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023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023A
KR20110085023A KR1020100004580A KR20100004580A KR20110085023A KR 20110085023 A KR20110085023 A KR 20110085023A KR 1020100004580 A KR1020100004580 A KR 1020100004580A KR 20100004580 A KR20100004580 A KR 20100004580A KR 20110085023 A KR20110085023 A KR 20110085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portable terminal
button
shiatsu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0000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023A/ko
Publication of KR2011008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에 형성된 개구에 돌출가능하게 마련된 지압부재와, 이 지압부재가 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지압부재의 휴대가 간편하고 지압부재를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지압부재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압법과 같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치료법이 보급되고 있다.
지압법이란 사람의 몸이나 손바닥 또는 발바닥 등 신체의 특정한 부위에 흐르는 경혈을 따라 형성되는 지압점을 비비고 문지르고 두드리는 등 압박하여 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간단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압박법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압법은 여러 가지 기구가 필요하므로 간단하게 실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누구나 손쉽게 손이나 발을 지압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지압도구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압도구는 휴대가 불편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지압부재를 내장하고,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지압부재를 꺼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지압부재를 내장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지압부재를 자동으로 꺼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에 돌출가능하게 마련된 지압부재와,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지압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직선 운동하는 랙과, 상기 랙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와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압부재의 이동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을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나오도록 상기 이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안내를 위한 지압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압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나오도록 상기 이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안내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내에 지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꺼내어 지압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내에 마련된 지압부재를 버튼을 눌러 자동으로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압부재를 손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지압부재를 꺼낼 때 지압효능별 지압점을 알려주는 지압법을 안내하는 지압안내화면을 표시시킴으로써 지압부재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압효능에 따라 알맞은 신체 부위의 지압점을 지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압효능별 지압점을 알려주는 지압법을 안내하기 위한 지압안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지압모드를 실행할 때 지압부재를 자동 꺼냄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내에 지압부재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지압부재의 장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압부재를 버튼을 눌러 꺼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표시부에 지압법을 안내하는 지압안내화면을 표시함과 지압부재를 꺼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지털 캠코터와,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노트북, 개인휴대단말기(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PMP) 등 휴대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폰인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터치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 타입의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터치 타입의 휴대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내에 지압부재가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각형상의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1), 음향출력모듈(12) 및 입력부(1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모듈(1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 L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1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모듈(1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입력부(1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0)의 일측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5)에 지압돌기를 가진 지압부재(20)가 안착되어 있다.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의 개구(14)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으로 동작되도록 마련된다.
일예로,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에 탄성부재와 후크부재에 의해 후크 연결되어 수납공간(15)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후크 연결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딩되어 개구(14)로부터 일부 돌출된다.
이때,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에 안착될 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을 정도로 개구(14) 인근에 위치한다.
또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에서 꺼내져 개구(14)로부터 일부 돌출되면 지압시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도록 걸림턱 등에 걸리게 하여 지지한다.
상기한 지압부재(20)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에서 꺼내는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에서 꺼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 안쪽 방향으로 일시 가압한다. 지압부재(20)가 가압되면 지압부재(20)에 연결된 탄성부재와 후크부재에 의해 지압부재(20)의 후크 연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 내부에서 개구(14)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구(14)로부터 일부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이 지압부재(20)를 이용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예를 들어 손가락을 압박하여 지압하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으로 밀어 넣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지압부재(20)를 다시 수납공간(15) 안쪽 방향으로 가압한다. 지압부재(20)가 가압되면,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지압부재(20)에 연결된 탄성부재와 후크부재에 의해 후크 연결된다. 따라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 내에 다시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우측에 지압부재(2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좌측에 지압부재(2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에 지압부재(20)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지압부재(20)는 본체(10)의 측부 또는 상부에 장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지압부재(20)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수납공간(15)에서 꺼내는 기구식 인출방식이 아닌 버튼(13a)을 눌러 수납공간(15)에서 꺼내는 전자식 인출방식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에서 꺼내기 위한 버튼(13a)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버튼(13a)이 눌러진 경우 지압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이동하여 개구(14)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압부재(2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일측에 개구(14)가 형성된 본체(10)와, 이 본체(10)에 형성된 개구(14)에 돌출가능하게 마련된 지압부재(20)와, 이 지압부재(20)를 본체(10)로부터 꺼내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13a)과, 이 버튼(13a)의 작동에 따라 지압부재(20)를 개구(14)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3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일측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5)에 지압부재(20)가 안착된다.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의 개구(14)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압부재(20)는 수납공간(15)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으로 동작되도록 마련된다.
