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072A -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 Google Patents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072A
KR20110083072A KR1020100003094A KR20100003094A KR20110083072A KR 20110083072 A KR20110083072 A KR 20110083072A KR 1020100003094 A KR1020100003094 A KR 1020100003094A KR 20100003094 A KR20100003094 A KR 20100003094A KR 20110083072 A KR20110083072 A KR 2011008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signal
bandpass filter
regenerator
non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917B1 (ko
Inventor
정윤철
최혁규
허준영
유이치 타쿠시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0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9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9Signal waveform processing, e.g. reshaping or reti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비선형 광섬유 거울과;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입력단 전단에 설치되는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와;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서 반사되지 않은 광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가 구비되어,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비선형 광섬유 거울 기반의 광학 재생기를 듀티비가 매우 낮은 극초단 솔리톤 펄스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세기 변조된 신호에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광전송망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하고 송신단에서 신호를 변조함에 있어서 복잡도를 줄여준다.

Description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Optical regenerator for intensity modulation optical signal using non-soliton pulse}
본 발명은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선형 광섬유 거울(nonlinear optical loop mirror, 이하에서 NOLM 이라 한다.)을 이용한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의 급격한 발전과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 서비스의 급증으로 인하여 광통신망의 전송 용량 및 전송 거리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광통신망에서 전송품질을 열화시키는 다양한 장애요인들을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장애요인으로는 광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자연방출광(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ASE) 잡음의 누적으로 인한 광신호대잡음비 감소, 색분산 현상, 비선형 현상 등이 있다. 특히 광신호대잡음비의 감소는 전송 거리를 제한하는 주된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선로 상에 광학 재생기를 일정한 거리마다 주기적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광학 재생을 위해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는 EAM(electro-absorption modulator), 반도체 광증폭기, 비선형 광섬유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특히 NOLM을 이용한 광학 재생기는 비교적 구동이 간단한 소자만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는 NOLM에서 발생하는 자기 위상 변조( Self-Phase Modulation, 이하에서 SPM이라 한다.)에 의해 스펙트럼이 급격히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를 사용할 때에는 입력신호의 모양이 솔리톤 펄스(soliton pulse)로 제한되었다. 뿐만 아니라 펄스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듀티비(duty ratio)가 매우 낮은 극초단 펄스 트레인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극초단 솔리톤 펄스 트레인은 생성하기 어렵고 생성하여도 광전송망에서 그 특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극초단 솔리톤 펄스 트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세기 변조된 광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광학 스펙트럼이 넓어져서, 광신호가 색분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색분산이 조금만 누적되어도 광신호의 품질이 열화되고 채널당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므로 파장분할다중화 전송이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우수한 광 재생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 광전송망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전송망의 설계가 용이하도록 일반적인 세기 변조된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NOLM을 이용한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는: 비선형 광섬유 거울(nonlinear optical loop mirror, NOLM)과;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입력단 전단에 설치되는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서 반사되지 않은 광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가 구비되어,
논솔리톤 펄스(Non-soliton pulse)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은, 비선형 광섬유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편광을 일치시키는 편광조절기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와 연결되어 광신호가 입출력 되며, 입력에 대한 출력의 파워비가 비선형의 특성을 갖도록 결합비가 비대칭으로 조절되는 광섬유 결합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과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 사이에는 광감쇄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의 70%이상이고, 상기 입력된 광신호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을 통과하면서 스펙트럼이 넓어졌을 때의 광신호의 대역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오프셋을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보다 넓고,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오프셋은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의 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를 듀티비가 매우 낮은 극초단 솔리톤 펄스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세기 변조된 신호에 적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광전송망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하고 송신단에서 신호를 변조함에 있어서 복잡도를 줄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재생기를 광전송망의 중간에 삽입함으로써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법으로 초고속 데이터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서 NOLM의 입력 파워에 따른 출력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입력된 광신호의 오프셋과 필터의 대역폭에 따른 Q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4a는 종래의 NOLM에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의 광신호를 인가한 후 입력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1)과 광학 스펙트럼(2);
도 4b는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의 광신호를 인가한 후 출력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1)과 광학 스펙트럼(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한 후 제2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와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일치 시킨 경우에 광학 재생기를 통과한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a)과 광학 스펙트럼(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의 제2 대역통과필터에 오프셋을 주고,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했을 때 재생된 광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a)과 광학 스펙트럼(b);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의해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하고 재생된 광신호의 색분산에 대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 8ps/nm의 색분산이 누적되었을 때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에서 제2 대역통과필터의 유무에 따른 광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는 NOLM(100)과, 제1 대역통과필터(210) 및 제2 대역통과필터(220)와, 가변 광감쇄기(3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가 적용되는 광신호의 변조 방식은 NRZ(non-return-to-zero), RZ(return to zero) 또는 CSRZ(carrier-suppressed return-to-zero) 등 일반적인 세기 변조된 신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재생기는 비선형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학 재생기에 인가되는 광신호의 파워가 비선형 현상을 일으키기 충분할 정도로 커야 하므로 큰 파워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자극된 브릴루앙 산란(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을 억제해주어야 한다. 또한, 광신호의 재생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NOLM에 인가되는 광신호의 파장을 NOLM을 구성하는 비선형 광섬유의 영분산 파장에 가깝게 함으로써 펄스 간 상호작용을 억제해야 한다.
