

(4) 상담사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숙제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술 항목을 강하게 self talk시킬 수 있다.(4) The counselor can strongly self-talk the statement to the user by conducting a continuous homework test.

(5)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심리 훈련 과정의 결과를 상담사와 논의할 수 있다. 상담사는 사용자의 스케쥴 상에 심리 훈련을 삽입한 후 REI 트레이닝과 신호 단어를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REI 트레이닝은 합리적, 정서적 심상 훈련으로, 특정 사황에서 힘든 경우를 상상시킨 후 신호 단어(CUE WORD)를 통해 극복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5) The user may discuss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cess with the counselo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counselor can strongly recognize REI training and signal words after inserting psychological training on the user's schedule. REI training is a rational and emotional image training, which is a process of imagining a difficult case in a particular situation and then overcoming it through a cue word.

그리고,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담사에게 피드백될 수 있다. 그러면, 상담사는 일일이 사용자와 대면할 필요없이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는 다른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와 비교되어,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가 심리 훈련 데이터에 반영되어, 보다 향상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별 심리 훈련 프로필도 심리 훈련 결과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심리 훈련 프로필이 업데이트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급도 상승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심리 훈련을 거치면서 처음과 다른 환경에서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언제든지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f the user may be fed back to the counselor via a wireless network. The counselor can then easily collect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s over the wireless network without having to face the user. The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s may be compared to other users'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s and provided back to the user. Alternatively,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f the user may be reflected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so that the improv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specific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As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s updated, the user's rating may also increase. That is, the user may perform psychological training in a different environment from the beginning while undergoing psychological training, and may perform psychological training at any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담사 시스템, 자기 관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자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etween a counselor system, a self-manage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담사 시스템(101)은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심리 검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S801). 상담사 시스템(101)은 복수의 상담사 각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심리 검사 데이터는 상담사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counselor system 101 may provide psychological test data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S801). The counselor system 101 may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unselors, and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nselor.

자기 관리 시스템(101)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S802).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102)는 사용자의 행위를 센싱하여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803). 사용자 단말기(102)는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04).The self management system 101 may transmit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S802). Then, the user terminal 102 may collec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by sensing the user's action (S803). The user terminal 102 may transmi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S804).

한편, 상담사 시스템(101)은 상담사의 노하우에 기초한 자기 관리 모델을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포인트를 계산할 수 있다(S806). 그리고,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심리 훈련 포인트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S807).Meanwhile, the counselor system 101 may provide the self management model 100 with the self management model based on the counselor's know-how. Then,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S806). In addition, the self-management system 100 may determine a user grade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S807).

이 후,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결정된 사용자 등급을 상담사 시스템(101)에 전송할 수 있다(S808). 상담사 시스템(101)은 상담사가 담당하는 사용자 별로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 등급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S809).Thereafter,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the determined user rating to the counselor system 101 (S808). The counselor system 101 may store a user grade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or each user in charge of the counselor in a database form (S809).

그러면, 상담사 시스템(101)은 사용자의 등급별 심리 훈련 데이터를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S810). 자기 관리 시스템(100)은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S811). 이 때, 심리 훈련 데이터는 사용자에 대한 진술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진술 항목에 대해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812). 사용자는 신호 단어로 표현되는 진술 항목에 대해 반복적으로 훈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2)는 심리 훈련 결과를 자기 관리 시스템(100)에 피드백하거나(S813), 또는 상담사 시스템(101)에 직접 피드백할 수 있다(S814). 상담사 시스템(101)은 심리 훈련 결과에 대한 피드백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등급에 기초하여 심리 훈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counselor system 101 may provide the user's grade level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S810).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02 (S811).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may include a statement item for the user. The user terminal 102 may generate a signal word (CUE WORD) for the statement item and display it to the user (S812). The user can repeatedly train on the statement item represented by the signal word, and the user terminal 102 feeds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100 (S813) or directly to the counselor system 101. It may be (S814). The counselor system 101 may update the user's grade through a feedback process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and may provid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updated user's grad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과 달리, 상담사 시스템(900)이 직접 사용자 단말기(901)와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즉, 상담사는 상담사 시스템(900)을 통해 자기 관리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용자 단말기(901)와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FIG. 9 illustrates that the counselor system 900 directly performs a self-management method with the user terminal 901 unlike FIG. 1. That is, the counselor may directly perform the self-management method with the user terminal 901 without going through the self-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ounselor system 900.

