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957A - 물놀이용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용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957A
KR20110089957A KR1020100009483A KR20100009483A KR20110089957A KR 20110089957 A KR20110089957 A KR 20110089957A KR 1020100009483 A KR1020100009483 A KR 1020100009483A KR 20100009483 A KR20100009483 A KR 20100009483A KR 20110089957 A KR20110089957 A KR 2011008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ater
generator
electricity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디앤티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디앤티,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케이디디앤티
Priority to KR102010000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9957A/ko
Publication of KR2011008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5Accessories, e.g. sticks for water wal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물놀이를 하기 위해 타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단체로 탑승할 수 있도록 일자 편대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수대를 연결하여 단체 수상 경주 등과 같은 수상 레포츠로서 즐길 수 있음으로써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명이 협동심 등을 키울 수 있는 단체 운동 및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의 주행시 소요되는 주전력원으로 태양광을 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하거나.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켜서 용이하게 전기로 변환시켜 놀이기구의 프로펠러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자동차의 상단에 탑재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놀이용 놀이기구{Playing apparatus for waterside excursion}
본 발명은 물놀이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물놀이를 하기 위해 타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단체로 탑승할 수 있도록 일자 편대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수대를 상호 연결하여 단체 수상 경주 등의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음과 아울러. 놀이기구의 주행시 소요되는 주전력원으로 태양광을 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하거나.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켜서 용이하게 전기로 변환시켜 놀이기구의 프로펠러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는 물놀이나 레저 등을 위해 보트 등과 같은 놀이기구를 많이 타는데, 이러한 놀이기구는 통상적으로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탑승자가 노를 저어 이동하거나 또는 소형 원동기를 장착하여 추진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트 등과 같은 물놀이용 놀이기구는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물론, 성인들도 노를 젓기가 힘들며, 인원이 많을 경우 더욱 힘들어지고 원활한 추진력을 얻기가 힘들며, 소형 원동기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을 경우 소음 및 공해의 발생과 별도의 디젤이나 휘발유를 사용함에 따른 연료 구입 비용과 원동기의 보수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원지 등에 흔히 보이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는 발만을 사용하여 추진력을 얻어서 움직이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물놀이용 놀이기구는 발에 의한 추진력만으로는 놀이기구의 탑승시 원활한 추진력을 확보할 수 없어서 탑승자가 재미나 흥미를 느끼지 못하므로 인해 놀이기구의 탑승시 최소한의 비용으로 탑승자가 재미나 흥미를 유발하여 즐길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상호 연결하여 단체가 수상 레포츠의 형태로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물놀이를 하기 위해 타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단체로 탑승할 수 있도록 일자 편대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수대를 연결하여 단체 수상 경주 등과 같은 수상 레포츠로서 즐길 수 있어서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명이 단체 운동 및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놀이기구의 주행시 소요되는 주전력원으로 태양광을 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하거나.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켜서 용이하게 전기로 변환시켜 놀이기구의 프로펠러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놀이기구를 자동차의 상단에 탑재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체의 양측에는 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부력체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선체에는 의자가 장착되어 적어도 1명 이상의 승객이 탑승가능하며,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핸들, 방향 키,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등이 구비되어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타기 위한 물놀이용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부력체가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자의 전방에는 탑승자가 양발로 밟아 회전시킴에 따라 선체를 수동으로 주행시킴과 동시에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체 및 부력체에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여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공급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외주면에는 보호 커버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선체의 양측, 전방 선단, 후방 단부 또는 부력체의 내측에 대향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가 삽입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이 각각의 프레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 부재의 양단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연결 블록과, 이 연결 블록 사이의 고정홈을 통해 삽입 고정되며 양측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경사부를 갖는 소경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연결핀 부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대의 선체 및 부력체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1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선체 상단면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 전지모듈과,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 전지모듈에 의해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태양 전지모듈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체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2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페달에 설치된 페달축과 선체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축에 각각 설치되는 체인 기어와, 이 체인 기어의 사이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용 체인과, 상기 발전기축에 장착되어 철심에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와 이 고정자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함에 따라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회전자로 구성된 발전기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체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3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선체의 후방 상단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축 상단의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가 구비되는 풍력 발전기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풍력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풍력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체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4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부력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를 갖는 회전 밴드가 구비되는 부력체 발전기와,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체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부력체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체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발전기는 부력체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의 빈공간에 장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물놀이를 하기 위해 타는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단체로 탑승할 수 있도록 일자 편대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수대를 연결하여 단체 수상 경주 등과 같은 수상 레포츠로서 즐길 수 있음으로써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명이 협동심 등을 키울 수 있는 단체 운동 및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기구의 주행시 소요되는 주전력원으로 태양광을 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하거나. 