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91B1 -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91B1
KR101068491B1 KR1020090047357A KR20090047357A KR101068491B1 KR 101068491 B1 KR101068491 B1 KR 101068491B1 KR 1020090047357 A KR1020090047357 A KR 1020090047357A KR 20090047357 A KR20090047357 A KR 20090047357A KR 101068491 B1 KR101068491 B1 KR 10106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se
piece
elastic pie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762A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영 filed Critical 김준영
Priority to KR102009004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케이스에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막대형 또는 매립형 안테나의 연결부와 케이스의 연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각 연결부에 걸림홈(걸림편) 및 탄성편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을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해체구로 밀어서 가변시켜 막대형 또는 매립 안테나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 검침기용 케이스의 연결부와, 막대형 또는 매립형 안테나의 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걸림편) 및 탄성편의 상호 걸림에 의해 조립 후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임의로 분리할 수 없어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관리자만 사용하는 해체용 도구를 이용하여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된 안테나의 탄성편을 가변시켜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개량되어 조립이 용이성,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Antenna Locking/Unlocking Structure for Automatic Meter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된 안테나를 편리하게 관리자가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하면서 일반인들은 분리할 수 없도록 한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검침기는 무선통신기술(RF통신을 통해 수집하고 수집된 검침데이터는 중계기인 자동 검침기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단독 또는 복합형 주택,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가스, 온수, 냉수 등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각 계량기에 장착된 수신기로부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검침데이터를 다시 관리자의 저장/관리 서버장치에 전달하여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고 부과할 수 있는 검침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자동 검침기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다수의 검침원에 의하여 가가호호 찾아다니는 방식과 부재중 검침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소 정 지역 다수의 검침데이터를 동시에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상기 자동 검침기는 검침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는 막대 형태의 돌출형이나 매립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의 접속단자는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의 인쇄회로부에 접속되고, 안테나의 접속부분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로 끼움맞춤 또는 나사결합된 후 외부에서 분리 및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안테나의 접속부분이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 내부에 끼움맞춤 또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중 안테나의 불량 또는 파손이 발생할 때에는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를 분리해야만 안테나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안테나 교체시 자동 검침기의 사용이 중지되고, 케이스의 분리 및 결합의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어 교체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검침기의 케이스와 안테나의 결합부분을 간단한 구성으로 개량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 관리자만 사용하는 해체용 도구를 이용하여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된 안테나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하고 일반인들은 분리할 수 없도록 한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는 전 파를 송수신하면서 연결 단자를 갖는 막대형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단자를 접속시키는 소켓이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의 연결부와 케이스의 연결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안테나의 연결부는 평면상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1
" 모양을 이루는 트랙(track) 형태의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연결부는 안테나의 걸림편이 끼워지도록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2
"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홈을 이루면서 안테나가 90도 회전하면 걸림편의 양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리브와, 상기 안테나의 걸림편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안테나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을 안테나의 걸림편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간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작동공간으로 끼워져 안테나의 걸림편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부터 탄성편을 이격시키도록 탄성편을 밀어서 가변시키는 접촉돌기부를 갖는 해체구(解體具)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는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연결 단자를 갖는 매립형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단자를 접속시키는 소켓이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의 연결부와 케이스의 연결부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안테나의 연결부는 측면보다 돌출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내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연결부는 안테나가 삽입되면서 걸림편이 끼워지도록 동일 형태로 홈을 이루면서 안테나 가 삽입되면 걸림편의 내측 관통공으로 끼워지면서 걸림편의 상단에 선단이 걸려 지지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을 안테나의 걸림편 상단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간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작동공간으로 끼워져 안테나의 걸림편으로부터 탄성편을 이격시키도록 탄성편을 밀어서 가변시키는 접촉돌기부를 갖는 해체구(解體具)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검침기용 케이스의 연결부와, 막대형 또는 매립형 안테나의 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걸림편) 