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657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657A
KR20110080657A KR1020100000989A KR20100000989A KR20110080657A KR 20110080657 A KR20110080657 A KR 20110080657A KR 1020100000989 A KR1020100000989 A KR 1020100000989A KR 20100000989 A KR20100000989 A KR 20100000989A KR 20110080657 A KR20110080657 A KR 2011008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switching valve
path switching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885B1 (ko
Inventor
조민제
정경한
서광하
서진우
이태희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8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저장부에서 코크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이 가능한 정수기를 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상기 정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제1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로에 살균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먹는 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종 공해로 인한 환경오염 중, 수질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하천수나 지하수를 수돗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으며, 관공서나 학교 및 직장, 가정에서는 정수된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냉.온 정수기를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된 물과 온수 또는 냉수를 하나의 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나의 코크를 통해 정수와 온수 또는 냉수가 번갈아 가며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처음에 받는 물의 온도가 원하는 상태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수기는 물이 전달되는 유로에 각종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생길 때,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온수 저장부에서 코크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이 가능한 정수기를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가지는 물을 첫잔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의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상기 정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제1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되는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1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 세척용 물은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냉수조에서 제공되는 냉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2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제1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냉수조로 전달하거나, 제3 유로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정수를 상기 온수조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4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아이스 뱅크는 상기 냉수조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냉수조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제1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냉수조로 전달하거나,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온수조로 제공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제1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온수조 또는 상기 냉수조 전달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제3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되는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3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온수조로 제공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냉수조와 상기 제빙기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하는 정수 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2 유로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제빙기 또는 상기 냉수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상기 온수, 상기 정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유로에서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유로전환 밸브로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제빙기 또는 상기 냉수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온수 저장부에서 코크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초기에 소정의 시간동안 물을 바이패스 시킨 이후에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첫잔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펌프를 장착하여, 저수조를 아래쪽에 위치시킬 수 있고, 정량의 물을 취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수기의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정수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정수기의 살균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5a 와 도5b는 도3에 도시된 정수기의 배수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6a 내지 도6e는 도2의 정수기를 순간온수 기능과 일반 온수조 겸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7a 내지 도7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2의 정수기를 순간온수 전용으로 구성한 블럭도.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순간온수 기능과 일반 온수조 겸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9a 내지 도9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정수기를 순간온수 전용으로 재구성한 정수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정수기는 코크(11)와, 트레이 드립(Tray drip,1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12), 저수조(13), 제빙기(14), 냉수조(15), 아이스 뱅크(16), 온수조(17), 필터부(18)를 포함한다.
코크(11)는 다수의 밸브(V)를 구비하여, 냉수, 온수, 정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한다. 트레이 드립(10)은 코크에서 제공되는 물을 담기 위한 컵을 놓기 위한 것이다. 저수조(13)는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곳이다. 제빙기(14)는 저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곳이다. 아이스 뱅크(16)는 제빙기(14)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는 곳이다. 냉수조(15)는 냉수를 보관하는 곳이다. 온수조(17)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곳이다. 필터부(18)는 흡입구(tap)에서 제공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저수조(13)에 제공한다.
