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132A -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132A
KR20110091132A KR1020100010814A KR20100010814A KR20110091132A KR 20110091132 A KR20110091132 A KR 20110091132A KR 1020100010814 A KR1020100010814 A KR 1020100010814A KR 20100010814 A KR20100010814 A KR 20100010814A KR 20110091132 A KR20110091132 A KR 2011009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lever
case
locking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700B1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영 filed Critical 김준영
Priority to KR102010001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7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wire or other non-rigid radiating elements
    • H01Q1/16Strainers, spreaders, or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와 매립형 단자함의 결합부분을 개량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 관리자가 해체용 도구를 이용하여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던 매립형 안테나의 단자함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고 단자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케이스의 고정홈에 고정하여 단자의 접속부분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내부에 배치하고 자유단에 돌기가 형성된 걸림부를 양측에 형성한 단자함과, 상기 단자함을 매립시키면서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소켓이 장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으로부터 단자함의 걸림부 자유단의 돌기를 이격시켜 단자함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 형 해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단자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의 중앙부분에는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삽입되는 해체구의 지렛대가 끼워지도록 안내홈을 형성하되 하단부로 이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단자함의 안내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홈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자함의 연결단자에 접속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끼워지도록 일측면을 개방시키면서 내측으로 호형 삽입홈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개방부분을 폐쇄하면서 케이블을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반호형 홈부를 갖는 탄성부재 마련되고, 상기 단자함을 분리시키는 해체구의 지렛대 중앙에는 손잡이를 결합시키며 선단 내측으로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Antenna of terminal box and locking/unlocking apparatus for automatic meter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가스 또는 유체 등의 사용량을 계량하는 검침기의 케이스에 안테나의 단자함이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보호되면서 편리하게 관리자가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검침기는 무선통신기술(RF통신을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검침 데이터는 중계기인 자동 검침기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단독 또는 복합형 주택,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 가스, 온수, 냉수 등의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각 계량기에 장착된 수신기로부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검침데이터를 다시 관리자의 저장/관리 서버장치에 전달하여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고 부과할 수 있는 검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자동 검침기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다수의 검침원에 의하여 가가호호 찾아다니는 방식과 부재중 검침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소정 지역 다수의 검침데이터를 단시간에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 자동 검침기는 검침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단자함이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의 단자함은 대부분 매립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의 단자함은 분할형성되어 내부로 연결단자가 배치되고 연결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외부의 로드안테나 또는 루프안테나에 접속되도록 일측으로 인출되어 이루어지는 박스 형태이고, 단자함의 연결단자는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의 인쇄회로부에 접속된 소켓에 끼워지고, 단자함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로 끼워진 후 내측에 걸리거나 내부에서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외부에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단자함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에 걸려 끼워맞춤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중 안테나의 불량 또는 파손이 발생할 때에는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를 분리해야만 단자함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교체시간이 길어지고, 케이스의 분리 및 결합의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어 교체 비용이 증대되며, 특히 단자함으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은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케이블이 당겨지는 충격이 발생하면 연결단자와의 접속부분이 쉽게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와 매립형 단자함의 결합부분을 개량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 관리자가 해체용 도구를 이용하여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던 매립형 안테나의 단자함을 편리하게 분리시켜 수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하고, 단자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케이스의 삽입홈에 고정하여 연결단자에 접속된 부분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내부에 