탑승자가 페달을 회전시켜서 용이하게 전기로 변환시켜 놀이기구의 프로펠러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축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자동차의 상단에 탑재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분 상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적용되는 연결 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분 상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적용되는 연결 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타기 위한 물놀이용 놀이기구는 한 명이 탑승시 하나의 선체(10)의 양측에 선체(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부력체(20)를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여러 명이 단체로 탑승하여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복수대의 선체(10) 및 선체(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부력체(20)를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연결 수단은 상기 선체(10)의 양측, 전방 선단, 후방 단부 또는 부력체(20)의 내측에 대향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30)(40)과, 이 각각의 프레임(30)(40)에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블록(50)(60)과, 이 연결 블록(50)(60)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며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연결핀 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수단의 각각의 프레임(30)(40)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80)가 삽입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32)(42)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30)(40)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블록(50)(6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8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52)(62)이 대응 형성되며, 상기 연결 블록(50)(60)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 부재(70)의 양단이 삽입되는 고정홈(54)(6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4)(64)에 삽입 장착되는 연결핀 부재(70) 양측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경사부(72)를 갖는 소경부(74)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체(10) 상단의 전방 및 후방에는 탑승자가 앉기 위한 의자(80)가 설치되며, 상기 선체(10) 상단의 전방 중앙에는 탑승하여 주행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90)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의자(80) 전방에는 탑승자가 양발로 밟아 회전시킴에 따라 선체(10)를 수동으로 주행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발전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페달(11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전기 공급수단 중 제 1 전기 공급수단으로 상기 선체(10) 상단면의 전방 및 후방 상면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로 변환시키기 위해 집광판과 태양 전지로 구성된 태양 전지모듈(120)이 부착되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에 의해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 공급수단 중 제 2 전기 공급수단으로 상기 페달(110)에 설치된 페달축(112)과 선체(10)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축(102)에는 각각 체인 기어(180)(182)가 설치되며, 이 체인 기어(180)(182)의 사이에는 동력 전달용 체인(190)이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축(102)에는 철심에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104)와 이 고정자(10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함에 따라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회전자(106)로 구성된 발전기(100)가 장착되며,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발전기(1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발전기(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 공급수단 중 제 3 전기 공급수단으로 상기 선체(10)의 후방 상단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축(130) 상단의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210)가 구비된 풍력 발전기(200)가 장착되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가 설치된다.
또한, 전기 공급수단 중 제 4 전기 공급수단으로 상기 부력체(2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공(22) 및 배출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20) 내부의 바닥면에는 내부에 빈공간(352)이 형성된 반구 형상의 지지부(350)가 돌출 형성되며, 이 지지부(350) 내부의 빈공간(352)에는 상기 지지부(350)를 관통하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330)를 갖는 회전 밴드(320)가 구비된 부력체 발전기(300)가 장착되며,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와 배터리(170)의 전기적인 연결은 전선(340)이 순차적으로 프레임(30), 연결 블록(50), 연결핀 부재(70), 연결 블록(60) 및 프레임(40)을 관통하거나, 이 역순으로 관통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150)의 외주면에는 프로펠러(150)가 외부 물체와 접촉하여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로 된 보호 커버(220)가 설치되고, 상기 선체(10)의 선단 하부에는 방향 키(2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타기 위한 물놀이용 놀이기구의 주전력원으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로 변환시켜 축전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햇볕이 있는 야외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체(10) 상단면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부착된 태양 전지모듈(120)을 통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로 변환시키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인버터에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킨 후, 상기 배터리(170)에서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에는 배터리 충전중 또는 충전 완료와 같은 표시 램프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충전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물놀이용 놀이기구에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상에서 타기 위해 탑승하여 상기 제어부(140)를 자동 주행모드로 조작한 후 시동을 켜면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에서 발생된 전기가 저장된 배터리(170)로부터 모터(160)에 공급되어 모터(160)가 구동하게 되므로 상기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켜 자동 주행모드로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탈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탑승한 상태에서 수동 모드로 타기 위해 상기 페달(110)을 탑승자의 발로 밟아 회전시면 상기 선체(10) 상단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핸들(90)의 방향에 따라 물놀이용 놀이기구가 수동 주행모드로 주행하면서 상기 페달(110)에 설치된 페달축(112)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이 페달축(112)에 설치된 체인 기어(180)가 회전하여 이 회전력을 동력 전달용 체인(190)을 통해 상기 선체(10)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축(102)에 설치되어 있는 체인 기어(18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발전기축(102)이 상기 체인 기어(18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물갈퀴(240)가 회전함에 따라 놀이기구가 전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발전기축(102)에 장착된 발전기(100)를 구성하는 고정자(10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 회전자(106)가 상호 생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전기적인 에너지가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하게 되면서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컨버터에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킨 후, 상기 배터리(170)에서 상기 발전기(100)의 구동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함으로써 자동 모드로 탈 때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체(10)의 후방 상단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축(130)의 상단의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210)가 구비된 풍력 발전기(20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개의 회전 날개(210)가 바람 등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로 변환시키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인버터에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킨 