NOLM(100)은 광신호가 진행하는 비선형 광섬유(110)와, 편광조절기(120)와, 광섬유 결합기(130)를 포함한다. 광섬유 결합기(130)의 입력단을 통하여 입력되고 광섬유(110)를 통하여 진행하는 광신호 중에서 반사되지 않은 광신호는 광섬유 결합기(130)의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된다.
편광조절기(120)는 비선형 광섬유(11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편광을 일치시킨다.
광섬유 결합기(130)는 입력에 대한 출력의 파워비가 비선형의 특성을 갖도록 결합비가 비대칭, 예컨대 90:10으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대역통과필터(210)는 NOLM(100)의 입력단, 즉 광섬유 결합기(110)의 입력단 전단에 설치된다. 제1 대역통과필터(210)는 중심 주파수가 NOLM(100)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고 신호 대역 밖의 노이즈, 즉 광신호의 스펙트럼 외부에 있는 자연방출광 잡음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대역통과필터(210)를 통과한 광신호는 NOLM(100)을 지나면서 SPM 현상에 의해 광신호가 재생되고 대역폭이 넓어진다. 이 때, 제1 대역통과필터(210)의 대역폭은 하한이 비선형 NOLM(100)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의 70% 이고, 상한은 그 광신호가 비선형 광섬유 거울(100)을 통과하면서 SPM에 의해 주파수 천이되어 스펙트럼이 넓어졌을 때의 광신호 대역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 광감쇄기(300)는 NOLM(100)의 입력단과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210) 사이에 설치된다. 가변 광감쇄기(300)를 이용하여 NOLM(100)에 인가된 광파워를 적절히 조절하면 NOLM(1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2의 비선형한 파워 전달 곡선에서 기울기가 비교적 평평한 부분만으로 광신호의 세기잡음을 억제한 광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제2 대역통과필터(220)는 NOLM(100) 출력단, 즉 광섬유 결합기(130)의 출력단의 후단에 설치된다. 제2 대역통과필터(220)는 NOLM(100)을 통과하면서 넓어진 광신호의 대역폭을 줄여준다. 이 때, 광학 재생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2 대역통과필터(220)로서 가변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제2 대역통과필터(220)의 중심 주파수를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어느 정도 오프셋, 바람직하게는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210)의 대역폭의 반보다 크게 오프셋을 준 것으로 하면 광신호의 광학 재생 효과는 유지한 채 광학 스펙트럼을 줄일 수 있다. 광신호의 재생 원리가 광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SPM에 의해 바뀌게 되고 이러한 위상 변화로 인해 주파수 성분 간에 서로 간섭을 일으켜 세기잡음을 억제하는 것인데, SPM은 위상 변화뿐만 아니라 캐리어 주파수에 실린 데이터 성분 또한 중심에서부터 천이하게 만든다. 따라서 광학 재생 성능을 유지한 채 스펙트럼을 줄이기 위해서 데이터 성분의 주파수 천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조절하여 광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광신호의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많이 유지해주기 위하여 입력된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대하여 제2 대역통과필터(220)의 중심 주파수에 오프셋을 준 것이다. 이와 같이, 광신호의 에너지가 많이 유지됨으로써 데이터 성분이 많이 제거되지 않으면서도 NOLM(100)에 의한 광학 재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입력된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서 벗어난 부분은 제1 대역통과필터(210)에 의해 자연방출광 노이즈가 이미 제거되었으므로 광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할 수 있다.
