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918A -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918A
KR20110082918A KR1020100002859A KR20100002859A KR20110082918A KR 20110082918 A KR20110082918 A KR 20110082918A KR 1020100002859 A KR1020100002859 A KR 1020100002859A KR 20100002859 A KR20100002859 A KR 20100002859A KR 20110082918 A KR20110082918 A KR 20110082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ime
time cell
display unit
cel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1451B1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51B1/en
Priority to PCT/KR2010/006806 priority patent/WO2011087204A2/en
Priority to EP10843270.9A priority patent/EP2524290B1/en
Priority to US13/521,633 priority patent/US8948566B2/en
Priority to CN201080061204.6A priority patent/CN102713816B/en
Priority to EP18162274.7A priority patent/EP3355173B1/en
Publication of KR2011008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pap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a user and to reduce the waste of time and space. CONSTITUTION: One file included in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is selected from a display unit(340). The selected file is moved to a specific location within a time cell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specific location within the time cell area is included within a temporary location within the time cell of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방송 프로그램, 특정 정보(동영상 등 포함)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또는, 전자 광고판)이다.In general, a digital signage is a digital imaging device (or an electronic billboard) that provides a broadcast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including a video, etc.).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할 때, 끌어놓기(또는, 드래그 앤드 드롭 : drag and drop) 기능을 이용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when editing a schedule using one or more media files or canvas file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케줄을 편집할 때, 지난 날짜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금지 상태(디스에이블 상태 : disable state)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n edit inhibit state (disable state) for contents of a past date when editing a sche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임 셀에 대한 반복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at provide a repeat function for a time cel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 방법은, 표시부에 표시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signage, the method including: selecting one of files included in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nd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lecting of the file may include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파일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of the file may include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the time cell area by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는, 특정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position in the time cell region may be any time included in a specific d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된 파일의 지속 기간(dura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duration of the moved fi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여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tting of the duration, the duration may be set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time cell region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은,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may display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file in the time cell area.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file may be displayed i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요약 정보는, 플레이어명, 플레이어측의 타입, 플레이어측의 해상도, 플레이어측의 크기, 라이브러리 종류, 파일명, 파일의 해상도, 파일의 크기, 재생 시간, 제목명 및, 생성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player name, a player side type, a player side resolution, a player side size, a library type, a file name, a file resolution, a file size, a playback time, a title na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reation d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현재 날짜 이전의 타임 셀 영역은 디스에이블(disable)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 plurality of dates included in the time cell region, the time cell region before the current date may be disabl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날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포함된 소정 시간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preset button is selected while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displaying da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Selecting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ate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pying the file at a predetermined time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시간 중에서, 상기 파일이 상기 타임 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time equal to a time at which the file is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ime cell region among a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signage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And a control unit which selects any one file included in the media file or the canvas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moves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move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by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는, 특정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position in the time cell region may be any time included in a specific d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파일의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et the duration of the fil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time cell area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파일의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file i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요약 정보는, 플레이어명, 플레이어측의 타입, 플레이어측의 해상도, 플레이어측의 크기, 라이브러리 종류, 파일명, 파일의 해상도, 파일의 크기, 재생 시간, 제목명 및, 생성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player name, a player side type, a player side resolution, a player side size, a library type, a file name, a file resolution, a file size, a playback time, a title na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reation d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임 셀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현재 날짜 이전의 타임 셀 영역은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unit may disable a time cell region before a current date among a plurality of dates included in the time cell region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날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if a preset button is selected while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dat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날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포함된 소정 시간에 상기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may copy the file at a predetermined time included in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displayed dat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시간 중에서, 상기 파일이 상기 타임 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time equal to a time at which the file is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ime cell region among a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할 때, 끌어놓기(또는, 드래그 앤드 드롭 : drag and drop)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편집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diting the schedule using one or more media files or canvas files, by using a drag and drop (or drag and drop) function,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when edi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스케줄을 편집할 때, 지난 날짜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금지 상태(디스에이블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편집과 전송과 저장에 따른 시간적 및 공간적 낭비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diting a schedule, by providing an edit inhibited state (disabled state) for the content of the past date, the unnecessary editing, transmission and storage Time and space wast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스케줄을 편집할 때, 지난 날짜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금지 상태(디스에이블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오늘(today)을 기준으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diting the schedule, by providing a prohibition state (disable state) for the content of the past date, the schedule based on today (today) Can man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은, 타임 셀에 대한 반복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집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editing by providing a repeat function for the time ce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스케줄링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explaining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for explaining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H illustrate a scheduling scree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100 for explaining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vehicle navigation device). , Et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Not all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fewer component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so be implemented.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그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have.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and /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Her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mean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Here, a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 예로, GPS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측량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 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 example is a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measure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calculate three different distances accurately according to triangulation.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 Wi-Fi Positioning System and / or a Hybrid Positioning System may be applied.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the A / V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May be included.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video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 및/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ype and / or usag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In the call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be a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like. The sens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slide phone typ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또는, 청각과 관련된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또는, 시각과 관련된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 또는 촉각과 관련된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signal related to hearing) or a video signal (or a signal related to time) or an alarm signal or a signal related to a tactile sense, and the output unit 150. )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r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configured as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em.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동일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same surface)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touch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ouch.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mechanical force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141 has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a contact sensor.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The position of the proximity touch with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touch.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141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d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an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vibrate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vibration means.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vibrate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vibration means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rough the vibration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signal for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oice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151, 152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53.

