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110A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Transpar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110A
KR20110089110A KR1020110009845A KR20110009845A KR20110089110A KR 20110089110 A KR20110089110 A KR 20110089110A KR 1020110009845 A KR1020110009845 A KR 1020110009845A KR 20110009845 A KR20110009845 A KR 20110009845A KR 20110089110 A KR20110089110 A KR 20110089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recognition
training
point
recogn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82590B1 (en
Inventor
유남구
Original Assignee
유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구 filed Critical 유남구
Publication of KR2011008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09B17/04Teaching reading for increasing the rate of reading; Reading rate contro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09B17/003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recognition training inducement apparatus using a transparent display is provided to perform brain training from brainwave synchronization and improve eyeball muscular strength,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visual and recognition ability without existed computer equipments for the training. CONSTITUTION: An eyeball recognition and rapid reading ability is improved from following procedures. One of moving methods of a recognition point(310,320,330,340) for an eyeball recognition training is selected in a control part. A light emitting point comprised in a lens of glasses or one of recognition points which is able to be recognized by the eyeball is moving following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Description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지훈련 유도장치{TRANSPARENT DISPLAY DEVICE}Cognitive training induction device using transparent display {TRANSPAR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이용하여 속독훈련과 안구의 인지훈련을 할 수 있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에 특징이 있는 속독훈련과 안구의 인지훈련방법과 안구의 인지훈련 및 속독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using a transparent display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for enabling fast reading and eye cognitive training using light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Training and eye cognitive training method and eye cognitive training and speed reading training device.

뇌의 주의력 시스템의 비밀을 파헤쳐 보면 인간은 누구나 변화 인식 장애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한 장면에서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때 눈에 보이는 큰 변화를 놓친다는 것이고 우리는 종종 분명하고 확실한 변화를 보지 못하는데 이는 뇌의 부분 활용도가 나뉘어서 눈으로 수많은 정보를 보면서도 뇌의 주의력 시스템은 어떠한 것을 볼지 개인의 습성과 상황에 맞는 핵심적 요소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Digging into the secrets of the brain's attention system, everyone has a change-awareness disorder. This means that we miss the big change when we move from one scene to the next, and we often don't see any obvious and obvious changes, because the brain's partial utilization is divided so that the eye's attention system will see what the brain's attention system will see. This is because it selects key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habits and situations.

이러한 뇌의 주의력 시스템을 근간으로 개인 습성에 맞는 인지 능력 훈련 방법을 활용한다면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되며 단 한번 보는 것만으로도 중요한 것을 선택 할 수 있도록 능력이 생긴다. 나머지 부분은 그저 배경 화면에 불과하고 오직 하나에 집중 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것인데 또한 역으로 생각해 보면 주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빠르게 대처 할 수 있는 능력도 증진 시킨다 할 수 있다.Based on the brain's attention system, if you use cognitive training methods that suit your personal habits, you will be able to focus on one thing and have the ability to choose what's important just by looking at it. The other part is just a background screen and induces you to focus on only one, and conversely, it can also improve your ability to respond quickly and actively to changes in your surroundings.

그런데 종래의 인지 능력 향상 기술은 컴퓨터의 모니터나 액정화면을 이용한 기술로 컴퓨터가 없는 경우 활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gnitive enhancement technology is a technology using a computer monitor or LCD screen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use when there is no computer.

또한, 눈이 쉽게 피로하고 실질적으로 책을 읽으면서 직접 패턴을 적용 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기대를 가지고 훈련을 시작하더라도 실제로 적용하기 힘들어 대부분이 눈 훈련조차 제대로 실행해 보지도 못하고 그만두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eyes are easily tired and practically can not apply the pattern directly while reading a book. In other words, even if the user starts the training with the expectation, it is difficult to actually apply, and most of them have a problem that the eye training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또한 장기간 눈을 많이 사용하여 쉽게 지치고 피곤해지는 눈을 보호해야할 필요가 있다.You also need to protect your eyes from getting tired and tired by using a lot of eyes for a long time.