광신호의 재생 성능은 제2 대역통과필터(220)의 오프셋뿐만 아니라 대역폭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제2 대역통과필터(220)의 대역폭을 넓게 하면 필터에 의해 잘려나가는 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광신호의 재생 효과는 증가하는 반면 대역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색분산에 더 취약해지게 되고 파장 분할 다중화에도 불리하다. 따라서, 제2 대역통과필터(220)의 대역폭은 요구되는 광신호의 재생 효과와 색분산 내성, 파장 분할 다중화를 위한 채널 간격 등을 고려하여 조절되어야 하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220)의 대역폭은 NOLM(100)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는 NOLM(100) 전단에 설치된 제1 대역통과필터(210)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광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되고, NOLM(100) 후단에 설치된 제2 대역통과필터(220)에 의해 오프셋 필터링함으로써 NOLM(100)을 통과하면서 SPM에 의해 주파수 천이되어 스펙트럼이 넓어진 세기변조 방식 광신호의 스펙트럼을 잘라내어 광신호의 성능저하 없이 스펙트럼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서 NOLM의 입력 파워에 따른 출력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NOLM을 구성하는 광섬유 결합기의 결합비를 90:10 정도로 조절하면 비선형한 파워 전달 곡선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세기잡음을 억제하여 광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입력된 광신호의 오프셋과 필터의 대역폭에 따른 Q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때, 입력 광신호는 40Gb/s RZ이고 제1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은 100GHz이다. 입력 광신호의 Q값은 16.1dB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가 광학 재생기에 입력된 광신호의 중심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 광신호의 품질이 심각하게 열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광신호가 NOLM을 지나면서 SPM 현상에 의해 광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게 되어 광신호의 에너지가 넓은 대역으로 분산되는 반면에 기존 신호 대역 내에 존재하는 자연방출광 잡음은 낮은 파워로 인해 SPM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노이즈의 에너지가 기존 신호 대역 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따라서 필터를 통해 넓어진 스펙트럼의 중심을 잘라내는 경우 광신호대잡음비가 감소하여 광신호가 열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재생기를 이용하여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의 광신호를 광학 재생하면 제2 대역통과필터의 오프셋이 ±125 GHz에서 최상의 광학 재생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오프셋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노이즈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고 오프셋이 너무 큰 경우에는 제2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하는 신호의 데이터 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
도 4a는 종래의 NOLM에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의 광신호를 인가한 후 입력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1)과 광학 스펙트럼(2)이고, 도 4b는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의 광신호를 인가한 후 출력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1)과 광학 스펙트럼(2)이다.
이 때, 제1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은 0.84nm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Q값이 15.8dB인 입력 신호가 광학 재생기를 통과한 후 Q값이 5.3dB 개선되었지만 신호의 스펙트럼이 광학 재생 전과 비교하여 훨씬 넓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SPM 현상에 의한 처프(chirp)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한 후 제2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와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일치 시킨 경우에 광학 재생기를 통과한 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a)과 광학 스펙트럼(b)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에 오프셋을 주지 않음으로써 광신호의 품질이 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의 제2 대역통과필터에 오프셋을 주고,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했을 때 재생된 광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a)과 광학 스펙트럼(b)이다.
이 때, 제2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입력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대하여 -125GHz의 오프셋을 주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재생기를 사용함으로서 광신호의 Q값을 3.0dB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스펙트럼의 적색 점선과 검정색 실선을 비교해보면 SPM에 의해 넓어진 스펙트럼이 필터를 통과한 후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광신호의 3dB 대역폭은 2.84nm에서 0.84nm로 줄었다. SPM에 의해 스펙트럼이 넓어진 신호는 색분산에 취약해지게 되는데 상술한 방법으로 광신호를 필터링하면 신호의 광학 재생 효과는 유지한 채 스펙트럼을 줄여 색분산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재생기에 의해 Q값이 15.8dB인 40Gb/s RZ 광신호를 인가하고 재생된 광신호의 색분산에 대한 내성을 알아보기 위해, 8ps/nm의 색분산이 누적되었을 때 NOLM 기반의 광학 재생기에서 제2 대역통과필터의 유무에 따른 광신호의 아이 다이어그램들이다.