상기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pin arrangement to mov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the blow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or inlet, the grazing to the skin surface, the contact of the electrode (eletrode), the stimulation such as electrostatic forc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produced, such as the effects of the heat-absorbing effect and the effect of reproducing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heat.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haptic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relating to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disk,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or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web storag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may be configured.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and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It may include a modu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a port. The interface unit 170 may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various commands input by the user from the cradle. 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182)은,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Hardware implementations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Th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n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allow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he navigation session 182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a general navigation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제어부(180)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할 때,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dits a schedule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when editing a schedule using one or more media files or canvas fil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제어부(180)는, 스케줄을 편집할 때, 지난 날짜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금지 상태(디스에이블 상태 : disable state)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bling state (disable state) for contents of a past date when editing a schedu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제어부(180)는, 타임 셀 단위의 반복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ating function in units of time cell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222)와, 각종 키 신호의 제어를 위한 키 제어부(221)와, LCD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23)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24)를 내장한 메인 보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200 for explaining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s a whole (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22, a main board incorporating a key control unit 221 for controlling various key signals, an LCD control unit 223 for controlling LCD, and a memory 224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220.

상기 메모리(224)는, 차량 안내 정보(주행/비주행 중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길 안내 정보)를 표시부(또는 LCD)(211)의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224 stores map information (map data) for displaying vehicle guidance information (road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a user during driving / non-driving) on a map of the display unit (or LCD) 211.

또한, 상기 메모리(224)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emory 224 stores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control algorithm for inputting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road condition o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and variou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lgorithm.

상기 메인 보드(220)는, 고유의 기기 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201)과,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 정보를 GPS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2)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3)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 CD)에 기록된 신호의 재생을 위한 CD 덱(CD Deck)(20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ain board 220 is a communication module 201 that is assigned a unique device number and performs voice call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bedded in a vehicle, and guide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ravels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A GPS module 202 for receiving a GPS signal for path tracking and the like, generating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or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by a user as a GPS signal; A gyro sensor 203 for detecting the driving direction, a CD deck 204 for reproducing a signal recorded on a compact disk (CD), and the like.

또한, 상기 통신 모듈(201) 및 상기 GPS 모듈(202)은, 각각 제1 안테나(205) 및 제2 안테나(206)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01 and the GPS module 202 transmit / receive signals through the first antenna 205 and the second antenna 206, respectively.

또한, 상기 메인 보드(220)는, 방송 신호용 안테나(또는 TV 안테나)(231)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V 모듈(230)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220 is connected to the TV module 230 that receives the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antenna (or TV antenna) 231.

또한, 상기 메인 보드(220)는, 인터페이스 보드(213)를 통해 상기 LCD 제어부(223)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 LCD)(211)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220 is connec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11 under the control of the LCD controller 223 through an interface board 213.

상기 LCD(211)는, 상기 TV 모듈(230)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신호 처리된 방송 신호를 상기 LCD 제어부(22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13)를 통해 상기 LCD(211)에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고, 오디오 신호는 후술할 오디오 보드(240)의 제어에 의해 앰프(254)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LCD(211)는, 상기 LCD 제어부(223)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서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한다.The LCD 211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ss 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module 230, and then controls the signal processed broadcast signal by the LCD controller 223 on the interface board ( A video signal is displayed on the LCD 211 through 213,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254 under the control of the audio board 24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LCD 211 displays various video signals and text sig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s of the LCD control unit 223.

또한, 상기 LCD(211)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CD 21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또한, 상기 메인 보드(22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213)를 통해 상기 키 제어부(22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12)와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보드(21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 및 메뉴를 구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또는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상기 메인 보드(22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보드(212)는, 교통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상기 키 제어부(22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ard 220 is connected to the front board 212 under the control of the key controller 221 through the interface board 213. The front board 212 configures buttons and menus for inputting various key signals, and provides the main board 220 with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or button) selected by a user. In addition, the front board 212 may include a menu key for directly inputting traffic information, and the menu key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key controller 221.

상기 오디오 보드(240)는, 상기 메인 보드(22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40)는, 상기 오디오 보드(240)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44)와, 안테나(또는 라디오 안테나)(245)를 통해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Tuner)(24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2)와, 각종 음성 신호의 출력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2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dio board 2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220 and processes various audio signals. The audio board 240 includes a microcomputer 244 for controlling the audio board 240, a tuner 243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through an antenna (or radio antenna) 245, And a power processor 242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244, and a signal processor 241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outputting various voice signals.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40)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45)와, 오디오 테이프의 재생을 위한 테이프 덱(Tape Deck)(246)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audio board 240 is connected to a radio antenna 245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tape deck 246 for playing an audio tape.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40)는, 상기 오디오 보드(240)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앰프(254)가 연결된다.Also, the audio board 240 is connected to an amplifier 254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audio board 240.

