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196A -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196A
KR20110080196A KR1020100000302A KR20100000302A KR20110080196A KR 20110080196 A KR20110080196 A KR 20110080196A KR 1020100000302 A KR1020100000302 A KR 1020100000302A KR 20100000302 A KR20100000302 A KR 20100000302A KR 20110080196 A KR20110080196 A KR 2011008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rame
length
pla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복
Original Assignee
고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용복 filed Critical 고용복
Priority to KR102010000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196A/ko
Publication of KR2011008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을 막아주는 안전판, 안전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 상기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에 안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길이 조절된 길이 조절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로 구성되어, 설치 장소의 넓이에 대응하여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안전 난간대{Railling system for safety}
본 발명은 건설 공사 현장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현장은 건물을 이룰 구조물을 건립하고 각종 설비들을 구조물과 연계하여 설치한다. 작업공정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 중 베란다 등의 공간에 안전 난간대를 임시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안전 난간대는 임시로 설치되기 때문에 베란다 공사가 시작되면 철거해야되므로,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해야된다.
또한, 안전 난간대는 철거 작업이 완료되면 재사용을 위해 운반하여 보관해야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안전 난간대는 안전 난간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및 분리작업이 불편하고,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난간대의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해야되므로 설치 장소마다 길이가 각기 다른 난간대를 준비해야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분해가 편리하고,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난간대를 상호 연결하여 그 길이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과제는 난간대에 철망구조를 구비하여 난간대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공사 작업 중 부피가 작은 물건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공간을 막아주는 안전판, 안전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 상기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에 안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길이 조절된 길이 조절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판은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길이 조절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철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길이 조절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길이 조절바, 상기 보강 프레임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길이 조절바, 그리고 상기 제1길이 조절바, 제2길이 조절바 및 제3길이 조절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설치 공간의 일측 벽면에 체결되는 제1고정판과, 설치 공간의 타측 벽면에 체결되는 제2고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볼트는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선홀에 나사 결합되어, 조이면 길이 조절바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복수의 안전판, 상기 안전판과 안전판 사이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 상기 안전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 상기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에 안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길이 조절된 길이 조절부재 또는 연결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는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상부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하부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결바, 마주보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안전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지지봉, 상기 안전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체결링,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제1체결링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2체결링, 그리고 상기 제1체결링과 제2체결링을 통과하여 제1체결링과 제2체결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의 하면에는 난간턱에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클램핑 바와, 상기 클램핑 바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로드와, 상기 스크류 로드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되어 난간턱의 측면에 접촉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스크류 로드의 타측 끝부분에 고정되어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난간대는 안전판의 일측에 길이 조절부재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설치 장소의 길이에 맞게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설치 장소가 넓어질 경우 복수의 안전판을 구비하고 안전판과 안전판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봉으로 연결할 수 있어 설치 장소가 넓을 경우에도 충분히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판에 철망구조를 구비하여 난간대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공사 작업 중 부피가 작은 물건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고정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건설 현장에서 건물 베란다 등의 개구된 공간을 막아주는 안전판(10)과, 안전판(10)의 일측면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안전판(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30)와, 안전판(10)의 타측면과 길이 조절부재(30)에 각각 설치되어 안전판(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42,44)를 포함한다.
안전판(10)은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2)과,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4)과, 좌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18)과, 우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좌측 프레임(18)과 우측 프레임(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1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14)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2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은 내부가 비여 있는 중공 형태이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부에는 철망(24)이 설치되어 부피가 작은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과 하부 프레임(14)은 한쪽 끝부분 또는 양쪽 끝부분에는 길이 조절부재(30)가 삽입되는 입구(25,2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16)의 끝부분에도 개방된 상태의 입구(28)가 형성되어 길이 조절부재(30)가 삽입된다.
길이 조절부재(30)는 상부 프레임(1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길이 조절바(32)와, 하부 프레임(14)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길이 조절바(34)와, 각 보강 프레임(16)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길이 조절바(36)와, 제1길이 조절바(32), 제2길이 조절바(34) 및 제3길이 조절바(36)의 끝부분이 연결되는 연결바(3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길이 조절바는 프레임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고 프레임의 단면형태와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절부재(30)는 안전판(10)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인출시키면 난간대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안전판(10)의 측면으로 인입하면 난간대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상부 프레임(12), 하부 프레임(14) 및 보강 프레임(16)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 조절바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46)가 장착된다.
위치 고정볼트(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나선홀(48)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볼트(46)를 조이면 볼트의 끝부분이 길이 조절바(3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길이 조절바(32)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길이 조절부재(30)를 인출하거나 인입하여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위치 고정볼트(46)를 조여 길이 조절부재(30)를 안전판(10)에 고정시킨다.