도1에 도시된 정수기는 저수조(13)에서 제공되는 정수된 물은 중력에 의해 제빙기(14)와, 냉수조(15) 및 온수조(17)에 공급된다. 이때 냉수조(15) 및 제빙기(14)에 공급될 때에는 밸브(V)에 의해 제어된다. 온수조(17)에서 출수되는 물은 코크(Cock,11)에 의해 출수된다. 코크(Cock)는 냉수, 정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하기 위해 3 웨이(way) 밸브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물을 저장하고 있는 저수조(13)과 코크(11) 사이에 있는 유로의 살균이 어렵다. 또한, 저수조(13)과 코크(11)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첫잔을 사용자가 얻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첫잔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중력에 의해 저수조가 물을 제공하다보니, 저수조가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디스펜서가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코크(21)와, 트레이 드립(2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22), 저수조(23), 제빙기(24), 냉수조(25), 아이스 뱅크(26), 온수조(27), 필터부(28)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단에 필터부(28)를 배치하고 그 상부에 저수조(23), 온수조(27), 냉수조(25), 아이스 뱅크(26), 제빙기(24) 순으로 적층되어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스텝모터밸브(41~43)와, 솔레노이드 밸브(31~33),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73), 펌프(51,52), 유량센서(61,62), 및 체크밸브(81,82)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특징중 하나는 온수에 의해 온수조(27)에서 코크(21)까지 유로 라인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X 참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저수조(23)에서 제공된 정수는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2,71)를 거쳐서 스텝모터밸브(42)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 또한, 온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온수조(27)에서 제공된 온수가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 또한, 냉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냉수조(25)에서 제공된 냉수가 펌프(52), 체크밸브(71),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 따라서, 스텝모터밸브(42)에서 코크(21)까지는 정수, 온수, 또는 생수를 취출하는 공통 경로이다. 그러므로, 온수조(27)에서 코크(21)까지 유로 라인을 살균하게 되면, 보다 위생적으로 정수, 온수, 또는 생수를 취출할 수 있다.
온수조(27)에서 코크(21)까지 유로 라인을 살균하는 경로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온수조(27)에서 제공된 온수는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밸브(31)을 지나 스텝모터밸브(41)를 거쳐서 드레인(Drain)으로 전달된다. 이 경로를 바이패스(bypass) 라인이라고 한다. 온수조(27)에서 코크(21)까지 유로 라인에 대한 살균은 주기적으로 예약 또는 수동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사용자가 정수기에서 첫잔에 물을 취출할 때에 첫잔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초기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2초동안 바이패스 라인으로 물을 흘려서 배수한 후 취출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첫잔 온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초기 소정의 시간동안 바이패스 라인으로 물을 흘려보는 것은 수동으로 조작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온수, 냉수 및 정수 버튼을 선택할 경우, 자동적으로 해당되는 물을 바이패스 시켜 원하는 온도를 가진 첫잔의 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물을 바이패스 시키게 되면, 유로 라인이 한번 세척된 뒤에 물이 취출되므로 더욱 위생적인 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펌프(51,52)를 장착함으로서, 저수조(23)를 아래쪽에 위치시킬 수가 있으며, 정량의 물을 취출할 수 있다. 정수기에 구비된 펌프(51,52)에 의해 저수조(23)는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펜서(22) 위치가 도1에 도시된 정수기에 비해서 위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정수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정수기의 살균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살균모드(S1,S2)를 시작하고, 이어서 저수조(23)의 펌프(51)를 온 시킨다(S3). 이어서 밸브(72)를 조절하여 A 방향의 유로가 오픈되고, 밸브(71)를 조절하여 D 방향으로 유로를 흐르게 한다(S4). 이어서, 순간히터 혹은 온수조의 물이 온수조 혹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50~100), 바이패스 경로로 흐른다(S5). 이어서 밸브(73)를 조절하여 E 방향으로 온수가 유로를 따라 흐르게 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살균한다(S6). 이어서 일정시간 살균이 되면, 펌프를 오프하고, 유로를 차단한다(S7). 이와 같이, 정수기의 온수를 이용하여 유료라인을 살균하게 됨으로서, 위생적으로 물을 취수할 수 있다.
도5a 와 도5b는 도3에 도시된 정수기의 배수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5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배수모드에서는 물 취출 버튼을 온시키면(S22), 살균모드로 일정시간 운전을 하고(S23), 밸브(73)를 조절하여 E 방향 유료를 F 방향으로 변경하여 취수구로 물을 취출하고, 취출버튼을 오프하여 펌프 및 밸브를 이전 상태로 돌린다(S24).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에서 제공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유로라인을 살균하여 사용자는 위생적인 물을 취수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서, 취수전에 일정 물을 배수하므로 첫잔온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배수모드에서는 먼저 물 선택 버튼을 온시키면(S32), 살균모드로 일정시간 운전을 한다(S33). 이어서 취출버튼을 온시킨다(S34). 이어서 밸브(73)를 조절하여 E 방향 유로를 F 방향으로 변경하여 취수구로 취출하고, 취출 버튼을 오프하면 펌프 및 밸브를 이전상태로 돌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에서 제공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유로라인을 살균하여 사용자는 위생적인 물을 취수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서, 취수전에 일정 물을 배수하므로 첫잔 온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6a 내지 도6e는 도2의 정수기를 순간온수 기능과 일반 온수조 겸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6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정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와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X1 경로 참고).
