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846A -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846A
KR20110080846A KR1020100001264A KR20100001264A KR20110080846A KR 20110080846 A KR20110080846 A KR 20110080846A KR 1020100001264 A KR1020100001264 A KR 1020100001264A KR 20100001264 A KR20100001264 A KR 20100001264A KR 20110080846 A KR20110080846 A KR 2011008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
driving
image
backlight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846A/ko
Priority to US12/985,754 priority patent/US20110164073A1/en
Priority to EP11150317A priority patent/EP2357639A1/en
Publication of KR2011008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Scrolling of light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over the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 scann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BLU를 복수의 BLU 구동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별로 영상의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특성의 열화를 극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이르러 TV의 대형화 추세가 계속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TV의 대형화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 주자인 TFT LCD(Thin Film Transitor Liquid Crystal Display)와 PDP(Plasma Display Panel)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LCD는 두 기판 사이의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에 전계를 인가하고, 상기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액정의 배열을 달라지게 하여 화상 신호를 얻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LCD는, PDP에 비해 전력 소모가 덜하고,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액정의 배열을 달라지게 해야 하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높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식을 달리하는 등 많은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LCD의 느린 응답속도는 모션 블러(motion blur)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모션 블러 현상이란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물체가 이동하는 장면을 볼 때 잔상이 남거나 영상이 일그러지는 등의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LCD 에 있어서는 동영상의 열화를 가져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별로 영상의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 영상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을 달리 제어함으로써, 패널의 영역별로 모션 블러(motion blur)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BLU(Back 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 복수의 BLU 구동방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BLU 구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BLU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BLU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1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2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서 결정되고,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인 경우의 타이밍은, 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주변인 경우의 타이밍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일부에 자막이 있는 경우나 일부 영역이 블랭크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영상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를 기초로 입력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의 BLU(Back 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 구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BLU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BLU가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1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2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서 결정되고,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인 경우의 타이밍은, 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주변인 경우의 타이밍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일부에 자막이 있는 경우나 일부 영역이 블랭크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영상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OS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기초로 입력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별로 영상의 품질이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링킹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SD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출력장치(250)는 패널부(100), 타이밍 컨트롤러(110), 구동부(150), 및 BLU(160)를 포함한다.
패널부(10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그리고 이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들로 구성된다.
데이터 라인은 후술할 데이터 구동부(120)로부터 계조 데이터가 전압으로 변경된 데이터 전압을 입력받아,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게이트 라인은 게이트 온 전압을 입력받아, 화소에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화소는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이와 같이 패널부(100)가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현재 프레임을 구동부(130)로 전달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외부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110)는 RGB(Red, Green, Blue) 데이터, 프레임의 시점을 나타내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동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GSP(gate start pulse) 신호 또는 SSP(source start pulse)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GSP 신호는 수직동기신호 Vsync 중에서 첫 번째 게이트 라인에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점을 알리는 신호이고, SSP 신호는 수평동기신호 Hsync 중에서 첫 번째 소스 라인에 데이터가 인가되는 시점을 알리는 신호이다.
타이밍 컨트롤러(110)로부터 출력되는 GSP 또는/및 SSP 신호는 패널부(100)에 백라이트를 제공할지 여부 및 백라이트 제공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이때 패널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백라이트 구동방식이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 영상이 패널부(100) 전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패널의 영역을 구분하여 백라이트를 각 영역에 대하여 번차례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영상이 패널부(100)의 일정 영역에 집중되어 있거나,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지만 자막 등이 있는 경우에는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의 점/소등을 교번적으로 제어한다. 백라이트의 점/소등의 교번적 제어는 턴온(turn-on)되어 있는 백라이트의 소등 타이밍을 일정 주기로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BLU 구동방식을 따르는 경우에, 백라이트를 소등하는 타이밍에 따라 모션 블러 현상이 감소되는 정도가 영역별로 차이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게 되면 패널부(100)의 영역별로 액정 특성이 최적화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영상이 패널부(100)의 중앙 부분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여 패널부(100)의 중앙부에 액정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하고, 영상이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지만 자막 등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주요 관심 영역이 자막 등에 있기 때문에,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여 패널부(100)의 상/하부의 액정 특성을 최적화한다.
여기서 액정 특성이 최적화된다는 것은,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따라 생기는 모션 블러 등의 문제점이 최소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TV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부(200), 디멀티플렉서(210), 음성 처리부(220), 영상 처리부(230), 음성 출력부(240), 영상 출력부(250), 제어부(260), 입력부(270), OSD 생성부(280) 및 저장부(290)를 포함한다.
