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62A - 포장용 완충재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62A
KR20110091262A KR1020100011012A KR20100011012A KR20110091262A KR 20110091262 A KR20110091262 A KR 20110091262A KR 1020100011012 A KR1020100011012 A KR 1020100011012A KR 20100011012 A KR20100011012 A KR 20100011012A KR 20110091262 A KR20110091262 A KR 2011009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et
sheets
ce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용
Original Assignee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262A/ko
Publication of KR2011009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시 제품의 모서리 등에 의해 에어 셀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전면 및 후면시트와,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후면시트 사이에 에어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2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단부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열접합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열접합선과, 상기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에어 셀의 중단부에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열접합점과,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하나 이상에 충전되는 발포제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과 상기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 셀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주입구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발포제가 충전되는 에어 셀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재{AIR BAG FOR PACKING}
본 발명은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포장시 제품의 모서리 등에 의해 에어 셀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은 박스에 포장되어 출고된다. 이때, 제품이 박스 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장용 완충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과 함께 박스에 포장되므로 가벼우면서도 어느 정도의 쿠션과 강도를 가져야 한다.
종래의 포장용 완충재는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등의 형태로 제작, 사용하였으나,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형태의 포장용 완충재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품에 맞춰 가공하기 힘들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가공이 용이하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이나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지지할 수 있어,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제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의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10)는 직사각형의 시트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10)의 상단에는 공기주입관로(12)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 다수의 에어 셀(14)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에어 셀(14)의 상단에는 공기주입관로(12)와 에어 셀(14)을 연결하는 밸브(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10)는 공기주입관로(1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에어 셀(14)이 팽창되며 소정의 쿠션을 갖는다. 그리고 에어 셀(14)이 팽창됨에 따라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16)를 가압하여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차단하도록 밸브(16)를 밀봉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는 제품의 모서리와 같은 부분이나 뾰족한 돌출부 등에 의해 쉽게 뚫리거나 찢어지며, 일단 구멍이 생기면 에어 셀(14)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완충효과를 상실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 및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지지할 수 없어, 제품의 보호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 셀(14)을 형성하는 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제작비용 또한 대폭 상승하여 시장경쟁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장시 제품의 모서리 등에 의해 에어 셀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완충재는, 전면 및 후면시트와,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후면시트 사이에 에어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2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단부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열접합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열접합선과, 상기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에어 셀의 중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접합점과,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하나 이상에 충전되는 발포제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셀과 상기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는 제1주입구와,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발포제가 충전되는 에어 셀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품의 모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 등과 접촉하는 에어 셀에 발포제를 충전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해당 부위에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지더라도 발포제를 통해 완충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및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지지하여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
도 9는 일반적인 공기 주입식 포장용 완충재의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및 B-B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100)는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의 가장자리를 봉합하여 내부에 공기 충전용 에어 셀(120)이 마련되는 구조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필름 형태의 전면시트(112)와 후면시트(114)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열접합선(132)을 따라 봉합되고, 제1열접합선(132)에 의해 형성된 에어 셀(1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제2열접합선(134)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즉,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에어 셀(120)이 좌우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100)의 상단부에는 제1열접합선(132)에서 하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3열접합선(136)이 형성되고, 이 제1열접합선(132)과 제3열접합선(136)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은 공기주입관로(140)로 사용된다.
이때, 공기주입관로(140)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주입되 공기를 다수개의 에어 셀(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에어 셀(120)과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주입관로(14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공기주입관로(140)를 따라 이송된 후 각 에어 셀(120)로 공급되어 에어 셀(120)을 팽창시킨다.
여기서, 제1열접합선(132)에 의해 형성되고 제2열접합선(134)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 다수의 에어 셀(120)은,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셀(120a)과, 후술할 발포제(150)가 주입되는 되는 에어 셀(120b)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발포제(150)가 주입되는 에어 셀(120b)은 그 상단부가 제3열접합선(136)에 의해 밀봉되어 공기주입관로(140)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에어 셀(120b)에는 공기주입관로(14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충전되지 않는데, 이는 공기 충전 후 발포제(150)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팽창된 에어 셀(120)을 통해 제품으로 인가되는 충격 및 제품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는 소정의 강성과 탄성을 가져야 한다.
한편, 상술한 에어 셀(120)의 중단에는 열접합점(138)이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셀(120)의 중단에서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열접합점(138)이 형성된다. 이 열접합점(138)은 에어 셀(120)이 팽창한 상태에서 포장용 완충재(100)를 채널(channel) 또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절곡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 말해, 열접합점(138)은 포장용 완충재(100)를 절곡하기 위한 접철선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포장용 완충재(100)가 절곡된 상태에서 모서리에 해당된다.
