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765A -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765A
KR20110084765A KR1020100004491A KR20100004491A KR20110084765A KR 20110084765 A KR20110084765 A KR 20110084765A KR 1020100004491 A KR1020100004491 A KR 1020100004491A KR 20100004491 A KR20100004491 A KR 20100004491A KR 20110084765 A KR20110084765 A KR 2011008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movable
movable table
p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020B1 (ko
Inventor
신승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020B1/ko
Priority to US13/004,841 priority patent/US8390405B2/en
Priority to ES11150837.0T priority patent/ES2546482T3/es
Priority to MYPI2011000161A priority patent/MY155559A/en
Priority to EP11150837.0A priority patent/EP2346062B1/en
Priority to JP2011006133A priority patent/JP5156101B2/ja
Priority to CN2011100253726A priority patent/CN102129940B/zh
Publication of KR2011008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01H77/1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 H01H77/10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with a stable blow-off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01H71/525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comprising a toggle between cradle and contact arm and mechanism spring acting between handle and toggle kn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는, 가동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칭 플레이트와, 상기 래칭 플레이트와 가동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인장형의 래칭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 닿는 시점부터 상기 가동접촉자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사고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어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의 차단 성능이 증대된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접촉압력의 변화가 일정하여 접촉자간의 통전 신뢰성이 높아진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SHAFT UNIT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전선의 보호, 부하의 개폐, 과부하 및 단락 사고 발생시 선로의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고전류에 의한 차단기의 트립 동작 시간을 빠르게 하여 사고전류에 의한 차단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샤프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정격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통전상태를 유지하다가, 이상 상태인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정상 상태에서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는 항상 폐극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상 상태인 사고전류 발생 시에는 트립부에서 사고전류를 감지하여 기구부에 신호를 주게 되고 상기 기구부가 해지되면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개극을 하여 사고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구부가 해지되는 시간은 수 ms 정도가 걸리며 이 시간이 짧아질수록 차단기의 차단성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때, 사고전류가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지나는 동안에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는 전자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어 양쪽 접촉자가 개극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 반발력을 이용하여 가동접촉자가 신속하게 개극되면, 트립부에서 사고전류를 감지하여 기구부가 해지되는 시점 이전에 사고 전류를 제한하는 한류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줄게 되어 차단기의 손상을 막음으로써 차단기의 차단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프트 조립체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샤프트 유닛에서 래치유닛과 가동대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사고전류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트립부(1)와, 상기 트립부(1)에서 전달된 사고전류의 발생신호를 전달받아 가동접촉자(21a)와 고정접촉자(5a)를 개극시키는 기구부(2)와, 상기 기구부(2)에 의해 투입되거나 트립되는 샤프트 조립체(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샤프트 조립체(3)는, 샤프트(10)와, 상기 차단기에 고정된 고정접촉자(5a)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가동접촉자(21a)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대유닛(20)과, 상기 가동대유닛(20)의 투입상태 또는 트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샤프트(10)와 가동대유닛(20) 사이에 구비되는 래치유닛(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동대유닛(20)은 일단에 가동접촉자(21a)가 용접되어 있고 다탄에 핀이 압입되어 있는 가동대(21)와, 상기 가동대(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0)에 