속독능력과 안구의 인지능력은 하루 동안에 시각을 통해 받아들여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능력이다. 이러한 속독능력과 안구의 인지능력을 기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속독은 기본적으로 행과 행 사이를 읽는 독서법으로 이러한 독서법을 하기 위하여는 안구의 운동이 필수적이다. 속독의 원리는 우리의 눈이 글자 한 자에 시점(視點)을 주면 우리의 뇌는 그 글자의 발음기호를 먼저 상기하여 글자의 속발음(음독, 묵독)을 한 뒤 속발음의 자극이 뇌에 전달되면 그때서야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러한 단어를 연결하여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였기 때문에 독서속도가 느려짐은 물론 독해능력에도 많은 지장이 있었다. 이러한 수동적 독서에서는 1분간에 통상 400∼800자밖에 읽고 이해하지 못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보통 사람의 망막(網膜)에 어떤 영상(映像)이 비치는 시간은 50분의 1초이며, 1초에 30∼40의 영상을 잡는다고 한다. 한 글자를 보고 지각(知覺)할 수 있는 시간은 약 0.033∼0.025초가 되는데, 이와 같은 이론에서 책을 읽을 때(간격 30∼40cm) 1분간 독서능력의 평균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초 30글자 60초=1,800자, 1초 40글자 60초=2,400자, 평균값 4,200/2= 2,100자 즉, 보통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최대능력의 글자수는 2,100자가 된다. 그러나 이것은 최대능력일 뿐, 실제로 독서속도를 검사한 결과는 400∼800자밖에 못 읽고 이해하지 못한다. 이것을 최대능력인 2,100자까지, 나아가서는 그 몇 배까지라도 독서능력을 끌어올리려는 것이 속독법이다. 그 원리는 한마디로 말해서 인간의 눈과 두뇌의 잠재능력 개발이다. 눈의 간상세포(杆狀細胞), 추상세포(錐狀細胞) 및 기타 기능을 개발하고 두뇌의 약 140억 개에 달하는 세포 중 미개발상태에 있는 뇌신경 세포에 자극을 주어 컴퓨터의 전자회로처럼 새로운 회로를 형성시켜 활자를 한 자, 두 자가 아닌 두 줄, 세 줄, 그 이상(여러 글자를 한꺼번에)을 보고도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적응시키는 일이다. 즉, 카메라가 500분의 1, 1,000분 1초에 영상을 정확히 포착하듯이 짧은 순간에 많은 활자를 뇌가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속독은 가능하다. Speed reading and eye cognition are necessary for modern people who hav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o receive visually during the day. Various methods and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develop such speed reading and eye cognition. Speed reading is basically reading between lines, and eye movement is essential for this reading. The principle of speed reading is that if our eyes give a point to a letter, our brain first reminds us of the phonetic sign and then starts to pronounce the letter. Only then did they grasp the meaning of the words and connected the words to grasp the meaning of the sentences, which slowed down the reading speed and had many problems in their reading ability. In this passive reading, you can only read and understand 400-800 words in one minute. In more detail, it is said that the time that an image is reflected in the retina of an average person is one-fifth of a second, and it captures 30-40 images per second. The time that can be perceived by one letter is about 0.033 ~ 0.025 seconds. The average value of reading ability is 1 minute when reading a book (interval 30 ~ 40cm). 1 second 30 characters 60 seconds = 1,800 characters, 1 second 40 characters 60 seconds = 2,400 characters, average value 4,200 / 2 = 2,100 characters, that is, the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that the average person can read and understand is 2,100 characters. However, this is only the maximum ability, the actual reading speed test results can only read and understand 400-800 words. The speed reading method is to increase reading ability up to 2,100 words, and even several times its maximum capacity. In short, the principle is the development of the potential of the human eye and brain. It develops rods, abstract cells, and other functions of the eye, and stimulates undeveloped brain nerve cells out of the 14 billion cells in the brain, creating new circuits like computer electronic circuits. It is to make a letter so that it reads, understands, and remembers one letter, two lines, three lines, and more (multiple letters at once). In other words, speed reading can be done by allowing the brain to process many types of text in a short time, just as the camera captures images accurately in 500/1000 / second.

속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속독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발단계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 ① 집중력의 개발:정신을 고도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의 훈련, 즉 인간의 뇌파(腦波)를 β(beta)파 상태에서 α(alpha)파 상태로 낮추어 글을 읽고 이해하게 한다. ② 시폭(視幅)의 확대 개발:망막 후면의 시세포(視細胞) 중 황반부(黃斑部) 주변에 있는 막대 모양의 시세포인 간상세포를 개발하여 동시에 많은 활자를 눈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③ 시지각능력(視知覺能力)의 개발:황반부의 추상세포를 개발하여 많은 활자를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눈으로 활자를 보는 순간, 뇌에서 판독작용(判讀作用)이 일어나게 하는 목독(目讀)의 훈련이다. ④ 뇌 기능의 활성화(活性化):인간의 뇌세포 중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던 뇌세포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회로를 형성,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동시 처리하도록 한다. ⑤ 이해능력의 개발육성:지금까지 읽고 이해하던 방법이 아니고, 눈에서 받아들인 활자의 자극을 뇌에서 순간적으로 과거기억을 상기시켜 비교,분석한 후 이해하는 능력의 개발을 위한 훈련이다. 이상의 각 개발단계를 과학적으로 연구된 훈련교재에 의하여 속독기능을 익히게 되는데, 그 교재로 영어 속독, 한글 속독에 따라, 또는 횡서(橫書), 종서(縱書)에 따라 달리한다. Speed reading is done in the following way: You must be trained in the following stages of development to be able to read quickly. ① Development of concentration: Training in the state of high concentration of mind, that is, human brain waves (뇌 波) from β (beta) wave state to α (alpha) state to read and understand the text. ② Expanded development of eye width (視 幅): The development of rod cells, rod-shaped eye cells around the macula of the eye cells in the back of the retina, to receive a lot of type at the same time. ③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ability (視 知覺 能力): Develop abstract cells of the macula so that many types of perception can be perceived. In other words, the eye reads the letterpress, the reading of the brain (判讀 作用) is the training of the throat (目 讀) to occur. ④ Activation of brain function (活性 化): Human brain cells to stimulate the brain cells that have not been used until now to form a new circuit to process a lot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n a short time. ⑤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skills: It is not a method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until now, but it is a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skill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st stimulation of the brain momentarily by reminding the past memory in the brain. Each of the above stages of development is learned by the scientifically-trained training textbooks, which vary depending on English readings, Korean readings, or on the right and on the other.

상기의 속독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동체시력이 중요하다. 동체시력을 향상시키고 안구의 움직임을 빠르게 만들기 위한 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안구의 운동능력을 강화하는 기술이 있다.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speed reading method, firstly, visual acuity is important. The device for improving visual acuity and making eye movements fast is a technique for enhancing eye movement using a computer display.