구체적으로,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901)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해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하여 상담사 시스템(900)에 전송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transmit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901. Then, the user terminal 901 may collec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with respect to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the user and transmit it to the counselor system 900.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심리 훈련 포인트로 변환하고, 심리 훈련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901)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01)는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심리 훈련 결과를 상담사 시스템(900)에 피드백할 수 있다. 상담사 시스템(900)은 피드백된 심리 훈련 결과를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unselor system 900 may conver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and determine a user's grade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In addition,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generat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user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provid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901. The user terminal 901 may perform psychological training by provid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and may feed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to the counselor system 900.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update the grade of the user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based on the feedback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and transmit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901 according to the updated grade of the user.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상담사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unselor system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self-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1001), 사용자 등급 결정부(1002) 및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100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include a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or 1001, a user grade determiner 1002,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or 1003.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1001)는 상담사가 제공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1001)는 사용자 단말기(901)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1001)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1001 may transmi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provided by the counselor to the user terminal 901.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or 1001 may receiv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901.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or 1001 may includ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 use time of the user terminal, a frequency of use and a place of use, a user schedule, a user voice, and a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From 901.

사용자 등급 결정부(1002)는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등급 결정부(1002)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 등급 결정부(1002)는 심리 훈련 프로필을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grade determiner 1002 may determine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rating determiner 1002 may conver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a user's rating. Thereafter, the user rating determiner 1002 may stor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n a user-specific database.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1003)는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1003)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훈련을 위한 진술 항목을 포함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01)는 진술 항목을 이용하여 심리 훈련을 위한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1003 may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tored in a user-specific database and transmit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901.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or 1003 may transmit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a statement item for psychological training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901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The user terminal 901 may perform psychological training for the user by generating a cue word for psychological training using the statement item.

또한,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1003)는 사용자 단말기(901)로부터 심리 훈련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결과를 피드백받고, 피드백 결과를 심리 훈련 데이터에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901)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or 1003 may receive a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901 and apply the feedback result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901.

그리고,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901)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1004), 사용자 행위 센서부(1005),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1006) 및 심리 훈련 피드백부(100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the user terminal 901 may include a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1004, a user behavior sensor unit 1005,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1006,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1007. .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1004)는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1004)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1004 may receiv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counselor system and collec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s an example,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processor 1004 may display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to collect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rom the user.

사용자 행위 센서부(1005)는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행위 센서부(1005)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1005 may detect a user's behavior for genera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1005 may provide psychological test respons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 use time of the user terminal, a frequency of use and a place of use, a user schedule, a user voice, and a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Can be collected.

그러면,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n,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the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grade of the user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1006)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훈련 데이터를 상담사 시스템(900)으로부터 수신하고,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1007)는 상담사 시스템(900)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른 심리 훈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진술 항목이 포함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1006 may receive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counselor system 900, and provid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1007 receives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counselor system 900 and generates a cue word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the statement item. can do.

심리 훈련 피드백부(1007)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담사 시스템(900)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1007 may feed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unselor system 90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담사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수행되는 자기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etween a counselor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검사를 위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S1101). 이 때,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는 상담사의 노하우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01)는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행위를 센싱하고(S1102), 센싱한 결과에 기초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상담사 시스템(900)에 전송할 수 있다(S1103).The counselor system 900 may transmit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or the psychological test to the user terminal 901 (S1101).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may be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unselor's know-how. The user terminal 901 may sense user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S1102), and may transmi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based on the sensing result to the counselor system 900 (S1103).

상담사 시스템(900)은 자기 관리 모델을 선택하고(S1104),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심리 훈련 포인트를 계산한 후(S1105),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S1106). 그리고, 상담사 시스템(900)은 사용자 등급이 포함된 심리 훈련 프로필을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The counselor system 900 may select a self-management model (S1104), calculat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by apply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to the self-management model (S1105), and then determine a user grade constitu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1106). In addition, the counselor system 900 may store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ncluding a user grade for each user.