또한, 상기 앰프(254)는, 차량 인터페이스(25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메인 보드(220)와 상기 오디오 보드(24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50)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50)는, 차량 운행자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51)와, 탑승자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에어백(252)과, 차량의 속도 검출을 위한 속도 센서(253) 등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plifier 25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250. That is, the main board 220 and the audio board 240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25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ehicle interface 250 may include a hands-free 251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without using a vehicle driver's hand, an airbag 252 for providing passenger safety, and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253 and the like can be connected.

또한, 상기 속도 센서(253)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2)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peed sensor 253 calculates a vehicle speed and provides the calculated vehicle spe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2.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180)은,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session 180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provides a general navigation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중앙처리장치(222)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할 때,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스케줄을 편집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2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diting a schedule using one or more media files or canvas files, edit the schedule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중앙처리장치(222)는, 스케줄을 편집할 때, 지난 날짜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금지 상태(디스에이블 상태 : disable state)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2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diting a schedule, provides an edit prohibited state (disable state) for the contents of the past date.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중앙처리장치(222)는, 타임 셀 단위의 반복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PU 222 applied to the telematic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ating function in units of time cell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ignag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 통신망(400) 및,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igital signage system 10 includes a digital signage device 300, a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one or more display devices 500.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다수의 모션 픽쳐 입력부,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입력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contents)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또는, 콘텐츠) 파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사진 파일(gif, jpg, tif 등 포함), 동영상 파일(avi, wmv 등 포함), 플래쉬 파일(swf 등 포함), 문서 파일(pdf, doc, hwp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캔버스 파일은, 콘텐츠 편집기(또는, 캔버스 편집기)로 생성 가능한 미디어의 묶음으로, 플레이어의 해상도를 근거로 미디어 파일들을 여러 개의 영역(zone)으로 구성한 파일(예를 들어, 4분할 화면에 4개의 미디어 파일을 위치시킨 구성)이다. 또한, 상기 미디어 파일과 상기 캔버스 파일은, 스케줄러 영역의 타임 셀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one or more content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motion picture input units, file and database input units, and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 and save. In this case, the content includes a media file or a canvas (or content) file. The media file may include a photo file (including gif, jpg, tif, etc.), a video file (including avi, wmv, etc.), a flash file (including swf, etc.), a document file (including pdf, doc, hwp, etc.), and the like. Include. In addition, the canvas file is a bundle of media that can be generated by a content editor (or canvas editor), and is a file (eg, divided into four-part screens) in which media files are organized into zones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player. 4 media files). In addition, the media file and the canvas file are the minimum units constituting the time cell of the scheduler area.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서버 또는 관리부(manager part)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와 연결된(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500) 포함)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출력될 정보에 대한 스케줄링(scheduling : 순서 계획)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시간 기반(timebase)을 근거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performs a function of a server or a manager part. That is,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may include one or more clients (the one or more display devices 500) connected to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or registered with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 Scheduling is performed on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each client us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In this case,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may perform scheduling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one hour interval) on the basis of a timebase.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500)에 스케줄링 정보(또는, 상기 스케줄링의 수행 결과 정보) 및 관련된 콘텐츠(미디어 파일, 캔버스 파일 등 포함)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scheduling information (or information on execution result of the scheduling) and related contents (media file, canvas file, etc.) to the one or more display devices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clusive).

상기 표시 장치(500)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링 정보 및 관련된 콘텐츠를 수신한다.The display device 500 receives scheduling information and related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클라이언트 또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표시 장치(500)는,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해당 시간에 맞춰 관련된 콘텐츠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500 performs a function of a client or a display part. That is, the display device 500 outputs related content at a corresponding time based on the received schedul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50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상기 표시 장치(500) 내에 제2 통신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제2 저장부(미도시), 제2 입력부(미도시) 등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제2 제어부의 제어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시 장치(500)에 포함된 제2 제어부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다수의 모션 픽쳐 입력부,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입력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근거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스케줄링 정보를 근거로 해당 시간에 관련된 콘텐츠를 상기 표시 장치(5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가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이용하여 관련된 정보(스케줄링 정보 포함)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500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second control unit (not shown), a second storage unit (not shown), a second input unit (not shown), and the like in the display device 50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d directly perform a function of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provided second controller. That is,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500 receives one or more content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motion picture input units, files and database input units, universal serial buses, etc., which are connected us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The schedul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tim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500 based on the performed scheduling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generates the scheduling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scheduling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근거리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500)의 소정 범위 내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에 상기 표시 장치(500)에 표시되는 동일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은, 상기 표시 장치(5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500)는, 근거리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500)의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임의의 다른 표시부에 상기 표시 장치(500)에 표시되는 동일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500 may transmit the sam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500 to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that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isplay apparatus 500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the like. The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may receiv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500 and display the received content on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ne or more mobile terminals.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500 may transmit the sam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500 to any other display uni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isplay apparatus 500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the like.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 또는 상기 표시 장치(5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정보 제공 서버, 콜 센터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or the display device 500 may b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Notebook computers, Wibro terminals,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s, televisions, telematics terminals, navigation terminals,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s, information server, call center, etc. It includes.