종래의 기술은 컴퓨터의 모니터나 액정화면을 이용한 기술로 컴퓨터가 없는 경우 활용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발광을 하는 방식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다른 별도의 움직임 없이도 안구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어 사용자는 별도의 움직임 없이 보는 것만으로 훈련이 가능하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 technology using a computer monitor or LCD screen, it is difficult to use when there is no computer.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emitting light, the user gives a direct stimulus to the eye without any other movement directly, the user can train just by watching without a separate mov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한 속독훈련 방법 및 안구의 인지능력 훈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 reading method and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method of the eye using a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속독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속독훈련장치와 안구의 인지능력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ed reading training device for providing the speed reading training method and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device of the ey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0여가지 이상의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 방안을 통해 속독 훈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퇴행, 집중력 부재 요인을 개선하고, 주시안과 비주시안의 교정이 가능하며, 뇌파 동조를 통해 뇌 훈련을 수행하고, 안구 근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시각 및 인지 능력을 종래처럼 컴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또한 사용자의 자의적인 의지를 수반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than 20 various training program schemes can improve regression and lack of concentration, which have a negative effect on speed reading training, and correct correction of circumference and non-viscidence, and brain training through EEG tun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visual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without having a computer as in the prior art and without involving the user's willingness by improving the eye muscle streng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훈련방법 및 안구의 인식능력 훈련장치에 따르면 개인이 휴대가 가능한 안경에 발광을 할 수 있는 기능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장치를 포함하여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 또는 발광점을 이용하여 안구운동을 할 수 있게 해 속독을 가능하게 하고 안구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bility us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ye recognition ability training apparatus, the individual can carry light on glasses that can be carried. Enabling fast eye movements by enabling eye movement using the recognition point or the light emitting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including a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or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mprove your skills.

따라서, 속독을 하기 위한 안구의 운동능력 및 동체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 눈을 고르게 사용함으로써 안구의 인식능력 및 속독능력을 향상시킨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eye movement ability and visual acuity for speed reading, and to improve eye recognition ability and speed reading ability by using both eyes eve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핀홀구멍과 안구의 좌우 운동을 하기 위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나타낸 일예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핀홀구멍과 두 개의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한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훈련을 나타낸 일예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안의 두 개의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용하여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훈련을 나타낸 일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 안경렌즈에 정보를 도시하고 우측렌즈에 두 개의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두어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훈련을 하는 일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 빔의 출력예를 나타낸다.
1 is an example showing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ball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inhole hole and the eyeball to strengthen the eye mus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showing fast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using a pinhole hole and two recognition points for recognizing eyeb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showing the speed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us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wo eyes of both ey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by showing information on a left spectacle lens and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wo eyes on a righ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of FIG. 3.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of FIG. 7.
9 shows an example output of a recognition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특정 형태의 외관을 가지고, 배터리 전원 또는 콘센트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자 장치이다. 예컨대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스탠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specific form of appearance and operates by being supplied with battery power or outlet power. For example,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tan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이러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지식 습득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인식자를 통해 속독훈련과 안구의 인지훈련 및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책 등의 대상물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함께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This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performs functions that help to acquire knowledge, and recognizes the information needed by the user by interlocking objects such as books through fast reading training, eye cognitive training, and pre-stored data through recognizers. It is a device to make it possible.

또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시각 능력에 따라 가장 적합한 시야 위치를 인식자를 통해 알려주어 시야 중심과 주변부 시야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하도록 이끄는 인지 훈련을 제공하고, 시야의 위치는 개개인의 안구 활용 능력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패턴을 부여한다.In addition,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provides the cognitive training that guides the viewer to the most suitable field of view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ability, thereby enabling the most efficient use of the center of vision and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The most effective patterns are given according to the ability to use.

또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대상물에 인식자 이외에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In addition,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is a device that provides a combination of various visual images in addition to the recognizer to the object.

또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통해 기억 탐색과 공간적 작업 기억의 상호간섭으로 뇌의 안구 영역을 활성화 인지 영역을 발달시키는 장치이다.In addition,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is a device that develops the cognitive area that activates the eyeball area of the brain through mutual interference of memory search and spatial working memory through various visual images.

이러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가 수행하는 인지 훈련은 속독 훈련, 안구 훈련 등을 포함한다.Cognitive training performed by thes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s includes speed reading training, eye training, and the like.

여기서, 속독 훈련은 안구의 행간 운동에 기초하며 학습자가 빨리 기억하고 필요한 때에 언제든지 기억해 낼 수 있으며 적은 시간에 많은 단어를 기억할 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문자를 빠른 시간 내에 인지할 수 있도록 집중력 향상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Here, the speed reading training is based on the interline movement of the eyeball, the learner can quickly remember and remember at any time when needed, and not only to remember many words in a short time but also to improve long-term memory ability. Specifically, the program is composed of a program for helping to improve concentr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letter in a short time.

또한, 안구 훈련은 주변 시야를 활성화시켜 한 번에 많은 문장을 보게 하는 훈련으로서, 시폭 확장 훈련, 안구 스트레칭 훈련, 시점 이동 훈련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시폭 확장 훈련은 눈으로 보는 시야의 좌우 및 상하의 폭을 넓혀주어한번에 보는 시야의 범위를 최대한 넓혀서 많은 문자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좌우의 시야를 넓혀주기 위해 좌측에 세로로 5개의 점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러한 점들을 보게 하여 시폭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ye training is a training for activating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to view a large number of sentences at a time, and consists of time-expanding training, eye stretching training, viewpoint movement training,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time-expansion training is a training to widen the left and right and top and bottom of the visual field of view so that many characters can be seen by widening the range of the visual field at once. In order to widen the left and right field of view, five points on the left sid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se points can be viewed to obtain the effect of expanding the time span.

한편,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가 수행하는 시각 훈련은 안구 근력 훈련 및 시안 교정 훈련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visual training performed by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includes eye muscle strength training and cyan correction training.

여기서, 안구 근력 훈련은 안구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으로, 안구 가로 훈련, 안구 세로 훈련, 안구 사선 훈련, 안구망 훈련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ye muscle strength training is a training for improving the eye muscle strength, and may include eyeball traverse training, eyeball longitudinal training, eyeball oblique training, eye network training, and the like.

