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160A -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160A
KR20110080160A KR1020117010787A KR20117010787A KR20110080160A KR 20110080160 A KR20110080160 A KR 20110080160A KR 1020117010787 A KR1020117010787 A KR 1020117010787A KR 20117010787 A KR20117010787 A KR 20117010787A KR 20110080160 A KR20110080160 A KR 2011008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block
group
reference signals
lt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829B1 (ko
Inventor
히데카즈 타오카
요시히사 기시야마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8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는,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1, #3, #5, #7)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2, #4, #6, #8)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와, 적어도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를 하향신호의 리소스 블록에 다중하는 레퍼런스신호 다중부와, 하향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같은 배치 패턴으로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다중된다.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는,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1, #3, #5, #7)로부터 송신된다.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2, #4, #6, #8)로부터 송신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 셀 내에 물리 안테나수가 다른 유저장치가 혼재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서는, 와이드밴드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방식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이른바 제3 세대의 후계가 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W-CDMA 방식,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방식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방식 등의 후계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의 후속으로서, LTE 어드밴스트 시스템 혹은 제4 세대 이동통신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사용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도 상향링크에서도 유저장치에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을 할당함으로써 통신이 수행된다. 리소스 블록은, 무선리소스 할당의 주파수단위를 나타내고, 시스템 내의 다수의 유저장치에서 공유된다. 일 예로서 하나의 리소스 블록은, 180kHz의 대역폭을 가지며, 예를 들면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5MHz의 시스템대역에는 25개의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장치는,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1ms인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복수의 유저장치 중 어느 유저장치에 리소스 블록을 할당할지를 결정한다. 서브프레임은 송신시간간격(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리소스의 할당의 결정은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하향링크의 경우,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 앞으로, 기지국장치는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에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채널은, 하향 물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 불린다. 상향링크의 경우,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가,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에서 기지국장치로 공유채널을 송신한다. 이 공유채널은, 상향 물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 불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프레임마다 어느 유저장치에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유저장치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통지에 이용되는 제어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 L1/L2 제어채널(DL-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린다. 하향 제어신호에는, 이 PDCCH에 더해서,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이나, 물리 하이브리드 ARQ 인디케이터 채널(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PDCCH에는, 예를 들면 다음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좋다:
·하향 스케줄링 그랜트(Downlink Scheduling Grant),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및
·송신전력제어 커맨드 비트(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Bit).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정보, 유저장치의 식별정보(UE-ID), 스트림수,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의 리소스의 할당정보, 유저장치의 식별정보(UE-ID), 데이터 사이즈,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정보, 업링크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에 있어서의 디모듈레이션 레퍼런스 시그널(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PCFICH는, PDCCH의 포맷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DCCH의 맵핑되는 OFDM 심볼수가, PCFICH에 의해 통지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PDCCH의 맵핑되는 OFDM 심볼수는 1, 2 또는 3이며, 서브프레임의 선두 OFDM 심볼로부터 순서대로 맵핑된다.
PHICH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된 PUSCH에 대해 재송을 요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송달확인정보(ACK/NACK:Acknowledgement/Non-Acknowledgement information)를 포함한다.
또한, 용어의 정의 문제인데, PDCCH, PCFICH 및 PHICH의 제어신호가 각각 대등한 독립된 채널로서 정의되어도 좋으며, 혹은 PDCCH 안에 PCFICH 및 PHICH가 포함되도록 정의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서는 PUSCH에 의해 유저데이터(통상의 데이터신호) 및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SCH와는 따로,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DSCH의 송달확인정보(ACK/NACK) 등이 전송된다. CQI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 물리 채널의 스케줄링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채널 부호화처리(AMC:Adaptive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등에 사용된다. 상향링크에서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이나, 상하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요구를 나타내는 신호 등도 필요에 따라서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GPP, TS36.211 V8.4.0, 2008년 9월"에서 설명되고 있다.
그런데,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최대로 4개의 송신 안테나에 의한 MIMO 전송방식이 이용된다. MIMO 전송방식의 경우, 통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의 각각은 독립한 무선전송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물리 안테나마다 채널상태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수 4에 따라,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하향링크에서 송신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레퍼런스신호의 맵핑 예를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비특허문헌의 제6.10장 "Reference Signals" 등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레퍼런스신호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기지의 참조신호이며, 파일럿신호, 트레이닝신호, 기지신호 등이라 언급되어도 좋다.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상황에 기초하여, 무선전송로의 좋고나쁨의 추정이나, 채널 추정 등이 수행된다. 도 1의 경우, 1, 5, 8 및 12번째의 OFDM 심볼에, 제1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 P#1, P#2가 다중되어 있다. 그리고, 2 및 9번째의 OFDM 심볼에, 제3 및 제4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 P3, P4가 다중되어 있다.
