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679A -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679A
KR20110080679A KR20100001014A KR20100001014A KR20110080679A KR 20110080679 A KR20110080679 A KR 20110080679A KR 20100001014 A KR20100001014 A KR 20100001014A KR 20100001014 A KR20100001014 A KR 20100001014A KR 20110080679 A KR20110080679 A KR 20110080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diment
underwater
aerat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0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희
Original Assignee
정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희 filed Critical 정선희
Priority to KR2010000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679A/ko
Publication of KR2011008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수생태를 정화하는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Water ecology purification equipment and method}
본 발명은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수, 댐, 저수지, 유수지, 유원지, 저류지, 폰드, 하천, 수로, 항만, 항로, 해안, 저류조, 침전조, 유량조정조, 배수갑문, 갯골, 습지는 장기간 경과함에 따라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이 쌓이고 또한 수질이 악화된다. 그리고 수면, 수중, 수저에는 이물질, 부유물, 가연물, 불연물, 유기물, 쓰레기, 폐기물이 누적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부영양화, 적조현상, 녹조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어 수생태계가 파괴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스, 악취가스, 유해가스 등이 발생되고 궁극적으로는 지구온난화의 한 주범이 된다. 그리고 국가적인 새로운 성장트렌드인 녹색성장의 틀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생태계의 파괴를 복구, 복원, 정화하는 노력 및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부흥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수생태계 처리장치를 고안하여 수질 및 저질토를 정화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수생태를 정화하는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의 고안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로 구성된 것이 호수, 댐, 저수지, 유수지, 유원지, 저류지, 폰드, 하천, 수로, 항만, 항로, 해안, 저류조, 침전조, 유량조정조, 배수갑문, 갯골, 습지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를 이동하면서, 수질을 정화하거나,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수질을 정화하고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에 의하여 댐, 저수지, 유수지, 유원지, 저류지, 폰드, 하천, 수로, 항만, 항로, 해안, 저류조, 침전조, 유량조정조, 배수갑문, 갯골, 습지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의 수질을 정화하고 또한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 수중, 수저에 누적된 이물질, 부유물, 가연물, 불연물, 유기물, 쓰레기, 폐기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수질의 부영양화, 적조현상, 녹조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스, 악취가스, 유해가스 등이 발생을 억제시켜 지구온난화의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국가적인 새로운 성장트렌드인 녹색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수생태계의 파괴를 복구, 복원,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태 정화장치 전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를 나타내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 갈고리, 이물질적재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탁방지망을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망부유체, 방지망, 고정체,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폭기장치, 주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로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는 수면 또는 수중에 부유되는 구조체이고, 상기 부유체에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가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놓인다.
상기 이동장치는 부유체를 수면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부유식물은 수면에 부유하여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중식물은 수중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저식물은 수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처리장치는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의 수질을 정화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폭기장치는 수면의 물을 폭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폭기장치는 수중의 물을 폭기하는 장치이고, 상기 물을 폭기하는 것는 물 속에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수저폭기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폭기하는 장치이다.
상기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폭기하는 것은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속에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수면교반장치는 수면의 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교반장치는 수중의 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교반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주입장치는 수면의 물속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주입장치는 수중의 물속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주입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진동장치는 수면의 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진동장치는 수중의 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진동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이랑장치는 수면의 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이랑장치는 수중의 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이랑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다.
상기 수면흡입장치는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흡입장치는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흡입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갈고리장치는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갈고리장치는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갈고리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면그물망은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그물망은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그물망은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오탁방지망은 일정한 구역을 에워싸서 일정한 구역내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망이고, 상기 수상조명등은 수면 상부에 설치된 조명등이고, 상기 수중조명등은 수중에 설치된 조명등이고, 상기 수상카메라는 수면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이고, 상기 수중카메라는 수중에 설치된 카메라이다.