결합되는 커넥팅 플레이트(22)와, 상기 가동대(21)와 커넥팅 플레이트(22)를 결합하는 커넥팅 핀(23)과, 상기 가동대(21)와 커넥팅 플레이트(22)를 양쪽 옆에서 밀어 접촉압력을 만들어주는 커넥팅 스프링(24)과, 상기 커넥팅 스프링(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래치유닛(30)은 상기 샤프트(10)와 가동대(21)에 지지되는 리미트 래치(31)와, 상기 리미트 래치(31)를 탄력 지지하도록 압축 스프링으로 된 래치 스프링(32)과, 상기 샤프트(10)와 리미트 래치(31)를 관통하여 상기 리미트 래치(31)를 샤프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미트 핀(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5는 고정대, 11은 핀홈, 21b는 가동대 핀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프트 조립체에서 샤프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샤프트(10)에 조립된 리미트 스프링(32)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래치(31)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리미트 래치(31)는 가동대(21)에 압입이 된 가동대 핀(21b)에 힘을 전달하게 되어 트립(OFF)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서와 같이, 기구부(2)에 의하여 투입(ON) 상태가 되면 상기 샤프트 조립체(3)가 회전을 하여 상기 가동대(21)의 가동접촉자(21a)와 고정대(5)의 고정접촉자(5a)가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 스프링(32)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래치(31)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리미트 래치(31)는 가동대(21)에 압입이 된 상기 가동대 핀(21b)에 힘을 전달하게 되어 접촉자(5a)(21a) 간에는 일정한 힘인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상기 고정대(5)의 고정접촉자(5a)와 가동대(21)의 가동접촉자(21a) 사이에는 접점 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동대(21)가 도면과 같이 들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대 핀(21b)의 위치는 리미트 래치(31)의 동작면(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데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나는 리미트 래치(31)의 동작면과는 다른 동작면 위치에 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샤프트(10)에 조립된 리미트 스프링(32)의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리미트 래치(31)에 힘이 전달되고 상기 리미트 래치(31)는 가동대(21)에 압입이 된 가동대 핀(21b)에 힘을 전달하게 되어 상기 가동대(21)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샤프트 조립체의 동작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연속적으로 진행이 될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대(5)의 고정접촉자(5a)와 상기 가동대(21)의 가동접촉자(21a) 사이에 발생되는 힘인 접촉압력을 보게 되면 접촉자간 닿는 시점부터 가동접촉자(21a)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이 약 17초 이며 ON 상태의 접촉압력은 2.5 에서 2.7 사이에서 나타난다. 즉, 양쪽 접촉자(5a)(21a)간 닿는 시점부터 가동접촉자(21a)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5배 정도 길어서 사고전류가 흐르는 시간 역시 1.5 배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증대되어 차단기의 차단 성능을 감소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접촉압력의 변화가 커서 접촉자(5a)(21a)간의 통전 신뢰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신속한 전자 반발력이 일어나도록 하여 사고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줄이고 이를 통해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를 줄여 차단기의 차단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배전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구부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접촉자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가동접촉자가 구비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칭 플레이트; 및 상기 래칭 플레이트와 가동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인장형의 래칭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대에는 그 가동대의 회전중심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그 래칭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동대의 슬라이딩홈의 개구정도를 상이하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래칭스프링의 일단에는 그 래칭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캠면에서 미끄러지는 래칭핀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타단을 고정하는 래칭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핀홀은 상기 가동접촉자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가동대의 회전중심보다 멀리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캠면은 대략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대에는 원호형상의 리미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동대의 리미트 홀에 미끄지게 결합되는 핀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는, 접촉자간 닿는 시점부터 가동접촉자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사고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어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의 차단 성능이 증대된다.