상담사 시스템(900)은 심리 훈련 프로필에 포함된 사용자의 등급별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901)에 전송할 수 있다(S1107).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901)는 심리 훈련 데이터에 포함된 진술 항목을 신호 단어(CUE WORD)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1108). 사용자는 진술 항목을 통해 심리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901)는 사용자의 심리 훈련 결과를 상담사 시스템(900)에 피드백할 수 있다(S1109).The counselor system 900 may transmit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901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1107). Then, the user terminal 901 may generate a statement item included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s a signal word (CUE WORD)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S1108). The user may perform psychological training through the statement item, and the user terminal 901 may feed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f the user to the counselor system 900 (S1109).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도 1 내지 도 8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9 to 11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자기 관리 시스템
101: 상담사 시스템
102: 사용자 단말기
100: self management system
101: counselor system
102: user terminal

Claims (29)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사용자 등급 결정부; 및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to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rating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rating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user's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transmit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Self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And a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and collec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rom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Self-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psychological test respons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 movement, the use time for the user terminal, the frequency and place of use, the user schedule, the user voice, the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급 결정부는,
상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rating determiner,
And convert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user's gra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급 결정부는,
상기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경기력/비경기력, 자기 통제 및 관계 통제로 구성된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rating determiner,
And apply th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consisting of athletic / non-competitive, self-control and relationship control to determine the user's r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훈련을 위한 진술 항목을 포함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statement items for psychological training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진술 항목을 이용하여 심리 훈련을 위한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user terminal,
And a cue word for psychological training using the state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결과를 피드백받고, 피드백 결과를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 feedback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applying the feedback result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사용자 행위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심리 훈련 피드백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from a self management system and collect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a user;
A user behavior sensor unit for sensing the user's behavior fo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a user; And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for feeding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Lt; / RTI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And display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and collect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위 센서부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And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movement, usage time for the user terminal, frequency of use and location of use, user schedule, user voice, and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lf management system,
Convert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ing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user's gra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른 심리 훈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진술 항목이 포함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Receiv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self-management system, and generating a cue word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a statement item.
상담사가 제공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급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상담사 시스템.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provided by a counselor to a user terminal and to receive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 user grade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by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and to store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in a user-specific database; And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tored in the user-specific database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Counselor system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데이터 통신부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psychological test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movement, a user's use time, a frequency of use and a place of use, a user schedule, a user's voice, and a user's psychological test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급 결정부는,
상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user rating determiner,
And convert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ing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grade of the us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훈련을 위한 진술 항목을 포함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a statement item for psychological training of the user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진술 항목을 이용하여 심리 훈련을 위한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user terminal,
And a cue word for psychological training using the statem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결과를 피드백받고, 피드백 결과를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담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 feedback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nd applying the feedback result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사용자 행위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심리 훈련 피드백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A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from a counselor system and collect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 user behavior sensor unit for sensing the user's behavior for genera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A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counselor system and provide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a user; And
Psychological training feedback unit for feeding back the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unselor system
Lt; / RTI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검사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psychological test data processing unit,
And collecting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answer data from the user by displaying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question data through an intuitive interfac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위 센서부는,
사용자 움직임,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 시간, 사용횟수 및 사용 장소, 사용자 스케쥴, 사용자 음성, 사용자 심리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user behavior sensor unit,
And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movement, usage time for the user terminal, frequency of use and location of use, user schedule, user voice, and user psychological test resul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사 시스템은,
상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심리 훈련 포인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심리 훈련 포인트들을 자기 관리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unselor system,
Convert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into at least one psychological training point and applying the converted psychological training points to a self-management model to determine the user's grad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른 심리 훈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진술 항목이 포함된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 단어(cue wor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processing unit,
Receiv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counselor system, and generating a cue word us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including a statement item.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기 관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자기 관리 수행 방법에 있어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 관리 방법.
In the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self-management system through a user terminal,
The system of send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user terminals;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Self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자기 관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자기 관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 관리 방법.
In a self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rough a self management system,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self management system;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a user;
Detecting an action of the user to collect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Receiv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self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user's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a user; And
Feeding back a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self management system;
Self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담사 시스템이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담사가 제공한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리 훈련 프로필을 구성하는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 훈련 프로필에 따라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 관리 방법.
In the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counselor sys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provided to the counselor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a grade of a user constitu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using the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of the user;
Generat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and transmitt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Self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상담사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자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심리 검사 질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리 훈련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심리 검사 답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심리 훈련 프로필에 기초한 심리 훈련 데이터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 훈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리 훈련 데이터에 대한 심리 훈련 결과를 상기 상담사 시스템에게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 관리 방법.
In the self-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unseling system,
Receiving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from a counselor system;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est question data to a user;
Detecting an action of the user for genera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rom the user;
Collecting psychological test answer data for generating a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from the user;
Receiving psychological training data from the counselor system based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file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to a user, and feeding back a psychological training result on the psychological trainin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counselor system
Self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25.
KR1020100012014A 2010-02-09 2010-02-09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KR101216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14A KR101216316B1 (en) 2010-02-09 2010-02-09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14A KR101216316B1 (en) 2010-02-09 2010-02-09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38A true KR20110092538A (en) 2011-08-18
KR101216316B1 KR101216316B1 (en) 2013-01-18