또한, 시안 교정 훈련은 주시안과 비주시안은 색을 인식하는 수준이 서로 다르므로, 명도, 색상, 채도 대비를 통해 비주시안을 강화하는 훈련이다.In addition, the cyan correction training is a training to reinforce the non-viscian through the brightness, hue, saturation contrast because the cyan and non-viscian are different in color recognition.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자 형태, 점멸, 이동, 점멸 및 이동 방향/속도, 출력되는 광량, 출력 주기, 출력 위치, 색상을 포함하는 인식자의 출력 특징을 조합하여 상술한 훈련 효과를 제공한다.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combines the output features of the recognizer including the recognizer shape, blinking, moving, blinking and moving direction / speed, amount of light output, output period, output position, and color that the eye can recognize. Provide training effects.

여기서, 인식자의 형태는 점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둘 이상의 점 형태의 인식 빔일 수 있다. 또한, 의미있는 도형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form of the recognizer may include a point form and may be a recognition beam of two or more point forms. Also, meaningful figures may be combined.

더불어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인식자의 점멸과 색의 변화로 뇌파 동조를 유도하는 파형을 지속적이나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발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can emit light based on continuous or constant time to induce brain wave tuning by blinking and changing color of the recognizer.

한편, 구체적인 시각 및 인지 훈련 방법은 종래에 제시된 다양한 인지 및 시각 훈련 방법들 중에서 선택된다. 예컨대 속독 훈련의 하나인 크롤 포커스가 있는데, 이는 문자들을 우에서 좌로 이동시켜 급속 안구 운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속독 훈련을 위해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문자 주변에 점 형태의 인식 빔을 출력하여 우에서 좌로 이동시키면서 크롤 포커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머지 훈련 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됨은 자명하다.Meanwhile, the specific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method is selected from various cognitive and visual trai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related art. For example, there is a crawl focus, one of speed reading training, which moves characters from right to left to generate rapid eye movement. For this speed reading training, the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outputs a recognition beam in the form of dots around a character and moves from right to left to obtain the effect of crawl focus. The rest of the training is omitted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implemented in this way.

이러한 시각 및 인지 훈련 장치는 상술한 시각 및 인지 훈련 모두를 포함하거나 이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시각 및 인지 훈련 방법의 일부를 조합하여 복합적인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Such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pparatus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 above-described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and may perform a complex training by combining some of the different visual and cognitive training method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속독을 위해서는 안구의 빠른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인 독서의 방법을 하나의 줄을 좌에서 우로 읽어나가는 것이라고 할 때 속독은 여러 개의 줄을 한번에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책을 읽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좌에서 우로 문장을 읽을 경우 하나의 문장의 줄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책을 읽는 속도를 향상 시킨다. Speed reading requires eye movement. When reading a common line is read one line from left to right, speed reading is to speed up the reading of a book by allowing several lines to be read at once. In addition, if you read a sentence from left to right, you can read a line of a sentence quickly to improve the speed of reading a book.

보통의 사람들은 주시안을 가지고 있다. 주시안이란 우성안이라고도 하는데 양쪽의 눈 중에서 더 많이 사용하고 주요한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는 눈이다. 주시안이 아닌 쪽의 눈을 비주시안이라고 한다. 주시안을 강화하는 것 역시 속독을 위해 중요하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시각정보를 주로 주시안을 통해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The average person has an Xian. Juician, also called dominant eye, is the one that uses more of both eyes and receives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The eye on the side that is not the main eye is called a binocular. Strengthening the subject is also important for speed reading. This is because ordinary people accept visual information mainly through Zhu Xi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경의 형태를 사용한 속독훈련기로 안경에 발광을 할 수 있는 LED나 LCD를 장착하여 안경의 렌즈에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이 위치한 일정한 점에서 발광을 시킴으로써 안구의 운동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주시안을 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LED or LCD which can emit light on the glasses as a speed reading training using a form of glasses to emit light at a certain point where a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light on the lens of the glasses is located. It can improve your athletic performance and strengthen your eyesigh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들을 이용하여 속독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구의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정보가 시각정보로 유입될 경우 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mprove the speed reading ability by using light-emitting points or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but also improves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ye when the external information is introduced into visual information.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process quick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하는 점과 안경의 렌즈의 색은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발광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LCD 또는 LED등 일정한 점에 발광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점 뿐만 아니라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예를 들어 투명한 렌즈의 검은 점을 이용하여 안구가 인식점을 따라서 속독훈련 하는 것 역시 가능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lors regardless of the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point and the lens of the glasses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as a method of emitting light, various methods of emitting light at a predetermined point such as an LCD or an LED may be used. In addition, it may also be possible for the eye to perform speed reading along the recognition point using not only a light emitting point but also a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for example, a black point of a transparent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안경에 구비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을 이용하여 안구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대로 왼쪽의 안경알에는 핀홀구멍(100)을 위치시켜서 안구의 근육을 강화시킨다. 핀홀안경은 안경에 구멍을 뚫어 시력과 관련된 근육의 이완 수축운동을 하게 하여 수정체를 움직이는 근육을 강화시켜 시력회복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양안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made to perform eye movement using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ye provided in glass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on the left eyeglasses to position the pinhole hole 100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eyeball. Pinhole glasses have the effect of helping to recover the vision by strengthening the muscles that move the lens by drilling a hole in the glasses to relax and contract the muscles related to vis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ffect can be used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both eyes.