상기 통신망(400)은,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는 단말 간(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 또는 상기 표시 장치(500))을 상호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terconnects terminals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or the display device 500) between short-range or long-distance terminals using a wireless Internet module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Fi,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In additi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signag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는, 입력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 표시부(340), 음성 출력부(350) 및, 통신부(3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includes an input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 control unit 330, a display unit 340, a voice output unit 350, and a communication unit 360. It consists of.

상기 입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을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input unit 310 receives a command or a control signal by an operation such as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by a user or touching / scrolling a displayed screen.

또한, 상기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받으며,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셔틀, 마이크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10 may select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or receive information, and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 jog shuttle, and a microphone may be used.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320 stores data,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to operate.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통신부(360)를 통해 수신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 등의 콘텐츠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stores contents such as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제어부(330)에 의해 생성된(또는,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단말(또는, 표시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stores scheduling information generated (or set) by the controller 330. In this case, the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terminal (or a display device) to receive the schedul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오늘,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연별 등을 포함하는 기간 선택 영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를 선택하여, 오늘/일별/주별/월별/분기별/연별 단위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selects any one component from a period selection area including the today, daily, weekly, monthly, quarterly, annually,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and selects the present day / daily / Scheduling is performed on a weekly / monthly / quarterly / yearly basis.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편집 모드(스케줄링 모드 또는 플랜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일을 끌어놓기(또는, 드래그 앤드 드랍 : drag and dro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340)의 라이브러리 영역에서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또는, 복사)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drag and drop any on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340 in the editing mode (scheduling mode or plan mode). A drag and drop function is used to move (or copy)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from the library area of the display unit 340.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 대해서, 상기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타임 셀 영역의 상/하/좌/우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파일의 지속 기간(duration)을 설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adjusts the size of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of the time cel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position with respect to any position in the time cell region where the file is located. Set the duration.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오늘 날짜를 확인하고, 오늘 날짜 이전의 날짜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내용을 디스에이블(disble)시키고, 상기 이전 날짜에 포함된 타임 셀 영역에 대해서는 수정/삭제/추가 등과 같은 스케줄링 편집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이전 날짜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대해서, 기설정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이전 날짜의 타임 셀 영역에 포함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자동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checks the today's date, disables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for the date before the today's date, and checks the time cell area included in the previous date. It is configured not to perform scheduling editing functions such as modification / deletion / add. 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automatically deletes the media file or the canvas file included in the time cell area of the previous dat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ith respect to the media file or the canvas file included in the previous dat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상기 파일에 대해서, 기설정된 기능(예를 들면,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반복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포함된 복수의 시간대 중에서 상기 파일이 타임 셀 영역에서 위치한 동일한 시간대에 상기 파일을 반복(또는, 복사)시킨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a predetermined button) is selected for the file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the controller 330 performs a repetition function on the file. That is, when the preset button is selected while the file is selected, the controller 330 repeats the file at the same time zone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among a plurality of time zones included in at least one or more dates ( Or copy).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반복 기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복사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날짜에 각각 포함된 파일 중에서, 단일 혹은 복수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삭제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선택된 단일 혹은 복수의 파일을 삭제한다. 즉,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복사된 경우, 복사된 각각의 파일에 대해서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e is copied to at least one date by the repetition function, the controller 330 selects a single file or a plurality of files from among file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date, and selects the selected file. When the delete function is performed, the selected single or plural files are deleted. That is, when the file is copied on at least one date, the controller 330 may delete some or all of the copied files.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반복 기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복사된 경우, 상기 파일이 수정(시간대 수정, 파일 내용 수정 등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 날짜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해서도 상기 수정된 파일의 내용을 반영(또는,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e is copied to at least one date by the repetition function, the controller 330 i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date when the file is modified (including time zone modification, file content modification, etc.). One or more files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or apply) the contents of the modified file.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ge device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또한,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320)에 기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an execution result of an application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Here, the display unit 3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또한,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부(320)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4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by using a user interface and / or a graphic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storage 320 when display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includes a menu screen including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data such as icons, list menus, combo boxes, and the like.

또한, 상기 표시부(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3D display. It may include one.

