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726A -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726A
KR20110081726A KR1020100002030A KR20100002030A KR20110081726A KR 20110081726 A KR20110081726 A KR 20110081726A KR 1020100002030 A KR1020100002030 A KR 1020100002030A KR 20100002030 A KR20100002030 A KR 20100002030A KR 20110081726 A KR20110081726 A KR 2011008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saturation
saturation measuring
current
measuring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126B1 (ko
Inventor
강민수
김태군
김광민
노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Priority to KR102010000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들을 신체의 특정 부위에 조사하는 발광부, (2)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투과한 광들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들을 전류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 및 (3) 상기 광 검출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따르면, 전류의 형태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신호를 제공하는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는 달리, 연결 모듈 내에 존재하는 신호선을 통하여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압의 형태로 신호를 제공한다. 전압신호는 전류신호에 비하여 신호선 내부로 침투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일부분으로 본 발명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게 될 경우, 외부 노이즈가 발생되더라도 정확하게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A PULSE OXIMETER IMPROVING SIGNAL QUALITY}
본 발명은 산소포화도 측정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는 동맥혈의 맥동성분에 의한 파장 별 광 흡수도를 측정하여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혈중 산소포화도(SpO2)를 산출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손가락 끝이나 귓불 같은 특정 신체부위에 조사하고, 특정 신체부위를 투과한 광들을 수광하여 전류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달한다.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한 다음,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로 분리한 후에, 분리된 전압신호들의 AC 및 DC 성분들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한다.
통상적으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은 분리되어 있으며 연결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발생된 노이즈(noise)가 연결 모듈 내의 신호선에 침투하여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전류의 형태로 제공되는 신호는 전압의 형태로 제공되는 신호에 비하여 노이즈에 취약한데, 현재까지 상용화되어 있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의 형태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류신호에 신호선으로 침투된 노이즈가 섞이게 될 경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할 때, 신호와 노이즈를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파장을 특정 신체부위에 조사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 수단을 정해진 순서로 도통시키기 위해 전류 펄스를 발광 수단에 인가시키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과 발광 제어부에서 발광 수단들로 전류 펄스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선이 하나의 연결모듈 내부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발광 수단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전류 펄스에 의한 노이즈가 신호선에 침투함으로써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신호가 영향을 받기 쉽다. 특히,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신호가 미약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호선을 실드 처리하여 발광 수단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노이즈를 차단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신호선을 실드 처리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전류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에, 센서와 모듈 간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면, 신호의 감쇄가 나타나게 되어 외부 노이즈에 더욱더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압 신호를 전달하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제공하여, 외부 노이즈에 강인한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1)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들을 신체의 특정 부위에 조사하는 발광부,
(2)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투과한 광들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들을 전류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 및
(3) 상기 광 검출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OP-AMP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도출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과 연결 모듈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의 전류-전압 변환부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신호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서 발생된 펄스 형태의 전류신호를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전달하는 제어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와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도출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류-전압 변환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 내의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저항과 연동하여 증폭기 혹은 필터로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따르면, 전류의 형태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신호를 제공하는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는 달리, 연결 모듈 내에 존재하는 신호선을 통하여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압의 형태로 신호를 제공한다. 전압신호는 전류신호에 비하여 신호선 내부로 침투될 수 있는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일부분으로 본 발명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게 될 경우, 외부 노이즈가 발생되더라도 정확하게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및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된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는 발광부(110), 광 검출부(120), 전류-전압 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0)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들을 신체의 특정부위에 조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발광 수단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신체의 특정부위는 손가락, 손목, 발목, 이마 등이 될 수 있다.
광 검출부(120)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투과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을 수광하고 이를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이오드형 광 검출소자 혹은 광전도체형 광 검출소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신호는 전류-전압 변환부(130)에 의해 전압신호로 변환되어 후술하게 될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전달되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도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10)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200) 및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200)을 접속시키는 연결 모듈(300)로 구성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는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200) 및 연결 모듈(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200)은 발광 제어부(210), 신호 분리부(220), 추출부(230), 증폭부(240) 및 산소포화도 측정부(2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변환부(260), 표시부(270) 및 타이밍 제어부(2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발광 제어부(210)는 발광부(110)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수단의 도통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며, 이를 위해 후술하게 될 타이밍 제어부(280)로부터 발광수단들의 도통 시간 및 도통 순서에 관한 타이밍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광 제어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80)로부터 제공받은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펄스 형태의 전류신호를 연결 모듈(300) 내의 제어신호선(320)을 통해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에 전달함으로써 발광수단들을 도통시킬 수 있다.