오른손을 쓰는 사람일 경우 오른쪽의 눈이 주시안일 가능성이 많은데 오른쪽 눈이 주시안일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경의 알에 일정한 점(110)의 위치를 선정하여 일정한 순서에 맞추어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순서대로 이동시켜 안구가 빛의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안구가 운동할 수 있게 한다.If you are a right-handed person, the right eye is likely to be a subject's eye, but if the right eye is a subject's eye, as shown in FIG. By moving the recognition points in order so that the eyeballs move in the direction of light movement, the eyeballs can m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숫자 순서에 따라 1-5-9의 순서 또는 1-3-5-7-9의 순서 또는 1-2-3-4-5-6-7-8-9-10의 순서로 발광점을 이동함으로써 점진적인 안구운동연습을 할 수 있다. 점이 움직이는 순서는 미리 저장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도 순서를 바꾸어 안구운동 할 수 있다.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렌즈의 중앙에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안경의 렌즈의 상하에도 분포함으로써 안구의 좌우 운동 뿐 아니라 안구의 상하 운동도 가능하게 하여 글을 읽을 때 행과 행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안구를 훈련시킬 수 있다. 또한 안구의 피로를 풀어주기 위한 운동을 돕기 위해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중 하나가 렌즈의 모양으로 동그라미를 그리며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이동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눈의 움직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1-5-9 or the order of 1-3-5-7-9 or 1-2-3-4-5-6-7 according to the numerical order shown in FIG. 1. You can practice progressive eye movement by moving the light emitting point in the order of -8-9-10. The order in which the points move can be pre-stored or can be reordered by the user. The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are not only distributed in the center of the spectacle lens as shown in FIG. 1, but are also distributed up and down the lens of the spectacle lens to enable not on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 but als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ye. You can train your eyes to read lines and lines quickly. In addition, one of the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may be a circle in the shape of a lens to help exercise to relieve eye fatigue. In addition, by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n various shapes can improve the eye move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에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 및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등은 안경에 포함되는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안경에 포함되지 않고 안경의 외부장치로써 상기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and a method of forming a shape,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eyeball, may be performed through selection of a user in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glasses.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method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as an external device of the glasses, not included in the glasses.

속독훈련뿐만 아니라 이에 부가적으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을 이용해 일정한 도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도형의 모양의 순서를 기억해내는 훈련을 통해서 기억능력을 증진시키는 훈련 또한 할 수 있다. 이러한 순서에 따른 훈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안경의 내부나 외부에 장착된 저장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제어부에 의해 선택되어 순서를 정하여 실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speed reading training, training to enhance memory capacity through training to remember the sequence of shapes that are sequentially emitted by using a method of sequentially showing certain shapes using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ball can do.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training in this order may be realized by selecting the order by the control unit for selecting the stored program mount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glass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실제로 주시안이 책을 읽는 안구의 동작을 연습하기 위해서 주시안이 위치한 렌즈의 수평선상에 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둔 두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위치시켜 하나의 문장을 좌에서 우로 빠르게 읽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방법 또한 안경의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안경의 착용자가 상기 전술한 도2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actice the operation of the eye reading the eye is reading the book is located on the horizontal line of the lens on which the eye is located, the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two eyes at regular intervals You can cultivate the ability to read a sentence quickly from left to right. The method shown in FIG. 2 may also be executed by a program preset in the controller of the glasses, and the wearer of the glasses may select and execute the above-described program of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양안에 위치한 두 개의 안경렌즈에 각각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310,320,330,340)을 두어 실제로 책을 읽으면서 두 눈이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310,320,330,340)을 빠르게 지나면서 책의 문장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대로 안경렌즈에 나타난 발광점이나 안구가 인식이 가능한 인식점인 a점과 b점을 빠르게 지나가는 운동을 하게 함으로써 좌에서 우로 쓰여진 문장을 한번에 빠르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할 수 있고 이러한 a점과 b점이 도 3의 도시된 대로 안경 렌즈의 가운데에만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하에 모두 분포함으로써 a점과 b점이 위에서 아래로 점차로 움직이면서 상하좌우로 안구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은 실제로 책을 보면서 하는 것이 가능한데 책을 보면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안경렌즈의 위에서 아래로 점차로 내려오면서 그 속도에 따라 책의 내용을 읽어나가는 훈련을 할 수 있다.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recognition points 310, 320, 330, 34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in each of the two eyeglass lenses located in both eyes recognition points (310, 320, 330, 340) can be recognized by the eyes while reading a book This diagram shows how to accept the text of a book while passing through). As shown in FIG. 3, the ability to quickly read sentences written from left to right can be trained by allowing the light emitting point or the eyeball to quickly pass through the points a and b, which are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As a and b points do not have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only in the center of the spectacle lens, as shown in FIG. 3, the a and b points are distributed up and down so that the a and b points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left and right eyes move. can do. This training can be done by actually looking at the book. As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while looking at the book gradually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pectacle lens, it can be trained to read the contents of the book according to its spe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가지 정보를 발광장치를 통해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낸다. 주시안인 오른쪽 눈으로는 책을 읽으면서 왼쪽 눈에서는 여러 가지의 정보(410, 410-1,410-2, 410-3, 410-4, 410-5, 410-6, 410-7)를 안경 착용자에게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독을 할 때 들숨과 날숨을 일정하게 하여 리듬감을 부여해 속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제공할 수 있고 나머지 신호는 안경착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과 같은 기타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기타의 정보는 제어부를 통해서 안경착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센서를 통해 제어부를 통해 안경의 착용자에게 정보를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의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들의 집합으로써 점자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일정한 모양으로 구현되어 속독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illustrates a method of notifying a person wearing glasses through various light emitt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ading a book with the right eye, which is a subject, the eye wears a variety of information (410, 410-1, 410-2, 410-3, 410-4, 410-5, 410-6, 410-7) in the left eye. Can give to For example, you can provide a timer to help speed up your breathing by keeping your inspiration and exhalation constant while speeding up the reading. You may. The other information may recogniz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pectacles wearer through the control unit or may show the information to the wearer of the spectacles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 other sensors. In addition, the other information is implemented as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ball and a certain shape that can be recognized by Braille or a user to help speed reading train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에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 및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등은 안경에 포함되는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안경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에서 조작할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를 만들 수 있다. 도 5에 도면부호 510과 520은 사용자의 안경에 포함되는 위치(510)과 안경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설치되는 위치(520)의 일예이다. 제어부의 위치는 도 5에 예시된 위치(510, 520)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으로도 구현할 수 있고 유선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들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상기 인식점들이 움직이는 방법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안경착용자의 생체정보나 기타 환경 정보를 받아들이는 센서가 존재해서 기초적인 정보를 도시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FIG. 5 illustrates a method of moving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 method of forming a sha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method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from the outside without being included in glasses. In case of external operation, the controller can be made by wire or wireless. In FIG. 5, reference numerals 510 and 520 are examples of a position 510 included in the user's glasses and a position 520 not included in the glasses and installed outside.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can be freely set regardless of the positions 510 and 520 illustrated in FIG. 5.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wirelessly, such as Bluetooth, or wir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methods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and manipulate a method of moving the recognition point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have a sensor that accepts biometric or othe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spectacles wearer and may serve to show basic information.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50)

