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682A -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682A
KR20110085682A KR1020100005595A KR20100005595A KR20110085682A KR 20110085682 A KR20110085682 A KR 20110085682A KR 1020100005595 A KR1020100005595 A KR 1020100005595A KR 20100005595 A KR20100005595 A KR 20100005595A KR 20110085682 A KR20110085682 A KR 2011008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ness
sound
pattern
volum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210B1 (ko
Inventor
강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은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이퀄라이제이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퀄라이제이션(equalization)의 설정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분석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장치의 볼륨 설정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청각에 인지되는 소리의 균형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AUDIO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인지 특성 또는 청각 특성을 반영하여 음향을 제어하는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향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고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로서, 음향출력장치의 기능과 중복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음향출력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여,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시행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 장식적 효과와 공간 활용을 위해 영상표시장치나 음향출력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들이 얇고 작게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음향 출력을 위한 모듈들도 크기가 줄어들고 있는데, 음향 출력 장치의 크기 축소는 음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반면 음향이 출력되는 기능을 가진 영상표시장치 또는 음향 출력 장치를 선택하거나 평가함에 있어서 음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계속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음질 개선을 위한 기술은 계속 개발 중에 있는데, 특히 디자인의 슬림화에 따라 저음의 재생이 어려워지는 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특히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저음의 보완을 위해 저음에 대한 동력만을 신장시키는 경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음향의 조화(balance)가 깨어지고 음이 깨어지는 현상(distortion)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향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는 음향출력장치로 지칭하도록 하며, 여기서 음향출력장치는 영상표시기능이 있는 음향출력장치와 영상표시기능이 없는 음향출력장치를 모두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륨에 변화가 있어도 음향의 조화와 균형이 유지되는 음향출력장치와 음향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음향의 출력 시 인간의 인지 특성이나 실제적인 청감을 반영하여 보다 나은 음질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은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이퀄라이제이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퀄라이제이션(equalization)의 설정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분석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는,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설정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따라 조절하는 음향 처리부 및 상기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장치의 볼륨 설정이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기대하는 음향의 균형(balance)가 깨어지고 음질이 저하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즉 볼륨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기준이 되는 주파수에 대한 음향의 인지적인 특성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음향의 균형도 유지되고, 음질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장치가 저음에만 과도하게 치중하는 현상으로 인한 소리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효율 역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슬림화에도 불구하고 향상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간의 인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보정된 음향을 통해, 보다 나은 음질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장 즐겨 설정하는 볼륨과 이퀄라이제이션을 기준으로 삼아 다른 볼륨의 음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부합되는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음향 처리부(20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니스 분석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프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출력 음향의 라우드니스가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기준으로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향출력장치(100)는 영상과 음향을 모두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예시하며,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영상/음성 처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음향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목록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선택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음향출력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음향출력장치(100)를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외부장치와 음향출력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A/V 입출력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음향출력장치(100)의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음향출력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더넷(Ethernet)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은 LAN을 통하여 연결되는 방송형 통신망,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와,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는 좌표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RF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가 IR 통신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부의 좌표산출부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좌표산출부는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한 후 음향출력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음향출력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 전송 신호는 음향출력장치(100)의 제어부(150)로 출력된다.