도6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온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를 거쳐서 온수조(27)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는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을 온수로 바꾸고, 온수조(27)에서 제공하는 온수는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X2,X3 경로 참고).
도6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냉수조(25)에서 제공하는 냉수가 펌프(52), 체크밸브(71),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X4 경로 참고).
도6d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수조(25)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에서 제공된 정수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냉수조(25)에 공급된다(X5 경로 참고).
도6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빙기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와 스텝모터밸브(42)와, 솔레노이드 밸브(33)를 거쳐서 제빙기(24)에 제공된다(X6 경로 참고).
도7a 내지 도7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2의 정수기를 순간온수 전용으로 구성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코크(21)와, 트레이 드립(2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22), 저수조(23), 제빙기(24) 냉수조(25), 아이스 뱅크(26) 온수조(27), 필터부(280)를 구비하며, 유로라인의 연결상태를 도2의 정수기와는 다르게 변경하여 순간온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순간온수 기능이 온된 상태와 오프된 상태로 구분되며, 온수가 취출되는 경우에는 순간온수 기능이 온 되어 온수조(27)에서 온수를 만들 수 있고, 나머지 상태에는 오프된다. 또한, 도2의 정수기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을 없애고, 대신 체크밸브(83)를 구비하였다.
도7a를 참조하여 정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를 거쳐서 온수조(27)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에서 제공하는 정수는 체크밸브(83),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 이때 순간온수 기능이 오프상태라 온수가 아닌 정수가 코크(21)로 제공된다(Y1, Y2 경로 참고).
도7b를 참조하여 온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를 거쳐서 온수조(27)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는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을 온수로 바꾸고, 온수조(27)에서 제공하는 온수는 체크밸브(83),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 이때에는 순간온수 기능이 온상태라 온수가 코크(21)로 제공된다(Y1, Y2 경로 참고).
도7c를 참조하여 냉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냉수조(25)에서 제공하는 냉수가 펌프(52), 체크밸브(71), 스텝모터밸브(42)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를 거쳐서 코크(21)에 전달된다(Y3 경로 참고).
도7d를 참조하여 냉수조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이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온수조(27)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에서 제공된 정수는 체크밸브(83), 펌프(52), 체크밸브(71), 스텝모터밸브(42)를 거쳐서 냉수조(27)에 제공된다(Y2, Y4 경로 참고). 이때 순간온수 기능이 오프되어 있어서, 온수조(27)에서 제공하는 물은 온수가 아니라 정수이다.
도7e를 참조하여 제빙기에 정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저수조(23)에서 제공된 물이 유량센서(61), 펌프(5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를 거쳐서 온수조(27)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에서 제공된 정수는 체크밸브(83), 스텝모터밸브(42), 솔레노이드 밸브(33)를 거쳐서 제빙기(24)로 제공된다(Y2, Y5 경로 참고). 이때 순간온수 기능이 오프되어 있어서, 온수조(27)에서 제공하는 물은 온수가 아니라 정수이다.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순간온수 기능과 일반 온수조 겸용으로 사용할 때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8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코크(210)와, 트레이 드립(20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220), 저수조(230), 냉수조(250), 온수조(270), 필터부(2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단에 필터부(280)를 배치하고 그 상부에 저수조(230), 온수조(270), 냉수조(250) 순으로 적층되어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스텝모터밸브(410~430)와, 솔레노이드 밸브(310,320),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0~730), 펌프(510,520), 유량센서(610,620), 및 체크밸브(810,820)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한다.
도8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0)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0), 펌프(510),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0)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0)와 스텝모터밸브(420)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0)를 거쳐서 코크(210)에 전달된다(Z1 경로 참고).
