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622A -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 Google Patents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622A
KR20110088622A KR1020100008200A KR20100008200A KR20110088622A KR 20110088622 A KR20110088622 A KR 20110088622A KR 1020100008200 A KR1020100008200 A KR 1020100008200A KR 20100008200 A KR20100008200 A KR 20100008200A KR 20110088622 A KR20110088622 A KR 2011008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sk
extract
paper mask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099B1 (ko
Inventor
조봉관
Original Assignee
(주)천년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년지애 filed Critical (주)천년지애
Priority to KR102010000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0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통 종이가 가지고 있는 미세 먼지 차단성, 통기성, 보온성, 습기 흡수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구성하는 것이며, 종이 마스크는 습지 상태에서 종이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게 2장을 합지하여 1장으로 만들어져 결착력을 좋게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을 함유 시키거나,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분사해서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조류독감과 신종플루와 같은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의 기능성을 갖도록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좌우 대칭의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를 두어서 마스크를 올리고 내리고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일정한 부분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등으로 장식하여 패션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Paper Mask Contained with the Artemisia Extract Killing the 2009A(H1N1) Influenza Viruses and the H9N2 Avian Influenza Viruses}
본 발명은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통 종이가 가지고 있는 미세 먼지 차단성, 통기성, 보온성, 습기 흡수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구성하는 것이며, 종이 마스크는 종이(습지)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게 2장을 합지하여 1장으로 만들어져 결착력을 좋게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 시키거나,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분사해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조류독감과 신종플루와 같은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의 기능성을 갖도록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좌우 대칭의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를 두어서 마스크를 올리고 내리고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일정한 부분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등으로 장식하여 패션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마스크는 환절기나 전염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반인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외부에 존재하는 각종병원균이 공기를 통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환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병원균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의사나 간호사 등이 수술실 및 치료실에서 환자 또는 세균의 감염이 우려되는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환자의 수술부위 및 치료부위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재질이 면 마스크, 그리고 부직포 마스크 등으로 개발되어 있다. 면 마스크는 통기성과 습기 흡수성이 떨어지며, 부직포 마스크는 아토피성 피부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면 마스크와 부직포 마스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천연 소재로서 통기성과 습기 흡수성이 우수하고, 아토피성 피부에 과민반응이 없는 전통 종이로 된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 일본의 전통 종이인 화지는 공통으로 닥나무, 안피, 삼지닥나무 등에서 나온 인피섬유와 마 등을 원료로 해서 만든다. 또한 중국의 전통 종이 죽지와 선지는 여러 종류의 대나무 껍질, 볏짚, 밀짚 등을 원료로 만든다. 또한 인도는 마포를 원료로 하여 전통 종이를 만들며, 유럽과 미국에도 전통 종이는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 종이를 마스크로 하는 데에는 종이가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의 결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를 닥나무, 안피, 삼지닥나무 등에서 나온 인피섬유와 마 등을 원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를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제조함으로서, 한지의 질긴 특성을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직각이 되게 2장을 합지하여 마스크를 제조함으로서 결착력을 좋게 하였으며, 이러한 전통 종이들은 면섬유와 비교할 때, 통기성과 보온성이 우수하고, 습기 흡수성이 뛰어나서 착용감이 개운하고, 항균력과 암모니아 소취율이 뛰어나서 위생적이고, 원적외선(5~20㎛) 방사율이 면 섬유류는 평균 0.2인데 비하여, 한지, 화지, 및 선지는 평균 0.85 이상으로 건강에 더 도움을 준다. 또한 전통종이가 아토피 피부에 좋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통 종이를 마스크로 만들어 사용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리고, 2009년에는 신종플루가 유행하기 시작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전세계적으로 이러한 신종플루의 예방을 위하여 마스크의 사용이 늘어났으며, 아직도 이와 같은 두려움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 마스크에 신종플루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살바이러스 시키는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첨가하여 종이 마스크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 또는 분사시키는 방법으로 신종플루 내지는, 앞으로 발생할지도 모르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와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변종플루를 막는데 효과적인 종이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종이 마스크는 일회용 마스크이며, 천연 추출물의 친환경 마스크로서 질병으로부터 예방 내지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마스크의 개념을 탈피하여 자신을 표출하는 패션의 도구로 사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통 종이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전통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한지, 화지, 죽지, 선지 등의 전통 종이가 가지고 있는 미세 먼지 차단성, 통기성, 보온성, 습기 흡수성,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바이러스성 효과,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좌우 대칭의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를 두어서 마스크를 올리고 내리고 할 때의 편리성 및 전통 종이 마스크로 다양하게 자신을 패션 하는 효과를 함께 갖는다.