상기 음성 출력부(350)는, 상기 제어부(33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35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The voice output unit 35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processed by a predetermined signal by the controller 330. Here, the voice output unit 350 may be a speaker.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350)는,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voice output unit 35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이와 같이,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라이브러리 영역에 있는 파일 중, 하나 이상의 파일을 선택하여 타임 셀 영역으로 이동(복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files in the library area may be selected and moved (copyed) to the time cell area by using the drag and drop function.

또한, 이와 같이, 오늘 날짜 이전의 날짜(목록)에 대해서는 화면에 보여지는 화면 구성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또한 이전 날짜에 포함된 타임 셀 영역에 대해서는 편집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creen configuration shown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or the date (list) before today's date, and the editing may not be made for the time cell area included in the previous date.

또한, 이와 같이, 타임 셀 영역 단위로 하나 이상의 다른 타임 셀 영역으로의 반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repetition function of one or more other time cell regions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time cell regio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sig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입력부(310)(또는, 표시부(340))는, 편집 모드(스케줄링 모드 또는, 플랜 모드)일 때,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또는, 콘텐츠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일 선택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파일은, 사진 파일(gif, jpg, tif 등 포함), 동영상 파일(avi, wmv 등 포함), 플래쉬 파일(swf 등 포함), 문서 파일(pdf, doc, hwp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캔버스 파일은, 콘텐츠 편집기(또는, 캔버스 편집기)로 생성 가능한 미디어의 묶음으로, 플레이어의 해상도를 근거로 미디어 파일들을 여러 개의 영역으로 구성한 파일(예를 들어, 4분할 화면에 4개의 미디어 파일을 위치시킨 구성)이다.First, the input unit 310 (or the display unit 340) is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or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when in an edit mode (scheduling mode or plan mode). File) is selected. The media file may include a photo file (including gif, jpg, tif, etc.), a video file (including avi, wmv, etc.), a flash file (including swf, etc.), a document file (including pdf, doc, hwp, etc.), and the like. Include. In addition, the canvas file is a bundle of media that can be generated by a content editor (or canvas editor). The canvas file is a file composed of several regions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player (for example, four media on a quad screen). Configuration of the file).

일예로, 제어부(33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20)에 기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를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실행 결과 화면에는,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메뉴인 콘텐츠 편집(contents edit) 메뉴(700), 콘텐츠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인 플랜(plan) 메뉴(800), 콘텐츠의 배포 대상을 관리하고 재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management) 메뉴(90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 메뉴(800)는, 플레이어(player) 영역(또는, 플레이어 화면)(810), 라이브러리 영역(또는, 라이브러리 화면)(820), 스케줄러(scheduler) 영역(또는, 스케줄러 화면)(830), 작성된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관련된(또는, 활성화된) 플레이어(또는, 그룹)에 전송하기 위한 버튼(예를 들어, "Send to Player 버튼")(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어 영역(810)은, 하나 이상의 플레이어 또는, 하나 이상의 그룹 및 상기 그룹에 각각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 및 관련된 정보(미디어 파일, 콘텐츠 파일 등 포함)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 광고판(또는, 전자 광고 장치 또는, 표시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플레이어 영역(810)에 표시되는 플레이어 또는 그룹에 대한 생성/수정/삭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브러리 영역(820)은, 미디어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탭(또는, 메뉴)(821), 캔버스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탭(822), 상기 미디어 파일 탭(821) 또는 상기 캔버스 파일 탭(822)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을 표시하는 영역(823)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케줄러 영역(830)은, 오늘(today), 날짜별(day), 주별(week), 월별(month), 분기별(quater) 및, 연별(year) 등을 포함하는 기간 선택 영역(831), 스케줄링을 위한 기간을 표시하는 기간 표시 영역(832), 콘텐츠가 위치되어 스케줄링되는 타임 셀(또는, 타임 라인) 영역(833) 등을 포함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controller 330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pre-stored in the storage 320 and displays the execution result on the display 340. In this case, the execution resul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includes a contents edit menu 700 which is a menu for editing content, and a plan menu which is a menu for setting scheduling using content. 800), a management menu 900 for managing a distribution target of content and monitoring a playback stat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lan menu 800 includes a player area (or player screen) 810, a library area (or library screen) 820, a scheduler area (or scheduler screen) 830. ), A button (eg, a "Send to Player button") 840 or the lik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created schedule to a related (or activated) player (or group). Here, the player area 810 includes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players or one or more groups and at least one player included in each of the groups. In this case, the player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digital signage device 100 and uses information on the scheduling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ge device 100 and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media file and a content file). It may be an electronic billboard (or an electronic advertisement apparatus, a display apparatus, or any other digital signage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perform a function of creating / modifying / deleting a player or a group displayed in the player area 810. In addition, the library area 820 may include a tab (or menu) 821 for selecting a media file, a tab 822 for selecting a canvas file, the media file tab 821, or the canvas file tab ( Area 823 and the like for displaying one or more files each included in 822. In addition, the scheduler area 830 may include a period selection area including today, day, week, month, quarter, year, etc. 831, a period display area 832 indicating a period for scheduling, a time cell (or timeline) area 833 where the content is located and scheduled,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중에서 상기 플랜 메뉴가 선택되고 특정 그룹 내의 특정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스케줄링을 위한 화면을 상기 표시부(34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700, 800, 900) 중에서 플랜 메뉴(800)가 선택되고, 상기 플레이어 영역(810) 중에서 "플레이어 1(Player 1)"(811)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플레이어 1"(811)에 대응하는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러 화면(830) 및 상기 라이브러리 화면(820)을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plan menu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and a specific player in a specific group is selected, the controller 330 displays a screen for schedulin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layer. A portion of 340 is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FIG. 6A, the controller 330 selects a plan menu 800 from among a plurality of menus 700, 800, and 9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and selects the player area ( If the "Player 1" 811 is selected among the 810, the display unit 340 displays the scheduler screen 830 and the library screen 820 for schedulin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layer 1" 811. ).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타임 셀 영역 중에서, 오늘 날짜(또는, 기설정된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날짜에 대해서는, 상기 오늘 날짜 이후와는 다른 상태(예를 들어, 그레이(gray) 색상으로 표시, 빗금으로 표시, 포커스 오프(focus off)로 표시 등)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be different from the today's date after the today's date based on today's date (or a preset date) in the time cell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For example,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in a gray color, a shaded display, a focus off display,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이전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대해서는 수정/삭제(또는, 편집)가 불가능하게 하고, 새로운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의 추가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disable / modify (or edit) any media file or canvas file included in the previous date, and may not add a new media file or canvas file. have.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타임 셀 영역 중에서, 오늘 날짜가 2009년 12월 22일인 경우, 상기 오늘 날짜 이전 날짜인 12월 20일 및 12월 21일에 대해서는, 상기 오늘 날짜 이후와는 다르게 빗금 영역(851)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A, when the today's date is December 22, 2009, in the time cell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the controller 330 may be a date before the today's date. For the month 20 and the december 21, it may be indicated by the hatched area 851 unlike the today's date.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미디어 파일(852) 또는 캔버스 파일(853)이 선택되는 경우, 지난 날짜의 디스에이블 타임 셀(disable time cell)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34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30, if any media file 852 or canvas file 853 included in the previous date based on the today's date is selected, the disable time cell of the last date (disable time cell)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generated may be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40.