속독능력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제어부에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안경의 렌즈에 구비된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중 하나가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How to improve reading speed and eye recognition,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one of methods for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And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zing ability trai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one of the light emitting point provided on the lens of the glasses or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in a certain order in the spectacle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좌에서 우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안구의 좌우 움직임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zing abilit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the recognition point to move from left to right of the spectacle lens in a certain order to acceler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bal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좌에서 우로 일정한 순서로 이동하는 방법은,
상기 좌우로 움직이는 인식점이 렌즈의 상부에서 하부로 움직이는 방법이 더 포함되어 안구의 좌우운동뿐 아니라 안구의 상하운동도 포함하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moves in a predetermined order from left to right of the spectacle lens.
The recognition point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further includes a method of mov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ens,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 as well as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양 렌즈에 수평선상에 일정한 두 점을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oth lenses continuously flash two constant points on the horizontal line.
제 4항에 있어서, 양 렌즈에 수평선상에 일정한 두 점을 지속적으로 점멸시키거나 정지하여 두 점을 기준으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상의 일정한 두 점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wo lenses continuously flash or stop a certain point on the horizontal line to read a book based on the two points.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oints on the horizontal line to the vertical movement based on a certain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한 쪽의 렌즈에는 안경의 착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기타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한쪽의 렌즈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두 점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r other necessary information of the wearer of the glasses on one lens and two points on the same horizontal line on the other le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필요한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의 집합으로 점자나 일정한 기호를 만들어 안경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s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wearer of the glasses by making a braille or a predetermined symbo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일정한 모양의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들의 집합을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안경의 착용자가 순차적인 도형의 발광순서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er of the glasses to sequentially emit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recognize the eye of a certain shape to sequentially remember the light emission sequence of the fig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안경착용자의 주시안만을 단독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훈련시키기 위한 안경의 두 개의 렌즈중 하나의 렌즈에서만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중 하나가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방법을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One of the two lenses of the glasses for fast reading training and the eye recognition ability to train only the eyesight of the spectacles wearer alone, one of the light emitting points or the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in the spectacle lens Speed reading training, including eye movements in a certain order and training methods to improve eye recogn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원 또는 곡선모양을 그리며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Speed recognition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point can move in the shape of a circle or curve of the eyeglass lens.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시키는 안경에 있어서,
속독훈련 및 인식훈련을 하기 위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식점; 및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식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
In glasses that improves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 plurality of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for speed reading training and recognition training; An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glasses comprising a lens that can visually show a plurality of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시키는 안경은,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식점들이 움직이는 방법을 선택받을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
The glasses of claim 11, wherein the glasses for improving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re:
Speed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glass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method of moving the plurality of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식점은 일정한 형태로 렌즈의 수평선 및 수직선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12. The eye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glasse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plurality of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of the lens. 속독능력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제어부에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주위보다 투영도 높은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안경의 렌즈에 구비된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중 하나가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How to improve reading speed and eye recognition,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one of methods of moving a recognition point having a higher projection than a surrounding that the eye can recognize; And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zing ability trai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one of the light emitting point provided on the lens of the glasses or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in a certain order in the spectacle lens.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투영도 높은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좌에서 우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안구의 좌우 움직임을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high.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zing ability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the recognition point to move from left to right of the spectacle lens in a certain order to accelerat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ball.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좌에서 우로 일정한 순서로 이동하는 방법은,
상기 좌우로 움직이는 인식점이 렌즈의 상부에서 하부로 움직이는 방법이 더 포함되어 안구의 좌우운동뿐 아니라 안구의 상하운동도 포함하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moves in a predetermined order from left to right of the spectacle lens.
The recognition point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further includes a method of mov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ens,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ye as well as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y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양 렌즈에 수평선상에 일정한 두 점을 지속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oth lenses continuously flash two constant points on the horizontal line.
제 17항에 있어서, 양 렌즈에 수평선상에 일정한 두 점을 지속적으로 점멸시키거나 정지하여 두 점을 기준으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선상의 일정한 두 점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both lenses continuously flash or stop a certain point on the horizontal line to read a book based on the two points.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oints on the horizontal line to the vertical movement based on a certain tim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한 쪽의 렌즈에는 안경의 착용자의 생체정보 또는 기타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한쪽의 렌즈에는 동일 수평선상에 두 점을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biometric information or other necessary information of the wearer of the glasses on one lens and two points on the same horizontal line on the other lens.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필요한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의 집합으로 점자나 일정한 기호를 만들어 안경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s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wearer of the glasses by making a braille or a predetermined symbol.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일정한 모양의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들의 집합을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안경의 착용자가 순차적인 도형의 발광순서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Fast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er of the glasses to sequentially emit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recognize the eye of a certain shape to sequentially remember the light emission sequence of the figur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안경착용자의 주시안만을 단독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훈련시키기 위한 안경의 두 개의 렌즈중 하나의 렌즈에서만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 중 하나가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방법을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One of the two lenses of the glasses for fast reading training and the eye recognition ability to train only the eyesight of the spectacles wearer alone, one of the light emitting points or the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in the spectacle lens Speed reading training, including eye movements in a certain order and training methods to improve eye recogni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이 안경렌즈의 원 또는 곡선모양을 그리며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Speed recognition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point can move in the shape of a circle or curve of the eyeglass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필요한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의 집합으로 점자나 일정한 기호를 만들어 안경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s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필요한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의 집합으로 점자나 일정한 기호를 만들어 안경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s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wearer of the glasses by making a braille or a predetermined symbol. .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시키는 안경에 있어서,
속독훈련 및 인식훈련을 하기 위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주위음영보다 투영도가 높은 인식점; 및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투영도가 높은 인식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