고정부(42,44)는 안전판(1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베란다 등의 공간 일측 벽면(110)에 체결되는 제1고정판(42)과, 길이 조절부재(30)에 장착되어 베란다 등의 공간 타측벽면(100)에 체결되는 제2고정판(4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고정판(42)과 제2고정판(44)은 안전판(10)과 길이 조절부재(30)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고정되고, 벽면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설치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설치 공간의 일측 벽면(110)에 안전판(10)이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길이 조절부재(30)를 인출시켜서 설치공간의 타측 벽면(100)에 길이 조절부재(30)가 접촉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공간 전체를 난간대가 막아주게 된다.
그런 후, 제1고정판(42)을 일측벽면(110)에 볼트 체결하고, 제2고정판(44)을 타측벽면(100)에 볼트 체결한 후 위치 고정볼트(46)를 조여서 안전판(10)과 길이 조절부재(30) 사이를 고정하면 난간대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사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설치 공간의 크기에 상관없이 난간대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 난간대와 길이 조절부재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전하고 견고한 난간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판에 철말이 구비되어 작은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의 결합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복수의 안전판(10a,10b)과, 안전판(10a,10b) 사이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봉(52,54,56)과, 안전판(10a,10b)의 측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부재(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전 난간대 보다 설치 공간의 넓이가 넓을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 공간이 넓을 경우 복수의 안전판을 연이어 연결하여 설치 공간 전체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안전판은 일 예로, 두 개가 사용될 경우 제1안전판(10a)과, 이 제1안전판(10a)과 연이어 배치되는 제2안전판(10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안전판(10a,10b)의 구조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전판(10)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2)과,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4)과, 좌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18)과, 우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20)과, 좌측 프레임(18)과 우측 프레임(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은 내부가 비여 있는 중공 형태이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고,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부에는 철망(24)이 설치되어 부피가 작은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은 두 상부 프레임(12)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봉(52)과, 두 하부 프레임(14)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결봉(54)과, 두 보강 프레임(16)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봉(16)으로 구성된다.
제1안전판(10a)에는 복수의 연결봉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위치 고정볼트(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안전판(10b)에는 연결봉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위치 고정볼트(62)가 설치된다.
길이 조절부재(70)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길이 조절부재(3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재(70)는 여러 개의 안전판 중 제일 양쪽 측면에 위치되는 안전판 중 적어도 하나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안전판(10b)에는 길이 조절부재(70)의 길이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3위치 고정볼트(6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위치 고정볼트(60), 제2위치 고정볼트(62) 및 제3위치 고정볼트(64)의 구조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위치 고정볼트(46)의 구조와 동일하다.
최외측에 위치되는 제1안전판(10a)이나 길이 조절부재(70)에는 고정판(72,74)이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양쪽 측벽면에 볼트 체결된다.
복수의 안전판(10a,10b)을 바닥면 또는 바닥측에서 돌출되는 난간턱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안전판(10a,10b)에는 고정부(80)가 설치된다.
고정부(80)는 안전판(10a,10b)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고 그 하면이 난간턱에 체결되는 클램프(90)가 설치되고, 안전판(10a,10b)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봉(82)과, 안전판(10a,10b)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체결링(84)과, 지지봉(82)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체결링(84)과 맞대어 배치되는 제2체결링(86)과, 제1체결링(84)과 제2체결링(86)에 삽입되어 제1체결링(84)과 제2체결링(8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88)으로 구성된다.
제1체결링(84)은 원통 형태이고, 일측이 안전판(10a,10b)의 일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2체결링(86)은 제1체결링(84)의 하면에 위치되는 원통 형태이고 지지봉(82)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는 공간을 막아주는 안전판(10a,10b)과 안전판(10a,10b)을 설치공간에 고정시키는 지지봉(82) 사이가 분리되기 때문에 안전판(10a,10b)과 지지봉(82)을 별도로 운반한 후 설치할 때 조립하면 되므로 설치가 편리하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
클램프(90)는 지지봉(30)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하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하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클램핑 바(92)와, 이 클램핑 바(92)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로드(94)와, 이 스크류 로드(94)의 한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난간턱에 밀착되는 밀착부재(96)와, 스크류 로드(94)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스크류 로드(94)를 회전시키는 핸들(98)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90)는 난간턱에 클램핑 바(92)를 걸친 후 핸들(98)을 회전시키면 스크류 로드(94)가 전진되고 이에 따라 밀착부재(96)가 난간턱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봉(82)을 고정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90)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판(66)으로 구성되고, 이 고정판(66)에는 복수의 볼트 체결홀(68)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고정판(66)을 바닥면에 배치한 후 고정판(66)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판(66)을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부는 지지봉(90)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땅이 박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안전판 12: 상부 프레임
14: 하부 프레임 16: 보강 프레임
30: 길이 조절부재 32: 제1길이 조절바
34 : 제2길이 조절바 36: 제3길이조절바
38: 연결바 42,44: 고정판

Claims (12)

  1. 공간을 막아주는 안전판,
    안전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
    상기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에 안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길이 조절된 길이 조절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2. 제1항에서,
    상기 안전판은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길이 조절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안전 난간대.