도 1은 전통 종이의 제작 및 종이 마스크 제조의 흐름도
도 2는 전통 종이 마스크의 구성도
도 3은 전통 종이 마스크의 다른 실시 구성도
도 4는 전통 종이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구성도
도 5는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신종플루(H1N1) 바이러스를 불활화 능에 대한 인증서
본 발명은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통 종이가 가지고 있는 미세 먼지 차단성, 통기성, 보온성, 습기 흡수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구성하는 것이며, 종이 마스크는 종이(습지)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게 2장을 합지하여 1장으로 만들어져 결착력을 좋게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 시키거나,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분사해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조류독감과 신종플루에 대하여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의 기능성을 갖도록 하였으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좌우 대칭의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를 두어서 마스크를 올리고 내리고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며,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의 일정한 부분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등으로 장식하여 패션 효과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아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만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다음은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그들의 결과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실시예1 ] 전통 종이 마스크 제조
일반적으로 전통 종이의 제조에 있어서 두꺼운 종이를 얻고자 할 때는, 한 장 한 장 뜨는 습지를 여러 장 겹쳐서 만든다. 즉 붓글을 쓰는 종이는 습지 평균 두께가 약 1mm 되는 습지 한 장짜리 1합지를 사용하고, 문창호지는 통풍성을 가지면서도 내구성이 있어야 하므로 습지 2장을 겹쳐 만든 2합지를 사용하며, 방의 장판지는 내구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습지 3장을 겹쳐 만든 3합지를 사용한다. 그러나, 장판지는 습지 평균 두께가 약 3mm 이상이 되어서 통풍성이 거의 없다. 전통 종이를 합지하는 방법은 한번은 물질 한 면 그대로 종이를 두고 그 다음 장은 반대 방향으로 습지를 놓는다. 이것은 종이 두께를 더 두껍게 해서 종이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전통 종이 마스크의 재질은 종이 즉 한지, 화지, 죽지, 그리고 선지 등의 전통 종이를 이용한 것으로, 첫 단계는 내구성과 통풍성이 모두 좋은 전통 종이를 만드는 것이다. 전통 종이의 제작은 종이 뜨기, 습지 쌓기, 압착하기, 건조, 아교 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전통 종이는 면 섬유와 비교해서 마스크로 만들어 사용할 때 우수한 점들이 많지만, 종이가 찢어지기 쉬워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과 통풍성이 모두 좋은 전통 종이 마스크를 만들기 위해 종이 만드는 과정 중 종이 뜨기의 과정을 달리한 것으로, 먼저 습지를 평균 두께가 0.5mm가 되게 아주 얇게 뜬다. 그런 다음, 아주 얇게 뜬 습지위에 서로 결이 반대 방향이 아닌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직각이 되게 합지 한다. 이렇게 하면 두께는 보통의 전통 종이 1합지 처럼 얇으면서 내구성은 기존의 2합지 보다 더 강하게 구성되어진다. 즉, 전통 종이의 경우 결이 한 방향으로 되어있어 잘 찢어지기 쉬워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합지의 결이 수평과 수직으로 합지되게 구성된 종이를 제조함으로써, 수평과 수직 양쪽 방향 모두 내구성이 강하며 통풍성이 좋은 종이가 탄생되어진다.
도 1은 전통 종이의 제작 및 종이 마스크 제조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1단계는 전통 종이의 제작 단계이며, 전통 종이의 제작은 종이 뜨기, 습지 쌓기, 압착하기, 건조, 아교 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습지를 만들 때 수평과 수직으로 합지를 하여 만들어 전통 종이를 제작한다.
2단계는 전통 종이를 마스크 크기대로 재단한다.
