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954A -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954A
KR20110089954A KR1020100009480A KR20100009480A KR20110089954A KR 20110089954 A KR20110089954 A KR 20110089954A KR 1020100009480 A KR1020100009480 A KR 1020100009480A KR 20100009480 A KR20100009480 A KR 20100009480A KR 20110089954 A KR20110089954 A KR 2011008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attern
eye image
image
left ey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381B1 (ko
Inventor
박성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81B1/ko
Priority to US12/846,255 priority patent/US8514274B2/en
Publication of KR2011008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Abstract

입체 영상의 화질을 보정하기 위한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테스트 패턴 생성부와,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분석부와,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3D imag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영상의 화질을 보정하기 위한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oscopic) 기술을 적용하여 2차원 영상에 깊이 정보를 부가하고, 이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관찰자가 3차원의 생동감과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영상 시스템을 의미한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는 2차원의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의 각각에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양안 시차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관찰자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공되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두 눈의 망막을 통해 각각 인지함으로써, 입체감이 있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입체 영상은 영화관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그에 관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개발된 기술의 한 예로서, 영화관에서,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2대의 영사기를 사용하여 나누어 스크린에 투사하고 관찰자는 편광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입체 영상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2대의 영사기를 시간적으로 동기화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 상에서 두 영상이 적절한 위치를 가지도록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맞추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향후 간단한 과정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의 화질 차이를 동일하게 보정함으로써, 최적의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장치는,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테스트 패턴 생성부와,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분석부와,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패턴 생성부는,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부와,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는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와, 결정된 테스트 패턴의 비디오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비디오 레벨 선택부와, 선택된 비디오 레벨이 다수일 때, 그에 해당하는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와,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의 결정 순서에 따라, 제 1, 제 2 테스트 패턴을 제어하는 테스트 패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의 결정 순서와, 비디오 레벨 선택부의 비디오 레벨 선택은, 디폴트값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테스트 패턴 생성부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하거나, 또는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석부는,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저장하는 제 1 저장부와, 저장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그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추출된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저장하는 제 2 저장부와, 저장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들을 비교하여 차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어, 영상 보정부는,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휘도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와,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색상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보정하는 색상 보정부와,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차단하고,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보정 완료에 따라, 외부 영상 신호의 차단을 해제하는 스위칭부와, 휘도 보정부, 색상 보정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보정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방법은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와,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간의 화질 차이를 동일하게 보정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가장 큰 단점인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과 눈의 피로감(eye fatigu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테스트 패턴 생성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분석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영상 보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6의 테스트 패턴 생성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6의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 추출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에 대한 화질은 현재까지도 그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입체 영상의 시청자에게, 가장 최적의 화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 출하 전에 입체 영상의 테스트를 통해 크로스토크 현상이나 눈의 피로감 현상 등을 최대한 줄이는 작업을 수동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제품이 출하된 이후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내부적 또는 외부적 환경 요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영상의 화질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적 또는 외부적 환경 요인이라 함은 프로젝터 램프의 노화 및 교체에 의한 변화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품 출하 후에 나타나는 화질의 저하를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입체 영상의 화질 보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입체 영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화질 차이를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가장 큰 단점인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과 눈의 피로감(eye fatigu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 블럭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00),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센싱부(400), 분석부(500), 영상 보정부(600)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테스트 패턴 생성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부(210),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230), 제어부(250)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210, 23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0)의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여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에서 결정하는 생성 순서는 제품 출하 전에 미리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제품 출하 후에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는 입체 영상 보정 요청신호가 인가되면, 미리 저장된 순서를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에 알려줄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통해 설정 순서를 문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람 메시지 제공부 또는 알람 창 제공부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로부터 결정된 생성 순서에 따라, 선택된 좌안용 또는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비디오 레벨을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이 가장 우선적으로 생성하기로 결정되면,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에서, 테스트하고자하는 비디오 레벨들을 선택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레드, 그린, 블루, 화이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을 선택하고, 그들의 비디오 레벨 중에서 생성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더 많은 비디오 레벨를 선정하여 테스트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레드, 그린, 블루, 화이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의 테스트 패턴보다 더 많은 수의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면, 테스트 패턴의 보정시간이 너무 긴 단점이 있으며, 레드, 그린, 블루, 화이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의 테스트 패턴보다 더 적은 수의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면, 입체 영상의 화질 향상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물론,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에서도, 제품 출하 전에 미리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제품 출하 후에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로부터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가 1차로 결정되면,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는 미리 저장된 순서를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에 알려줄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통해 설정 순서를 문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람 메시지 제공부 또는 알람 창 제공부는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는 선택된 비디오 레벨이 다수일 때, 그에 해당하는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여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에 결정하는 생성 순서는 제품 출하 전에 미리 디폴트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제품 출하 후에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는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에서 비디오 레벨이 선택되면, 미리 저장된 순서를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에 알려줄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통해 설정 순서를 문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람 메시지 제공부 또는 알람 창 제공부는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알람 메시지 또는 알람 창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은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 256)의 결정 순서에 따라, 제 1, 제 2 테스트 패턴(210, 2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하거나, 또는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할 수 있다.