신호 분리부(220)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100)로부터 입력된 전압신호에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을 분리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하게 될 타이밍 제어부(280)에서 제공되는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샘플/홀드(225A, 225B)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샘플/홀드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추출부(230)는 신호 분리부(220)에 의해 분리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의 AC 및 DC 성분을 추출하는 구성요소로서, 분리된 전압신호의 DC 성분을 추출하는 저역통과필터(232A, 232B) 및 분리된 전압신호의 AC 성분을 추출하는 대역통과필터(234A, 234B)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의 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두 개 이상의 저역 및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증폭부(240)는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의 AC 성분을 증폭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의 AC 성분을 증폭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증폭기(245A, 245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증폭기로서 OP-AMP를 사용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부(250)는 신호 분리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들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들의 AC 성분 및 DC 성분들을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Beer-Lambert Law 등과 같은 공지의 산소포화도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산소포화도를 대표하는 수치를 산출하는 비율계산장치(254) 및 산출된 산소포화도를 보정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보정용 룩업테이블(259)로 구성될 수 있다.
변환부(260)는 분리된 전기신호들의 DC 성분 및 증폭된 AC 성분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70)는 산소포화도 측정부(250)에서 산출한 산소포화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듈로서,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80)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들을 조사하는 발광 수단들의 도통 순서 및 도통 시간을 발광 제어부(210)가 제어할 수 있도록 타이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분리부(220)에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들을 분리하기 위해, 샘플/홀드(225A,B) 회로에 타이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에서는 전류-전압 변환부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 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센서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과 연결된 신호선을 통하여 광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신호를 전달하면,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구비된 전류-전압 변환부가 입력받은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분리부 이후의 처리 과정을 거쳐 산소포화도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이 신호선을 통해 연결될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가 신호선에 침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류신호가 전압신호에 비하여 외부로부터 발생된 노이즈에 취약하기 때문에,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는 외부 노이즈에 강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모듈 내부에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 이외에, 발광 제어부가 발광 수단들을 도통시키기 위해 발생시킨 펄스 형태의 전류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선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선을 통해 펄스 형태의 전류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호선에 노이즈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형태가 전류일 경우 전류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의 영향은 더욱 커지게 되는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간의 거리가 길어지게 될 경우, 신호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의 신호가 감쇄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외부 노이즈의 영향이 점점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을 실드 처리하여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가 신호선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시키려 하고 있으나, 실드 처리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전류-전압 변환부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신호선을 통해 전압 형태의 신호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현재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내에 OP-AMP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내장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전압 변환부를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내장시키면, 전압신호는 전류신호에 비하여 외부 노이즈에 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정확하게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측정된 산소포화도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는 산소포화도 측정장치에서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가 전류-전압 변환부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은 전류-전압 변환부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이용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내장하고 있는 일반적인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이용해서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및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된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의 광 검출부(120)의 한쪽 단과 전류-전압 변환부(130)를 구성하는 OP-AMP의 (-)단을 연결하고, OP-AMP의 출력단과 OP-AMP의 (-)단 사이에 저항(RA)을 연결하면, OP-AMP 특성에 의하여 광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I)가 저항(RA)을 거쳐 OP-AMP의 출력단으로 흐르며, 이에 따라 OP-AMP의 출력단에는 일정 전압(VA)이 나타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 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전류(I)가 전압의 형태(VA)로 변환된다.
또한, OP-AMP의 출력단에 저항(RB)을 연결하면,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존재하는 전류-전압 변환부(211)는 입력전압(VA)에 일정비율(-RC/RB)이 증폭된 전압(VC)를 산출하는 증폭기로 역할이 전환된다. 만약,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존재하는 전류-전압 변환기(211)를 구성하는 OP-AMP의 (-)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C)과 함께 커패시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미도시)에는 필터로서 역할이 전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와 일반적인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을 이용해서도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 100: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110: 발광부 120: 광 검출부
130: 전류-전압 변환부 200: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
210: 발광 제어부 220: 신호 분리부
225A, 225B: 샘플/홀드 230: 추출부
232A, 232B:저역통과필터 234A, 234B:대역통과필터
235A, 235B: 필터회로 240: 증폭부
245A, 245B: 증폭기 250: 산소포화도 측정부
254: 비율계산장치 259: 산소포화도 보정용 룩업테이블
260: 변환부 270: 표시부
280: 타이밍 제어부 300: 연결 모듈
310: 신호선 320: 제어신호선