도8b를 참조하여 정수기의 온수 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온수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저수조(230)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0), 펌프(510),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0)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0)를 거쳐서 온수조(270)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0)는 저수조(230)에서 제공된 물을 온수로 바꾸고, 온수조(270)에서 제공하는 온수는 스텝모터밸브(420)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0)를 거쳐서 코크(210)에 전달된다(Z2,Z3 경로 참고).
도8c를 참조하여 정수기의 냉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냉수조(250)에서 제공하는 냉수가 펌프(520), 체크밸브(710), 스텝모터밸브(420)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0)를 거쳐서 코크(210)에 전달된다(Z5 경로 참고). 또한, 정수기의 냉수조(250)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0)에서 제공된 정수가 유량센서(610), 펌프(510),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0)를 거쳐서 냉수조(250)에 공급된다(Z4 경로 참고).
도9a 내지 도9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정수기를 순간온수 전용으로 재구성한 정수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재구성이라 함은 코크(211)와, 트레이 드립(201)을 포함하는 디스펜서(221), 저수조(231), 냉수조(251), 온수조(271), 필터부(281)를 구비하며, 유로라인의 연결상태를 변경하여 순간온수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온수조(271)는 순간 온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9a를 참조하여 정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1)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1), 펌프(51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1)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1)를 거쳐서 온수조(271)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1)에서 제공하는 정수는 체크밸브(831), 스텝모터밸브(421)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1)를 거쳐서 코크(211)에 전달된다. 이때 순간온수 기능이 오프상태라 온수가 아닌 정수가 코크(211)로 제공된다(Z6, Z7 경로 참고).
도9b를 참조하여 온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1)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1), 펌프(51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1)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1)를 거쳐서 온수조(271)로 제공된다. 이어서 온수조(271)는 저수조(231)에서 제공된 물을 온수로 바꾸고, 온수조(271)에서 제공하는 온수는 체크밸브(831), 스텝모터밸브(421)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1)를 거쳐서 코크(211)에 전달된다. 이때에는 순간온수 기능이 온상태라 온수가 코크(211)로 제공된다(Z8, Z9 경로 참고).
도9c를 참조하여 정수기의 냉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냉수조(251)에서 제공하는 냉수가 펌프(521), 체크밸브(711), 스텝모터밸브(421)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1)를 거쳐서 코크(211)에 전달된다(Z11 경로 참고). 또한, 정수기의 냉수조(251)에 정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1)에서 제공된 정수가 유량센서(611), 펌프(51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1)를 거쳐서 냉수조(251)에 공급된다(Z10 경로 참고).
도9d는 정수기의 냉수취출을 또 다른 구성으로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d에 도시된 정수기는 솔레노이드 밸브(33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9d를 참조하여 정수기의 냉수취출 경로를 살펴보면, 저수조(231)에서 제공된 물은 유량센서(611), 펌프(511),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21)를 거쳐서 솔레노이드 유로전환 밸브(711)를 거쳐서 온수조(271)로 제공된다(Z6 경로 참고). 이어서 온수조(271)에서 제공되는 물은 솔레노이드 밸브(331)를 거쳐서 냉수조(251)로 전달된다(Z12). 냉수조(251)에서 제공되는 냉수는 펌프(520), 체크밸브(710), 스텝모터밸브(420) 및 솔레노이드 유로전환밸브(730)를 거쳐서 코크(210)에 전달된다(Z11 경로 참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실시예는 코크와, 트레이 드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22), 저수조(28), 제빙기(24) 냉수조(25), 아이스 뱅크(26), 온수조(27), 필터부(28)를 구비하며, 유로라인의 연결상태를 도2의 정수기와는 다르게 변경한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4개의 스텝모터 밸브(SV)와, 2개의 펌프(P)와, 2개의 유량센서(S), 1개의 솔레노이드 밸브(V)와, 3개의 체크밸브를 이용하고 있다.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3개의 스텝모터 밸브(SV)와, 2개의 펌프(P)와, 2개의 유량센서(S), 1개의 솔레노이드 밸브(V)와, 1개의 체크밸브를 이용하고 있다.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3개의 스텝모터 밸브(SV)와, 2개의 펌프(P)와, 2개의 유량센서(S), 1개의 솔레노이드 밸브(V)와, 1개의 체크밸브를 이용하고 있다. 도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2개의 스텝모터 밸브(SV)와, 2개의 펌프(P)와, 2개의 유량센서(S), 1개의 솔레노이드 밸브(V)와, 1개의 체크밸브를 이용하고 있다.