또,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캠면이 변곡점을 중심으로 거의 선형(linear)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변곡점을 지나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접촉압력의 변화가 일정하여 접촉자간의 통전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프트 조립체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샤프트 유닛에서 래치유닛과 가동대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종래 샤프트 조립체의 상황별 동작을 보인 개략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가 구비된 배전용 차단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샤프트 조립체의 상황별 동작을 보인 개략도,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따른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가 구비된 배전용 차단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따른 샤프트 조립체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가 구비된 배전용 차단기는, 사고전류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트립부(101)와, 상기 트립부(101)에서 전달된 사고전류의 발생신호를 전달받아 가동접촉자(21a)와 고정접촉자(5a)를 개극시키는 기구부(102)와, 상기 기구부(102)에 의해 투입되거나 트립되는 샤프트 조립체(103)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조립체(103)는, 복수 개의 샤프트(110)와, 상기 차단기에 고정된 고정접촉자(5a)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가동접촉자(121a)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대유닛(120)과, 상기 가동대유닛(120)의 투입상태 또는 트립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가동대유닛(120)에 결합되는 래치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대유닛(120)은 일단에 가동접촉자가 구비되는 가동대(121)와, 상기 가동대(1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10)에 고정 결합되는 커넥팅 플레이트(122)와, 상기 가동대(121)와 커넥팅 플레이트(122)를 관통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110)에 압입되는 커넥팅 핀(123)과, 후술할 래칭 플레이트(131)의 양쪽 바깥면에 배치되어 그 래칭 플레이트(131)와 커넥팅 플레이트(122) 그리고 가동대(121)를 양쪽 옆에서 밀어서 접촉압력을 만들어주는 커넥팅 스프링(124)과, 상기 커넥팅 스프링(1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대(121)는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상기 가동접촉자(121a)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후술할 제2 래칭핀(133)이 결합되도록 장홈 모양, 즉 후술할 핀홀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딩홈(1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대(121)의 중간, 즉 양단 사이의 절곡부위에는 상기 커넥팅 핀(123)이 관통하도록 핀홀(121c)이 형성되고, 그 핀홀(121c)의 일측에는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가 가동대(121)에 대한 상대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리미트 홀(121d)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122)는 그 몸체부(122a)가 상기 샤프트(11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122a)의 상단에는 상기 가동대(12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유(U)자 모양으로 결합부(122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2b)의 끝단에는 상기 커넥팅 핀(123)이 관통되도록 힌지홀(122c)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래치유닛(130)은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122)의 양쪽 바깥면에 면접촉을 하도록 그 커넥팅 플레이트(122)의 결합부(122b)와 상기 커넥팅 스프링(124) 사이에 개재되는 래칭 플레이트(131)와,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제1 래칭핀(132)과, 상기 가동대(121)의 슬라이딩홈(121b)에 결합되는 제2 래칭핀(133)과, 상기 제1 래칭핀(132)과 제2 래칭핀(133)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동대(121)의 투입상태와 트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복수 개의 래칭 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는 적어도 3개의 돌부를 갖는 비선형(non-linear)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돌부에는 상기 제1 래칭핀(132)이 삽입되도록 래칭핀홀(131a)이 형성되며, 타측 돌부에는 상기 제2 래칭핀(133)이 미끄러지게 지지되도록 캠면(131b)이 선형 또는 미세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또다른 타측돌부는 상기 캠면(131b)의 끝단에서 소정의 엇갈림각을 갖도록 스톱면(131c)이 돌출되어 후술할 제2 래칭핀(133)의 미끄럼운동을 제한하도록 선형(linear)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의 양쪽 돌부 사이에는 상기 커넥팅 핀(123)이 관통되도록 핀 관통홀(131d)이 형성되고, 그 핀 관통홀(131d)의 일측에는 상기 가동대(121)의 리미트 홀(121d)에 결합되는 리미트 핀(135)이 결합되도록 핀체결구멍(131e)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대(121)의 슬라이딩홈(121b)이 핀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의 래칭핀홀(131a)은 상기 가동접촉자(121a)를 기준으로 할 때 핀 관통홀(131d)보다는 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 가동대(121)가 적절한 전자접촉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래칭 스프링(134)들은 소정의 인장력을 갖는 인장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가동대(121)에 커넥팅 플레이트(122)를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핀(123)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커넥팅 핀(123)의 양쪽에서 각각 래칭 플레이트(131)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의 양쪽 측면에서 각각 커넥팅 스프링(124)과 와셔(125)를 커넥팅 핀(123)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가동대(121)를 샤프트(110)에 삽입하면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는 샤프트(110)에 구비된 홈(미부호)에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래칭핀(132)을 래칭 플레이트(131)의 래칭핀홀(131a)에 삽입하여 2개의 래칭 플레이트(131)를 조립하고, 상기 제2 래칭핀(133)은 상기 가동대(121)의 슬라이딩홈(121b)에 조립하며, 상기 복수 개의 래칭 스프링(134)의 양단은 각각 제1 래칭핀(132)과 제2 래칭핀(133)에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샤프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먼저, 차단기가 트립상태인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대(121)와 래칭 플레이트(131)가 커넥팅 핀(123)에 의해 상기 샤프트(110)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그 샤프트(1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대(121)가 회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21a)가 고정접촉자(5a)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의 래칭핀 홀(131a)과 상기 가동대(121)의 슬라이딩홈(121b)에 각각 조립된 제1 래칭핀(132)과 제2 래칭핀(133)이 상기 래칭 스프링(134)들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에 힘을 전달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가동대(121)는 트립상태(OFF)를 유지한다.