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 또는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음향출력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를 산출하여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수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음향출력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음향출력장치(100)에 구비된 로컬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 또는 로컬키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음향출력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선택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가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의 USB 입력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향출력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음향출력장치(100)와 관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로 출력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명령, 음향출력장치(10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 또는 음향출력장치(100)의 동작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신호가 수신될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산출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제어부(150)에서 출력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한 포인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또 다른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는 명령, 로컬키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 또는 음향출력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음향출력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음향출력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은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음향출력장치(100)의 음성 출력(볼륨) 레벨, 채널 정보, 현재 시간 등 음향출력장치(100) 또는 음향출력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는 음향출력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ex) 동영상)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위젯(Widget)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element)를 의미한다. 일예로 위젯은 음향출력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스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음향출력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위젯의 형태는 음향출력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구현되어야 하는 GUI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위젯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저장부(160)는 음향출력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와 관련되는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음향출력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한 경우 녹화한 영상데이터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녹화 영상 재생명령이 음향출력장치(100)로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제어부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및 음향 출력부(185)에 적합하도록 처리한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출력부(185)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장치(100) 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제어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처리해야 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의 신호이다. 제어부(15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은 방송채널 선택명령, 음향출력장치(100)로 입력되는 컨텐츠 중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선택명령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음성 처리부(17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하여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출력장치는 음향 처리부(도 1에는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음향 처리부는 영상/음성 처리부(170) 내에 포함되거나, 영상/음성 처리부(17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음향 처리부는 음향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음향을 보정하기 위해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향 처리부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디스플레이는, 3차원 영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단독으로 3D 영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추가 장치(ex)평관안경)가 없어도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이 있을 수 있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방식, 안경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경 방식에서 사용되는 안경으로는 편광 안경, 셔터 글래스, 스펙트럼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향출력부(185)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음향출력부(185)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음향 처리부(205)에서 처리된 음향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음향 처리부(205)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음향 처리부(20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음성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영상/음성 처리부(170)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동작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향 처리부(205)는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이퀄라이제이션(equalization)을 설정하고, 설정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한다. 이후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따라 조절하여, 음향 출력부(185)는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음향 처리부(205)는 음성 신호 입력부(210), 음향 특성 데이터 측정부(220), 라우드니스 분석부(230), 타겟 패턴 산출부(240), 출력 패턴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음향 처리부(205)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신호를 처리 및 보정하여 음향 출력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음성 신호 입력부(210)가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S310).
그리고 볼륨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이퀄라이제이션이 설정되면, 음향 특성 데이터 측정부(220)는 설정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다(S320). 여기서, 이퀄라이제이션은 오디오나 비디오의 전기신호를 표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음향 출력장치의 이퀄라이제이션을 설정한다고 함은, 출력될 음향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고 다른 부분을 삭제하거나 약화시키는 것으로, 주파수 반응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음향 특성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185)가 음향을 출력할 때의 특성에 관련된 것으로, 예컨대 스피커 시스템의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이 음향 특성 데이터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음압 레벨과 같은 음향 특성 데이터는 측정할 수도 있고, 미리 측정된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일반적인 스피커 시스템과 같은 음향 출력부(185)의 음향 특성 데이터는 20~20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정현파의 스윕(sweep) 신호에 대한 출력(output)으로, 각 주파수에 대한 음압 레벨 값으로 표현된다. 음향 특성 데이터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값이므로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수행할 필요 없이, 라우드니스 분석부(230) 또는 라우드니스 분석기(loudness analyzer)에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라우드니스(loudness) 분석부(23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산출한다(S330). 여기서 라우드니스 분석은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는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은 라우드니스 패턴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적정 볼륨이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라우드니스 분석부(230)는 소리 또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인간의 청감 시스템인 외이, 중이, 내이를 거쳐 뇌에서 최종적으로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인 라우드니스(Loudness)를 음향 특성 데이터로부터 분석한다. 라우드니스가 분석되는 주파수 대역은 볼륨의 설정과 이퀄라이제이션의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압 레벨을 분석하여 라우드니스로 환산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음향 특성 데이터를 라우드니스로 변환하고 음향을 라우드니스값을 위주로 보정하는 이유는, 소리 또는 음성 신호의 물리적인 크기 뿐만이 아니라 그 소리를 인지하는 인간의 청감 특성을 음질 개선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사람의 청감은 저주파수에 둔감하며, 4000Hz 부근의 주파수에 대해서 특히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소리의 강도 레벨이 높을수록 주파수별 청감의 차이가 적어진다. 예컨대, 인간의 청각은 1000Hz에서 50dB의 소리는 50Hz에서는 70dB로 소리를 높여야 같은 강도 레벨로 지각하게 된다.