한편, IMT 어드밴스트(IMT-A) 또는 LTE 어드밴스트(LTE-A) 시스템과 같은 LTE보다도 후속의 무선 액세스에서는,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송신 안테나수는, 4개보다도 늘어날지도 모른다(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수는 8개가 될지도 모른다.). 이 경우, 기지국이 8개의 물리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LTE-A 방식의 이동국(LTE-A 방식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갖는 이동국)도, 기지국의 각 물리 안테나로부터의 레퍼런스신호를 각각 구별하여 수신하고, 각 물리 안테나에 대응하는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LTE 시스템으로부터 LTE-A 시스템으로의 스무즈(Smooth)한 이행을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LTE-A 시스템에 있어서, 후방 호환성 또는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예의 경우, 4개보다 많은 물리 안테나를 구별하는 것이 필수가 아닌 LTE 시스템과, 8개의 물리 안테나를 구별해야 하는 LTE-A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호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과의 공존을 실현하는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무선리소스의 이용 예를 나타낸다. 무선리소스는, LTE-A 이동국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대역(무선리소스 A)과, LTE 이동국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대역(무선리소스 B)에 주파수방향으로 분할된다. LTE-A 이동국은, 무선리소스 A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리소스 할당단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LTE 이동국은, 리소스 블록 B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리소스 A에서는 LTE-A 이동국이 통신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LTE-A 시스템에 적합한 배치에서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에 다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리소스 블록이, 무선리소스 A에 포함되어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 B에서는, LTE 이동국이 통신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LTE 이동국에 적합한 배치에서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에 다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리소스 블록이, 무선리소스 B에 포함되어도 좋다.
도 3은,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과의 공존을 실현하는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무선리소스의 다른 이용 예를 나타낸다. 무선리소스는, LTE-A 이동국이 통신에 사용하는 기간(무선리소스 A)과, LTE 이동국이 통신에 사용하는 기간(무선리소스 B)에 시간방향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무선리소스 A에서는, 기지국은 LTE-A 이동국에 적합한 배치에서 레퍼런스신호를 리소스 블록에 다중한다. 또, 무선리소스 B에서는, 기지국은 LTE 이동국에 적합한 배치에서 레퍼런스신호를 리소스 블록에 다중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함께 무선리소스는, LTE 시스템용과 LTE-A 시스템용으로 고정적으로 분할된다. 이는 각 시스템에서 무선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리소스의 이용효율의 관점에서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LTE-A 시스템의 도입 당초는 LTE-A 이동국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이 예상되며, LTE-A 시스템용으로 확보된 무선리소스 A가 당초부터 충분히 활용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무선리소스 A, B의 경계를 준정적(準靜的)으로 또는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경계의 위치를 항상 최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처리의 복잡화를 초래하고, 어렵다는 것이 우려된다.
도 4는,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과의 공존을 실현하는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무선리소스의 또 다른 이용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된 채널품질정보(CQI)에 기초하여, LTE 이동국 및 LTE-A 이동국에 최적의 리소스 블록을 할당한다. 따라서, LTE-A 이동국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 A와 LTE 이동국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 B가 서브프레임마다 변화한다. LTE-A 이동국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 A에는, 기지국에 의해, LTE-A 이동국에 적합한 레퍼런스신호가 다중된다. 예를 들면, 8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그 리소스 블록 A에 다중된다. LTE 이동국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 B에는, 기지국에 의해, LTE 이동국에 적합한 레퍼런스신호가 다중된다. 예를 들면,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그 리소스 블록 A에 다중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예의 경우,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용 무선리소스는 미리 결정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무선리소스의 이용법에서 우려되고 있는 문제(무선리소스가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동국은 공유 데이터 채널용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받아도 받지 않아도, 무선전파상황의 좋고나쁨(CQI)을 기지국에 보고해야 한다. 도 4의 예의 경우, LTE 이동국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에는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포함되고, LTE-A 이동국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에는 8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것은, 어느 LTE-A 이동국에도 하향링크에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 8종류 모든 레퍼런스신호는 송신되지 않고, 8개의 레퍼런스신호를 사용하여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것, 및 측정값을 기지국에 적절히 보고하는 것은 어려워져 버린다. 도 2, 3에 도시되는 예의 경우, 무선리소스 A에는 반드시 LTE-A용 8개의 레퍼런스신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무선리소스의 이용효율의 악화가 우려된다.