도10내지 도13에 도시된 정수기는 모두 온수로 코크까지의 유로를 살균하고, 첫잔을 보다 위생적으로 받기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온수를 드레인으로 배출할 수 있기 위해, 스텝모터 밸브와 코크의 사이에는 하나의 유로라인을 온수, 정수, 냉수를 공급하는데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펌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저수조(23)을 하단에 구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코크를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정수기를 구성함으로써, 첫잔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취출할 수 있으며, 펌프로 인해 정량을 취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2: 디스펜서 23: 정수조
24: 제빙기 25: 냉수조
26: 아이드 뱅크 27: 온수조
28: 필터

Claims (18)

  1.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상기 정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제1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되는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1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세척용 물은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서 제공되는 냉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2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냉수조로 전달하거나, 제3 유로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3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정수를 상기 온수조에 제공하거나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제4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는 상기 냉수조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냉수조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냉수조로 전달하거나,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온수조로 제공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제1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온수조 또는 상기 냉수조 전달하기 위한 제3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전환밸브를 통해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되는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3 유로전환밸브로 제공하기 위한 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온수조로 제공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냉수조와 상기 제빙기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유로전환밸브;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하는 정수 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코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유로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에서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제2 유로전환 밸브; 및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제2 유로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제빙기 또는 상기 냉수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유로 세척용 물을 출수하기 위한 바이패스라인;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저수조;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수조;
    상기 온수, 상기 정수 또는 상기 냉수를 제공받아 유로로 전달하며, 상기 제1 유로를 세척하기 제공되는 유로 세척용 물을 상기 바이패스라인으로 출수하기 위한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유로에서 제공되는 물을 출수하기 위한 코크
    를 포함하는 정수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부에 상기 냉수조가 배치되고, 상기 냉수조 상부에 상기 온수조가 배치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제공된 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유로전환 밸브로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만든 얼음을 보관하고 제공하기 위한 아이스 뱅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 밸브는 상기 온수조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제빙기 또는 상기 냉수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00000989A 2010-01-06 2010-01-06 정수기 KR10120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89A KR101202885B1 (ko) 2010-01-06 2010-01-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89A KR101202885B1 (ko) 2010-01-06 2010-01-0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57A true KR20110080657A (ko) 2011-07-13
KR101202885B1 KR101202885B1 (ko) 2012-11-19

Family

ID=4491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989A KR101202885B1 (ko) 2010-01-06 2010-01-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8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1B1 (ko)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04377A (ko) * 2014-03-05 201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235832A1 (ko) * 2020-05-21 2021-11-25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59B1 (ko) 2004-10-06 2006-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KR100795293B1 (ko) 2006-09-19 2008-01-1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1B1 (ko)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04377A (ko) * 2014-03-05 2015-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235832A1 (ko) * 2020-05-21 2021-11-25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885B1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62932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4862720U (zh) 自清洁饮水机
KR101202885B1 (ko) 정수기
KR20180045756A (ko)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
KR20140131614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011769A (zh) 自清洁饮水机
CN201199299Y (zh) 超声波眼镜自动清洗机
KR101897564B1 (ko) 다수의 탱크를 구비한 수처리기의 살균 방법
CN203931003U (zh) 节能型自压式超滤自动售水机
CN108078380A (zh) 一种智能饮水机
KR20160142445A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CN105776685B (zh) 净水器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4824218U (zh) 净化活水机
CN102635934A (zh) 冷热净化式智能开水器
CN209481373U (zh) 一种纯化水制备系统自控装置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200428136Y1 (ko) 단체 급수를 위한 대용량 분수형 정수기
CN109757989B (zh) 饮水机
US10905986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CN219136397U (zh) 熟水机
CN109757978B (zh) 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