이렇게 같은 크기로 지각되는 음의 크기 레벨은 폰(Phon)이라는 단위로 나타내며, 그 기준값은 1000Hz에서의 음압 레벨이다. 예를 들어 50phon이라 하면 1000Hz 50dB에 대응하는 등청감곡(equal-loudness curves)선이 그 크기 레벨이 되며, 주파수에 상관없이 50phon의 크기 레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소리의 크기 레벨의 개념에서 주의할 점은 이것이 단순히 물리적인 척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소리의 심리적인 척도, 또는 인간에게 감지되는 인지적인 척도와 소리의 물리적인 척도와는 다르다. 즉 폰(phon) 단위로는 소리의 크기 레벨 간에 대소(大小)의 순서 관계만을 나타낼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면 50phon과 100phon사이에는 100phon이 50phon에 비해 2배 크게 들리거나, 50phon의 음원 2개가 있으면 100phon이 되는 등의 관계가 성립되지는 않는다. 소리의 물리적인 척도와 소리의 인지적인 척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앞서 언급된 등청감곡선(equal-loudness curves)이다.
일반적으로 1000Hz 소리의 경우에 40dB의 음을 기준으로 하여, 감각적으로 그 크기가 2배가 되는 음압 레벨을 실험적으로 구한 결과 약 10dB 증가할 때 마다 2배로 크게 느껴진다고 알려져 있다. 바꾸어 말해 10dB 줄이면 그 크기가 반으로 줄어든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규칙성은 비단 1000Hz가 아닌 통상적인 음압레벨에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감각적인 음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척도가 바로 손(Sone)이다. 즉, 라우드니스 분석부(230)의 라우드니스 분석은 폰(phon) 단위의 값을 손(sone) 단위의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타겟 패턴 산출부(240)는 라우드니스 분석부(230)에 의해 정량화된 라우드니스로부터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한다(S340).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은 다른 볼륨 설정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에 대해서도 기준이 될 만한 적정 볼륨에서 분석된 라우드니스로부터 산출된다.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기준으로, 출력 패턴 제어부(250)는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 패턴을 보정 또는 수정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한다(S350). 따라서 볼륨의 변화가 있더라도, 그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상기 라우드니스는 출력 패턴 제어부(250)에 의해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수정 또는 조절된다. 따라서 음향출력장치의 볼륨이 높아지더라도 음향의 균형이 적정 볼륨인 경우에 가깝게 유지되며, 저음이 필요 이상 부각되지 않고 동일한 음질의 음향을 출력하는 데에 소비되는 파워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조절 또는 수정한다고 함은,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 값에 따른 라우드니스 패턴이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유지하면서, 각 주파수에서 라우드니스 값이 동일한 비율을 가지도록 유지되거나, 각 주파수에서 라우드니스 값이 동일하게 차이가 나도록 유지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출력 패턴 제어부(250)는, 볼륨의 변화에 따라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라우드니스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에 산출된 라우드니스 이득을 가감함으로써 출력 라우드니스를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을 출력하거나 볼륨이 변경될 때마다 라우드니스 이득을 계산하여야 한다.
또는 상기 출력 패턴 제어부(250)는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하도록 주파수 대역별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을 저장해둘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볼륨 설정에 변화가 있거나 음향을 새로이 출력하는 경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이 적용된 이퀄라이제이션을 다시 설정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의 음질이나 균형을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유지하는 것은 물론, 실시간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니스 분석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프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라우드니스 분석부(230)가 라우드니스를 분석하는 과정(S330)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위의 그림은 무어(Moore, B. C. J.)가 제시한 모델이다. 외이, 중이, 내이를 거쳐 뇌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기까지의 각 과정을 모델링하여 입력 신호의 전체의 소리 크기를 최종적으로 손(sone) 단위의 라우드니스(loudness) 값으로 산출한다.