상기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에 더하여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태양발전장치는 태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류발전장치는 물흐름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온차발전장치는 물수온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발전하여 생성된 전기는 이동장치,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부유체에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놓인 것이, 호수, 댐, 저수지, 유수지, 유원지, 저류지, 폰드, 하천, 수로, 항만, 항로, 해안, 저류조, 침전조, 유량조정조, 배수갑문, 갯골, 습지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를 이동하면서, 수질을 정화하거나,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수질을 정화하고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일정물질은 미생물, 계면활성제, 초임계물질, 영가금속, 나노금속,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황토, 점토, 활성탄, 폐타이어, 왕겨, 카본, 숯, 영양제, 응집제, 침전제, 음이온, 화학물질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물질 또는 어느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질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이고, 상기 초임계물질은 일정한 고온과 고압의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 도달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시점의 물질이고, 상기 영가금속은 이온가가 영가(zero valent)인 금속이고, 상기 나노금속은 입자크기가 나노미터(nano meter)크기인 금속이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광물의 일종이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광물의 일종이고, 상기 영양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성분이고, 상기 응집제는 물 속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응집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유도체, 황산알루미늄, 알루민산나트륨, 황산철, 염화철, 폴리염화알루미늄, 가성소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침전제는 물 속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침전시키는 물질이고, 상기 음이온은 양이온의 반대로 음전하를 띠는 물질이고, 상기 화학물질은 수질을 정화하는 보조적인 물질로, 화학물질은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황산제2철, 폴리염화알루미늄, 명반, 알루민산나트륨, 활성규산, 수산화나트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혼합에서 혼합율은 구성요소 각자는 중량비로 1∼99%의 범위이고 구성요소 전체는 중량비로 100%이다.
상기 이물질은 부유물, 가연물, 불연물, 유기물, 쓰레기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유물은 물에 뜨는 물질이고, 상기 가연물은 가연성의 물질이고, 상기 불연물은 불연성의 물질이고, 상기 불연성의 물질에는 금속, 철, 콘크리트, 블럭, 벽돌, 타일이 있고, 상기 유기물은 유기성의 물질이고, 상기 이물질은 수면상부 또는 지면에 집하되어 처리되고, 상기 가연물은 고형연료로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되거나 또는 해양에 투기되어 처리되고, 상기 불연물은 불연물 종류별로 용도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어 처리되고, 상기 유기물은 바이오연료 또는 바이오가스로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되거나 또는 해양에 투기되어 처리된다.
상기 수저폭기장치, 수저교반장치, 수저주입장치, 수저진동장치, 수저이랑장치, 수저흡입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저그물망 중의 어느 하나의 장치 또는 어느 둘 이상의 장치로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서 이물질,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취득하고, 상기 이물질은 고형연료, 바이오연료 중의 어느 하나 연료 또는 어느 둘 이상 연료로 재활용하고, 상기 토사, 모래, 자갈, 골재는 건설재료, 공사재료, 성토재료, 시멘트콘크리트재료, 레미콘재료 중의 어느 하나 재료 또는 어느 둘 이상의 재료로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생태 정화장치 전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수생태 정화장치는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에 더하여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부유체는 배, 스티로폼, 뗏목, 부유판, 빈통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부유판은 물에 부유되는 널판으로 재질은 콘크리트재, 금속재, 목재, 고분자합성재 중의 어느 하나이다. 부유체는 단일 부유체 또는 다수 부유체로 되고, 단일 부유체는 하나의 개별 부유체로 구성된 것이고, 다수 부유체는 둘 이상의 개별 부유체로 구성된 것이다. 다수 부유체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개별 부유체 간에는 상호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된다. 부유체에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가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놓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를 나타내 모식도이다. 이동장치는 부유체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자연이동형 및 프로펠러형 및 로라형이 있다. 자연이동형 이동장치는 물흐름 및 바람의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자연적으로 이동하는 방식이고, 프로펠러형 이동장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프로펠러형 이동장치는 방향키, 속도조절기, 프로펠러, 리모트콘트롤러로 구성된다. 