지압부재(20)는 막대형상의 봉(21)과, 이 봉(21)에 끼어지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지압 돌기(23)가 형성된 링 형상의 고리(22)로 이루어진다. 고리(22)는 링에 회전하지 못하는 형태로 밀착되게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고 링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게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압 부재로 신체의 특정 부위를 비비거나 문지르거나 두드려 자극함으로써 지압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지압 돌기(23)는 일예로, 지압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단부보다 상단부의 끝이 뾰족한 원추형상으로 고리(2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압 돌기(23)의 구조로 인해 손바닥, 손등 그리고 손가락 등의 특정 부위를 보다 강하게 자극할 수 있다. 참고로,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라는 수지요법에서는 인체가 손에 배당되어 있고, 인체의 특정부위가 아프면 손에 압통 반응점이 있고, 이 압통 반응점을 보다 강하게 자극을 준다. 따라서 상기한 지압 돌기(23)들은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동장치(30)는 일단부에 지압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직선 운동하는 랙(Rack)(31)과, 이 랙(31)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기어(32)와, 이 기어(32)와 연결된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3)가 정회전하면 기어(32)가 정방향 회전하고, 이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랙(31)이 일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지압부재(20)가 개구(14)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구동모터(33)가 역회전하면 기어(32)가 역방향 회전하고, 이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랙(31)이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지압부재(20)가 개구(14)로 들어간다.
상기한 지압부재(20)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에서 꺼내는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에서 꺼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버튼(13a)을 누른다. 버튼(13a)이 눌러지면 버튼(13a)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3)가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33)의 정회전에 의해 기어(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32)와 기어(32) 물림되어 있는 랙(31)이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랙(31)의 일단에 장착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을 벗어나 개구(14)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이 지압부재(20)를 이용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압박하여 지압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수납공간(15)으로 삽입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버튼(13a)을 다시 한번 누른다. 버튼(13a)이 다시 눌러지면 버튼(13a)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3)가 이전의 버튼(13a)작동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33)의 역회전에 의해 기어(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32)와 기어(32) 물림되어 있는 랙(31)이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랙(31)의 일단에 장착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으로 들어가 개구(14)로 삽입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제어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제어부(40)의 입력측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부(13)는 본체(10) 내에 내장된 지압부재(20)를 본체(10)로부터 꺼내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3a)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40)의 출력측에는 구동모터(33)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0)의 출력측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버튼(13a)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마다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제어부(40)는 이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모터구동부(50)를 통해 버튼(13a)의 입력신호에 알맞은 회전방향으로 구동모터(33)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40)는 버튼(13a)이 입력될 때마다 지압부재(20)의 사용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지압부재(20)의 사용상태에 대응하는 회전방향으로 구동모터(33)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버튼(13a)의 입력횟수를 카운트하여 홀수 번째의 버튼(13a) 입력시에는 구동모터(33)를 정회전시키고, 짝수 번째의 버튼(13a) 입력시에는 구동모터(33)를 역회전시킨다. 이외에도 버튼(13a) 입력횟수가 한번 이면 구동모터(33)를 정회전시키고, 버튼(13a) 입력횟수가 두 번이면 구동모터(33)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버튼(13a) 입력횟수가 두 번 인 경우에는 구동모터(33)를 정회전시킴과 함께 버튼(13a) 입력횟수를 초기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꺼내기 위해 버튼(13a)을 누르면, 제어부(40)는 버튼(13a)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꺼내기 위한 명령임을 인식하고, 모터구동부(50)를 통해 구동모터(33)를 정회전시킨다. 구동모터(33)가 정회전함에 따라 기어(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32)와 맞물린 랙(31)이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인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에 따라, 랙(31)과 일단부에 연결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에서 개구(14)측으로 인출되어 여 개구(14)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3a)을 다시 누르면 제어부(40)는 이 버튼(13a)의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밀어 넣기 위한 명령임을 인식하고, 모터구동부(50)를 통해 구동모터(33)를 역회전시킨다. 구동모터(33)가 역회전함에 따라 기어(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32)와 맞물린 랙(31)이 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인입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에 따라, 랙(31)과 일단부에 연결된 지압부재(20)가 수납공간(15)에서 개구(14)측으로 인입되어 수납공간(15)으로 들어간다.