및 탄성편의 상호 걸림에 의해 조립 후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임의로 분리할 수 없어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관리자만 사용하는 해체용 도구를 이용하여 검침기의 케이스에 결합된 안테나의 탄성편을 가변시켜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개량되어 조립의 용이성,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접속부분에 연결 단자(4)를 갖는 막대형 안테나(2)와, 상기 안테나(2)의 단자(4)를 접속시키는 소켓(5)이 내부에 장 착되는 케이스(1)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2)의 연결부(2a)와 케이스(1)의 연결부(1a)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미도시된 통상적인 전원공급용 AC/DV 변환기, 예비 축전지 및 제어회로부가 내장되고 접속된 안테나(2)를 통해 주변의 소정 거리 이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 가스 또는 수도 계량기의 검침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리 서버장치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막대형 안테나(1)의 연결부(1a)는 도 1 및 도 2의 (A),(B)부분에서와 같이 평면상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3
" 모양의 트랙(track) 형태의 걸림편(21)과, 상기 걸림편(21)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22)은 후술하는 케이스(1)의 연결부(1a)에 형성되는 탄성편(12)의 수량과 동일하게 2개소에 형성하게 되며, 케이스(1)의 연결부(1a)로 삽입되는 안테나(2)의 위치에 관계없이 90도 회전한 후에는 2개의 탄성편(12)이 걸림홈(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편(21)의 양단에 걸림홈(22)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2)과 탄성편(12)의 수량은 2개소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소 또는 3개소에 감소 또는 증설하여 생산의 편리성 및 해체의 편리성을 제공하거나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케이스(1)의 연결부(1a)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이 끼워지도록 평면상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4
"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홈을 이루면서 안테나(2)가 도 2의 (A)의 상태로 끼워진 후 도 2의 (B)의 상태로 90도 회전하면 걸림편(21)의 양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리브(11)와,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선단이 끼워져 안테나(2)의 회전을 정지시켜 고정하는 탄 성편(12)과, 상기 탄성편(12)의 선단을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간(13)을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으로 끼워져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탄성편(12)의 선단을 이격시키도록 탄성편(12)을 밀어서 가변시키는 접촉돌기부(31)를 갖는 해체구(解體具)(3)를 더욱 마련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되었던 걸림홈(22)을 대신하여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걸림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형성되었던 탄성편(12)을 대신하여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탄성편(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는 도 2의 (A)부분의 안테나(2)의 저면 상태로 케이스(1)의 연결부(1a)로 끼워 넣어 단자(4)가 소켓(5)에 접속되면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안테나(2)의 걸림편(21)의 저면이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있는 탄성편(12)의 선단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어서 안테나(2)는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안테나(2)는 도 2의 (B)부분의 상태로 안테나(2)의 걸림편(21)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도 3 및 도 4c에서와 같이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2)으로 탄성편(12)의 선단이 끼워져 안테나(2)가 회전됨을 방지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안테나(2)의 걸림편(21) 양단은 도 4c에서와 같이 케이스(1)의 연결부(1a)에 형성되는 리브(11)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2)가 탄성편(1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는 일반인이 임의로 안테나(2)를 회전할 수 없으므로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사용중 안테나(2)에 손상이 발생할 때에는 도 4d에서와 같이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해체구(3)의 접촉돌기부(31)를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으로 넣어 탄성편(12)을 밀어서 탄성편(12)의 선단을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안테나(2)를 90도 회전시켜 역으로 안테나(2)의 걸림편(21) 양단 케이스(1)의 연결부(1a)에 형성되는 리브(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반대로 도 5에서와 같이 안테나(2)에 탄성편(23)을 형성하고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걸림홈(14)을 형성하여도 도 6a와 같이 안테나(2)의 탄성편(23) 선단이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형성된 걸림홈(14)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 6b와 같이 해체구(3)를 이용하여 안테나(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7a 및 7b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를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의 안테나(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매립형으로서 안테나(2')의 연결부(2a')는 측면보다 돌출된 고리형태의 걸림편(21')과, 상기 걸림편(21')의 내측으로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1)의 연결부(1a')는 상기 안테나(2')가 삽입되면서 걸림편(21')이 끼워지도록 동일 형태로 홈을 이루면서 안테나(2')가 삽입되면 걸림 편(21')의 내측 관통공(22')로 으로 끼워지면서 걸림편(21')의 상단에 선단이 걸려 지지하는 탄성편(12')과, 상기 탄성편(12')을 안테나(2)의 걸림편(21') 상단으로부터 선단을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간(13)을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으로 끼워져 안테나(2')의 걸림편(21')으로부터 탄성편(12')의 선단을 이격시키도록 탄성편(12')을 밀어서 가변시키는 접촉돌기부(31)를 갖는 해체구(解體具)(3)를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첨부된 도 8a 및 8b에서와 같이 매립형 안테나(2')의 연결부(2a')에 형성되었던 걸림편(21')을 대신하여 상기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의 내측 상단이 걸림부(14')가 되도록 대체하고,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형성되었던 탄성편(12')을 대신하여 상기 안테나(2')의 측면부에 탄성편(23')이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는 도 8a에서와 같이 매립형 안테나(2')을 케이스(1)의 연결부(1a)로 끼워 넣어 단자(4)가 미도시된 소켓에 접속되면 도 8b에서와 같이 안테나(2')의 걸림편(21') 내측 관통공(22')으로 끼워지던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있는 탄성편(12')의 선단이 안테나(2')의 걸림편(21')의 상단에 얹혀 안테나(2')의 이탈 방지와 동시에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매립형 