라우드니스 분석부(230)는 다양한 라우드니스 모델(loudness model)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라우드니스 모델 중 널리 쓰이는 것은 Zwicker가 제시한 모델과 Moore가 제시한 모델이다. 이 중, 라우드니스 분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Moore가 제시한 모델을 일 예로 하여 라우드니스 분석의 각 단계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간이 소리를 들을 때, 소리는 외이의 긴 관을 거쳐 고막을 진동시킨다. 이 때 외이의 관 형상에 의해 공명현상이 생기므로 2~4KHz의 주파수 대역에 걸친 영역이 외이를 거치면서 증폭된다. 입력 데시벨(dB) 값을 외이의 전달 함수로 필터링 하게 되는데, 여기서 주어지는 외이의 전달 함수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에 따른다.
이어서 소리가 중이에 도달하면, 중이를 거치면서 저주파수에 대한 응답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중이의 전달 함수는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한다.
그리고 달팽이관 내부에 있는 기저막(basilar membrane, BM)은 그 기저막의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리가 전달되면 진동을 한다. 사람의 주파수 분해능은 여러 개의 특정 주파수를 중심으로 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주파수 대역을 임계 대역(critical band)이라 지칭할 수 있다. 임계 대역은 기저막의 공명 주파수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N개의 임계 대역이 존재할 때, 각 임계 대역은 청각 필터(auditory filter)로 모델링(modeling)될 수 있다. 도 6은 전술한 청각 필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한 개의 임계 대역에서 진동하는 소리의 크기를 특정 라우드니스(specific loudness)라 지칭할 수 있다. 특정 라우드니스를 Ns, excitation을 Esig, (auditory filter의 filtering 결과)라 할 때, 다음의 수학식이 성립된다.
Ns = C {(G Esig + A)α-Aα}
A는 내이에서의 내부 진동(internal excitation)으로 절대 임계값(absolute threshold)와 관계되는 값이며 그래프로 주어진다. A값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도 7을 참조한다. C와 G는 상수로 폰(phon)과 손(sone)의 변환 공식에 따라, 40phon일 때 1sone, 60phon일 때 4sone이 되도록 2차 방정식을 만들어 계산하면 Ns를 구할 수 있다. Ns를 구하면, 각 임계 대역의 ERB 폭을 구한다. 그리고 ERB 폭의 정의에 따라, Ns와 ERB 폭을 곱하면 특정 라우드니스를 구할 수 있다.
ERB (Equivalent Rectangular Bandwidth)은, 임계 대역(critical band)의 넓이와,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중심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가 같을 때의 사각형 폭으로 정의되며, 도 8에 그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총 라우드니스(total loudness)는 모든 임계 대역(critical band)을 대상으로 한 특정 라우드니스를 전부 합한 결과이다. 총 라우드니스를 구함으로써 해당 볼륨에서의 음향 특성 데이터로부터 라우드니스 패턴이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기준으로 삼고자 하는 볼륨과 이퀄라이제이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총 라우드니스가 구해진 경우, 해당 총 라우드니스가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이 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출력 음향의 라우드니스가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기준으로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세로축은 라우드니스 값을 나타낸다.
도 9는 임의의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과 도 11은 음향출력장치의 볼륨이 변경 설정된 후 출력될 음향의 라우드니스 패턴인 출력 라우드니스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 패턴은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의해 조절된 상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출력 라우드니스 패턴을 나타내는 곡선이 도 9에 도시된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의 곡선과 세로축 상에서 일정한 값의 차이를 가지도록 조절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출력 라우드니스 패턴을 나타내는 곡선이 도 9에 도시된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의 곡선과 세로축 상에서 일정한 비율의 차이를 가지도록 조절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두 경우 모두 출력 라우드니스 패턴이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볼륨의 변화 정도, 변화된 볼륨의 크기, 음향의 특이성 등을 고려하여 출력 라우드니스 패턴을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기준으로 보정하고, 그 패턴을 유지하는 방법에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향출력장치의 동작방법은 음향출력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Claims (15)

  1.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이퀄라이제이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퀄라이제이션(equalization)의 설정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의 라우드니스(loudness)를 분석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 레벨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니스는 상기 음압 레벨 값을 청각적으로 인지되는 소리의 크기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과 일정한 차이를 가지도록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과 일정한 비율을 가지도록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하도록 라우드니스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드니스 이득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를 가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하도록 주파수 대역별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을 적용하여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다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의 동작 방법.
