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654A -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 Google Patents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654A
KR20110088654A KR1020100008253A KR20100008253A KR20110088654A KR 20110088654 A KR20110088654 A KR 20110088654A KR 1020100008253 A KR1020100008253 A KR 1020100008253A KR 20100008253 A KR20100008253 A KR 20100008253A KR 20110088654 A KR20110088654 A KR 2011008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cycle road
unit
bicycl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537B1 (ko
Inventor
한상주
한의석
서재수
박태원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0000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가 개시된다.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저장/처리부, 및 이동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항목에 따라 자전거도로의 관리에 필요한 환경데이터, 상태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저장/처리부는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처리하며, 이동부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처리부를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각지자체 자전거도로의 시공 상태, 안전시설 설치 상태, 노면 마크, 결절 구간 등)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조사, 평가,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도로의 시공, 운영에 따른 재원의 효율적 관리 및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System for managing and operating bicycle-road and equipment for investigating therefor}
본 발명은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지자체별로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품질, 성능, 안전 등에 대한 상태를 조사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교통체증으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생태문화를 전 국가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이래 2008년 말 현재까지 10,389km인 자전거도로가 정비가 된 상태이며, 앞으로 2012년까지는 17,600km로 확충하고, 2018년까지는 전국 자전거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하지만, 자전거도로가 확충됨과 동시에 자전거 사고 또한 급증하고 있는데, 주로 발생하는 사고는 자전거도로와 일반 차량 도로와의 접속 지점에서 자동차와 자전거가 충돌하는 사고로, 차량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자전거와 자동차의 충돌,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차량이 직진하는 자전거를 미처 발견하지 못해 발생한 사고 등이 있다.
이러한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면, 자전거도로에서 자전거 진행 방향 표시가 없고, 역방향 및 양방향 통행을 허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전거도로의 안전 대책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자전거 이용 시설에 대한 통일된 설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자체마다 제 각각의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제로 국토 해양부가 자전거도로를 차도 쪽으로 배치하도록 지침을 정했지만 경기도는 71%, 서울시는 28%의 자전거도로를 건물 쪽으로 배치하는 등 지자체마다 제각각으로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자전거 전용 횡단도가 없고 자전거도로 안에 보도 턱이 있는 등 규정에 맞지 않는 자전거도로도 존재하였다.
즉, 자전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지자체마다 자전거도로의 산발적 구축에 따른 표준화된 운행방침, 시설 기준을 적용시키고, 구축된 자전거도로를 이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을 위해 U-Cycling과 연계하여, 주변의 다양한 데이터 제공 및 실시간 안전관리,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및 조사 장비도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지자체별로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는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저장/처리부, 및 이동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부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항목에 따라 자전거도로의 관리에 필요한 환경데이터, 상태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저장/처리부는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처리하며, 이동부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처리부를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각지자체 자전거도로의 시공 상태, 안전시설 설치 상태, 노면 마크, 결절 구간 등)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조사, 평가,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도로의 시공, 운영에 따른 재원의 효율적 관리 및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는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험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는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신지점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데이터는 자전거도로 주변의 대기환경에 관한 데이터 및 자전거도로 주변의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은 자전거도로를 이동하며 자전거도로 환경 및 상태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전거도로 조사부, 및 자전거도로 조사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를 포함하는데,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는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 데이터 관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는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관리부는 복수의 자전거도로 조사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자전거도로의 상태를 산출하며, 통신부는 자전거도로 조사부와 통신한다.
이로 인해, 각 지자체별로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를 통합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는 비교 분석 결과가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차이가 있을 경우,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된 데이터 중에서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갱신하여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는 갱신된 데이터를 자전거도로 조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는 비교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개선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전거도로 조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각 지자체별로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각지자체 자전거도로의 시공 상태, 안전시설 설치 상태, 노면 마크, 결절 구간 등)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조사, 평가,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도로의 시공, 운영에 따른 재원의 효율적 관리 및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전거도로 사용자에게 통합된 자전거도로의 상태, 안전시설, 및 주변 지역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레저, 출퇴근 수단, 및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의 실제 구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데이터 수집부에서 영상 취득 장치를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발명의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의 실제 구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는 표준화 매뉴얼인 자전거도로 규정의 최소폭에 따라 폭이 설정될 수 있으며, 2륜, 3륜, 또는 4륜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는 일반 도로보다는 구조적으로 약한 자전거도로에서 운행 가능하도록, 경량(자전거도로 설계 하중 기준에 적합한 무게)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이동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저장/처리부(140), 및 데이터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신지점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신지점(예컨대, 외부의 중앙 관리 서버(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200))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유/무선 인터넷, Wifi, CDMA, ZigBee 등)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데,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전거도로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AP로 인해 무료로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무료 통신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기지국 단위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조건(예컨대, 어느 정도의 간격(하루에 한번, 실시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등)으로 결과를 전송할 것인지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지점으로 자전거도로의 상태 도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부(120)는 전기나 태양 전지와 같은 청정 