이후, 상기 표시부(340)(또는, 상기 입력부(3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브러리(820)에 포함된 캔버스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예를 들어, ""Canvas File 1")(824)의 선택을 입력받는다(S110).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6B, the display unit 340 (or the input unit 310) may be any one file (eg, a canvas file included in the library 820) by a user's manipulation. In operation S110, a selection of "" Canvas File 1 ") 824 is received.

이후,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입력부(310)의 추가 입력을 근거로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라이브러리 영역에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또는, 복사)시킨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330 moves (or copies)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in the librar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based on the additional input of the input unit 310. Let's do it.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브러리 영역(820)에 포함된 캔버스 파일(822) 중 어느 하나의 파일(예를 들어, "Canvas File 1")(824)이 선택된 상태에서, 끌어놓기(또는, 드래그 앤드 드랍 : drag and drop)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 위치 (또는,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오전 8시"))(861)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파일이 위치하는 상기 임의의 타임 셀에 표시되는 내용은, 상기 파일의 내용을 대표하는 썸네일, 상기 파일에 대한 요약 정보(또는, 특성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약 정보는, 파일명, 제목명, 생성(또는, 편집)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C, the controller 330 may include any one file (eg, “Canvas File 1”) 824 of the canvas file 822 included in the library area 820. ) Is selected, using the drag and drop (drag and drop) function to move the selected file to any location within the time cell region (e.g., "December 23, 2009 at 7:00 AM Location (or, December 23, 2009, 7:00 AM to 8:00 AM))) 861. At this tim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arbitrary time cell where the file is located is the content of the file. A thumbnail representing a, summary informa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le, etc. may be displayed, wherein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e name, a title name, and a date of creation (or editing). have.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예를 들어, 더블 클릭 기능에 의한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34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팝업 형태)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eg, selected by a double-click function), the controller 330 may display thumbnails and / or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on the display unit 340. It may be displayed in some area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popup).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도 6C에 도시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861)이 더블 클릭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상기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340)의 일부 영역에 표시(871)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표시부(330)의 일부 영역에 상기 파일에 대한 요약 정보(872), 상기 파일의 시간 설정 정보(873),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반복 기능을 위한 기설정된 버튼(예를 들어, 반복(repeat) 버튼)(874) 등을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요약 정보는, 플레이어명, 플레이어측의 타입, 플레이어측의 해상도, 플레이어측의 크기, 라이브러리 종류, 파일명, 파일의 해상도, 파일의 크기, 재생 시간(play time), 제목명, 생성 일자 등을 포함한다(S120).For example, when the file 861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illustrated in FIG. 6C is double-clicked, the controller 330 may display thumbnails and / or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as illustrated in FIG. 6D. May be displayed on the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3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30 may include a summary information 872 of the file, a time setting information 873 of the file, and a repetition function of a time cell area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i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30. A preset button (eg, a repeat button) 874 may be further displayed. In this case, the summary information includes a player name, a player side type, a player side resolution, a player side size, a library type, a file name, a file resolution, a file size, a play time, a title name, and a creation date. And the like (S120).