배치하고 자유단에 돌기가 형성된 걸림부를 양측에 형성한 단자함과, 상기 단자함을 매립시키면서 연결단자가 접속되도록 소켓이 장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걸림턱으로부터 단자함의 걸림부 자유단의 돌기를 이격시켜 단자함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체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단자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의 중앙부분에는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삽입되는 해체구의 지렛대가 끼워지도록 안내홈을 형성하되 하단부로 이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단자함의 안내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홈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자함의 연결단자에 접속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끼워지도록 일측면을 개방시키면서 내측으로 호형 삽입홈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개방부분을 폐쇄하면서 케이블을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반호형 홈부를 갖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함을 분리시키는 해체구의 지렛대 중앙에는 손잡이를 결합시키며 선단 내측으로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는 케이스의 삽입홈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탄성부재에 날개를 형성하거나 삽입홈의 지름을 개방부분보다 크게 형성하여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며, 해체구의 손잡이에 캠판을 추가하여 지렛대를 작동시켜 걸림 상태를 해지함과 동시에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단자함의 분리를 더욱 편리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함의 걸림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해체구의 지렛대 자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경사면에 접촉하여 이동할 때 경사면의 높이만큼 걸림부의 돌기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케이스의 걸림턱으로부터 용이하게 걸림부를 이격시킬 수 있어 단자함의 분리가 용이하고, 해체용 도구에 캠판을 장착하여 지렛대를 작동시키고 고정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던 매립형 안테나의 단자함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하며, 단자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을 케이스의 삽입홈과 끼워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케이스의 고정홈에 고정함으로써 접속부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1a는 도 1의 결합상태에서 케이블이 고정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2a 및 2b는 도 케이스에 단자함이 결합된 상태 및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의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결합상태에서 케이블이 고정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도 4a의 착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a 및 7b는 도 6a의 착탈장치의 캠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도시된 통상의 로드안테나 또는 루프안테나에 연결되는 케이블(4)의 끝단을 접속하는 연결단자(3)를 내부에 배치하고 자유단에 돌기(21a)가 형성된 걸림부(21)를 양측에 형성한 단자함(2)과, 상기 단자함(2)이 매립되면서 연결단자(3)를 접속시키기 위해 내부에 배치되는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소켓(5)이 장착되고 단자함(2)을 고정시키는 걸림턱(11)을 형성하는 케이스(1)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함(2)의 걸림부(21)와 케이스(1)의 걸림턱(11)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미도시된 통상적인 전원공급용 AC/DV 변환기, 예비 축전지 및 제어회로부가 내장되고 케이블(4)에 접속된 미도시된 안테나를 통해 주변의 소정 거리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가스 또는 수도 계량기의 검침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 서버장치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매립형 단자함(2)의 걸림부(21)가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끼워지면 연결단자(3)가 소켓(5)에 접속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케이스(1)의 걸림턱(11)에 단자함(2)의 걸림부(21) 자유단의 돌기(21a)가 걸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 형 해체구(7)를 마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기술은 상기 매립형 단자함(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21)에 해체구(7)의 사용시 걸림부(21) 자유단의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이격시킬 때 가변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개량하게 되고, 더 나아가 해체구(7)를 개량하여 단자함(2)의 분리를 더욱 편리하게 하며, 단자함(2)의 연결단자로 접속되는 케이블(4)의 단락을 방지하는 탄성부재(6)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매립형 단자함(2)은 걸림부(21)의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21a)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삽입되는 해체구(7)의 지렛대(71)가 끼워지도록 안내홈(21b)을 중앙부분에 형성하되 하측 선단 부분에 있는 돌기(21a) 방향으로 이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1c)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21c) 하측 최상단의 높이는 돌기(21a)보다 낮게 형성되어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에 걸릴 때 방해가 없어야 하며, 해체구(7)의 지렛대(71)가 안내홈(21b)을 따라 유입되면서 경사면(21c)에 접촉되면 돌기부(21)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이격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1)에는 단자함(2)에 형성된 안내홈(21b)과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홈(1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자함(2)의 연결단자(3)에 접속된 케이블(4)을 고정하기 위하여 일차 케이블(4)이 끼워지도록 일측면을 개방시키면서 내측으로 호형 삽입홈(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함(2)에 형성된 안내홈(21b)과 대응하는 케이스(1)에 형성되는 안내홈(12)은 해체구(7)의 지렛대(17) 두께와 지렛대(71)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3)의 두께가 끼워지는 공간으로서 1/2씩 공간을 나누게 된다.