신체의 경락을 따라 형성되는 지압점 및 그 지압점의 지압효능을 일일이 기억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지압효능에 맞는 지압점을 정확히 지압할 수 없기 때문에 지압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지압부재(20)를 꺼내기 위해 버튼(13a)을 누르면, 지압부재(2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이동장치(30)를 제어함과 함께 표시부(60)에 지압효능별 지압점을 알려주는 지압안내화면(70)(70)(도 10 참조)을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효능별 지압점은 어지러울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액문, 눈 피로할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소택, 변비 있을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제2 이간, 눈 피로할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상양, 소화 안될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이간, 코가 막힐 때 지압하는 지압점인 합곡과 비통점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압안내화면(70)을 보면서 지압부재(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압효능에 맞는 지압점을 정확히 지압할 수 있어 지압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40)가 버튼(13a)이 눌러진 경우에만 지압부재(20)의 인출 혹은 인입을 위해 이동장치(30)를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40)는 지압부재(20)를 이용한 지압안내를 위한 지압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지압모드가 실행될 때 지압부재(20)를 꺼내도록 이동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60)에 지압안내화면(70)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본체 20 : 지압부재
21 : 봉 22 : 고리
23 : 지압돌기 30 : 이동장치
31 : 랙 32 : 기어
33 : 구동모터 40 : 제어부
50 ; 모터구동부 60 : 표시부

Claims (7)

  1.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에 돌출가능하게 마련된 지압부재와,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압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지압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직선 운동하는 랙과, 상기 랙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와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압부재의 이동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을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나오도록 상기 이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안내를 위한 지압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압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지압부재가 상기 본체로부터 나오도록 상기 이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재를 이용한 지압안내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압모드가 실행될 때 상기 표시부에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004580A 2010-01-19 2010-01-19 휴대용 단말기 KR20110085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80A KR20110085023A (ko) 2010-01-19 2010-01-19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80A KR20110085023A (ko) 2010-01-19 2010-01-19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23A true KR20110085023A (ko) 2011-07-27

Family

ID=4492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80A KR20110085023A (ko) 2010-01-19 2010-01-19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0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263B1 (ko) * 2015-05-22 2016-06-10 김동열 전자파 차단 및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WO2020019251A1 (zh) * 2018-07-26 2020-0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513774A (zh) * 2018-07-26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263B1 (ko) * 2015-05-22 2016-06-10 김동열 전자파 차단 및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WO2020019251A1 (zh) * 2018-07-26 2020-0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425140A (zh) * 2018-07-26 2021-0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513774A (zh) * 2018-07-26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425140B (zh) * 2018-07-26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513774B (zh) * 2018-07-26 2023-1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758B2 (en) Skin treatment apparatus
US9639181B2 (en) Portable haptic feedback capacitive stylus for interaction on mobile terminal
EP1513056A3 (de) 3D-Eingabegerät mit integrierter Anzeigevorrichtung
KR20110085023A (ko) 휴대용 단말기
CN205538997U (zh) 一种血糖仪
US20130338586A1 (en) Injection device
CN205286911U (zh) 足三里按摩器
JP2015091289A (ja) 指用マッサージ装置
JP2014171825A (ja) マッサージ機操作プログラム、マッサージ機用操作器、マッサージ機、およびマッサージシステム
Lee et al. Mobile gesture interaction using wearable tactile displays
CN113133933A (zh) 一种手套穴位按摩仪
CN112472047A (zh) 一种穿戴式诊脉仪
US20080021354A1 (en) Device for increasing focus through alternating stimulations
CN217366523U (zh) 一种便携式按摩器
CN215875459U (zh) 一种按摩仪组件和具有其的按摩仪
CN112842847A (zh) 盆底肌训练装置及系统
CN218572759U (zh) 一种游戏化上肢康复训练辅助设备
CN204767345U (zh) 一种便携式手机游戏手柄
CN220588579U (zh) 按摩器系统
CN104378477A (zh) 一种终端设备
KR102665329B1 (ko) 마사지 장치의 손 마사지 모듈
CN216091367U (zh) 改进的按摩器
CN215308299U (zh) 一种叩刺艾灸两用装置
CN111111005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电脉冲按摩仪
CN216645660U (zh) 用于推拿的腕臂力度记忆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