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905A -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905A
KR20110086905A KR1020100006293A KR20100006293A KR20110086905A KR 20110086905 A KR20110086905 A KR 20110086905A KR 1020100006293 A KR1020100006293 A KR 1020100006293A KR 20100006293 A KR20100006293 A KR 20100006293A KR 20110086905 A KR20110086905 A KR 2011008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unit
detection signal
sen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김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석 filed Critical 김준석
Priority to KR102010000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905A/ko
Publication of KR2011008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2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01S13/524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 G01S13/53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using transmissions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based upon the phase or frequency shift resulting from movement of objects,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signals, e.g. coherent MTi performing filtering on a single spectral line and associated with one or more range gates with a phase detector or a frequency mixer to extract the Doppler information, e.g. pulse Doppler rada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자동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어부가 인식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증폭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기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비교판단모듈의 판단에 따라 도어개폐를 지시하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출입권한 없는 외부인의 출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향상된 보안 효과를 가지고, 외부인이 보안 자동문을 억지로 개방하려고 도어의 틈 사이로 물체를 넣어 움직임을 주는 경우 기설정장소에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보안 자동문의 상태를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효과적으로 감지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security do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자동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어부가 인식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증폭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기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비교판단모듈의 판단에 따라 도어개폐를 지시하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출입권한 없는 외부인의 출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향상된 보안 효과를 가지고, 외부인이 보안 자동문을 억지로 개방하려고 도어의 틈 사이로 물체를 넣어 움직임을 주는 경우 기설정장소에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보안 자동문의 상태를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효과적으로 감지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관공서, 백화점, 상가와 같은 대형건물의 출입구에만 보행자의 출입의 편리성을 위해 사람들의 출입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문은 아파트 출입구 또는 일반건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관공서 등에 설치되는 자동문은 출입구 내외부에서 자동으로 열리나, 아파트 출입구 등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막기 위해서, 아파트 출입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가는 사람은 주민으로 간주하여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나, 아파트 출입구 바깥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려면 도어폰을 통해 비밀번호를 눌러서 문을 열거나 원하는 호수를 호출하여 상기 호수를 가진 입주자가 외부인을 카메라로 확인한 뒤 문을 열어주어야 하는 보안 자동문이 설치된다. 상기 보안 자동문에서 입주자가 아파트 출입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갈 때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원리는 출입구 내 보안 자동문 쪽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가 사람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보안 자동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있는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장점이 있으나 외부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보안 자동문을 외부에서 강제로 흔드는 등의 상기 보안 자동문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보안 자동문의 도어사이로 신문지 등의 이물질을 집어넣어 센서 앞에 움직임을 주는 경우, 상기 센서가 사람이 다가오는 것으로 파악하여 문을 열어주어, 외부인이 손쉽게 아파트 출입구를 통과할 수 있어 보안 자동문이 무력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져 센서의 움직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센서를 절대위치로 본다면, 센서의 입장에서는 외부물체와 상대적 거리가 달라짐으로 외부물체의 움직임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또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비교적 외부 충격에 강한 센서가 있으나 상기 센서들도 센서 앞에서 움직임을 주는 경우 오작동이 우려가 있고,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고, 삼파장 형광등이나 아지랑이를 인식하는 등의 각 센서마다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및 충격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할 때에만 도어를 개방시켜 출입권한 없는 외부인의 출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향상된 보안 효과를 가지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판단모듈이 감지신호가 근접모션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때에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외부인이 보안 자동문을 억지로 개방하려고 도어의 틈 사이로 물체를 집어넣어 상기 센서 앞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기설정장소에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보안 자동문의 상태를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증폭부와 제2증폭부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감지신호를 증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접모션 패턴과 충격 패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문 제어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렌즈부 안쪽에 감지부를 설치하여 