에너지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1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저장/처리부(140), 및 데이터 출력부(150)를 이동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120)의 후반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항목에 따라 자전거도로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위치 데이터 수집부(131), 영상정보 수집부(132), 환경정보 수집부(133), 상태정보 수집부(134), 시료 채취부(135), 및 하부 탐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항목은 환경데이터에 대한 항목, 즉, 자전거도로 주변의 대기환경에 관한 데이터(자전거도로를 포함한 인접지역의 대기질, 온, 습도와 같은 데이터) 및 자전거도로 주변의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노면의 미끄럼 방지 시설, 노면 표시, 가드레일, 과속 방지턱, 신호등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항목일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30)의 구성요소를 이하에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위치정보 수집부(131)는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집부(131)는 INS, GPS 등 내비게이션이 탑재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장비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자전거도로의 어느 지점에서 수집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영상정보 수집부(132)는 영상 취득 장치(고해상도 영상 센서와 같은 장비를 이용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자전거도로 주변의 영상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영상 취득 장치를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취득 장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 상에 전체적인 방위에 대한 자전거도로 주변의 환경 및 자전거도로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취득 장치를 통해, 인도 또는 차도에 자전거도로가 구축되어 있는지 등의 노면 환경, 가드레일, 과속 방지턱, 신호등, 표지판과 같은 주변 시설을 파악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자전거도로 주변의 환경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환경정보 수집부(133)는 환경데이터 취득 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도로 주변의 환경데이터인 온도, 습도, 공해 정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태정보 수집부(134)는 계측/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도로의 상태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계측/조사 장치로는 높이 센서, CC 카메라, 거리 측정 장치와 같은 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계측/조사 장치는 노면을 향해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의 바퀴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높이 센서로는 노면 평탄성, 소성 변형, 또는 구배를 계측할 수 있고, CC 카메라로는 노면의 균열, 노면 표시, 또는 포장의 색, 질감을 계측/조사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 장치로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시료 채취부(135)는 시료 채취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시료 채취 장치로는 자전거도로에 적용된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데이터로부터 적용된 재료에 따른 자전거도로의 품질 상태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자전거도로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력이 투입되어 채취된 시료를 입력받아 분석하여 데이터화 할 수도 있다.
하부 탐사부(136)는 도로 하부 탐사 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도로가 구성된 지반의 침하 정도, 포장층 두께, 공동현상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도로의 위험성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를 참조하여 효과적으로 노면의 보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수집부(130)의 각 구성들 중에서 이동부(120) 자체에 탑재되지 않은 구성은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100)의 뒷공간에 별도로 탈부착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채취부(135)는 별도로 탈부착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 수집 방식 이외에도 자전거도로 상에 설치되어 자전거도로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특히,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측정하는 외부의 상태 측정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처리부(140)는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처리한다.
즉, 데이터 저장/처리부(140)는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는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최초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위치의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예컨대, 자전거도로 노면의 색은 초록색이고, 폭은 1.8m이며, 자전거 전용 도로로 구현되어 있고, 주변 시설로는 노면 표시가 불분명하며, 미끄럼 방지 시설이 설치되지 않고, 평탄성이 떨어짐)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처리부(140)는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모든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후술 되는 데이터 출력부(150)에서의 비교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가공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150)는 데이터 저장/처리부(140) 가공처리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부(150)는 데이터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처리부(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부(110), 이동부(120), 데이터 수집부(130), 데이터 저장/처리부(140), 및 데이터 출력부(150)로 인해,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즉, 자전거도로를 구성하는 포장층의 각종 재료, 노선 마킹 상태, 색상 등의 품질, 준공전 각종 상태 및 노면마크의 도색 및 관리상태 등의 성능, 및 안전 방호시설물, 노면마크 및 각종 안전/방향 지시표시판, 신호체계 관련 시설물, 노선데이터 안내 표시 시설물 등의 안전에 대한 상태)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조사, 평가,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도로의 시공, 운영에 따른 재원의 효율적 관리 및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은 자전거도로를 이동하며 자전거도로 환경 및 상태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전거도로 조사부(100), 및 자전거도로 조사부(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200)를 포함하는데,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200)는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210), 데이터 관리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210)는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데, 즉, 자전거도로 조사부(100)로부터 최초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위치의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210)는 각 지자체별로 자전거도로를 구축 및 관리하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복수의 자전거도로 조사부(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자전거도로의 상태(예컨대, 양호, 위험 등)를 산출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220)는 비교 분석 결과가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차이가 있을 경우, 예컨대, 자전거도로 환경 및 상태 데이터는 노면 표시가 양호함으로 저장되어 있는데, 수집된 데이터에서는 노면 표시가 불분명하게 표시되어 있다고 되어 있을 경우,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된 데이터 중에서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갱신하여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20)는 이와 같이 갱신된 데이터를 자전거도로 조사부(100)로 전송하거나, 비교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개선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전거도로 조사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전거도로 조사부(100)는 수신한 개선 요청 데이터에 따라 자전거도로를 효율적으로 보수 및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도로 조사부(100)에서 개선 결과 데이터를 다시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20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데이터 관리부(220)에서 개선 결과 데이터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자전거도로의 상태 도출 결과 데이터를 통합하여 자전거도로 환경 및 상태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지자체의 자전거도로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자전거도로 조사부(100)와 유/무선 인터넷, Wifi, CDMA, ZigBe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이러한 자전거도로 조사부(100) 및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200)로 인해, 각 지자체별로 구축된 자전거도로의 상태(즉, 품질, 성능, 안전에 대한 상태)를 체계적이고, 이력적으로 조사, 평가, 관리 및 운영하여, 자전거도로의 시공, 운영에 따른 재원의 효율적 관리 및 자전거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통합 데이터(예컨대, 통합된 자전거도로의 상태, 안전시설, 및 주변 지역의 데이터)를 자전거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레저, 출퇴근 수단, 및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도모할 수 있다.