수신부(2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수신한 방송을 디멀티플렉서(2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00)는 방송 제공자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방송이나, DVD나 셋탑 박스 등으로부터 유선으로 수신한 방송을 디멀티플렉서(210)에 제공하게 된다.
디멀티플렉서(210)는 수신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음성 처리부(220) 및 영상 처리부(230)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220)는 디멀티플렉서(210)에서 분리된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음성 출력부(240)에서 출력가능한 포맷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240)에 제공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230)는, 디멀티플렉서(210)에서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출력부(250)에서 출력가능한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출력부(250)에 제공한다.
음성 출력부(240)는 음성 처리부(22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출력부(250)는 영상 처리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260)에 제공한다. 입력부(270)로 입력되는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로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리모콘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일 수도 있다.
OSD 생성부(280)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OSD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요청한다. 특히, OSD 생성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환경 설정을 비롯하여, 입력되는 영상에 따라서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OSD를 생성한다.
제어부(260)는 수신부(200)를 제어하여, 방송을 수신하도록 하거나, 수신된 방송을 분리하고 복호화하도록 디멀티플렉서(210)를 제어하고, 음성 처리부(220), 음성 출력부(240), 영상 처리부(230) 및 영상 출력부(250), OSD 생성부(280) 및 저장부(2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60)는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110), 구동부(150), 패널부(10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판단하여 BLU(160)의 제어방식을 결정한다.
한편, 제어부(260)는 패널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백라이트 구동방식을 선택하여 BLU(160)를 제어한다. 패널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방식은 후술할 저장부(290)에 기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패널부(100) 전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패널의 영역을 구분하여 백라이트를 패널부(100)의 각 영역에 대하여 번차례로 제공한다. 또한, 영상이 패널부(100)에 일정 영역에 집중되어 있거나,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지만 자막 등이 있는 경우에는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의 점/소등을 교번적으로 제어한다. 백라이트의 점/소등의 교번적 제어는 턴온(turn-on)되어 있는 백라이트의 소등 타이밍을 일정 주기로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패널부(100)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BLU 구동방식을 따르는 경우에, 소등시키는 타이밍에 따라 액정 특성이 최적화되는 영역이 달라지게 되므로, 상기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게 되면 패널부(100)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주요 영역의 액정 특성이 가장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부(290)는 복수의 BLU 구동방식을 저장한다. 즉, 입력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가장 최적화된 BLU 구동방식을 저장한다.
저장부(290)에 저장된 복수의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제어부(260)는 입력부(270)로부터 수신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여 백라이트를 제어한다. 또한, 저장부(290)에 저장된 복수의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제어부(260)는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으로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한 프레임내에서 백라이트의 점등/소등을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블랙 프레임을 삽입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즉 BLU(Back 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는 백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소등시 화면에서 프레임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블랙 프레임을 삽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를 Black Insertion이라 하며, 이로써 액정 응답이 늦은 LCD에서 모션 블러(motion blur) 현상의 감소 등 액정 특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제1 프레임에서 백라이트가 점등(310)되었다가 소등(320)되고, 다시 제2 프레임으로 바뀌면서 백라이트가 점등(330)되었다가 소등(340)되는 방식으로, 백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백라이트의 소등 타이밍은 가변적일 수 있고,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화면의 특정영역에 해당하는 액정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b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을 나누어, 각 영역별로 백라이트 제공 타이밍을 달리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본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백라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제1 블록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영역, 그리고 제2 블록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영역일 수 있다.
제1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었을 때, 제2 블록에서는 백라이트가 점등(350)된 상태이고, 제1 블록에는 소등된 상태이다. 이후 제2 블록에서 백라이트가 소등되면, 제1 블록에는 백라이트가 점등(360)된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에서는, 제1 블록이 다시 소등되면 제2 블록이 점등(370)되며, 제2 블록이 소등되면 제1 블록이 점등(380)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별로 백라이트의 소등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영역별로 교번적으로 블랙 프레임이 삽입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3a 및 3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두 가지 방식으로 화면에 블랙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모션 블러(motion blur) 현상 등 LCD의 느린 액정 응답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4a 및 도 4b는 액정 패널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일정주기로 점등/소등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와 같은 방식을 블링킹(blinking) 방식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240Hz, 즉, 1/240초에 한 프레임이 액정 패널에 인가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액정 패널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는 패널의 위에서 아래로 또는 패널의 아래에서 위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입력되지만, 본 설명에 있어서는 영상 신호가 패널의 아래에서 위로 스캔되는 방식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상부에 위치한 그래프들(400, 420)은 시간에 따라 액정 패널에 영상 신호가 패널의 아래에서 위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부 그래프들(400, 420)에서 보듯이, 액정 패널의 위치에 따라 프레임이 인가되는데 있어서 시간적인 차이가 생기게 된다. 즉, 패널의 아래 부분에 영상 신호가 가장 빨리 인가되고 패널의 윗 부분으로 갈 수록 인가되는 속도가 느리게 된다.