충격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면서도 접근하는 사물을 효과적으로 구별해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용한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는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기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비교판단모듈의 판단에 따라 도어개폐를 지시하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상기 지시부가 도어개방을 지시하고,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 또는 충격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상기 지시부가 도어폐쇄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증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신호를 1차적으로 증폭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감지신호를 2차적으로 증폭하는 제2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근접모션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은 저장부에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저장되는 기준 패턴 설정단계와; 감지부가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신호 수집단계와;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에서 출력한 감지신호와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하는 접근사물 판단단계와;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가 도어개방을 지시하는 열림 지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는 저장부에 감지부에 사물이 접근할 때 생기는 접근사물 패턴을 저장하는 접근사물 패턴 설정단계와; 저장부에 감지부의 일정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움직이 있을 때 생기는 근접모션 패턴을 저장하는 근접모션 패턴 설정단계와; 저장부에 상기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생기는 충격 패턴을 저장하는 충격 패턴 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1증폭부가 증폭하는 제1차 증폭단계와; 상기 제1차 증폭단계에서 증폭된 상기 감지신호를 제2증폭부가 증폭하는 제2차 증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은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근접모션 판단단계와;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통신부가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지시부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경고신호 송신 및 폐쇄 지시단계와;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충격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충격 판단단계와; 상기 충격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충격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폐쇄 지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및 충격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할 때에만 도어를 개방시켜 출입권한 없는 외부인의 출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어 향상된 보안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교판단모듈이 감지신호가 근접모션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때에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외부인이 보안 자동문을 억지로 개방하려고 도어의 틈 사이로 물체를 집어넣어 상기 센서 앞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기설정장소에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보안 자동문의 상태를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증폭부와 제2증폭부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감지신호를 증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접모션 패턴과 충격 패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동문 제어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렌즈부 안쪽에 감지부를 설치하여 충격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면서도 접근하는 사물을 효과적으로 구별해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접근사물 패턴의 나타내는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근접모션 패턴의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충격 패턴의 나타내는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와 결합한 케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스가 설치된 보안 자동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접근사물 패턴의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근접모션 패턴을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충격 패턴의 나타내는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와 결합한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스가 설치된 보안 자동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가 보안 자동문에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는 PCB 형태로 케이스(3)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렌즈(5)의 후면에 결합하고, 상기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를 포함하는 케이스(3)는 보안 자동문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는 렌즈(5) 후면에 설치되어 케이스(3)에 가해지는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하지 않아서 외부 충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를 살펴보면, 상기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1)는 고주파를 발사하여 주변이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전압신호(이하, '감지신호'라 함)를 출력하는 감지부(10)와, 상기 감지부(1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어부(30)가 인식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증폭부(20)와,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기저장된 저장부(40)와, 상기 증폭부(20)에 증폭된 감지신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판단에 따라 도어개폐를 지시하는 지시부(50)와,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0)는 고주파를 발사하여 주변이 대상물에 부디쳐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전압신호, 즉 감지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감지부(10)는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에 감지된 감지신호는 증폭부(20)에 전달된다.
상기 증폭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어부(30)가 인식가능하도록 증폭시키는 구성으로,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0)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는 제1증폭부(21)를 통해서 1차로 증폭되고, 상기 제1증폭부(21)를 통해 증폭된 감지신호는 제2증폭부(23)를 통해서 2차로 증폭되어 감지신호는 효과적으로 증폭된다.