또한, 단자함(2)의 연결단자(3)에 접속된 케이블(4)을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스(1)의 단자함(2)의 매립부분으로부터 측면으로 이어지면서 형성된 호형 삽입홈(13)으로 끼워져 개방부분을 폐쇄하면서 케이블(4)을 밀착하고 고정하는 반호형 홈부(61)를 갖는 탄성부재(6)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4)을 고정하는 케이스(1)의 삽입홈(3)과 탄성부재(6)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성형하여 만들게 되고, 도 1에서와 같이 케이블(4)이 고정되는 삽입홈(3)과 탄성부재(6)의 길이가 부호 "L"과 같이 짧을 경우 탄성부재(6)가 이탈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1)의 삽입홈(13)의 양측으로는 걸림홈(13a)을 형성하고 탄성부재(6)의 양측으로는 상기 걸림홈(13a)으로 끼워지는 날개(62)를 형성하여 마찰력의 증대 및 상호 걸림을 통해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케이블(4)이 고정되는 삽입홈(3)과 탄성부재(6)의 길이가 부호 "L'"와 같이 끼워지는 길이가 길어 마찰력이 높을 경우에는 케이스(1)의 삽입홈(13)의 지름을 개방부분보다 크게 형성하여 큰 지름의 삽입홈(13)에 끼워지는 탄성부재(6)가 개방부분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함(2)을 분리시키는 해체구(7)는 지렛대(71) 수평부분 중앙에 손잡이(72)를 결합시키며 선단 내측으로는 걸림돌기(73)를 형성하여 단자함(2)의 걸림부(21)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렛대(71) 및 걸림돌기(73)는 도 2a에서와 같이 케이스(1)의 안내홈(12)과 걸림부(21)의 안내홈으로 끼워지면서 걸림돌기(73)가 경사면(21c)에 접촉되면서 하강하면 경사면(21c)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 경사면(21c)이 밀려 들어가면 일체로 이루어진 걸림부(21)의 돌기(21a) 부분이 동시에 밀려 들어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에 걸려 있던 상태가 해지된다. 이때 해체구(7)를 들어올리면 단자함(2)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더욱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해체구(7)의 지렛대(71)에 원활한 접촉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곡면부(71a)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렛대(7)에 고정된 손잡이(72) 하단에 장착되어 손잡이(72)와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곡면부(71a)에 접촉되어 지렛대(71)의 걸림돌기(73)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내경 접지면(81)을 갖는 캠판(8)을 마련하게 된다. 또한, 도 6a 및 7a에서와 같이 해체구(7)의 지렛대(71) 수직부분을 절개하고 상측 모서리부분을 천공하며, 상기 지렛대(71)의 수직부분에 핀(91)으로 고정되면서 그 선단의 내측은 돌기(92)가 형상되고 그 상단은 상기 지렛대(71)에 천공된 모서리부분으로 관통되어 연장되면서 고무밴드(93)를 상단에 결합시킨 제2 지렛대(9)를 마련하고, 상기 지렛대(7)의 손잡이(72)에 장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제2 지렛대(9)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밀어내는 외경 접지면(81')을 갖는 캠판(8')을 마련하여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더욱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는 도 2a에서와 같이 케이스(1)에 단자함(2)이 결합되어 단자함(2)의 연결단자(3)가 케이스(1)의 소켓(5)에 끼워져 접속되고, 단자함(2)의 걸림부(21)에 형성된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되며, 도 1a 및 3a에서와 같이 케이블(4)이 삽입홈(13)에 끼워진 후 탄성부재(6)로서 마감하여 케이블(4)이 당겨지거나 삽입홈(13)으로부터 케이블(4)이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는 케이블(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연결단자(3)로부터 단락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형성된 홈부(61)가 케이블(4)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블(4)을 고정하기 위한 길이(L)가 도 1에서와 같이 짧으면 케이스(1)에 형성된 걸림홈(13a)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날개(62)가 걸림과 마찰력의 증대시킴으로서 이탈을 방지하여 케이블(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케이블(4)을 고정하기 위한 길이(L')가 도 3에서와 같이 길면 탄성부재(6)의 마찰력이 높으므로 케이스(1)의 개방부분보다 크게 지름을 형성한 삽입홈(13)으로 봉 형상의 탄성부재(6)를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케이블(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미도시된 안테나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하여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탄성부재(6)를 케이스(1)의 삽입홈(13)에서 빼내고 해체구(7)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해체구(7)를 이용하여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도 2b에서와 같이 해체구(7)의 지렛대(71) 자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73)를 케이스(1)의 안내홈(12)과 단자함(2)의 안내홈(21b)으로 삽입시키면서 손잡이(72)를 계속 누르면 걸림돌기(73)가 경사면(21c)에 접하여 이동하다가 경사면(21c)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상태는 걸림돌기(73)와 지렛대(71)가 경사면(21c) 접촉되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로서 단자함(2)의 걸림부(21)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상태가 해지된 상태가 된다. 