영상 신호가 액정 패널에 인가된 후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도 4a 및 도 4b의 하부에 위치한 그래프들(410, 430)은 액정 패널에 백라이트가 제공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백라이트를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백라이트는 각 도면의 하부 그래프들(410, 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되었다 소등되고, 다시 점등되었다가 소등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러나, 백라이트를 소등시키는 타이밍이 달라지는 경우 액정 특성이 향상되는 영역 또한 달라지는 효과가 생긴다. 이를 이용하면, 화면에 있어서 가장 관심 영역이 되는 부분의 액정 특성을 특히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고화질의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a와 도 4b는 소등 타이밍을 제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 5a 및 5b는 소등 타이밍에 따라 액정 특성이 특히 향상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a에서는 영상 신호가 인가되고 백라이트가 점등된 상태에서 a(415)시점에 소등 신호를 인가하여 백라이트의 소등이 이루어진다. 반면, 도 4b에서는 영상 신호가 인가되고 백라이트가 점등된 상태에서 b(435)시점에 소등 신호를 인가하여 백라이트의 소등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등이 개시되는 타이밍, 다시 말해 백라이트를 턴오프(turn-off)하는 phase를 다르게 설정하게 되면, 액정 패널 상에서 액정 특성이 최적화되는 영역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도 5a의 좌측 도면(450)은 액정 패널의 중심부의 액정 특성이 최적화된 경우를 보여주며, 도 5b의 좌측 도면(460)은 액정 패널의 상/하부의 액정 특성이 최적화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렇게, 블링킹 방식을 이용하면서, 임의적으로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영역별로 액정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입력되는 영상이 액정 패널의 중심부에 출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은 중심부가 되므로,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도 5a의 좌측 도면(450)과 같이 액정 패널의 중심부의 액정 특성을 최적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주로 16:9 비율의 영화 영상(455)등과 같이 액정 패널의 중심부가 관심 영역인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한편, 입력되는 영상에 있어서 액정 패널의 상/하부가 관심 영역이 되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도 5b의 좌측 도면(460)과 같이 액정 패널의 상/부의 액정 특성을 최적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주로, 사용자의 주요 관심 영역이 액정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자막에 집중되는 뉴스(465)인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한편, 액정 패널의 영역을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백라이트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은, 구분된 영역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듯이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므로 이하에서는 스캐닝 방식이라 칭하기로 한다.
스캐닝 방식에 따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 전체 영역에 대하여 액정 특성이 최적화(470)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스캐닝 방식은 액정 패널의 전체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475)인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한편, 각 영상의 종류(455,465,475)에 따른 BLU 구동방식, 즉, 블링킹 방식인지 스캐닝 방식인지 여부 및 블링킹 방식인 경우의 소등 타이밍은 저장부(290)에 기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60)는 저장부(290)에 저장된 영상의 종류에 따른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혹은 자동으로 판단된 영상 신호를 기초로 백라이트를 구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될 영상을 입력받는다(S500). 입력되는 영상이 풀(full) 영상,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인지 판단한다(S510). 입력되는 영상이 풀 영상이 아닌 경우(S510-N)에는 입력되는 영상이 16:9 비율 영상인지 판단한다(S530).
만약 입력되는 영상이 16:9 비율을 가진 영상이라면 블링킹 방식을 이용하여 BLU를 구동시킨다(S540). 다만,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의 액정 특성을 최적화하는 소등 타이밍, 즉, 중앙 부분의 모션 블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설정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한다(S545).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는 영상이 백라이트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된다(S580).
한편, 입력되는 영상이 16:9 영상이 아닌 경우(S530-N)에는 자막이 포함되는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 이후의 과정은 입력되는 영상이 풀영상으로 판단된 경우(S510-Y)와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입력되는 영상이 풀영상으로 판단된 경우(S510-Y)에는 입력되는 영상에 자막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560)하고, 자막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S560-N)에는 스캐닝 방식으로 BLU를 구동(S575)하여 영상이 출력(S580)되도록 한다.