상기 제1증폭부(21)에 증폭된 감지신호는 제2증폭부(23)에 전달되어 2차 증폭이 되어 제어부(30)로 전달되며, 상기 제1증폭부(21)에 증폭된 감지신호도 상기 제어부(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에서 각각 증폭된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사물이 상기 감지부(10)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패턴(이하, '접근사물 패턴'이라 함)을 도 2(x축은 시간을 가르키고 y축은 전압값을 가르킨다. 도 3과 4도 마찬가지이다)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측에 그래프가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파형인데, 사물이 점점 상기 감지부(10)에 가까워지므로 상기 감지부(10)가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신호의 세기가 커져 파형의 진폭은 점점 커짐을 알 수 있다. 하측의 그래프는 제1증폭부(21)에서 출력되는 파형인데 증폭되는 세기가 약하여 변화가 없는 진폭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파형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이면 접근사물 패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와 30c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예컨데 보안 자동문 외부에 도어 사이로 신문지 등을 집어넣어 흔드는 경우에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패턴(이하, '근접모션 패턴'이라 함)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근접모션 패턴은 제1증폭부(21)에서 출력되는 파형은 물결모양을 형성한다. 상기 물체가 상기 감지부(10)의 감지영역에서 반복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므로, 상기 감지부(10)가 감지하는 감지신호의 세기가 차이가 있게 된다.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상기 감지부의 감지영역에서 가까워지는 경우 하측 그래프처럼 진폭 값이 최대로 되고 상기 물체가 상기 감지부(10)의 감지영역에서 멀어지는 경우 진폭 값이 최소로 되기 때문이다.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파형은 너무 증폭되어 출력 즉시 최대가 되어 데이터의 판단기준이 없어진다. 따라서 근접모션 패턴의 경우 상기 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세기가 크므로 제1증폭부(21)에서 출력되는 파형이 물결형태인 것을 확인하여 근접모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는 30c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근접모션 패턴을 확인하였지만, 상기 감지부(10)와 30cm를 초과하는 근접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도 근접모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안 자동문 등에 충격이 가해져 상기 감지부(10)가 움직이는 경우에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에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패턴(이하, '충격 패턴'이라 함)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감지부(10)의 감지영역 내에 움직이는 사물이 없다고 하더라도, 상기 감지부(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감지부(10)는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0)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상기 감지부(10)와 고정된 물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감지부의 움직임에 따라 가까워지고 멀어지게 되어, 상기 감지부가 고정된 물체에 고주파를 투사하여 반사하는 파를 감지하는 경우라도 파형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상기 충격 패턴은 제1증폭부(21)에서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내는 하측의 그래프를 보면, 증폭되는 세기가 약하여 변화가 없는 진폭형태를 나타낸다. 상측의 그래프는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출력되는 파형은 물결모양을 형성한다. 상기 감지부(10)에 충격이 발행하여 상기 감지부(10)의 흔들림이 최대가 될 경우 하측 그래프처럼 진폭 값이 최대로 되고 상기 감지부(10)에 가해진 충격이 사라져 상기 감지부(10)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위치에서는 진폭 값이 최소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파형이 물결형태인 것을 확인하여 충격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증폭부(21)와 제2증폭부(23)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증폭시킴으로 효율적으로 감지신호를 증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접모션 패턴과 충격 패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제1증폭부와 제2증폭부가 사용되었으나 하나의 증폭부만을 사용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부(40)는 감지신호의 비교대상이 되는 접근사물 패턴과 근접모션 패턴과 충격 패턴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상기 저장부(40)는 일반적으로 기록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램(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는 접근사물 패턴과 근접모션 패턴과 충격 패턴은 증폭부(20)에서 출력되는 접근사물 패턴 ,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을 6번 이상 측정하여 평균한 패턴이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상기 감지부(10)가 감지한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사물이 접근하는지, 상기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기 감지부(10)의 근접거리에서 물체를 움직이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40)는 접근사물 패턴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41)와, 근접모션 패턴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43)와, 충격 패턴이 저장되는 제3저장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증폭부(20)에 증폭된 감지신호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비교판단모듈(31)과 제어모듈(33)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은 상기 감지부(10)과 감지하여 증폭부(20)를 통해 증폭된 감지신호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사물의 접근에 의한 것인지, 상기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인지, 상기 감지부의 근접거리에 물체를 움직이는지 판단한다.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은 상기 감지신호가 제1저장부(41)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처럼 진폭이 커지는 파형이면 사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제2저장부(43)에 저장된 근접모션 패턴처럼 제1증폭부(21)에서 출력되는 파형이 커지고 작아지는 물결 형태인 경우 상기 감지부의 30cm 이내의 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제3저장부(45)에 저장된 충격 패턴처럼 제2증폭부(23)에서 출력되는 파형이 커지고 작아지는 물결 형태인 경우 상기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33)은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전반의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시부(50)는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의 판단에 따라 보안 자동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에 도어의 개폐를 지시하는 구성이다.