방향키는 부유체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것이고, 속도조절기는 부유체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이고, 프로펠러는 부유체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리모트콘트롤러는 부유체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로라형 이동장치는 로라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로라형 이동장치는 기준줄, 로라, 회전모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준줄, 로라, 운전줄로 구성된다. 기준줄은 수면 상부의 공중에 설치된 줄이고, 로라는 자신이 회전하면서 기준줄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체이고, 로라에는 부유체가 연결되어 로라가 기준줄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부유체도 로라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회전모터는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로라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로라의 중심축에 전달하여 로라를 회전시키는 모터이고, 운전줄은 로라에 연결된 줄로 회전모터가 생략되는 경우 로라를 당겨서 회전모터 대신에 로라를 회전시켜 로라가 기준줄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부유식물은 수면에 부유하여 서식하는 식물이고, 수중식물은 수중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수저식물은 수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수처리장치는 유입호스, 유입펌프, 정화기기, 유출호스, 유출펌프로 구성된다. 유입호스는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의 물을 정화기기로 유입하는 호스이고, 유입펌프는 유입호스를 통하여 물을 정화기기로 유입시키는 유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화기기는 유입호스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를 정화하는 기기이고, 상기 정화는 유입수를 폭기처리, 전기응집처리, 화학응집처리, 오존처리, 미생물처리, 모래여과처리, 막분리처리, 역삼투처리, 활성탄여과처리, 마이크로필터처리, 울트라필터처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정화처리하는 것이다. 유출호스는 정화기기에서 정화된 정화수를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로 유출하는 호스이고, 유출펌프는 유출호스를 통하여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는 폭기공급기, 폭기량조절기, 폭기호스, 폭기노즐로 구성된다. 폭기공급기는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고, 폭기량조절기는 폭기공급기에서 폭기호스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고, 폭기호스는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호스이고, 폭기노즐은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배출시키는 노즐이고, 폭기노즐은 폭기호스의 말단에 설치된다. 폭기호스 말단 또는 폭기노즐을 통하여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수면, 수중, 수저의 물 속에,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속에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는 교반날개, 회전축, 교반회전모터, 교반속도조절기로 구성된다. 교반날개는 물,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교반하는 날개이고, 교반날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축은 교반날개가 회전하는 중심축이고, 교반회전모터는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이고, 교반속도조절기는 교반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는 주입탱크, 주입압력장치, 주입압력조절기, 주입호스, 주입노즐로 구성된다. 주입탱크는 일정물질이 저장된 탱크이고, 주입압력장치는 일정물질의 주입압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주입압력조절기는 주입압력을 조절하는 것이고, 주입호스는 일정물질을 공급하는 호스이고, 주입노즐은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노즐이고, 주입노즐은 주입호스의 말단에 설치된다. 주입호스 말단 또는 주입노즐을 통하여 일정물질이 수면, 수중, 수저의 물 속에,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속에 주입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는 진동기, 바이브레이터, 초음파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진동기, 바이브레이터, 초음파기로부터는 진동, 떨림, 초음파 중의 어느 하나가 제공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는 갈고리, 후크, 곡괭이, 꼬챙이, 삽, 쇼벨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는 흡입기, 흡입량조절기, 흡입호스를 기본으로 하고 추가로 싸이클론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흡입기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흡입량조절기는 흡입력을 조절하는 것이고, 흡입호스는 수면, 수중, 수저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흡입하는 호스이고,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된 물질은 싸이클론선별기 또는 스크린선별기로 투입된다. 싸이클론선별기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가연물, 유기물,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별하는 것이고, 스크린선별기는 스크린망으로 이물질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가연물, 유기물,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별하는 것이다. 