즉,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구조적 설계에 따라, 테스트 패턴을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00)가 듀얼 엔진(dual engine)을 갖는 입체 영상 프로젝터 시스템이라면, 하나의 프로젝터 내부에 2개의 엔진과 하나의 투사렌즈로 구성되며, 하나의 엔진에서는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다른 하나의 엔진에서는 우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를 생성할 경우,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는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반대로,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를 생성할 경우,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는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300)가 하나의 엔진(dual engine)을 갖는 입체 영상 프로젝터 시스템이라면,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어느 하나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만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그의 정보값이 분석 완료되면, 다음 우선 순위에 따라,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만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구조적 설계에 따라, 테스트 패턴의 생성 방법이 다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0)는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듀얼 엔진(dual engine)을 갖는 입체 영상 프로젝터 시스템일 수도 있고, 하나의 엔진을 갖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센싱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센싱부(400)는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이면 모두 가능한데, 그 중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의 이동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카메라의 경우, 프로젝터의 내부나 또는 외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이동에 따라, 화면 상에 나타나는 영상이 기존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테스트 패턴의 이동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이동된 영상을 자동으로 카메라가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상에서 영상의 이동으로 인하여, 고정된 카메라가 화면의 소정 영역에서 영상을 찍지 못할 경우, 줌(zoom) 기능을 통해, 이동된 영상을 추적하여 영상을 찍을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500)는 센싱부(400)로부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분석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장부(410), 정보 추출부(430), 제 2 저장부(450), 연산부(4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저장부(410)는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저장하고, 정보 추출부(430)는 제 1 저장부(410)에 저장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그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 2 저장부(450)는 추출된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저장하고, 연산부(470)는 저장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들을 비교하여 차값을 연산한다.
즉, 분석부(500)는 센싱부(400)로부터 센싱되는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추출하여 저장하고, 동일한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비교하여 그 차값을 구한다.
여기서, 추출된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은 한 화면상에 구현되는 영상의 전체 휘도 및 색상값일 수 있고, 한 화면상에 구현되는 영상에 대한 각 픽셀의 휘도 및 색상값일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500)의 연산부(470)는 동일한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전체 휘도 및 색상값을 비교하여 차값을 구할 수 있고, 동일한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에 대한 각 픽셀의 휘도 및 색상값을 각 픽셀마다 비교하여 그의 차값을 구할 수도 있다.
이어, 영상 보정부(600)는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영상 보정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보정부(600)는 휘도 보정부(610), 색상 보정부(630), 스위칭부(650), 보정 제어부(67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휘도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휘도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휘도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빼서 낮은 휘도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한다.
또는, 휘도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더하여 높은 휘도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휘도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빼서 낮은 휘도값으로 보정하고, 휘도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더하여 높은 휘도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색상 보정부(63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보정된 색상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색상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색상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빼서 낮은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한다.