후, 상기 배터리(170)에서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탈 때 상기 선체(10)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각각의 부력체(2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유입공(22)을 통해 신속하게 물이 유입되어 상기 부력체(20) 내부의 회전 밴드(320)에 구비된 복수개의 회전 날개(330)가 회전하여 회전 밴드(320)가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부력체 발전기(300)에 설치된 회전축(310)이 회전하면서 상기 부력체(20)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지지부(350) 내부의 빈공간(352)에 장착된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전기로 변환시키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컨버터에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킨 다음, 상기 배터리(170)에서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는 부력체(20)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반구 형상의 지지부(350) 내부의 빈공간(35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부력체(20)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타기 위해 선체(10)의 양측에 부력체(20)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선체(10)의 프레임(30)과 부력체(20)의 프레임(30)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연결 블록(50)(6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54)(64)에 상기 연결핀 부재(70)의 양단을 삽입시킨 후, 상기 프레임(30)(40) 및 연결 블록(50)(6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지지 볼트 삽입공(32)(42)을 통해 각각 지지 볼트(80)를 삽입시켜 체결시키면 상기 연결핀 부재(70)의 경사부(72)는 상기 지지 볼트 삽입공(32)(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볼트(80)는 상기 연결핀 부재(70)의 경사부(72)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 경사부(72)에는 지지 볼트(80)의 하강에 의한 수직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연결핀 부재(70)에 의해 상기 선체(10)의 프레임(30)과 부력체(20)의 프레임(40)을 견고한 상태로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분해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한 조립시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용이하게 분해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상기한 방식에 의해 일자 편대 등의 형태로 상호 연결시켜 다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음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물위에서 협동심과 단결력을 키울 수 있는 단체 수상경주 등과 같은 수상 레포츠로서 즐길 수 있어서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여러 명이 함께 단체 운동 및 즐거운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놀이용 놀이기구는 선체(10)와 부력체(20)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에 싣고 이동시에는 손쉽게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분해하여 자동차의 상단에 고정시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150)의 외주면에는 망체로 된 보호 커버(2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프로펠러(150)가 외부 물체와 접촉하여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필요에 따라 탑승자가 1인 외에, 2인, 4인 등이 탑승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을 상기 선체(10) 상단면의 어느 한 곳에 부착시켜서 제작할 수도 있고, 복수대의 물놀이용 놀이기구를 상호 연결시킬 때 선체(10)의 양측, 후방 단부와 전방 선단을 상호 혼합하여 연결시키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탑승할 수도 있다.
10; 선체 20; 부력체
22; 유입공 24; 배출공
30,40; 프레임 32,42,52,62; 지지 볼트 삽입공
50,60; 연결 블록 56,66; 고정홈
70; 연결핀 부재 72; 경사부
74; 소경부 80; 의자
90; 핸들 100; 발전기
102; 발전기축 104; 고정자
106; 회전자 110; 페달
112; 페달축 120; 태양 전지모듈
130; 지지축 140; 제어부
150; 프로펠러 160; 모터
170; 배터리 180,182; 체인 기어
190; 체인 200; 풍력 발전기
210,330; 회전 날개 220; 보호 커버
230; 방향 키 240; 물갈퀴
300; 부력체 발전기 310; 회전축
320; 회전 밴드 340; 전선
350; 지지부 352; 빈공간

Claims (8)

  1. 선체의 양측에는 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부력체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선체에는 의자가 장착되어 적어도 1명 이상의 승객이 탑승가능하며,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핸들, 방향 키,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 등이 구비되어 바다나 강 등의 수상에서 타기 위한 물놀이용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체(10)에는 부력체(20)가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자(80)의 전방에는 탑승자가 양발로 밟아 회전시킴에 따라 선체(10)를 수동으로 주행시킴과 동시에 발전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페달(11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선체(10) 및 부력체(20)에는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여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공급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펠러(150)의 외주면에는 보호 커버(22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선체(10)의 양측, 전방 선단, 후방 단부 또는 부력체(20)의 내측에 대향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80)가 삽입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32)(42)이 형성되는 프레임(30)(40)과, 이 각각의 프레임(30)(4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지지 볼트(8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지지 볼트 삽입공(52)(6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연결핀 부재(70)의 양단이 삽입되는 고정홈(54)(64)이 형성되는 연결 블록(50)(60)과, 이 연결 블록(50)(60) 사이의 고정홈(54)(64)을 통해 삽입 고정되며 양측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경사부(72)를 갖는 소경부(74)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연결핀 부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복수대의 선체(10) 및 부력체(20)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1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선체(10) 상단면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 전지모듈(120)과,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 전지모듈(120)에 의해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태양 전지모듈(12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2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페달(110)에 설치된 페달축(112)과 선체(10)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발전기축(102)에 각각 설치되는 체인 기어(180)(182)와, 이 체인 기어(180)182)의 사이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용 체인(190)과, 상기 발전기축(102)에 장착되어 철심에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104)와 이 고정자(10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함에 따라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회전자(106)로 구성된 발전기(100)와,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전기(1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발전기(1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3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선체(10)의 후방 상단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축(130) 상단의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회전 날개(210)가 구비되는 풍력 발전기(200)와,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풍력 발전기(2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수단 중 제 4 전기 공급수단은 상기 부력체(20)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지지부(350)를 관통하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330)를 갖는 회전 밴드(320)가 구비된 부력체 발전기(300)와,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생산된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컨버터 및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체(10) 후방의 단부 중앙에 장착된 프로펠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모터(160)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20)의 전방 및 후방 단부에는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공(22) 및 배출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발전기(300)는 부력체(2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350)의 빈공간(35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놀이기구.