Claims (7)

  1.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로서,

    (1)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들을 신체의 특정 부위에 조사하는 발광부;
    (2) 상기 신체의 특정 부위를 투과한 광들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들을 전류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 및
    (3) 상기 광 검출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OP-AMP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도출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과 연결 모듈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의 전류-전압 변환부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신호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서 발생된 펄스 형태의 전류신호를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 전달하는 제어신호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와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전압신호에 기초하여 산소포화도를 도출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에 전류-전압 변환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 내의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저항과 연동하여 증폭기 혹은 필터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KR1020100002030A 2010-01-08 2010-01-08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KR10114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030A KR101142126B1 (ko) 2010-01-08 2010-01-08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030A KR101142126B1 (ko) 2010-01-08 2010-01-08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726A true KR20110081726A (ko) 2011-07-14
KR101142126B1 KR101142126B1 (ko) 2012-05-09

Family

ID=4492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030A KR101142126B1 (ko) 2010-01-08 2010-01-08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22A (ko) * 2019-01-11 2020-07-21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이진검색 기반 자동 오프셋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681B1 (ko) * 2003-04-25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무호흡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049020B1 (ko) * 2007-08-24 2011-07-12 양태현 의료센싱 시스템 및 의료센싱 방법
JP4962234B2 (ja) * 2007-09-12 2012-06-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ティクス株式会社 パルスオキシメ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22A (ko) * 2019-01-11 2020-07-21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이진검색 기반 자동 오프셋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126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sensing of tissue variation at increased accuracy
US94629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probe-off condition in a medical device
US10966642B2 (en) Photoplethysmography apparatus
US200902591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ulsatile Biometric Signal
JP2003194714A (ja) 生体組織血液量測定装置
JP6125821B2 (ja) 酸素飽和度測定装置及び酸素飽和度算出方法
US20120229800A1 (en) Pulse oximeter test instruments and methods
US202001636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Non-Invasive Medical Sensor
JP6373511B2 (ja) 光学的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65375B2 (en) Physiological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filter scaling
CN103622704B (zh) 一种宽动态范围的脉搏血氧测量系统
KR101142126B1 (ko)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의 신호품질을 향상시킨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US10588522B2 (en) Biological sensor
US97149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roscopic measurement of a characteristic of biological tissue
JP2008180597A (ja) 光検出装置および光学測定ユニット
US10028681B2 (en) Biological sensor
US201402758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Probe-Off Condition in a Medical Device
KR101216535B1 (ko) 비구형파를 이용한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
KR20110041118A (ko) 단일 증폭기 모듈을 이용한 산소포화도 측정 장치
JP2006292705A (ja) 青果物の非破壊品質測定法
US8521246B2 (en) Cable cross talk suppression
JP5652938B2 (ja) 血液成分分析装置
JP2012013524A (ja) 血液成分分析装置および血液成分分析装置用の受光回路
KR20070020428A (ko) 산소측정기의 크로스-토크 감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