  8.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설정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음향 특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따라 조절하는 음향 처리부; 및
    상기 라우드니스가 조절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처리부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신호 입력부;
    볼륨이 일정한 상태에서 설정된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에 따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를 측정하는 음향 특성 데이터 측정부;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라우드니스를 분석하는 라우드니스 분석부;
    상기 라우드니스로부터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산출하는 타겟 패턴 산출부;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출력할 음향의 상기 라우드니스를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에 맞게 조절하는 출력 패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특성 데이터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 레벨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드니스는 상기 음압 레벨 값을 청각적으로 인지되는 소리의 크기로 정량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 제어부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과 일정한 차이를 가지도록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 제어부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과 일정한 비율을 가지도록 상기 라우드니스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 제어부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하도록 라우드니스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라우드니스 이득에 따라 상기 라우드니스를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 제어부는,
    상기 볼륨의 변화에 따라 상기 상기 라우드니스가 상기 타겟 라우드니스 패턴을 유지하도록 주파수 대역별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이퀄라이제이션 이득을 적용하여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다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KR1020100005595A 2010-01-21 2010-01-21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7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95A KR101672210B1 (ko) 2010-01-21 2010-01-21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95A KR101672210B1 (ko) 2010-01-21 2010-01-21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82A true KR20110085682A (ko) 2011-07-27
KR101672210B1 KR101672210B1 (ko) 2016-11-04

Family

ID=4492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95A KR101672210B1 (ko) 2010-01-21 2010-01-21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33A (ko) * 2016-07-08 2018-01-17 전자부품연구원 오디오 ld 자동 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3190800A4 (en) * 2014-09-02 2018-06-20 LG Electronics Inc. -1- Imag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9031767A1 (en) * 2017-08-09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698718A (zh) * 2019-10-22 2021-04-2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086A (ko) 2019-12-31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신호 이퀄라이저 및 이퀄라이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213B1 (ko) * 2004-12-28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사운드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213B1 (ko) * 2004-12-28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사운드재생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0800A4 (en) * 2014-09-02 2018-06-20 LG Electronics Inc. -1- Imag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80006233A (ko) * 2016-07-08 2018-01-17 전자부품연구원 오디오 ld 자동 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9031767A1 (en) * 2017-08-09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18234B2 (en) 2017-08-09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095191A (zh) * 2017-08-09 2020-05-0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095191B (zh) * 2017-08-09 2024-02-20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698718A (zh) * 2019-10-22 2021-04-2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210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8365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US20140313417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538559B1 (en) Audio controlling apparatus, audio correction apparatus, and audio correction method
CN106713794B (zh) 一种调节音频均衡的方法及提供均衡调节的音频系统
JP2013057705A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および音声出力装置
KR101672210B1 (ko) 음향출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31823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313135A (zh) 显示设备、源设备及提供内容的方法
WO2012023922A1 (en) Color calibration and compensation for 3d display systems
JP5092575B2 (ja)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並びにその処理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14010893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9922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1188220A (ja) 電子機器及び音声制御方法
US202100191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0827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82617B1 (ja) 音響制御装置、音響補正装置、及び音響補正方法
CN115696172B (zh) 声像校准方法和装置
CN11368981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US11330371B2 (en) Audio control based on room correction an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JP5330570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735360B2 (ja) 情報端末、情報機器及びこれらからなるシステム
JP2014204338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111478A (ja) 音声処理装置
KR202100099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090057A1 (en) Audio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