생성된 통합 데이터의 실시예를 들어보면,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대여 자전거에 전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자전거 이용자가 복수의 지자체를 경유할 경우에도 현재 위치 및 경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항목에 따라 자전거도로의 관리에 필요한 환경데이터, 상태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처리하는 데이터 저장/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처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처리부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위험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신지점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데이터는 상기 자전거도로 주변의 대기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데이터는 상기 자전거도로 주변의 시설물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조사 장비.
  6. 자전거도로를 이동하며 상기 자전거도로 환경 및 상태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전거도로 조사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 조사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를 포함하는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전거도로 관리 지원부는,
    상기 데이터가 수집되는 자전거도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
    복수의 상기 자전거도로 조사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자전거도로의 상태를 산출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 조사부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비교 분석 결과가 상기 자전거도로 환경데이터 및 상태데이터와 차이가 있을 경우,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차이가 발생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갱신하여 상기 자전거도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갱신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도로 조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비교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개선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자전거도로 조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KR1020100008253A 2010-01-29 2010-01-29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KR10119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53A KR101199537B1 (ko) 2010-01-29 2010-01-29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53A KR101199537B1 (ko) 2010-01-29 2010-01-29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54A true KR20110088654A (ko) 2011-08-04
KR101199537B1 KR101199537B1 (ko) 2012-11-12

Family

ID=4492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53A KR101199537B1 (ko) 2010-01-29 2010-01-29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282B1 (ko) * 2013-02-22 2014-01-07 주식회사 허즈앤티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자전거 도로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06440B1 (ko) * 2012-03-13 2014-06-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전거 주행 환경 평가 장치 및 방법
DE102013221050A1 (de) * 2013-10-17 2015-05-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Eigenschaften eines Streckenabschnitts für eine digitale Karte
WO2023148824A1 (ja) * 2022-02-01 2023-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整備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47B1 (ko) * 2016-10-17 2018-02-09 김해영 자전거 도로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590A (ja) 2002-09-19 2004-04-08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自転車の走行路面状況の評価モデルを生成する方法、自転車の走行路面環境評価方法及び評価システム
KR100758705B1 (ko) 2007-02-01 2007-09-21 위성동 도로의 포장상태 자동 조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40B1 (ko) * 2012-03-13 2014-06-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전거 주행 환경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339282B1 (ko) * 2013-02-22 2014-01-07 주식회사 허즈앤티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자전거 도로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E102013221050A1 (de) * 2013-10-17 2015-05-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Eigenschaften eines Streckenabschnitts für eine digitale Karte
WO2023148824A1 (ja) * 2022-02-01 2023-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整備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537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0907B (zh) 一种基于高速公路运营安全的移动监控和预警系统及方法
CN103778681B (zh) 一种车载高速公路巡检系统及数据获取和处理方法
Turner Advanced techniques for travel time data collection
Ma et al. Processing commerc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to develop a web-based truck performance measures program
Antoniou et al. A synthesis of emerging data collection technologies and their impact on traffic management applications
CN108154683A (zh) 智能交通管理方法及系统
CN103942941B (zh) 基于gis的移动监测融合平台
CN203102592U (zh) 一种基于高速公路运营安全移动监控和预警系统
CN103499343B (zh) 基于三维激光反射强度的道路标线点云自动分类识别方法
Jarašūniene Research into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technologies and efficiency
KR101602171B1 (ko) 이동형 도로 기상정보 수집 및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950334A (zh) 一种空间分布式城市空气环境质量的移动监测系统
KR101199537B1 (ko) 자전거도로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조사 장비
CN114353876A (zh) 一种黄土公路边坡健康监测方法
KR101664394B1 (ko) 도로변의 기상정보 및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 기능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승강장
CN213517972U (zh) 用于机场道面的检测分析系统
Prabha et al. Overview of data collection method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N209879035U (zh) 一种基于车联网的实时路面天气数据采集与信息推送系统
Chapman et al. What spatial resolution do we need for a route-based road weather decision support system?
CN111694074A (zh) 一种基于车联网的实时路面天气数据采集与信息推送系统
Sevilla et al. Improving Resilience of Transport Instrastructure to Climate Change and other natural and Manmande events based on the combined use of Terrestrial and Airbone Sensors and Advanced Modelling Tools
KR20230100001A (ko)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KR20230100787A (ko)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능동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Entezari et al. A review on the impacts of connected vehicles on pavement management systems
Bogren et al. RSI—Road Status Information A new method for detection of road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