상기 걸림부(21)의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걸림 상태가 해지되면 곧 손잡이(72)를 들어올리면 단자함(2)이 케이스(1)와 분리된다. 상기 과정에서 걸림부(21)의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걸림 상태가 쉽게 해지되는 것은 안내홈(21b)에 형성된 경사면(21c)의 높이 만큼 걸림부(21)의 돌기(21a)가 내측으로 쉽게 이동하여 이격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해체구(7)를 이용하여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도 5a 및 5b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5c의 횡단면도에서와 같이 지렛대(71)에 곡면부(71a)를 형성하고, 손잡이(72)의 하단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접지면(81)을 갖는 캠판(8)을 작동시키면, 도 5c와 같이 캠판(8)의 접지면(81)이 지렛대(71)의 곡면부(71a)에 접촉하여 걸림돌기(73)의 위치를 T의 거리에서 T'의 거리로 내측으로 좁아지게 되어 단자함(2)의 걸림부(21)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상태가 해지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상태에서 곧 손잡이(72)를 들어올리면 단자함(2)이 케이스(1)와 분리된다. 반대로 손잡이(72)를 역회전시켜 캠판(8)의 접지면(81)을 지렛대(71)의 곡면부(71a)와 이격시키면 지렛대(71)의 자체 탄성력에 위하여 원상태로 벌어져 단자함(2)의 안내홈(21b)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해체구(7)를 이용하여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도 6a 및 6b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7a 및 7b의 횡단면도에서와 같이 지렛대(71)에 장착된 제2 지렛대(9)를 손잡이(72)에 장착된 외경 접지면(81')를 갖는 캠판(8')으로 작동시키면, 도 6b와 도 7b에서와 같이 캠판(8')의 접지면(81')이 제2 지렛대(9)의 내측 면에 접촉하여 제2 지렛대(9)의 상측을 벌리면 제2 지렛대(9)는 핀(91)을 중심으로 돌기(92) 부분이 좁아지면서 단자함(2)의 걸림부(21)를 압착하여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21a)가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 상태가 해지됨과 동시에 고정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곧 손잡이(72)를 들어올리면 단자함(2)이 케이스(1)와 분리된다. 반대로 손잡이(72)를 역회전시켜 캠판(8')의 접지면(81')을 도 7a 상태로 회전하면 제2 지렛대(9)의 상단부분이 고무밴드(93)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좁아지고 핀(91)을 중심으로 돌기(92) 부분이 벌어져 단자함(2)의 안내홈(21b)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자함(2) 분리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케이스 11: 걸림홈
12: 안내홈 13: 삽입홈
13a: 걸림홈 2: 단자함
21: 걸림홈 21a: 걸림부
21b: 안내홈 21c: 경사면
3: 연결단자 4: 테이블
5; 소켓 6: 탄성부재
61: 홈부 62: 날개
7: 해체구 71: 지렛대
72: 손잡이 73: 걸림돌기
71a: 곡면부 8,8': 캠판
81,81': 접지면 9: 제2 지렛대
91: 핀 92: 돌기
93: 고무밴드

Claims (4)

  1.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케이블(4)의 끝단을 접속하는 연결단자(3)를 내부에 배치하고 자유단에 돌기(21a)가 형성된 걸림부(21)를 양측에 형성한 단자함(2)과, 상기 단자함(2)을 매립시키면서 연결단자(3)가 접속되도록 소켓(5)이 장착되는 케이스(1)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의 걸림턱(11)으로부터 단자함(2)의 걸림부(21) 자유단의 돌기(21a)를 이격시켜 단자함(2)을 케이스(1)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체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단자함(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21)의 중앙부분에는 자유단에 형성된 돌기(21a)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삽입되는 해체구(7)의 지렛대(31)가 끼워지도록 안내홈(21b)을 형성하되 하단부로 이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21c)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에는 단자함(2)의 안내홈(21b)과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홈(1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자함(2)의 연결단자(3)에 접속된 케이블(4)을 고정하기 위하여 끼워지도록 선단을 개방시키면서 내측으로 호형 삽입홈(13)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삽입홈(13)에 끼워져 개방부분을 폐쇄하면서 케이블(4)을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반호형 홈부(61)를 갖는 탄성부재(6)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함(2)을 분리시키는 해체구(7)의 지렛대(71) 중앙에는 손잡이(72)를 결합시키며 선단 내측으로는 걸림돌기(7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3)의 지름을 개방부분보다 크게 형성하여 큰 지름의 삽입홈(13)에 끼워지는 탄성부재(6)가 개방부분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거나,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3)의 