3단계는 전통 종이 마스크(A)의 외측지(1)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등의 장식부(4)를 구성하여 패션화시킨다.
4단계는 전통 종이 마스크(A)의 외측지(1)와 내측지(2)가 합지된 일정한 부분에 귀걸이부(3)를 붙여서 전통 종이 마스크로 가공한다.
마지막 5단계는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 또는 천연 약재 염색물을 전통 종이에 분사하는 단계로, 사용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은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99.99% 불활화능과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를 가진 것으로, 전통 종이 마스크(A)의 안쪽에 내측지(2)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도록 하여 전통 종이 마스크를 완성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종이 마스크에 대한 구성도로서, 전통 종이를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만드는 것으로, 종이 마스크(A)의 안쪽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하여 구비된 내측지(2)와, 상기 마스크(A)의 바깥쪽에 구비된 외측지(1), 및 걸이부(3)로 구성되어진 종이 마스크이며, 도 3은 전통 종이 마스크의 다른 실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이 마스크(A)의 외측지(1)의 일정부분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등의 장식부(4)를 두어 패션화한 종이 마스크이다. 그리고, 종이 마스크의 결착부(5)는 종이 마스크(A)의 내측지(2)와 외측지(1)를 색을 가진 실로서 바늘 뜸하여 결착되어지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전통 종이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1)의 좌우 대칭의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6)를 두어서 마스크를 올리고 내리고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 실시예 2]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종이마스크(A)에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불활화 시키는 것과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를 가진 천연 약재 추출물인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 또는 분사하는 방식으로 전통 종이 마스크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주)천년지애에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쑥 추출물은 애엽 또는 약쑥의 잎을 건조한 것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95% 알코올 주정에 24~ 48시간 침전시킨 뒤, 쑥의 약리성분이 알코올 주정에 충분히 추출시킨 다음, 쑥잎과 불순물은 건져내고, 알코올 주정을 휘발시키면, 쑥 추출물이 남는다. 쑥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동량의 유화제를 첨가한 다음, 최종 98 중량배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만들어 사용하였다.
다음은 상기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신종플루(H1N1)에 대한 불활화능의 실험 및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실험예 1]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신종플루(H1N1)에 대한 불활화 능의 실험
1. 시험목적 및 배경
(주)천년지애(대표자: 부경대학교 조봉관 교수)에서 의뢰한 쑥(애엽 또는 약쑥) 추출물의 신종플루 (H1N1) 바이러스 불활화 능을 분석하고자 한 것으로,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독감바이러스연구소(소장 서상희 교수)를 통한 용역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상기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전통 종이 마스크에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불활화 시키는 물질인 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실험배경으로는, 돼지에게서 유래한 신종플루(H1N1)독감은 2009년 4월초 멕시코 및 미국에서 사람간의 전염을 시작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였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이미 대유행을 선언했고 사망자가 10,000명을 넘었고, 완전한 치료제도 없고, 준비하는 백신도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신종플루 (H1N1) 불활화 검증은 개인위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 측정방법
(주)천년지애에서 분석 의뢰한 시료 약쑥 (애엽 또는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대상 바이러스는 대유행이 선언된 신종플루 (H1N1) 바이러스로 WHO 표준 균주(A/California/O4/09 (H1N1))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방법으로는 1)약쑥 유기용매 추출액 100㎕에 신종플루 (H1N1) 106EID50/㎖ (50%계란감염 양 백만)의 100㎕를 적용한다. 2)실험실온도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3)20분간 반응시킨 후, 10 배씩 PBS로 연속 희석한다. 4)10배씩 (10-fold) 희석한 액을 10일령의 유정란에 접종한다. 5)접종한 유정란을 48시간동안 35℃ 의 부화기에서 배양 후, 4℃의 냉장고에서 4시간동안 냉장 한다. 6)냉장한 유정란의 요수에 바이러스의 존재를 혈구응집반응에 의해 측정하여, log 10 egg infectious dose 50/ml (1og10EID50/㎖)를 측정한다.