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이 감지신호가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지시부(50)는 구동부에 도어의 개방을 지시하고,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이 감지신호가 근접모션 패턴 또는 충격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지시부(50)는 구동부에 도어의 폐쇄를 지시한다.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의 판단에 따라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기설정장소란 상기 경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가지고 있는 장소로 예컨대 보안 자동문이 아파트에 설치되는 경우 경비실이 될 수 있다. 상기 비교판단모듈(31)이 감지신호가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상기 통신부(60)는 경고신호를 송신한다. 근접모션 패턴의 경우 보안 자동문의 도어 사이에 신문지 등을 삽입하여 고의적으로 도어를 개방하려는 경우로, 도둑 등의 접근권한 없는 외부인이 아파트 내부로 침입하려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의 경우 경비실에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보안 자동문의 상태를 확인하여 접근권한 없는 외부인의 출입을 막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은 저장부(40)에 접근사물 패턴, 근접사물 패턴 및 충격 패턴이 저장되는 기준 패턴 설정단계(S1)와, 감지부(10)가 물체에 투사되어 되돌아 오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증폭부(20)가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부(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증폭시키는 감지신호 수집단계(S2)와,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감지신호와 접근사물 패턴, 근접사물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지시부(50)가 도어의 개폐를 지시하고 상기 통신부(60)가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센서신호 분석 및 지시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S1)는 감지신호의 비교대상이 되는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을 저장부(40)에 저장하는 단계로, 접근사물 패턴 설정단계(S11), 근접모션 패턴(S12), 충격 설정단계(S13)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사물 패턴 설정단계(S11)는 사물이 감지부(10)에 접근할 때 감지되어 증폭부(20)를 통해 증폭된 접근사물 패턴을 제1저장부(41)에 저장하는 단계로, 상기 감지부(10)에 사람을 접근시켜서 감지부(10)가 감지한 감지신호를 증폭부(20)에서 증폭시켜 접근사물 패턴을 얻는데 6번 이상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평균한 패턴을 제1저장부(41)에 저장한다.
상기 근접모션 패턴 설정단계(S12)는 감지부(10)로부터 30cm 이내에서 신문지 등으로 움직임을 주는 경우, 상기 감지부(10)가 이를 감지하여 증폭부(20)를 통해 증폭시켜 근접모션 패턴을 얻는데 6번 이상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평균한 패턴을 제2저장부(43)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충격 패턴 설정단계(S13)은 감지부(10)로부터 충격이 가해져 상기 감지부(10)에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10)가 이를 감지하여 증폭부(20)를 통해 증폭시켜 충격 패턴을 얻는데 6번 이상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평균한 패턴을 제3저장부(45)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S2)는 감지부(10)가 감지영역에 있는 물체에 고주파를 투사하여 반사된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증폭부(20)가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부(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증폭시키는 단계로,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S2)는 상기 감지부(10)가 감지영역에 있는 물체에 고주파를 투사하여 반사된 파를 감지하여 감시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단계(S21)와, 상기 감지단계(S21)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1증폭부(21)가 증폭하는 제1차 증폭단계(S22)와, 상기 제1차 증폭단계(S22)에서 증폭된 상기 감지신호를 제2증폭부(23)가 증폭하는 제2차 증폭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신호 분석 및 지시단계(S3)은 제어부(30)가 상기 감지신호와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지시부(50)가 도어의 개폐를 지시하고 상기 통신부(60)가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 접근사물 판단단계(S31)와, 열림 지시단계(S32)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S31)는 비교판단모듈(31)이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S2)에서 수집증폭한 감지신호와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S1)에서 제1저장부(41)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림 지시단계(S32)는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31)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제1저장부(41)에 저장된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50)가 도어개방을 지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신호 분석 및 지시단계(S3)는 근접모션 판단단계(S33), 경고신호 송신 및 폐쇄 지시단계(S34), 충격 판단단계(S35), 폐쇄 지시단계(S3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S33)는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31)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31)이 상기 감지신호가 제2저장부(43)에 저장된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경고신호 송신 및 폐쇄 지시단계(S34)는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S33)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통신부(60)가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지시부(50)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충격 판단단계(S35)는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S33)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31)이 상기 감지신호가 충격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로, 상기 감지신호가 충격 패턴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다시 감지신호를 수집한다.