다음, 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대(121)가 기구부(102)에 의해 상기 샤프트(121)의 회전방향을 따라 트립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21a)가 고정접촉자(5a)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래칭 스프링(134)들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에 인장력이 전달되고, 이 인장력은 상기 가동대(121)에 힘을 전달하여 접촉자(5a)(121a)간에는 일정한 힘인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다음,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대(5)의 고정접촉자(5a)와 상기 가동대(121)의 가동접촉자(121a) 사이에는 접점 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동대(121)가 들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래칭핀(133)은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의 캠면(131b)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캠면(131b)과 스톱면(131c)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칭 스프링(134)들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래칭 플레이트(131)에 힘이 전달되고, 그 래칭 플레이트(131)는 가동대(121)에 힘을 전달하게 되어 상기 가동대(121)가 들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가 트립상태에서 투입상태 그리고 사고전류 상태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진행이 될 경우 상기 고정대(5)의 고정접촉자(5a)와 가동대(121)의 가동접촉자(121a) 사이에 발생되는 힘인 접촉압력을 보게 되면 도 13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도 13에 나타나는 값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닌 종래 기술의 동작에서의 그래프와 비교를 하기 위한 상대적인 수치이다.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접촉압력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보면 접촉자(5a)(121a)간 닿는 시점부터 가동접촉자(121a)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1초이며 ON 상태의 접촉압력은 3.0을 유지한다. 이는 종래의 17초였던 것에 비하면 35%정도 들리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고 접촉압력은 종래에 비해 일정한 수치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접촉자간 닿는 시점부터 가동접촉자가 들리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사고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어 차단기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차단기의 차단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또,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캠면이 변곡점을 중심으로 거의 선형(linear)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변곡점을 지나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접촉압력의 변화가 일정하여 접촉자간의 통전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110 : 샤프트 120 : 가동대유닛
121 : 가동대 121a : 가동접촉자
121b : 슬라이딩홈 130 : 래칭유닛
131 : 래칭 플레이트 131a : 래칭핀 홀
131b : 캠면 132,133 : 래칭핀
134 : 래칭 스프링

Claims (5)

  1. 기구부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접촉자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가동접촉자가 구비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칭 플레이트; 및
    상기 래칭 플레이트와 가동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인장형의 래칭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에는 그 가동대의 회전중심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그 래칭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동대의 슬라이딩홈의 개구정도를 상이하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래칭스프링의 일단에는 그 래칭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캠면에서 미끄러지는 래칭핀이 결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타단을 고정하는 래칭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핀홀은 상기 가동접촉자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가동대의 회전중심보다 멀리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플레이트의 캠면은 대략 선형으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에는 원호형상의 리미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동대의 리미트 홀에 미끄지게 결합되는 핀이 결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조립체.