싸이클론선별기, 스크린선별기의 둘 모두가 구성되는 경우 이의 배치순서는 무순으로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는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 이물질적재대로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 갈고리, 이물질적재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는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갈고리가 부착된 켄베이어벨트이고,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는 자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의 회전에 따라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에 부착된 갈고리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수면, 수중, 수저의 물 속의,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한다. 이물질적재대는 갈고리에 걸러져서 제거된 이물질이 적재되는 곳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은 뜰채 또는 잠자리채 형상을 가진 그물망으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탁방지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오탁방지망은 수면에서 수중 또는 수저까지 연직으로 내려진 망이다. 오탁방지망은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이 위치하는 일정 구역의 주위를 에워싼다. 오탁방지망이 일정 구역을 에워싸서 일정한 구역내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존재하는 이물질, 오탁수, 탁류, 토사, 실트, 미세물질, 미분, 오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망부유체, 방지망, 고정체,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폭기장치, 주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오탁망지망은 망부유체, 방지망, 고정체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폭기장치, 주입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추가되어 구성된다. 망부유체는 수면에 부유 또는 부상되는 물체로 방지망 상단에 설치되어 자신의 부력에 의하여 방지망을 수중에 연직으로 세우는 기능을 한다. 방지망은 일정 구역을 에워싸서 일정한 구역내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존재하는 이물질, 오탁수, 탁류, 토사, 실트, 미세물질, 미분, 오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망 또는 막이다. 방지망의 상단에는 망부유체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고정체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체는 방지망의 하단에 설치되어 방지망이 저부지반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고, 고정체는 모래마대, 토사마대, 자갈마대, 준설토마대, 돌맹이, 암석조각, 돌망태, 벽돌, 블럭, 철괴, 쇠덩어리, 앙카, 닻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준설토마대는 준설토가 채워진 마대이다. 부유식물은 수면에 부유하여 서식하는 식물이고, 수중식물은 수중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수저식물은 수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다. 폭기장치는 폭기공급기, 폭기량조절기, 폭기호스, 폭기노즐로 구성된다. 주입장치는 주입탱크, 주입압력장치, 주입압력조절기, 주입호스, 주입노즐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폭기호스 말단, 폭기노즐, 주입호스 말단, 주입노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방지망의 상부, 중부, 하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 수면 2 : 수중
3 : 수저 4 :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10 : 부유체 11 : 부유체와 부유체 간의 연결 또는 결합
12 : 부유체와 구성물 간의 연결 또는 결합 20 : 이동장치
21 : 프로펠러형 이동장치 211 : 방향키
212 : 속도조절기 213 : 프로펠러
214 : 리모트콘트롤러 22 : 로라형 이동장치
221 : 기준줄 222 : 로라
223 : 회전모터 224 : 운전줄
30 : 부유식물 31 : 수중식물
32 : 수저식물 40 : 수처리장치
41 : 유입호스 42 : 유입펌프
43 : 정화기기 44 : 유출호스
45 : 유출펌프 50 : 수면폭기장치
51 : 수중폭기장치 52 : 수저폭기장치
53 : 폭기공급기 54 : 폭기량조절기
55 : 폭기호스 56 : 폭기노즐
57 :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
60 : 수면교반장치 61 : 수중교반장치
62 : 수저교반장치 63 : 교반날개
64 : 회전축 65 : 교반회전모터
66 : 교반속도조절기 70 : 수면주입장치
71 : 수중주입장치 72 : 수저주입장치
73 : 주입탱크 74 : 주입압력장치
75 : 주입압력조절기 76 : 주입호스
77 : 주입노즐 78 : 일정물질
80 : 수면진동장치 81 : 수중진동장치
82 : 수저진동장치 90 : 수면이랑장치
91 : 수중이랑장치 92 : 수저이랑장치
100 : 수면흡입장치 101 : 수중흡입장치
102 : 수저흡입장치 103 : 흡입기
104 : 흡입량조절기 105 : 흡입호스
106 : 싸이클론선별기 107 : 스크린선별기
110 : 수면갈고리장치 111 : 수중갈고리장치
112 : 수저갈고리장치 113 : 갈고리형켄베에어벨트
114 : 갈고리 115 : 이물질적재대
120 : 수면그물망 121 : 수중그물망
122 : 수저그물망 130 : 오탁방지망
131 : 망부유체 132 : 방지망
133 : 고정체 140 : 수상조명등
141 : 수중조명등 150 : 수상카메라
151 : 수중카메라 160 : 풍력발전장치
161 : 태양발전장치 162 : 수류발전장치
163 : 수온차발전장치

Claims (1)

  1.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체는 수면 또는 수중에 부유되는 구조체이고,
    상기 부유체에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가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놓이고,
    상기 이동장치는 부유체를 수면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부유식물은 수면에 부유하여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중식물은 수중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저식물은 수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고,
    상기 수처리장치는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의 수질을 정화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폭기장치는 수면의 물을 폭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폭기장치는 수중의 물을 폭기하는 장치이고,