안테나(2')가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있는 탄성편(12')의 선단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는 일반인이 임의로 안테나(2')를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실을 방지하게 되고, 사용중 안테나(2')에 손상이 발생할 때에는 도 8b에서와 같이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해체구(3)의 접촉돌기부(31)를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으로 넣어 탄성편(12')을 밀어서 탄성편(12')의 선단을 안테나(2')의 걸림편(21') 상단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안테나(2')를 밀어올려 역으로 안테나(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반대로 도 8a에서와 같이 안테나(2')에 탄성편(23')을 형성하고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의 내측 상단이 걸림부(14')가 되도록 형성하여도 도 8b에서와 같이 안테나(2')의 탄성편(23') 선단이 케이스(1)의 상기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의 내측 상단 걸림부(14')에 걸려 고정되고, 해체구(3)를 이용하여 매립형 안테나(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스의 평면과 안테나의 저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일부 생략하고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a 내지 4d는 도 3의 결합상태를 측면방향 및 전면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6b는 도 5의 실시 예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8a 및 8b는 도 7a의 다른 실시 예로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2': 안테나
3: 해체구 4: 단자
5: 소켓 1a, 2a. 1a', 2a': 연결부
11: 리브 12, 12' : 탄성편
13: 작동공간 14: 걸림홈
14': 걸림부 21, 21': 걸림편
22: 걸림홈 22': 관통공
23: 탄성편

Claims (4)

  1.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연결 단자(4)를 갖는 막대형 안테나(2)와, 상기 안테나(2)의 단자(4)를 접속시키는 소켓(5)이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1)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2)의 연결부(2a)와 케이스(1)의 연결부(1a)가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안테나(2)의 연결부(2a)는 평면상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5
    " 모양을 이루는 트랙(track) 형태의 걸림편(21)과, 상기 걸림편(21)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1a)는 안테나(2)의 걸림편(21)이 끼워지도록 "
    Figure 112009032508562-pat00006
    "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홈을 이루면서 안테나(2)가 90도 회전하면 걸림편(21)의 양단이 걸리도록 돌출된 리브(11)와,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선단이 끼워져 안테나(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탄성편(12)과, 상기 탄성편(12)의 선단을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간(13)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의 작동공간(13)으로 끼워져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탄성편(12)의 선단을 이격시키도록 탄성편(12)을 밀어서 가변시키는 접촉돌기부(31)를 갖는 해체구(3)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22)을 대신하여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걸림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연결부(1a) 내에 형성된 탄성편(12)을 대신하여 상기 안테나(2)의 걸림편(21) 저면에 탄성편(2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7357A 2009-05-29 2009-05-29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KR10106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57A KR101068491B1 (ko) 2009-05-29 2009-05-29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57A KR101068491B1 (ko) 2009-05-29 2009-05-29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62A KR20100128762A (ko) 2010-12-08
KR101068491B1 true KR101068491B1 (ko) 2011-09-28

Family

ID=4350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57A KR101068491B1 (ko) 2009-05-29 2009-05-29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194B1 (ko) 2017-09-21 2021-10-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무선검침기의 내장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를 갖는 무선검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432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JP2002372555A (ja) 2001-03-26 2002-12-26 Hino Jushi:Kk 電力デ−タ取引システムに用いる電力計測ユニット
KR20040046407A (ko) * 2002-11-27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체결구조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432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JP2002372555A (ja) 2001-03-26 2002-12-26 Hino Jushi:Kk 電力デ−タ取引システムに用いる電力計測ユニット
KR20040046407A (ko) * 2002-11-27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체결구조
KR20050047600A (ko) * 2003-11-18 2005-05-23 (주)누리텔레콤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진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62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53349A1 (en) Battery pack containing a rotatable connector
CA2759855C (en) Power metering automatic product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101068491B1 (ko)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착탈구조
KR101074700B1 (ko) 자동 검침기용 안테나 단자함 및 착탈장치
CN2938525Y (zh) 无线插拔式不间断电源箱结构
CN105406297A (zh) 一种智能插座
CN105763686A (zh) 用于安装电话卡的卡托装置及移动设备
CN205646395U (zh) 一种电力转接器
CN105357133A (zh) 一种无线路由器
CN203376857U (zh)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远程抄表系统
CN204008777U (zh) 易拆装电表箱
WO2019037357A1 (zh) 连接器
CN203674450U (zh) 一种带旋转式安全盖的插座
CN207382362U (zh) 一种具有LoRa或NB-IOT功能的终端装置
CN216249413U (zh) 一种高压计量通信装置及高压电能表
CN209071445U (zh) 兼容性电池座及监视器
CN202134688U (zh) 一种焊接牢固小体积大功率电源连接器接头
CN205179592U (zh) 井场数据采集控制箱
CN205039841U (zh) 一种无线路由器
CN213600790U (zh) 一种电磁辐射监测装置
CN217426715U (zh) 一种易于拆装的红外接收头
CN203773103U (zh) 一种用于连接器暂留的停泊装置
CN218543710U (zh) 一种便捷式变电运维监测装置
CN102820522B (zh) 一种无线信号微弱时的处理方法
CN207967367U (zh) 无线中继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