In glasses that improves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point with higher projection than surrounding shade that eye can recognize for speed reading training and recognition training; And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bility training glass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ns that can visually show a plurality of high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시키는 안경은,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투영도 높은 인식점들이 움직이는 방법을 선택받을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
The glasses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glasses for improving the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re: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ability training glasses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how the plurality of high recognition points that can recognize the eye movemen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투영도 높은 인식점은 일정한 형태로 렌즈의 수평선 및 수직선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인식능력 훈련안경.17. The eye reading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glasse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plurality of highly projected recognition points that the eye can recognize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of the lens. 안구운동과 인식능력과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안경 및 고글 렌즈에 구비된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 집합이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How to improve eye movement and cognition,
Receiving one of a method of moving a recognition point capable of recogniz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 method of improving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a set of recognition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a light emitting point or an eye provided in glasses and goggles lenses in a certain order in the glasses lens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기타 필요한 정보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들의 집합으로 점자나 일정한 기호를 만들어 안경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식능력 향상훈련방법.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The other necessary information is a set of recognizable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balls to make a braille or a certain symbol can be recognized by the wearer of the glasses fast training and eye recognition recognition training method.
사용자의 안구운동과 기준뇌파를 검출하는 뇌파검출 센서부;
안구운동 및 명상에 가장 적합한 뇌파를 저장함과 아울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뇌파를 상기 기준뇌파패턴에 근접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파형에 상응하는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하는 자극 생성수단; 및
사용자 뇌파를 기준뇌파패턴과 비교하는 뇌파비교모듈을 포함하며 뇌파비교 모듈을 포함 하며 사용자 수면뇌파를 기준뇌파패턴에 근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자극 생성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안구운동과 인지훈련 뇌파유도장치.
EE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eye movement and the reference EEG of the user;
A memory unit for storing brain waves most suitable for eye movement and meditation and storing a program for driving the system;
Stimulus generating means for applying a stimulus corresponding to a waveform provided to bring the brain wave close to the reference EEG pattern to the user; And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n EEG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a user EEG with a reference EEG pattern and including an EEG comparison modul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timulus generating means to induce a user sleep EEG to be close to the reference EEG pattern. Eye movement and cognitive training EEG guidance device.
제 31 항에 있어서, 자극생성수단은,
뇌와 안구에 알파파, 세타파, 델타, 베타파를 유도하기 위한 상응하는 빛을 출력하는 광자극 인지훈련 유도장치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stimulus generating means,
Photostimulation Cognitive Training Induction Device that Outputs Corresponding Light to Induce Alpha, Theta Wave, Delta, and Beta Wave in Brain and Eye
제 31 항에 있어서, 자극생성수단은,
뇌와 안구에 알파파, 세타파, 델타, 베타파를 유도하기 위한 상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청각자극 인지훈련 유도장치.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stimulus generating means,
Auditory stimulation cognitive training induction device that outputs the corresponding sound to induce alpha, theta wave, delta, beta wave in the brain and eye.
제 31 항에 있어서, 자극생성수단은,
뇌와 안구에 알파파, 세타파, 델타, 베타파를 유도하기 위한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기 위해 골전도진동자를 포함하는 진동부 인지훈련 유도장치.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stimulus generating means,
Vibration part cognitive training in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bone conduction vibrator to output the corresponding vibration for inducing alpha wave, theta wave, delta, beta wave to the brain and eye.
고글의 렌즈에 발광체와 인식체를 장착한 안경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특정한 위치에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을 형성하여 속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훈련용 고글.
In glasses equipped with a luminous body and a recognizer on the lens of the goggles,
The light emitter is a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speed reading by forming a recognition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eye at a specific position.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투명 LCD 또는 OLED, AMOLED와 같은 투명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훈련용 고글.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light emitter is a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a transparent LCD or OLED, AMOLED.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지훈련용 고글.
36. The method of claim 35,
Cognitive training goggles includ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body on one side of the glasses.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인식점을 형성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순서에 따라 발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훈련용 고글.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control unit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recognition point by a predetermined program or a light emitting point in the order specified by the user.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주시안과 비주시안에 형성되는 인식점을 동일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훈련용 고글.
The method of claim 38,
The program is a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points formed in the main cyan and the non-cyan.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눈주위의 습도를 높여주는 분사부를 특징으로 가지는 인지훈련용 고글.
36. The method of claim 35,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unit for increasing the humidity around the eyes by a predetermined program in the control unit.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눈주위의 습도를 높여주는 진동부를 특징으로 가지는 인지훈련용 고글.
36. The method of claim 35,
Cognitive training gogg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unit for increasing the humidity around the eyes by a predetermined program in the control unit.
속독능력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고정되어 있는 인식점 및 투명인식점을 따라 눈의 초점을 옮기는 훈련방법.
How to improve reading speed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method for shifting the eye's focus along fixed and transparent recognition points.
속독능력 및 안구의 인식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고정되어 있는 인식점 및 투명인식점을 따라 눈의 초점을 옮기는 훈련방법.
How to improve reading speed and eye recognition,
Training method for shifting the eye's focus along fixed and transparent recognition poi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 속에 투명도가 다른 작은 인식점을 넣어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utilize the small recognition point of the transparency different in the recognition poin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점이 움직이는 방법은
상기 인식점 속에 투명도가 다른 작은 인식점을 넣어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is moved.
Trai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utilize the small recognition point of the transparency different in the recognition point.
속독능력 및 안구의 인지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있어,
제어부에서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점이 움직이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안경의 렌즈에 구비된 발광점 또는 안구가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식점들이 안경렌즈에서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독훈련 및 안구의 인지능력 향상방법.
How to improve speed reading and eye cognition,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one of methods for moving the recognition point that the eye can recognize; And
A method of improving speed reading and eye recognition,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a plurality of recognition points provided in the lens of the eyeglasses or the eyeballs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in a certain order in the eyeglass lens.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점을 외부에서 보았을때 사용자가 표현하고픈 이미지와 기호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방법.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an image and a symbol that a user wants to express when the recognition point is viewed from the outside are expressed.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점을 외부에서 보았을때 사용자가 표현하고픈 이미지와 기호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장치.47. The apparatus of claim 46, wherein the recognition point displays an image and a symbol that a user wants to express when the recognition point is viewed from the outside. 제 31 항에 있어서, 자극생성수단은,
뇌와 안구에 알파파, 세타파, 델타, 베타파를 유도하기 위한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하기 위해 자기장치를 이용한 인지훈련 유도장치.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stimulus generating means,
Cognitive training induction device using a magnetic devic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vibration to induce alpha, theta wave, delta, beta wave in the brain and eye.
사용자의 안구운동과 기준뇌파를 검출하는 뇌파검출 센서부;
안구운동 및 명상에 가장 적합한 뇌파를 저장함과 아울러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
상기 센서부와 메모리부에 나타난 뇌파를 안구에 직접보이게 하는 투명기판을 이용한 안경장치.
EE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eye movement and the reference EEG of the user;
A memory unit for storing brain waves most suitable for eye movement and meditation and storing a program for driving the system;
Glasses device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to directly show the brain waves appearing in the sensor unit and the memory unit to the eye.
KR1020110009845A 2010-01-29 2011-01-31 Congnitive training methode of eyes using glasses KR1013825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830 2010-01-29
KR20100008830 2010-0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766A Division KR20130122601A (en) 2013-10-23 2013-10-23 Congnitive training methode of eyes using glasses and the sam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110A true KR20110089110A (en) 2011-08-04
KR101382590B1 KR101382590B1 (en) 2014-04-10