    상기 물을 폭기하는 것는 물 속에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수저폭기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폭기하는 장치이고,
    상기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폭기하는 것은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속에 공기, 압축공기, 바람, 산소, 압축산소, 오존, 기포, 압축기포, 물, 압축수, 에어버블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는 것이고,
    상기 수면교반장치는 수면의 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교반장치는 수중의 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교반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교반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주입장치는 수면의 물속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주입장치는 수중의 물속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주입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일정물질을 주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진동장치는 수면의 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진동장치는 수중의 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진동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진동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이랑장치는 수면의 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이랑장치는 수중의 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이랑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양분하여 가르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흡입장치는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흡입장치는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흡입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갈고리장치는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갈고리장치는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갈고리장치는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갈고리질하여 제거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면그물망은 수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중그물망은 수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저그물망은 수저의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그물잡이하는 장치이고,
    상기 오탁방지망은 일정한 구역을 에워싸서 일정한 구역내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망이고,
    상기 수상조명등은 수면 상부에 설치된 조명등이고,
    상기 수중조명등은 수중에 설치된 조명등이고,
    상기 수상카메라는 수면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이고,
    상기 수중카메라는 수중에 설치된 카메라이고,
    상기 부유체,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에 더하여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태양발전장치는 태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류발전장치는 물흐름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수온차발전장치는 물수온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이고,
    상기 발전하여 생성된 전기는 이동장치,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되고,
    상기 부유체에 이동장치, 부유식물, 수중식물, 수저식물, 수처리장치, 수면폭기장치, 수중폭기장치, 수저폭기장치, 수면교반장치, 수중교반장치, 수저교반장치, 수면주입장치, 수중주입장치, 수저주입장치, 수면진동장치, 수중진동장치, 수저진동장치, 수면이랑장치, 수중이랑장치, 수저이랑장치, 수면흡입장치, 수중흡입장치, 수저흡입장치, 수면갈고리장치, 수중갈고리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면그물망, 수중그물망, 수저그물망, 오탁방지망, 수상조명등, 수중조명등, 수상카메라, 수중카메라, 풍력발전장치, 태양발전장치, 수류발전장치, 수온차발전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놓인 것이,
    호수, 댐, 저수지, 유수지, 유원지, 저류지, 폰드, 하천, 수로, 항만, 항로, 해안, 저류조, 침전조, 유량조정조, 배수갑문, 갯골, 습지의 수면, 수중, 수저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부위를 이동하면서,
    수질을 정화하거나,
    또는,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수질을 정화하고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일정물질은 미생물, 계면활성제, 초임계물질, 영가금속, 나노금속,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황토, 점토, 활성탄, 폐타이어, 왕겨, 카본, 숯, 영양제, 응집제, 침전제, 음이온, 화학물질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물질 또는 어느 둘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질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이고,
    상기 초임계물질은 일정한 고온과 고압의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 도달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시점의 물질이고,
    상기 영가금속은 이온가가 영가(zero valent)인 금속이고,
    상기 나노금속은 입자크기가 나노미터(nano meter)크기인 금속이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광물의 일종이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광물의 일종이고,