양측으로는 걸림홈(13a)을 형성하고 탄성부재(6)의 양측으로는 상기 걸림홈(13a)으로 끼워지는 날개(62)를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구(7)의 지렛대(71)에 곡면부(71a)를 형성하고, 상기 지렛대(7)의 손잡이(72) 하단에 장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곡면부(71a)에 접촉되어 내측으로 압착하는 내경 접지면(81)을 갖는 캠판(8)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구(7)의 지렛대(71) 수직부분을 절개하고 상측 모서리부분을 천공하며, 상기 지렛대(71)의 수직부분에 핀(91)으로 고정되면서 그 선단의 내측은 돌기(92)가 형상되며 그 상단은 상기 지렛대(71)에 천공된 모서리부분으로 관통되어 연장되면서 고무밴드(93)를 상단에 결합시킨 제2 지렛대(9)를 마련하고, 상기 지렛대(7)의 손잡이(72)에 장착되어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제2 지렛대(9)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밀어내는 외경 접지면(81')을 갖는 캠판(8')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KR1020100010814A 2010-02-05 2010-02-05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KR10107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14A KR101074700B1 (ko) 2010-02-05 2010-02-05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14A KR101074700B1 (ko) 2010-02-05 2010-02-05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32A true KR20110091132A (ko) 2011-08-11
KR101074700B1 KR101074700B1 (ko) 2011-10-19

Family

ID=4492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14A KR101074700B1 (ko) 2010-02-05 2010-02-05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7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769A (zh) * 2020-04-14 2020-07-10 西安易恩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功率半导体器件高温测试工装
CN111398770A (zh) * 2020-04-14 2020-07-10 西安易恩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防护结构的功率半导体器件测试工装
CN112072272A (zh) * 2020-09-03 2020-12-11 顶点科技襄阳有限公司 多频段吸盘天线
CN114563202A (zh) * 2022-02-15 2022-05-31 中国航天标准化研究所 一种火箭根部弯矩监测系统的电缆脱开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3364B (zh) * 2018-09-10 2021-01-12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阵列天线测试系统工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49Y1 (ko) 1999-07-02 2000-02-15 김영종 무선원격 검침용 수도미터기와 관련기기에 부설시킨 장치{.}
KR200404384Y1 (ko) 2005-07-29 2005-12-22 곽순이 다용도 구조용 들것의 결합 해체용 분리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8769A (zh) * 2020-04-14 2020-07-10 西安易恩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功率半导体器件高温测试工装
CN111398770A (zh) * 2020-04-14 2020-07-10 西安易恩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带防护结构的功率半导体器件测试工装
CN112072272A (zh) * 2020-09-03 2020-12-11 顶点科技襄阳有限公司 多频段吸盘天线
CN112072272B (zh) * 2020-09-03 2023-12-15 顶点科技襄阳有限公司 多频段吸盘天线
CN114563202A (zh) * 2022-02-15 2022-05-31 中国航天标准化研究所 一种火箭根部弯矩监测系统的电缆脱开系统
CN114563202B (zh) * 2022-02-15 2023-10-27 中国航天标准化研究所 一种火箭根部弯矩监测系统的电缆脱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700B1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700B1 (ko)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EP2385588A1 (en) Safe electrical outlet
CN2938525Y (zh) 无线插拔式不间断电源箱结构
CN209641952U (zh) 一种防静电的连接器
CN206302012U (zh) 一种易插拔插头
KR20160133663A (ko)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CN207834980U (zh) 一种便于拆装的集线装置
CN204008777U (zh) 易拆装电表箱
CN103427187B (zh) 电插线连接器
CN102544821B (zh) 便携式插销插座
WO2019037357A1 (zh) 连接器
KR101624298B1 (ko) 공동주택 지중배전용 스페이서 고정장치
CN105428934B (zh) 一种圆形吸顶安装盒
KR101068491B1 (ko)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CN108110489B (zh) 一种紧固件分离式线束连接器
CN204129090U (zh) 插拔式电能表
CN203984845U (zh) 一种带自锁功能的电器盒组件
CN210665861U (zh) 一种防雨型验电器
CN204230330U (zh) 一种电池安装结构
CN206340725U (zh) 一种安全插座
CN218713299U (zh) 一种具有防呆安装结构的智能窨井盖装置
KR100758420B1 (ko) 자동분리가 가능한 컨트롤 케이블 잭
CN209401924U (zh) Hdmi连接器
CN220253033U (zh) 一种可以快速装配的开合式电流互感器
CN216902638U (zh) 一种用于全固态中波发射机的切换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