그러나, 입력되는 영상에 자막이 포함된 경우(S560-Y)에는 블링킹 방식으로 BLU를 구동(S565)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부분의 액정 특성을 최적화하는 소등 타이밍, 즉, 상하 부분의 모션 블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백라이트 소등 타이밍을 설정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한다(S570).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는 영상이 백라이트를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된다(S580).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기초하여 BLU 구동방식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화된 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영상이 풀영상인 경우, 16:9 영상인 경우 또는 자막이 포함된 경우로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특성이 최적화되어야 할 영역, 즉, 사용자에 있어서 화면에서 가장 관심이 되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액정 특성의 최적화를 모션 블러 현상의 최소화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에 의한 액정의 열화를 최소화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BLU 구동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OSD의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주요 관심 영역이 전체 영역인 경우에는 노멀 모드로 설정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주요 관심 영역이 패널의 중앙부인 경우에는 중앙집중모드로 설정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요 관심 영역이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인 경우에는 상하집중모드로 설정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설명에 있어서는 BLU 구동방식을 노멀 모드, 중앙집중모드 및 상하집중모드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고 이와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OSD의 구성 또한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00.........수신부
210.........디멀티플렉서
220.........음성처리부
230.........영상처리부
240.........음성출력부
250.........영상출력부
260.........제어부
270.........입력부
280.........OSD 생성부
290.........저장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BLU(Back 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
    복수의 BLU 구동방식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BLU 구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BLU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BLU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1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2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서 결정되고,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인 경우의 타이밍은, 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주변인 경우의 타이밍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일부에 자막이 있는 경우나 일부 영역이 블랭크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영상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OSD를 생성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를 기초로 입력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의 BLU(Back 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 구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BLU 구동방식에 따라 상기 BLU가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1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방식 중 제2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과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타이밍을 상이하게 조절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식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백라이트를 번차례로 제공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서 결정되고,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중앙인 경우의 타이밍은, 상기 위치하는 영역이 주변인 경우의 타이밍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일부에 자막이 있는 경우나 일부 영역이 블랭크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영상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BLU 구동방식을 참조하여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BLU 구동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OS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는, 상기 생성된 OSD를 기초로 입력된 BLU 구동방식으로 상기 BLU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KR1020100001264A 2010-01-07 2010-01-07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80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64A KR20110080846A (ko) 2010-01-07 2010-01-07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2/985,754 US20110164073A1 (en) 2010-01-07 2011-01-06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nd a display using the same
EP11150317A EP2357639A1 (en) 2010-01-07 2011-01-06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nd a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64A KR20110080846A (ko) 2010-01-07 2010-01-07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46A true KR20110080846A (ko) 2011-07-13

Family

ID=4375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64A KR20110080846A (ko) 2010-01-07 2010-01-07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64073A1 (ko)
EP (1) EP2357639A1 (ko)
KR (1) KR201100808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2685A (ja) * 2010-05-20 2011-12-01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表示装置
US20130021385A1 (en) * 2011-07-22 2013-01-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device and black frame insertion method thereof
CN106981272B (zh) * 2017-05-26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背光驱动方法、装置和显示面板
US20220122553A1 (en) * 2021-12-24 2022-04-21 Intel Corporation Asynchronous control of a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569A (ja) * 2000-11-30 2003-02-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218249B2 (ja) * 2002-03-07 2009-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TWI227768B (en) * 2002-10-29 2005-02-11 Fujitsu Display Tech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U2003289238A1 (en) * 2002-12-06 2004-06-3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6070323A1 (en) * 2004-12-27 2006-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nning backlight for lcd
KR20100001264A (ko) 2008-06-26 2010-01-06 진한나 동파방지 얼음그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64073A1 (en) 2011-07-07
EP2357639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4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2657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drive method
US84368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which adjusts backlight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 and method thereof
US9928789B2 (en) Display having fixed frame-rate up conversion followed by variable frame-rate down conversion, wherein frame decimation is carried out according to frame ID number
KR200901020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22341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044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2014064259A (ja) 無眼鏡立体映像表示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20110148863A1 (en) 3d display driving method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080846A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18969A (ko) 3d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3d 영상 처리 방법
KR101591446B1 (ko) 3d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US85761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applying the same
JP2011075668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13674664B (zh) 显示装置的白平衡调节方法及显示装置
KR20150080103A (ko) 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419896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200278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52886B1 (ko) 동영상의 화질 개선 장치 및 방법
JP2014068256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9204969A (ja) 表示装置
TW201310424A (zh) 液晶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KR20040074289A (ko) 백라이트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