    상기 영양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성분이고,
    상기 응집제는 물 속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응집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유도체, 황산알루미늄, 알루민산나트륨, 황산철, 염화철, 폴리염화알루미늄, 가성소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침전제는 물 속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침전시키는 물질이고,
    상기 음이온은 양이온의 반대로 음전하를 띠는 물질이고,
    상기 화학물질은 수질을 정화하는 보조적인 물질로, 화학물질은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황산제2철, 폴리염화알루미늄, 명반, 알루민산나트륨, 활성규산, 수산화나트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고,
    상기 혼합에서 혼합율은 구성요소 각자는 중량비로 1∼99%의 범위이고 구성요소 전체는 중량비로 100%이고,
    상기 이물질은 부유물, 가연물, 불연물, 유기물, 쓰레기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부유물은 물에 뜨는 물질이고,
    상기 가연물은 가연성의 물질이고,
    상기 불연물은 불연성의 물질이고,
    상기 불연성의 물질에는 금속, 철, 콘크리트, 블럭, 벽돌, 타일이 있고,
    상기 유기물은 유기성의 물질이고,
    상기 이물질은 수면상부 또는 지면에 집하되어 처리되고,
    상기 가연물은 고형연료로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되거나 또는 해양에 투기되어 처리되고,
    상기 불연물은 불연물 종류별로 용도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어 처리되고,
    상기 유기물은 바이오연료 또는 바이오가스로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되거나 또는 해양에 투기되어 처리되고,
    상기 수저폭기장치, 수저교반장치, 수저주입장치, 수저진동장치, 수저이랑장치, 수저흡입장치, 수저갈고리장치, 수저그물망 중의 어느 하나의 장치 또는 어느 둘 이상의 장치로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퇴적토 또는 침전토 또는 퇴적물 또는 침전물에서 이물질,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취득하고,
    상기 이물질은 고형연료, 바이오연료 중의 어느 하나 연료 또는 어느 둘 이상 연료로 재활용하고,
    상기 토사, 모래, 자갈, 골재는 건설재료, 공사재료, 성토재료, 시멘트콘크리트재료, 레미콘재료 중의 어느 하나 재료 또는 어느 둘 이상의 재료로 재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정화장치
KR20100001014A 2010-01-06 2010-01-06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10080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014A KR20110080679A (ko) 2010-01-06 2010-01-06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014A KR20110080679A (ko) 2010-01-06 2010-01-06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79A true KR20110080679A (ko) 2011-07-13

Family

ID=4491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1014A KR20110080679A (ko) 2010-01-06 2010-01-06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06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844A (zh) * 2019-11-29 2020-02-18 广州易能克科技有限公司 搅泥曝气一体设备
CN112158956A (zh) * 2020-09-07 2021-01-0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在富营养化水体中建立沉水植被系统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844A (zh) * 2019-11-29 2020-02-18 广州易能克科技有限公司 搅泥曝气一体设备
CN112158956A (zh) * 2020-09-07 2021-01-0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在富营养化水体中建立沉水植被系统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3455C (en) Water remediation and biosolids coll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475137B1 (ko) 에코그린형 전처리, 선별처리 및 선별물의 재처리 및 재활용 방법
CN205023918U (zh) 一种底泥洗脱平台
KR101070807B1 (ko) 부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호수,하천,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조류제거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267A (ko) 에코오탁방지막
CN203021357U (zh) 一种组装式物理生态协同强化沉砂的河水净化装置
CN108911461A (zh) 一种河道底泥污染物原位消减处置船
JP4515868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20190027529A (ko) 침사지 내의 탁수 및 퇴적물 처리 장치
CN108423917A (zh) 一种用于雨水泵站的污染物削减组合装置及其工艺
KR20110008349A (ko) 에코형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10080679A (ko) 수생태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207986967U (zh) 一种用于雨水泵站的污染物削减组合装置
KR101114802B1 (ko) 에코드레징 방법
CN205023919U (zh) 分离式底泥洗脱净化装置
CN101774718B (zh) 一种湖泊水污染预防和治理的方法及装置
JP2004261661A (ja) 湖沼などの浄化方法及びその浄化システム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JP2003181465A (ja) 水底浄化工法
CN102121239A (zh) 一种大面积收污、治污的方法
KR20200051298A (ko) 퇴적물내 유해조류의 휴먼포자 및 오니 제거 시스템
JPH05131196A (ja) 環境浄化構造体
CN109133521A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
JP3069037U (ja) 水処理用生物固定化材及びこれを用いた水処理装置
KR101127995B1 (ko) 정체수역 저면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