Family

ID=4492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845A KR101382590B1 (en) 2010-01-29 2011-01-31 Congnitive training methode of eyes using glas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5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5369A (en) * 2017-06-29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Sound orients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WO2018124451A1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Device and method for eye movement, using object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302Y1 (en) * 1996-11-06 1999-10-15 심응섭 Eyeball exercising device
JPH1156942A (en) * 1997-08-20 1999-03-02 Haruo Ohama Visual acuity training device
KR200419482Y1 (en) * 2006-04-06 2006-06-21 이현석 Vision correction glasses
KR20100035742A (en) * 2008-09-29 2010-04-07 권창민 Personal eyecar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451A1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Device and method for eye movement, using object tracking
CN107105369A (en) * 2017-06-29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Sound orients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1137972B2 (en) 2017-06-29 2021-10-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using brainwave information to control sound 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590B1 (en)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3590A (en) Ey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Regan et al. Acting out our sensory experience
Dennett Surprise, surprise
CN107174495A (en) It is a kind of to contribute to the glasses and its application method of amblyopia rehabilitation
CN105853162A (en) Multi-mode vision improvement training system and training method thereof
Manzotti et al. Does Functionalism really deal with the phenomenal side of experience?
KR101131786B1 (en) Method of Speed-Reading Training and Cognition Training of Eyes Using Luminous Point and Recognition Point And Apparatus For Speed-Reading Training and Cognition Training Using Luminous Point and Recognition Point
KR101382590B1 (en) Congnitive training methode of eyes using glasses
CN109147474A (en) A kind of system improves the training method and its terminal of students in middle and primary schools' reading rate
Gallese et al. Mirror neurons: A sensorimotor representation system
Block Behaviorism revisited
KR20130122601A (en) Congnitive training methode of eyes using glasses and the same apparatus
CN208582691U (en) A kind of glasses facilitating amblyopia rehabilitation
Pylyshyn Seeing, acting, and knowing
Scholl et al. Change blindness, Gibson, and the sensorimotor theory of vision
CN117481956A (en) Visual function training method and device
Revonsuo Dreaming and the place of consciousness in nature
Mikolajczyk et al. An idea of computer aided eye exercises system based on bates method
Bartolomeo et al. Visual awareness relies on exogenous orienting of attention: Evidence from unilateral neglect
Blackmore Three experiments to test the sensorimotor theory of vision
Van Gulick Still room for representations
Tatler Re-presenting the case for representation
Hardcastle Visual perception is not visual awareness
Humphrey Doing it my way: Sensation, perception–and feeling red
Velichkovsky et al. In search of the ultimate evidence: The fastest visual reaction adapts to environment, not retinal lo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