이때, 열접합점(138)은 점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열접합점(138)에 의해 에어 셀(120)의 중단이 단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공기주입관로(14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열접합점(138)을 지나 에어 셀(120)의 하부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접합점(138)의 개수를 한 쌍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포장용 완충재(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 셀(120) 중 일부 에어 셀(120b)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대신 발포제(150)가 주입된다. 이 발포제(150)는 제품 포장시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에 의해 에어 셀(120b)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포장용 완충재(1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발포제(150)가 주입 및 경화된 에어 셀(120b)은 제품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발포제(150)가 누출될 우려가 없으므로 포장용 완충재(100)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및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발포제(150)로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포장용 완충재(100)를 절곡할 수 있으며, 충격 및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연질의 탄성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주입관로(140)를 형성하는 제1 및 제3열접합선(132,136) 중 제3열접합선(136) 상에는 공기주입관로(140)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각 에어 셀(120a)로 공급하기 위한 제1주입구(160)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열접합선(132) 사이에는 에어 셀(120b)로 발포제(150)를 공급하기 위한 제2주입구(170)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제1주입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주입구(160)의 내측에는 한 쌍의 내열시트(116a,116b)가 부착된다. 이 내열시트(116a,116b)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부는 공기주입관로(140) 상에 위치되고, 하부는 에어 셀(120a)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한 쌍의 내열시트(116a,116b) 중 제1내열시트(116a)는 전면시트(112)의 내측에 열접합되고, 제2내열시트(116b)는 상부만 후면시트(114)의 내측에 열접합된다.
이때, 공기주입관로(140) 상에 위치되는 내열시트(116a,116b)의 상부 길이는 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주입관로(140) 상에 위치되는 내열시트(116a,116b)의 상부 길이가 0.1mm 미만일 경우 내열시트(116a,116b)를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에 열접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고, 5mm를 초과할 경우 제1주입구(160)를 막아 공기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내열시트(116a,116b)의 상부 길이는 열접합이 용이하면서도 제1주입구(160)를 막지 않는 범위 내인 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내열시트(116a,116b) 중 제2내열시트(116b)는 제1내열시트(116a)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내열시트(116a,116b)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경우 내열시트(116a,116b)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열시트(116a,116b) 중 어느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제2내열시트(116b)의 내측면에 내열잉크(118)가 도포된다. 이 내열잉크(118)는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에 제3열접합선(136)을 형성할 경우 제1주입구(160)가 열접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주입구(160)는 공기주입관로(140)를 통해 에어 셀(120a)에 공기가 충전되면, 그 내부 압력에 의해 제2내열시트(116b)가 제1내열시트(116a)에 밀착되어 해당 에어 셀(120a)을 밀봉한다. 따라서 에어 셀(120a)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제2주입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제(150)가 충전되는 에어 셀(120b)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170)는 에어 셀(120b)의 내부로 발포제(150)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의 주입구이다.
이때, 에어 셀(120b)에 충전되는 발포제(150)는 그 점도가 높아 에어 셀(120b)에 주입된 상태에서 제2주입구(17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한, 우레탄 폼과 같이 단시간에 경화되는 발포제(150)를 사용할 경우 주입과 동시에 경화되므로 누출의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발포제(150) 주입을 위한 제2주입구(170)는 체크 기능이 없는 주입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발포제(150)가 누출될 우려가 없지만, 필요에 따라 발포제(150) 주입 후 제2주입구(170)의 전면 및 후면시트(112,114)를 열접합하여 에어 셀(120b)을 밀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200)는, 후면시트(214)의 내측에 보조시트(219)가 추가로 부착되고, 상술한 후면시트(214)와 보조시트(219)에 의해 형성된 발포제 셀(280)에 발포제(250)가 주입된 형태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필름 형태의 전면시트(212)와 후면시트(214)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열접합선(232)을 따라 봉합되고, 제1열접합선(232)에 의해 형성된 기둥 형상의 에어 셀(2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제2열접합선(234)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또한, 포장용 완충재(200)의 상단부에는 제1열접합선(232)에서 하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3열접합선(236)이 형성되고, 이 제1열접합선(232)과 제3열접합선(236)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은 공기주입관로(240)로 사용된다.