KR1020100004491A 2010-01-18 2010-01-18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KR10107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91A KR101079020B1 (ko) 2010-01-18 2010-01-18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US13/004,841 US8390405B2 (en) 2010-01-18 2011-01-11 Circuit breaker
ES11150837.0T ES2546482T3 (es) 2010-01-18 2011-01-13 Disyuntor
MYPI2011000161A MY155559A (en) 2010-01-18 2011-01-13 Shaft unit of circuit breaker
EP11150837.0A EP2346062B1 (en) 2010-01-18 2011-01-13 Circuit breaker
JP2011006133A JP5156101B2 (ja) 2010-01-18 2011-01-14 配線用遮断器
CN2011100253726A CN102129940B (zh) 2010-01-18 2011-01-18 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91A KR101079020B1 (ko) 2010-01-18 2010-01-18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65A true KR20110084765A (ko) 2011-07-26
KR101079020B1 KR101079020B1 (ko) 2011-11-01

Family

ID=4389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491A KR101079020B1 (ko) 2010-01-18 2010-01-18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90405B2 (ko)
EP (1) EP2346062B1 (ko)
JP (1) JP5156101B2 (ko)
KR (1) KR101079020B1 (ko)
CN (1) CN102129940B (ko)
ES (1) ES2546482T3 (ko)
MY (1) MY1555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277B1 (ko) * 2011-11-09 2014-01-27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300B1 (ko) * 2011-08-18 2017-07-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KR101684760B1 (ko) * 2012-05-15 2016-1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CN106128874B (zh) * 2015-05-04 2018-10-16 现代电力与能源系统株式会社 断路器
US11691208B2 (en) * 2018-10-27 2023-07-04 Ridge Tool Company Pipe cut-off tool and accessories for such too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866A (en) * 1963-02-07 1967-05-02 Terasaki Denki Sangyo Kk Automatic circuit interrupter having magnetic blowoff means
FR2360171A1 (fr) * 1976-07-30 1978-02-24 Unelec Mecanisme de commande de disjoncteur
JPS5942935B2 (ja) * 1978-07-05 1984-10-18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
US4245203A (en) * 1978-10-16 1981-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with pivoting contact arm having a clinch-type contact
US4539538A (en) * 1983-12-19 1985-09-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movable upper electrical contact positioned by tension springs
US4642431A (en) * 1985-07-18 1987-02-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a movable electrical contact positioned by a camming spring loaded clip
JPS6326948A (ja) 1986-07-18 1988-02-04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鉛蓄電池の安全弁装置の製造法
JPH067552Y2 (ja) * 1986-08-04 1994-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極回路しや断器
US4733211A (en) * 1987-01-13 1988-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rossbar assembly
US5023416A (en) * 1989-10-03 1991-06-11 Fuji Electric Co., Ltd. Circuit breaker
US5184099A (en) * 1991-06-13 1993-02-02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with dual movable contacts
JP3097300B2 (ja) 1992-03-26 2000-10-10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可動接触子装置
KR970076957A (ko) * 1996-05-28 1997-12-12 이종수 회로차단기의 한류장치
US5926081A (en) * 1997-09-23 1999-07-2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having a cam structure which aids blow open operation
KR100575243B1 (ko) * 2004-04-16 2006-05-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DE102005050705B4 (de) * 2005-10-05 2008-07-31 Moeller Gmbh Kontaktsystem für einen Niederspannungsschalter
KR100832325B1 (ko) * 2006-12-29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KR100978270B1 (ko) 2008-02-05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277B1 (ko) * 2011-11-09 2014-01-27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90405B2 (en) 2013-03-05
EP2346062A2 (en) 2011-07-20
EP2346062B1 (en) 2015-06-17
MY155559A (en) 2015-10-30
JP5156101B2 (ja) 2013-03-06
CN102129940B (zh) 2013-11-20
KR101079020B1 (ko) 2011-11-01
EP2346062A3 (en) 2012-03-07
ES2546482T3 (es) 2015-09-24
US20110174600A1 (en) 2011-07-21
JP2011146385A (ja) 2011-07-28
CN102129940A (zh)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5419B2 (en)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EP2348519B1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a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0790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AU2011254099B2 (en) Breaking device with arc breaking shield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KR10057524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KR20090004429A (ko) 회로 차단기
CN108695120A (zh) 用于断路器的可移动触头组件
EP2551880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acuum interrupter and vacuum breaker having the same
KR100676968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KR100832325B1 (ko) 복합형 배선용 차단기
KR20110039891A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100701775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접압장치
KR20090085976A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장치
KR101015276B1 (ko)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200476957Y1 (ko) 전자접촉기
KR101579698B1 (ko) 회로차단기
JP2011018513A (ja) 回路遮断器
KR100689320B1 (ko) 한류형 배선용 차단기
KR10060642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GB2376800A (en) Multipole electrical switching device with latch
KR10101363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JPH076681A (ja) 回路遮断器の可動接触子装置
JP4540237B2 (ja) 回路遮断器
KR20050101249A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