이후,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여 지속 기간(duration)을 설정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330 sets a dura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time cell area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파일(824)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861)의 테두리 중 하측 테두리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파일의 지속 기간을 기존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에서 "2009년 12월 24일 오전 7시~오후3시"로 설정(또는, 변경)(862)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E, the controller 330 moves the lower edge of the edge of the time cell region 861 in which the selected file 824 is located to the lower direction, thereby maintaining the duration of the selected file. Set (or change) 862 from the existing "December 23, 2009 7:00 AM" to "December 24, 2009 7:00 AM to 3:00 PM".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타임 셀 영역에 위치한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파일의 지속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set the duration of the selected file by moving the selected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up / down / left / right.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 셀 영역(예를 들어,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 위치)(861)에 위치한 상기 선택된 파일(824)을 하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선택된 파일의 지속 기간을 기존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에서 "2009년 12월 23일 오전 7시~오후 2시" 및 "2009년 12월 24일 오전 7시~오후 2시"로 설정(863)할 수도 있다(S130).For example, the controller 330 may include the selected file 824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for example, at “7 am on December 23, 2009”) 861, as shown in FIG. 6F. ) To move downward and right to change the duration of the selected file from the existing "December 23, 2009 7:00 AM" to "December 23, 2009 7:00 AM-2:00 PM" and "12 2009" It may be set (863) to 7:00 am to 2:00 pm on the 24th of month (S130).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타임 셀 영역에 위치한 임의의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임의의 파일에 대한 반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button is selected in a state where an arbitrary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330 may perform a repeating function for the arbitrary file.

일예로, 상기 제어부(330)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임 셀 영역(833)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862)에서, 기설정된 버튼(874)이 선택되면, 팝업 형태의 날짜 정보(예를 들어, 달력)(864)를 상기 표시부(34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 정보의 소정 시간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여,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도 6G에 도시된 날짜 정보 중에서 "2009년 12월 26일"이 선택된 경우,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2009년 12월 26일" 에 포함된 타임 셀 영역 중에서, 상기 파일이 위치한 동일 시간대인 "오전 7시 ~ 오후 3시"의 타임 셀 영역에 상기 파일을 표시(865)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시간 중에서, 상기 파일이 상기 타임 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시간(또는, 시간대)과 동일한 시간일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G,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region 833 is selected 862, when the preset button 874 is selected, the controller 330 displays a pop-up date. Information (eg, a calendar) 864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40. Thereafter, when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330 copies the file at a predetermined time of the at least one selected dat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file on the display unit 340. That is, when "December 26, 2009" is selected from the date information shown in FIG. 6G, the controller 330 includes the selected "December 26, 2009" as shown in FIG. 6H. The file is displayed (865) in the time cell area of "7am-3pm" which is the same time zone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time equal to a time (or time zone)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ime cell area among a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임의의 파일이 반복 기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로 복사된 경우,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되는 상기 임의의 파일의 소정 위치에 기설정된 반복 아이콘(repeat icon)을 표시하여, 일반 타임 셀과 구분 지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bitrary file is copied to at least one date by the repeat function, the controller 330 may repeat a preset icon s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rbitrary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40. ) To distinguish it from normal time cells.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임의의 파일이 반복 기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복사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날짜에 각각 포함된 파일 중에서, 단일 혹은 복수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삭제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선택된 단일 혹은 복수의 파일을 삭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rbitrary file is copied to at least one or more dates by the repetition function, the controller 330 selects one or more files from among files included in the one or more dates, and selects the selected file. When the delete function is performed, the selected single or plural files may be deleted.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디스에이블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대해서, 상기 디스에이블 타임 셀 영역을 포함하는 임의의 날짜에 포함된 모든 타임 셀 영역의 내용을 현재 날짜 이후의 임의의 날짜에 복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contents of all time cell areas included in an arbitrary date including the disable time cell area with respect to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located in the disable time cell area. You can also copy on any date after that.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임의의 파일이 반복 기능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복사된 경우, 상기 임의의 파일이 수정(시간대 수정, 파일 내용 수정 등 포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짜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해서도 상기 수정된 임의의 파일 내용을 반영(또는, 적용)시킬 수 있다(S140).In addition, when the arbitrary file is copied to at least one date by the repeti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330 may modify the at least one date if the arbitrary file is modified (including time zone modification or file content modification). The contents of the modified arbitrary file may also be reflected (or applied) to one or more files respectively included in S14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400 : 통신망
500 : 표시 장치 310 : 입력부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340 : 표시부 350 : 음성 출력부
360 : 통신부
300: digital signage device 400: communication network
500: display device 310: input unit
320: storage unit 330: control unit
340: Display unit 350: Audio output unit
360: communication unit