[실험결과]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액의 신종플루 (H1N1)의 불활화 능의 결과에서와 같이, (주) 천년지애 약쑥 유기용매 추출액은 신종플루 (H1N1) 바이러스를 99.99%까지 불활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은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력의 실험 및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실험예 2]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력
1. 시험목적 및 배경
(주)천년지애(대표자: 부경대학교 조봉관 교수)에서 의뢰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 B, C, D 3종류를 시험 물질로 하여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소독효력을 분석하고자 한 것으로,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김기석 교수)를 통한 용역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상기 쑥 추출물 B, C, D 3종류에 대하여 설명하면, 쑥 추출물 B는 애엽 또는 약쑥의 잎을 건조한 것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메틸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약쑥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상기 약쑥 메탄올 추출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약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획하여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쑥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3 중량배의 유화제를 첨가하여 원액으로 하였다. 쑥 추출물 C는 약쑥을 끊는 물에서 끓인 후, 조청과 같이 반고형 상태로 추출한 쑥 탕액을 원액으로 하였다. 쑥 추출물 D는 상기 쑥 추출물 B의 획득과정에서 동일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에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동량의 유화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대상병원체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chicken/Korea/MS96/1996(H9N2)이며, 희석배수는 쑥 추출물 원액 B, C, D 3종류를 100배, 200배, 400배, 800배로 각각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수의과학검역원 고시 제2007-10호의 소독제효력시험 지침의 별표 2의 바이러스의 소독제효력시험 규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2. 공시 바이러스
1) 바이러스 : 공시소독제의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분양받아 보관 중인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9N2(MS96 strain)를 시험에 제공하였다.
2) 바이러스 배양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S96주를 9일령의 SPF 부화란에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바이러스는 역가가 최소 107.0EID50/㎖이상 되도록 증식하였으며, 증식된 바이러스는 영하 70℃가 유지되는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3. 시험방법
1) 소독제의 희석 : 각각 공시소독제의 희석은 유기물 희석액(5% 소 태아 혈청)으로 희석하였으며, 이때 희석배수는 원액의 1/100, 1/200, 1/400 및 1/800배로 하였다.
2) 소독제 반응 : 증식된 4℃의 바이러스 액(뇨막강액) 1.0㎖ 를 처리구에 맞게 4℃의 유기물 희석액(5% 소 태아 혈청) 19㎖에 각각 섞어 소독제 반응용 바이러스를 준비하고 1분 간격으로 준비된 바이러스 액 2.5㎖씩을 각각 4℃ 상태의 동량의 소독제 희석 액이 들어 있는 시험관에 넣고 혼합한 다음(총 5㎖), 4℃에서 정확히 30분간 반응하였으며 도중에 10분마다 잘 흔들어 주었다. 대조군은 소독액 대신에 경수를 사용하였다.
3)중화반응 : 소덕제의 반응이 종료된 후, 소독제의 효능을 중화시키기 위해 즉시 1.0㎖를 꺼내어 동량의 비 동화된 10%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한 37℃의 PBS와 혼합하여 중화시켰다.
4) 바이러스 증식여부 판정 : 중화액을 PBS를 사용하여 원액, 10-1, 10-2, 10-3, 10-4, 10-5로 희석하여 0.2㎖을 희석배수 당 5개의 10일령 발육란의 뇨막강내에 접종하고, 37℃의 부화기내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매일 검란을 실시하면서 접종 후 24시간이내에 죽은 발육란은 사고사로 간주하고, 시험성적에서 제외시켰다.
5) 소독제 유효농도 평가 : 병원체 대조군의 바이러스 함량에서 소독제 처리군의 바이러스함량을 대조로하여 104.0EID50/㎖ 이상의 불활화가 인정되는 희석농도를 유효농도로 하였다.
이때 바이러스 함유량 계산은 Karber method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쑥 추출물의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제희석배수에 따른 소독효력시험 결과에서와 나타낸바와 같이, 쑥 추출물제제별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를 시험한 결과 B제제의 경우 원액의 100배(1/100) 희석액에서 소독효과가 인정되었고, C 제제에서는 원액의 100배(1/100) 희석액에서도 소독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D제제에서는 원액의 200배(1/200) 희석 농도까지 소독효과가 인정되었다.