KR1020100009483A 2010-02-02 2010-02-02 물놀이용 놀이기구 KR2011008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83A KR20110089957A (ko) 2010-02-02 2010-02-02 물놀이용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83A KR20110089957A (ko) 2010-02-02 2010-02-02 물놀이용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57A true KR20110089957A (ko) 2011-08-10

Family

ID=4492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483A KR20110089957A (ko) 2010-02-02 2010-02-02 물놀이용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99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81B1 (ko) * 2011-09-15 2013-04-19 오명공 슬라이딩 다단계 접이식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축전지비축전력 및 보조발전전력시스템으로 구동하는 선박
KR101296309B1 (ko) * 2012-10-02 2013-08-13 최진욱 수상 자전거
GB2511510A (en) * 2013-03-04 2014-09-10 Justyna Anna Colliander New design to change characteristics of powerboat performance
WO2016093614A1 (ko) * 2014-12-09 2016-06-16 백윤강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KR102152417B1 (ko) * 2019-07-17 2020-09-07 김호영 기능성 태양광 추진 선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981B1 (ko) * 2011-09-15 2013-04-19 오명공 슬라이딩 다단계 접이식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축전지비축전력 및 보조발전전력시스템으로 구동하는 선박
KR101296309B1 (ko) * 2012-10-02 2013-08-13 최진욱 수상 자전거
GB2511510A (en) * 2013-03-04 2014-09-10 Justyna Anna Colliander New design to change characteristics of powerboat performance
WO2016093614A1 (ko) * 2014-12-09 2016-06-16 백윤강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US10300991B2 (en) 2014-12-09 2019-05-28 Mjc Co., Ltd. Variable trimaran using natural power
KR102152417B1 (ko) * 2019-07-17 2020-09-07 김호영 기능성 태양광 추진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544B2 (en) Clean energy powered surfboards
US9688366B2 (en) Clean energy powered surfboards
KR20110089957A (ko) 물놀이용 놀이기구
US20170267042A1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CN103827477A (zh) 包括浮体的发电设备和船舶推进设备以及配置的能折叠和卷曲的翼部件
WO2020228273A1 (zh) 一种游乐船和碰碰车
CN101670889A (zh) 水陆空人力直升飞行器
CN108275254B (zh) 一种便携式水上脚踏艇
CN212914366U (zh) 能够通过发电进行阻力调整的多级阻力式骑行健身车
CN208906775U (zh) 半潜式水上自行车
KR20160024526A (ko) 수상 자전거
CN203609852U (zh) 一种水上旋转游艺机
CN207389514U (zh) 一种直流电力推进的明轮式仿古小型游船
CN208530812U (zh) U型底双差速游泳圈
CN202666284U (zh) 多功能水车健身系统
CN201357932Y (zh) 水上自行车
CN108545154B (zh) 户外旅行用多功能船
KR101279744B1 (ko)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다기능 보트
CN111544835A (zh) 能够通过发电进行阻力调整的多级阻力式骑行健身车和方法
CN109110072A (zh) 半潜式水上自行车
CN2716132Y (zh) 电动推进的水上充气玩艇
CN201198365Y (zh) 蓄电池电动旅游船艇用人力推进明轮
KR102254129B1 (ko) 스피드 수상 자전거
CN103585761A (zh) 一种水上旋转游艺机
CN201165322Y (zh) 多功能游乐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