상술한 에어 셀(220)의 중단에는 에어 셀(220)이 팽창한 상태에서 포장용 완충재(200)를 채널(channel) 또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절곡하기 위한 열접합점(238)이 형성된다. 이 열접합점(238)은 점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공기주입관로(240)를 형성하는 제1 및 제3열접합선(232,236) 중 제3열접합선(236) 상에는 공기주입관로(240)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각 에어 셀(220)로 공급하기 위한 제1주입구(260)가 형성된다. 또한, 전면시트(212)와 보조시트(219) 사이에는 발포제 셀(280)에 발포제를 주입하기 위한 제2주입구(27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주입구(260,270)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주입구(도 3의 160, 도 4의 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300)는, 전면시트(312)의 외측에 보조시트(319)가 추가로 부착되고, 상술한 전면시트(312)와 보조시트(319)에 의해 형성된 발포제 셀(380)에 발포제(350)가 주입된 형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20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발포제(350)가 주입되는 제2주입구(370) 및 발포제 셀(380)의 위치만 서로 상이할 뿐, 그 외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재(200,300)는, 발포제(250,250)가 주입, 경화되는 발포제 셀(280,380)이 내측 또는 외측에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의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발포제(250,350)가 누출될 우려가 없으므로 포장용 완충재(200)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및 제품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포장용 완충재 112: 전면시트
114: 후면시트 116a,116b: 내열시트
118: 내열잉크 120: 에어 셀
132~136: 제1 내지 제3열접합선 140: 공기주입관로
150: 발포제 160,170: 제1 및 제2주입구

Claims (6)

  1. 전면 및 후면시트;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후면시트 사이에 에어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2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단부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열접합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열접합선;
    상기 에어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에어 셀의 중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접합점;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하나 이상에 충전되는 발포제;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 셀과 상기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는 제1주입구; 및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 중 발포제가 충전되는 에어 셀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입구는 상기 에어 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 밸브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2. 전면 및 후면시트;
    상기 전면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보조시트;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후면시트 사이에 에어 셀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보조시트 사이에 발포제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후면 및 보조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2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단부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열접합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열접합선;
    상기 발포제 셀에 충전되는 발포제;
    상기 에어 셀 및 상기 발포제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후면 및 보조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에어 셀 및 발포제 셀의 중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접합점;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과 상기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는 제1주입구; 및
    상기 발포제 셀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입구는 상기 에어 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 밸브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3. 전면 및 후면시트;
    상기 후면시트의 표면에 배치된 보조시트;
    상기 전면시트와 상기 후면시트 사이에 에어 셀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상기 후면시트와 상기 보조시트 사이에 발포제 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후면 및 보조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좌우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2열접합선;
    상기 전면 및 후면시트의 상단부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열접합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3열접합선;
    상기 발포제 셀에 충전되는 발포제;
    상기 에어 셀 및 상기 발포제 셀이 팽창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후면 및 보조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에어 셀 및 발포제 셀의 중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접합점;
    상기 다수개의 에어 셀과 상기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는 제1주입구; 및
    상기 발포제 셀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입구는 상기 에어 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 밸브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주입구의 내측에는 한 쌍의 내열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에어 셀에 공기가 충전되면 상기 한 쌍의 내열시트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밀착되어 해당 에어 셀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열시트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열시트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내열잉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재.
KR1020100011012A 2010-02-05 2010-02-05 포장용 완충재 KR20110091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12A KR20110091262A (ko) 2010-02-05 2010-02-05 포장용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12A KR20110091262A (ko) 2010-02-05 2010-02-05 포장용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62A true KR20110091262A (ko) 2011-08-11

Family

ID=449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012A KR20110091262A (ko) 2010-02-05 2010-02-05 포장용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34Y1 (ko) * 2011-11-10 2013-06-18 맹선주 백 필러
KR20200012388A (ko) * 2018-07-27 2020-02-05 홍진락 포장 상자 어셈블리
CN115973603A (zh) * 2023-01-10 2023-04-18 浙江迪弗莱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放气气柱袋及气柱袋生产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34Y1 (ko) * 2011-11-10 2013-06-18 맹선주 백 필러
KR20200012388A (ko) * 2018-07-27 2020-02-05 홍진락 포장 상자 어셈블리
CN115973603A (zh) * 2023-01-10 2023-04-18 浙江迪弗莱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放气气柱袋及气柱袋生产工艺
CN115973603B (zh) * 2023-01-10 2023-08-29 浙江迪弗莱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放气气柱袋及气柱袋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109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41005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20070003170A1 (en) Cushion material for packaging product therein and suspension air-packing method using same
US9027756B2 (en) Structure of inflatable packaging device
CN104583096A (zh) 热稳定的航运系统及方法
JP3213675B2 (ja) 収納品の固定パット
PT3059184T (pt) Embalagem para utilizar em transporte de artigos
KR20110091262A (ko) 포장용 완충재
CN109969610B (zh) 一种立体折叠式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US10138044B2 (en) Airtight sheath for packing a bottle
CN208485048U (zh) 一种易碎物品缓冲防护运输包装箱
KR200458489Y1 (ko) 와인 포장 용기
KR20130123695A (ko)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US20100032336A1 (en) Package member
KR101483764B1 (ko)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CN104118646A (zh) 一种具有多个缓冲腔的防震模块
WO2008039178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20090080863A (ko) 해먹식 공기 방진 커버
TWM459201U (zh) 具有充氣包裝袋之箱體
CN208802339U (zh) 太阳能真空管用包装结构
CN208412687U (zh) 一种易碎品包装纸箱
CN106742726B (zh) 一种抗压型充气包装体
CN112239017A (zh) 充气缓冲包装装置
JP2015117053A (ja) 瓶類用空気セル緩衝材
JP3957494B2 (ja) 緩衝用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