Claims (24)

표시부에 표시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Selecting one of the files included in the media file or the canvas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a time cell area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lecting the file comprises:
And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moving the file comprises:
And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by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는,
특정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reg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sig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time included in a specific d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파일의 지속 기간(duration)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setting a duration of the moved fi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여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etting the duration comprises:
And controlling the size of the time cell area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to set a d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은,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e located within the time cell region is:
And displaying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in the time cel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is displayed i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는,
플레이어명, 플레이어측의 타입, 플레이어측의 해상도, 플레이어측의 크기, 라이브러리 종류, 파일명, 파일의 해상도, 파일의 크기, 재생 시간, 제목명 및, 생성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summary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a player side type, a player side resolution, a player side size, a library type, a file name, a file resolution, a file size, a playback time, a title name, and a creation date. Control method of digital sign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현재 날짜 이전의 타임 셀 영역은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controlling a time cell area before a current date among a plurality of dates included in the time cell area.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날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포함된 소정 시간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Displaying da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set button is selected while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Selecting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ate information; And
And copying the file at a predetermined time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시간 중에서, 상기 파일이 상기 타임 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sig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is the same as the time located in any position of the time cell region of the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미디어 파일 또는 캔버스 파일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edia file or a canvas file;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files included in the media file or the canvas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of the display unit.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의 미디어 파일 또는 복수의 캔버스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edia files or a plurality of canvas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끌어놓기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moving the selected file to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by using a drag and drop fun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는,
특정 날짜에 포함된 임의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region,
Digital sig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time contained on a specific d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이 위치한 타임 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파일의 지속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setting a duration of the file by adjusting a size of a time cell area in which the file is loca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파일의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ime cell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파일에 대한 썸네일 및/또는 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when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thumbnail and /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file is displayed in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unit.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정보는,
플레이어명, 플레이어측의 타입, 플레이어측의 해상도, 플레이어측의 크기, 라이브러리 종류, 파일명, 파일의 해상도, 파일의 크기, 재생 시간, 제목명 및, 생성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or 19, wherein the summary information,
At least one of a player name, a player side type, a player side resolution, a player side size, a library type, a file name, a file resolution, a file size, a playback time, a title name, and a creation date. Digital signage devic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타임 셀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현재 날짜 이전의 타임 셀 영역은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disabling a time cell area before a current date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es included in the time cell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타임 셀 영역 내에 위치한 파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날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unit,
And when a preset button is selected while a file located in the time cell area is selected, date information is displayed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날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포함된 소정 시간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pying the file at a predetermined time included in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displayed date informa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날짜 정보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시간 중에서, 상기 파일이 상기 타임 셀 영역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시간과 동일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sign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is the same as the time located in any position of the time cell region of the plurality of times included in the selected at least one date information.
KR1020100002859A 2010-01-12 2010-01-12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KR101771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59A KR101771451B1 (en) 2010-01-12 2010-01-12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PCT/KR2010/006806 WO2011087204A2 (en) 2010-01-12 2010-10-05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EP10843270.9A EP2524290B1 (en) 2010-01-12 2010-10-05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3/521,633 US8948566B2 (en) 2010-01-12 2010-10-05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1080061204.6A CN102713816B (en) 2010-01-12 2010-10-05 Digital signage equipment and using method thereof
EP18162274.7A EP3355173B1 (en) 2010-01-12 2010-10-05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859A KR101771451B1 (en) 2010-01-12 2010-01-12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918A true KR20110082918A (en) 2011-07-20
KR101771451B1 KR101771451B1 (en) 2017-08-25

Family

ID=4492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859A KR101771451B1 (en) 2010-01-12 2010-01-12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4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872A (en) * 2012-01-30 2013-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device
KR101455050B1 (en) * 2013-08-05 2014-10-31 (주)오픈스크린 Method for scheduling contents of a multivisio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50B1 (en) 2023-09-05 2024-02-29 주식회사 제이솔루션 Device customer interaction-based advertising effect measurement and real-time reflection signage solu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620A (en) * 2002-07-12 2004-02-12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rovid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recorded thereon
JP4802075B2 (en) * 2006-09-27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tent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ent transmitting method
US8769572B2 (en) * 2008-03-24 2014-07-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having date and time toolba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872A (en) * 2012-01-30 2013-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device
KR101455050B1 (en) * 2013-08-05 2014-10-31 (주)오픈스크린 Method for scheduling contents of a multivision and recording-medium recorded progra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451B1 (en)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566B2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6034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877486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1778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62588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7617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204446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595393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9896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4004506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0641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627951B1 (en)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4010072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69021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5148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18012B1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KR101718013B1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KR20120002252A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1451B1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
KR101658999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02694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3000677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4013305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4646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140044618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