상기 폐쇄 지시단계(S36)는 상기 충격 판단단계(S35)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충격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50)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물이 접근할 때에만 도어를 개방하고,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 사이로 물체를 집어넣어 감지부 앞에서 흔드는 경우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상기 보안 자동문을 일부러 열려고 도어 상이에 물체를 집어넣어 흔드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므로 관리자 등이 보안 자동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도둑 등의 외부인이 아파트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3: 케이스 5: 렌즈
10: 감지부 20: 증폭부 21: 제1증폭부
23: 제2증폭부 30: 제어부 31: 비교판단모듈
33: 제어모듈 40: 저장부 41: 제1저장부
43: 제2저장부 45: 제3저장부 50: 지시부
60: 통신부

Claims (8)

  1.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기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비교판단모듈의 판단에 따라 도어개폐를 지시하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상기 지시부가 도어개방을 지시하고,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 또는 충격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상기 지시부가 도어폐쇄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증폭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상기 감지신호를 1차적으로 증폭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감지신호를 2차적으로 증폭하는 제2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는
    상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근접모션 패턴에 해당한다고 판단시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RF를 이용한 도플러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6. 저장부에 접근사물 패턴, 근접모션 패턴 및 충격 패턴이 저장되는 기준 패턴 설정단계와;
    감지부가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신호 수집단계와;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에서 출력한 감지신호와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접근사물 패턴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하는 접근사물 판단단계와;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가 도어개방을 지시하는 열림 지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패턴 설정단계는 저장부에 감지부에 사물이 접근할 때 생기는 접근사물 패턴을 저장하는 접근사물 패턴 설정단계와; 저장부에 감지부의 일정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움직이 있을 때 생기는 근접모션 패턴을 저장하는 근접모션 패턴 설정단계와; 저장부에 상기 감지부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생기는 충격 패턴을 저장하는 충격 패턴 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신호 수집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고주파를 발사하여 감지영역 내의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파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단계에서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1증폭부가 증폭하는 제1차 증폭단계와; 상기 제1차 증폭단계에서 증폭된 상기 감지신호를 제2증폭부가 증폭하는 제2차 증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은
    상기 접근사물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접근사물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근접모션 판단단계와;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통신부가 기설정장소에 경고신호를 송신하고, 지시부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경고신호 송신 및 폐쇄 지시단계와;
    상기 근접모션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근접모션 패턴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비교판단모듈이 상기 감지신호가 저장부에 저장된 충격 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충격 판단단계와;
    상기 충격 판단단계에서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충격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시부가 도어의 폐쇄를 지시하는 폐쇄 지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자동문 제어방법.
KR1020100006293A 2010-01-25 2010-01-25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6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93A KR20110086905A (ko) 2010-01-25 2010-01-25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93A KR20110086905A (ko) 2010-01-25 2010-01-25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905A true KR20110086905A (ko) 2011-08-02

Family

ID=449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293A KR20110086905A (ko) 2010-01-25 2010-01-25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9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357A (ko) * 2015-12-31 2017-07-10 김종남 전자키 도어락의 자동열림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357A (ko) * 2015-12-31 2017-07-10 김종남 전자키 도어락의 자동열림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018B2 (en) Wireless door contact sensor with motion sensor disable
US9811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unauthorized intrusion at a door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CN101300611B (zh) 组合的散射光和消光火警探测器
US8032285B2 (en) Device with memory function for controlling closur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0958932B1 (ko) 3차원 음원 위치 측정 기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US11225821B2 (en) Door operator
US7978069B2 (en) Reliable security system by triangulation
US9082276B2 (en) Barrier pressure detection system
WO2003087513A1 (fr) Appareil d'ouverture/fermeture de porte automatique
EP218249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86905A (ko) 보안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5338A (ko)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한 주차장 자동 제어 시스템
CN208506918U (zh) 一种智能安防系统
US8280102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n movement element, particularly a door or a gate
US20200175829A1 (en) Alarm device distinguishing between lawful occupier and intruder
KR10160973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그 작동 방법
KR102357380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출입문의 자동개폐시스템
KR102154409B1 (ko) 출입 감지 장치
KR100337492B1 (ko)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US20230071428A1 (en) Security system with ferromagnetic sensing
KR102102775B1 (ko) 실내 공간 변형 감지 장치
KR101889962B1 (ko) 뒤따름 방지기능이 있는 도어락
JP6718699B2 (ja) 音認識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316225Y1 (ko) 증폭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