이 때 광학 재생기에 인가된 광신호는 RZ 포맷으로 변조된 40Gb/s 신호이며, 도 7의 (a)는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의 (b)는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한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대역통과필터 사용하지 않은 경우(a)는 색분산에 의한 Q값의 감소가 5.4dB인 반면에, 제2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한 경우(b)는 Q값의 감소가 0.5dB로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광학 재생기에 인가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NOLM 앞과 뒤에 위치한 광학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 필터 타입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재생기를 이용하여 광전송망의 변화에 충분히 반영시켜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0: 비선형 광섬유 거울 110: 비선형 광섬유
120: 편광조절기 130: 광섬유 결합기
210: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 220: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
300: 광감쇄기

Claims (10)

  1. 비선형 광섬유 거울(nonlinear optical loop mirror, NOLM)과;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입력단 전단에 설치되는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서 반사되지 않은 광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가 구비되어,
    논솔리톤 펄스(Non-soliton pulse)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의 세기 변조 방식은 NRZ(non-return-to-zero), RZ(return to zero) 또는 CSRZ(carrier-suppressed return-to-ze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은,
    비선형 광섬유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편광을 일치시키는 편광조절기와;
    상기 비선형 광섬유와 연결되어 광신호가 입출력 되며, 입력에 대한 출력의 파워비가 비선형의 특성을 갖도록 결합비가 비대칭으로 조절되는 광섬유 결합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과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 사이에는 광감쇄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의 하한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의 70% 이고,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의 상한은 상기 입력된 광신호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을 통과하면서 스펙트럼이 넓어졌을 때의 광신호의 대역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 밖에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오프셋을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은 상기 비선형 광섬유 거울에 입력되는 광신호의 대역폭보다 넓고, 상기 제2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오프셋은 상기 제1 광학 대역통과필터의 대역폭의 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통과필터에 의해 광신호대잡음비가 개선되고, 상기 제2 대역통과필터에 의해 광신호의 성능저하 없이 스펙트럼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KR1020100003094A 2010-01-13 2010-01-13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KR10106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94A KR101067917B1 (ko) 2010-01-13 2010-01-13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94A KR101067917B1 (ko) 2010-01-13 2010-01-13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72A true KR20110083072A (ko) 2011-07-20
KR101067917B1 KR101067917B1 (ko) 2011-09-28

Family

ID=4492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094A KR101067917B1 (ko) 2010-01-13 2010-01-13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9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9830B1 (fr) * 1997-02-18 1999-03-26 Alsthom Cge Alcatel Regeneration optique pour des systemes de transmission a fibre optique a signaux non soli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917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348B2 (en) Optical transmission method, optical transmitter, optical receiv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639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chirp managed laser (CML) and an optical spectrum reshaper (OSR) before an optical receiver
JPH07154327A (ja) 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2003060580A (ja) 光通信システム
EP1853955A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dispersion slope compensation
JP2002023121A (ja) 光送信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光ファイバ伝送システム
KR100520648B1 (ko) 반도체 광 증폭기를 이용한 듀오바이너리 광 전송장치
US8238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ptical duobinary signals with enhanced receiver sensitivity and spectral efficiency
JP3984219B2 (ja) 光位相変調器を利用した光伝送システム
EP1416654A2 (en) Duobinary optical transmission
Haris Advanced modulation formats for high-bit-rate optical networks
KR100536906B1 (ko) 씨에스-알젯 광신호 발생장치
KR101067917B1 (ko) 논솔리톤 펄스를 사용하는 세기 변조 광신호의 광학 재생기
KR100469726B1 (ko) 이중 바이너리 방식의 광송신 장치
US7782520B2 (en) Duobinary modulation with a lumped-element Mach-Zehnder device
US200902525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cal communication
Alam et al. Chirped managed laser for multilevel modulation formats: A semi-analytical approach for efficient filter design
US20040208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conditioning of optical signals for fiber-optic transmission
JPH09275375A (ja) 光通信装置
Xia et al. Mitigation of optical intrachannel nonlinearity using nonlinear electrical equalization
Li et al. Investigation of a high-speed optical FSK scheme for WDM-PON applications with centralized lightwave source
Patial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16 Channel WDM System via Dispersion Mitigation and Various Modulation Formats
Ogusu et al. Ultra-dense WDM with over 100% spectral efficiency using co-polarized 40-Gb/s inverse-RZ signals
Healy et al. 1 b/s/Hz coherent WDM transmission over 112 km of dispersion managed optical fibre
Rocha et al. Single channel transmission of NRZ 40 Gb/s through G. 652, G. 653 and G. 655 fibers for short-reach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