또는, 색상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색상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더하여 높은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색상 보정부(61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색상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빼서 낮은 색상값으로 보정하고, 색상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더하여 높은 색상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다음, 스위칭부(650)는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차단하고,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보정 완료에 따라, 외부 영상 신호의 차단을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보정 제어부(670)는 휘도 보정부(610), 색상 보정부(630), 스위칭부(65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장치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체 영상 보정 장치의 수신부(100)가 사용자로부터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10),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는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한다.(S30)
도 7은 도 6의 테스트 패턴 생성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보정부(600)의 스위칭부(650)는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의 영상신호를 차단한다.(S31)
이어,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의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2)는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한다.(S33)
그리고,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의 비디오 레벨 선택부(254)는 생성 순서가 결정된 테스트 패턴의 비디오 레벨을 선택하고,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의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256)는 선택된 비디오 레벨에 해당하는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한다.(S35)
다음, 테스트 패턴 생성부(200)의 테스트 패턴 제어부(258)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부(210) 및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230)를 제어하여, 결정된 생성 순서에 따라,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게 한다.(S37)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디스플레이부(300)는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센싱부(400)는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한다.(S50)
이어, 분석부(500)는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한다.(S70)
도 8은 도 6의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 추출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석부(500)의 제 1 저장부(410)는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저장한다.(S71)
그리고, 분석부(500)의 정보 추출부(430)는 저장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그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추출한다.(S73)
여기서, 추출된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은 한 화면상에 구현되는 영상의 전체 휘도 및 색상값일 수 있고, 한 화면상에 구현되는 영상에 대한 각 픽셀의 휘도 및 색상값일 수 있다.
이어, 분석부(500)의 제 2 저장부(450)는, 추출된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저장하고(S75), 분석부(500)의 연산부(470)는 저장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들을 비교하여 차값을 연산한다.(S77)
다음, 영상 보정부(600)는 연산된 차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S90), 디스플레이부(300)는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10)
즉, 영상 보정부(600)의 휘도 보정부(610) 및 색상 보정부(630)는 연산된 차값에 상응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한다.
여기서, 휘도 보정부(610) 및 색상 보정부(630)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 및 색상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빼서 낮은 휘도 및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한다.
또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 및 색상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만큼 더하여 높은 휘도 및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산부(470)로부터 연산된 차값에 따라,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때,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휘도 및 색상값이 더 높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빼서 낮은 휘도 및 색상값으로 보정하고, 휘도 및 색상값이 더 낮은 테스트 패턴을 연산된 차값의 1/2만큼 더하여 높은 휘도 및 색상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 보정부(600)의 보정 제어부(670)는 스위칭부(650)를 제어하여,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의 보정 완료에 따라, 외부 영상 신호의 차단을 해제한다.
이어, 디스플레이부(300)는 보정된 휘도 및 색상값에 따라,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간의 화질 차이를 동일하게 보정함으로써, 입체 영상의 가장 큰 단점인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과 눈의 피로감(eye fatigu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테스트 패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분석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턴 생성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부;
    상기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는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제 1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
    상기 결정된 테스트 패턴의 비디오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비디오 레벨 선택부;
    상기 선택된 비디오 레벨이 다수일 때, 그에 해당하는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
    상기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의 결정 순서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테스트 패턴을 제어하는 테스트 패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테스트 패턴 생성 순서 결정부의 결정 순서와, 상기 비디오 레벨 선택부의 비디오 레벨 선택은, 디폴트값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패턴 생성부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비디오 레벨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하거나, 또는 비디오 레벨 0인 블랙의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및 소정 비디오 레벨의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을 모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의 이동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저장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그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저장하는 제 2 저장부;
    상기 저장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들을 비교하여 차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휘도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을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
    상기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색상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을 보정하는 색상 보정부;
    상기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보정 완료에 따라, 상기 외부 영상 신호의 차단을 해제하는 스위칭부;
    상기 휘도 보정부, 색상 보정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보정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장치.