상기의 실험결과에 따라 본원발명에 사용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의 경우, 신종플루 (H1N1) 바이러스를 불활화 시키는 것(표 1과 도 5)과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표 2)가 인정되었다.
A : 종이 마스크
1 : 종이 마스크의 외측지 2 : 종이 마스크의 내측지
3 : 종이 마스크의 귀걸이부 4 : 종이 마스크의 장식부
5 : 종이 마스크의 결착부 6 : 종이 마스크의 손잡이

Claims (6)

  1. 전통 종이를 이용하여 종이 마스크를 만드는 것으로, 종이 마스크(A)의 안쪽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하여 구비된 내측지(2)와, 상기 마스크(A)의 바깥쪽에 구비된 외측지(1) 및 걸이부(3)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종이 마스크(A)의 내측지(2)와 외측지(1)의 종이는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게 2장을 합지하여 1장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종이 마스크는 외측지(1)의 좌우 대칭 중앙부에 마스크 손잡이(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종이 마스크는 마스크 내측지(2)에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을 재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종이 마스크(A)에 사용된 약쑥 유기용매 추출물은 신종플루(H1N1) 바이러스를 불활화 능과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효과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종이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종이 마스크(A)는 마스크의 외측지(1)의 일정부분에 돋을새김, 큐빅, 핫피스, 무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장식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마스크.
KR1020100008200A 2010-01-29 2010-01-29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KR10119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00A KR101193099B1 (ko) 2010-01-29 2010-01-29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00A KR101193099B1 (ko) 2010-01-29 2010-01-29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22A true KR20110088622A (ko) 2011-08-04
KR101193099B1 KR101193099B1 (ko) 2012-10-19

Family

ID=4492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00A KR101193099B1 (ko) 2010-01-29 2010-01-29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759A (ko) * 2021-01-14 2022-07-21 차윤숙 기능성 쪽염색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쪽염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94B1 (ko) * 2019-11-19 2020-03-16 최성현 한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35Y1 (ko) 2003-12-03 2004-02-25 정의명 일회용 천연염색 부직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759A (ko) * 2021-01-14 2022-07-21 차윤숙 기능성 쪽염색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쪽염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099B1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ürmann et al. Antiviral activity of an alcoholic hand disinfectant. Comparison of the in vitro suspension test with in vivo experiments on hands, and on individual fingertips
EP2340842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al infection comprising tannic acid,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US911981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al infection comprising sumac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JP5571577B2 (ja) A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属の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性衛生用繊維製品
CN103493853A (zh) 一种消毒液
KR20170033925A (ko) 항바이러스 및 세균용 스프레이 조성물
JP5208151B2 (ja) ヌルデ抽出物を含む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の予防用組成物、該組成物を含むエアフィルター、及び該フィルターを含む空気清浄器
Tayel et al. Production of anticandidal cotton textiles treated with oak gall extract
KR101193099B1 (ko)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능을 가진 약쑥 유기용매추출물이 함유된 종이 마스크
CN101283688B (zh) 纯中药抗禽流感空气消毒剂及其制备方法
JPWO2004091640A1 (ja) 皮膚保護組成物
CN114929252B (zh) 抗微生物精油组合物、包含其的制品及制品的制备方法
CN101003943A (zh) 钠米抗菌棉纺织材料及其系列卫生日用品
KR101177182B1 (ko) 신종플루 바이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화 능을 가진 약쑥 95%주정추출물이 함유된 쑥환
JP2022055977A (ja) 新型コロナウイルス増殖抑制剤
CN103330956A (zh) 一种抑菌型清新空气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DE202005014459U1 (de) Aerosol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der Influenza
CN106212542A (zh) 一种兽用中药消毒剂的制备方法
KR101095491B1 (ko) 항바이러스성 수성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57712B1 (ko) 좀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1201485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nfection of new influenza a (h1n1) virus comprising ginkgo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KR101135184B1 (ko) 항균 세정제 조성물
CA2622508A1 (en)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Ganapathy In Vitro Analysis of the Anti-influenza Virus Activity of Pomegranate Products and Fulvic Acid.
TR202011605A2 (tr) Borlu el dezenfektan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