  3.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철망이 설치되는 안전 난간대.
  4. 제2항에서,
    상기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길이 조절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길이 조절바,
    상기 보강 프레임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길이 조절바, 그리고
    상기 제1길이 조절바, 제2길이 조절바 및 제3길이 조절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5.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설치 공간의 일측 벽면에 체결되는 제1고정판과,
    설치 공간의 타측 벽면에 체결되는 제2고정판으로 구성되는 안전 난간대.
  6. 제4항에서,
    상기 위치 고정볼트는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나선홀에 나사 결합되어, 조이면 길이 조절바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안전 난간대.
  7. 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복수의 안전판,
    상기 안전판과 안전판 사이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바,
    상기 안전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어 안전판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
    상기 안전판과 길이 조절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장소에 안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안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길이 조절된 길이 조절부재 또는 연결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8. 제7항에서,
    상기 안전판은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 사이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들은 상기 길이 조절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철망이 설치되는 안전 난간대.
  9. 제8항에서,
    상기 연결바는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상부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하부 프레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결바,
    마주보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프레임 사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바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10. 제7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안전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지지봉,
    상기 안전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체결링,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고 제1체결링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2체결링, 그리고
    상기 제1체결링과 제2체결링을 통과하여 제1체결링과 제2체결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11. 제10항에서,
    상기 지지봉의 하면에는 난간턱에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측이 개구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클램핑 바와,
    상기 클램핑 바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로드와,
    상기 스크류 로드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되어 난간턱의 측면에 접촉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스크류 로드의 타측 끝부분에 고정되어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안전 난간대.
  12. 제10항에서,
    상기 지지봉의 하면에는 바닥면에 지지봉을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장착되는 안전 난간대.
KR1020100000302A 2010-01-05 2010-01-05 안전 난간대 KR20110080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02A KR20110080196A (ko) 2010-01-05 2010-01-05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02A KR20110080196A (ko) 2010-01-05 2010-01-05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196A true KR20110080196A (ko) 2011-07-13

Family

ID=4491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302A KR20110080196A (ko) 2010-01-05 2010-01-05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01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66B1 (ko) 2020-10-13 2022-03-25 주식회사 새한산업 안전펜스설비
US20220154471A1 (en) * 2020-11-18 2022-05-19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CN114893008A (zh) * 2022-04-27 2022-08-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可调节易拼装的建筑施工洞口防护装置
KR102659934B1 (ko) * 2023-10-24 2024-04-23 (주)조은브이엔씨 스크린 골프용 키오스크 방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66B1 (ko) 2020-10-13 2022-03-25 주식회사 새한산업 안전펜스설비
US20220154471A1 (en) * 2020-11-18 2022-05-19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US11920354B2 (en) * 2020-11-18 2024-03-05 Rex Industrial, LLC Modular guardrail system
CN114893008A (zh) * 2022-04-27 2022-08-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可调节易拼装的建筑施工洞口防护装置
KR102659934B1 (ko) * 2023-10-24 2024-04-23 (주)조은브이엔씨 스크린 골프용 키오스크 방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5821A1 (en) Formwork Panel of a Formwork System
CA2249921C (en) Modular shoring frame and system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200459322Y1 (ko) 조립식 안전휀스
KR101817962B1 (ko) 안전작업대 모듈
KR20110080196A (ko) 안전 난간대
US20200199870A1 (en) Formwork system
CN107035122A (zh) 一种导架爬升式工作平台系统及其施工方法
CN210067415U (zh) 一种脚手架连接装置
CN215564319U (zh) 一种窗外悬挑施工架
CN112681728B (zh) 一体化预制巨型柱钢模板支护系统
CN212201385U (zh) 一种可调角度装配式水平悬挑防护棚
KR20140045474A (ko) 개구부 난간대
KR101091761B1 (ko) 안전 난간장치
CN113789945B (zh) 一种可滑移式窗外施工安全操作架及其施工方法
CN211421793U (zh) 一种定型钢制操作平台
CN210483117U (zh) 一种彩钢瓦屋面檐口临边防护装置
KR100433700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110037475A (ko)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CN218161570U (zh) 一种隧道电缆安装支架连接结构
CN218161569U (zh) 一种隧道电缆安装支架横担安装结构
KR20110080195A (ko) 안전 난간대
CN218893957U (zh) 一种钢梁对接临时支撑固定装置
CN212825316U (zh) 预制内墙板存放架
CN215107561U (zh) 一种施工现场安全管理通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