Family

ID=4492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14A KR101216316B1 (en) 2010-02-09 2010-02-09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31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681B1 (en) * 2012-10-25 2015-03-12 (주)휴노 The method for providing index of coincidence between psychological test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of
KR101501680B1 (en) * 2012-10-25 2015-03-20 (주)휴노 The method for providing multiparty psychological test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of
KR20170087834A (en) * 2016-01-21 2017-07-31 트런그램 지알트룰 셰르파 Computer system for determining a state of mind and providing a sensory-type antidote to a subject
KR20190023025A (en) * 2017-08-25 2019-03-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ental disorder
KR102374780B1 (en) * 2021-12-24 2022-03-17 주식회사 네시삼십삼분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digital care solution based on game for improving mental disor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769B1 (en) * 2017-01-31 2019-01-15 정정엽 Mental counseling support servi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367B1 (en) * 2002-10-22 2005-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sychological Test Service by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JP2005334205A (en) * 2004-05-26 2005-12-08 Ryozo Saito Mental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681B1 (en) * 2012-10-25 2015-03-12 (주)휴노 The method for providing index of coincidence between psychological test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of
KR101501680B1 (en) * 2012-10-25 2015-03-20 (주)휴노 The method for providing multiparty psychological test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of
KR20170087834A (en) * 2016-01-21 2017-07-31 트런그램 지알트룰 셰르파 Computer system for determining a state of mind and providing a sensory-type antidote to a subject
KR20190023025A (en) * 2017-08-25 2019-03-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ental disorder
KR102374780B1 (en) * 2021-12-24 2022-03-17 주식회사 네시삼십삼분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digital care solution based on game for improving mental dis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316B1 (en)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68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ing using non-self-identified data
Santos et al. Toward interactive context-aware affective educational recommendations in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Shadiev et al. A study of the use of wearable devices for healthy and enjoyabl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authentic contexts
KR101661698B1 (en) mentality analysis service method using of figure and question
KR101216316B1 (en) Method for self-management using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method
Yong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for mobile devices
Erazo et al. Predicting user performance time for hand gesture interfaces
JP6715410B2 (e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device, evaluation program, and evaluation system
Arhippainen Studying user experience: issues and problems of mobile services:–Case ADAMOS: User experience (im) possible to catch?
WO2007026715A1 (en) Simulation system and program
Alač Beyond intersubjectivity in olfactory psychophysics I: Troubles with the Subject
US11373546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TWI642026B (e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sessment and diagnostic methods and systems
Beecham et al. Designing the female orgasm: Situating the sexual entrepreneur in the online sex-education platform OMGYes
Bashir et al. EAUHHCAMA: Extending and Adapting Usability Heuristics for Healthcare Related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s
Varsaluoma et al. Exploring motivational aspects and user experience of mobile mathematics learning service in south africa
Incerti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s for Learning
Patwardhan Assessing the impact of usability design features of an mHealth app on clinical protocol compliance 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Bodie et al. Measuring affective components of listening
JP2021026328A (en) Study watching method, dwelling and computer program
Darin et al. Motivational Resources for Physical Exercises: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in Mobile Fitness Applications
Ren Work or workout?: designing interactive technology for workplace fitness promotion
US10872538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US20230013659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regarding self-awareness and executive function
Reynolds Adversarial uses of affective computing and ethical im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