  9.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테스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테스트 패턴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을 위한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입체 영상 보정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의 영상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테스트 패턴의 비디오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디오 레벨에 해당하는 테스트 패턴의 생성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테스트 패턴의 정보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테스트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테스트 패턴을 분석하여, 그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휘도 및 색상 정보값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 정보값들을 비교하여 차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정보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정보값에 상응하여,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을 서로 동일하게 보정하는 단계;
    상기 좌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과 우안용 영상 테스트 패턴의 휘도 및 색상값의 보정 완료에 따라, 상기 외부 영상 신호의 차단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휘도 및 색상값에 따라, 상기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보정 방법.
KR1020100009480A 2010-02-02 2010-02-02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65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80A KR101650381B1 (ko) 2010-02-02 2010-02-02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US12/846,255 US8514274B2 (en) 2010-02-02 2010-07-29 Apparatus for compensating 3D image in project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80A KR101650381B1 (ko) 2010-02-02 2010-02-02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54A true KR20110089954A (ko) 2011-08-10
KR101650381B1 KR101650381B1 (ko) 2016-08-23

Family

ID=4434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480A KR101650381B1 (ko) 2010-02-02 2010-02-02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4274B2 (ko)
KR (1) KR101650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883B1 (ko) * 2012-11-14 2014-02-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 감소 방법 및 3차원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 감소 장치
KR101836180B1 (ko) * 2012-04-24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광학 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419A (ko) * 2011-12-01 2013-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마 보정 방법
GB2498954B (en) * 2012-01-3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an object in an image
US11215828B1 (en) * 2018-08-03 2022-01-04 Rockwell Collins, Inc. In field visor characterization for visor projected display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8880A1 (en) * 2004-08-19 2006-02-23 Microsoft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20070188602A1 (en) * 2005-05-26 2007-08-16 Matt Cowan Projection of stereoscopic images using linearly polarized light
US7538876B2 (en) * 2006-06-12 2009-05-26 The Boeing Company Efficient and accurate alignment of stereoscop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915B2 (ja) * 1991-12-28 2002-07-08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
US7495679B2 (en) * 2005-08-02 2009-02-24 Kolorific,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a color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8880A1 (en) * 2004-08-19 2006-02-23 Microsoft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20070188602A1 (en) * 2005-05-26 2007-08-16 Matt Cowan Projection of stereoscopic images using linearly polarized light
US7538876B2 (en) * 2006-06-12 2009-05-26 The Boeing Company Efficient and accurate alignment of stereoscopic displa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180B1 (ko) * 2012-04-24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광학 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4883B1 (ko) * 2012-11-14 2014-02-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 감소 방법 및 3차원 입체 영상의 크로스토크 감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381B1 (ko) 2016-08-23
US20110187835A1 (en) 2011-08-04
US8514274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380B1 (ko) 다면 상영을 위한 영상 보정 시스템 및 방법
US10148930B2 (en) Multi view synthesis method and display devices with spatial and inter-view consistency
CA2767387C (en) Method and system for brightness correction for three-dimensional (3d) projection
US9355455B2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US10511823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video display system, and video display method
US20130002660A1 (en)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WO2014103158A1 (ja) 映像表示方法
US20020021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aglyphic 3-D images
KR101650381B1 (ko) 입체 영상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11211450A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撮像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CN111464801B (zh) 一种振镜调整装置、系统、方法及投影仪
KR101455662B1 (ko) 다면 상영을 위한 영상 보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6123079A (ja) 投影装置及び投影方法
US20120127167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201300790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13175A1 (ja) 立体表示装置、立体表示システム
JP20120496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CN114885146B (zh) 基于大屏幕的多机位虚拟融合方法及系统
TWI502959B (zh) 三維動態影像補償方法與裝置
US20120127166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CN10546825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JP2012129711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455876B2 (ja) 立体映像処理装置、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処理方法
KR101651132B1 (ko) 3차원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2011228765A (ja) プロジェ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