이와 같이, LTE 시스템용 및 LTE-A 시스템용으로 무선리소스가 고정적으로 분할되는 경우(도 2, 도 3)도, 무선리소스가 동적으로 스케줄링되는 경우(도 4)도, 레퍼런스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관점에서는 최적이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동일 셀에 재권(在圈)하고 있는 물리 안테나수가 다른 유저장치로, 레퍼런스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설명되는 구성 및 수순의 전부가 과거에 실증 완료되었다고는 한하지 않는 것에 유의를 요한다.
(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장치는,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와,
적어도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의 리소스 블록에 다중하는 레퍼런스신호 다중부와,
상기 하향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기지국장치이다.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같은 배치 패턴으로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다중된다.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는,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와,
제1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갖는 유저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셀에 재권하고 있는 물리 안테나수가 다른 유저장치로, 레퍼런스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레퍼런스신호의 맵핑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무선리소스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무선리소스의 다른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무선리소스의 또 다른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신호의 구성 예(서브밴드마다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레퍼런스신호(P#1∼P#4)와 물리 안테나(#1∼#4)와의 대응관계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신호의 구성 예(서브프레임마다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신호의 구성 예(서브밴드 및 서브프레임마다 변경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레퍼런스신호(P#1∼P#8)와 물리 안테나(#1∼#8)와의 대응관계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기지국장치의 복수의 물리 안테나는, 제1 그룹의 M(=4)개(#1, #3, #5, #7)와, 제2 그룹의 M(=4)개(#2, #4, #6, #8)로 나뉜다. 무선리소스도 RB 그룹 A의 리소스 블록(제1 리소스 블록)과, RB 그룹 B의 리소스 블록(제2 리소스 블록)으로 분류된다.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같은 배치 패턴으로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다중된다(도 7). 그리고,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M(=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는,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1, #3, #5, #7)로부터 송신된다.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M(=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는,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2, #4, #6, #8)로부터 송신된다.
LTE 유저장치는, 리소스 블록 중의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를 사용하여 4종류의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기지국에 보고한다. 어느 리소스 블록에도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같은 배치 패턴으로 들어 있기 때문에, 어느 리소스 블록이 LTE 유저장치에 할당되어도 좋다. LTE-A 유저장치는,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1, #3, #5, #7)에 대해서는,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 P#1∼P#4를 사용하여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그리고, LTE-A 유저장치는, 제2 그룹의 M(=4)개의 물리 안테나(#2, #4, #6, #8)에 대해서는,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 P#1∼P#4를 사용하여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8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LTE-A 유저장치는, 레퍼런스신호 P#1∼P#4의 물리 송신 안테나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서 다른 것을 확인함으로써, 8개의 물리 송신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4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LTE 유저장치는, 레퍼런스신호 P#1∼P#4의 물리 송신 안테나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서 다른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LTE 유저장치는, 제1 리소스 블록에서도 제2 리소스 블록에서도 마찬가지로 레퍼런스신호 P#1∼P#4를 추출하고, 4개의 물리 송신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로서 측정을 수행한다. 바꿔말하면, LTE-A 유저장치는, 제1 그룹의 M(=4)개(#1, #3, #5, #7)과, 제2 그룹의 M(=4)개(#2, #4, #6, #8)를 서로 구별하고 있으나, LTE 유저장치는 그들을 구별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어느 리소스 블록도 LTE 및 LTE-A 유저장치에 할당 가능해진다. 또한, 어느 LTE-A 유저장치에도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지 않았다고 해도,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이 항상 하향링크에서 마련되도록 하기 때문에, LTE-A 유저장치는 모든 물리 송신 안테나에 대해 채널상태를 적절히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백워드 호환성을 확보하면서, LTE 유저장치에도 LTE-A 유저장치에도 레퍼런스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M(=4)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 제1, 제2 그룹 중의 M(=4)개의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는, 유저장치에 알림채널에서 알려져도 좋다. 유저장치에 어떠한 정보를 통지하는 관점에서는 알림채널인 것은 필수가 아니지만, 변경될 수 있는 정보를 다수의 유저에 효율적으로 통지하는 관점에서는, 알림채널에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하나의 시간 서브프레임에,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 쌍방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그 시간 서브프레임 하나 동안에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 쌍방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처리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소정 복수개의 제1 리소스 블록(및/또는 소정 복수개의 제2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방향으로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레퍼런스신호에 따른 채널상태의 측정은, 리소스 블록마다 수행되어도 좋으나, 측정값의 보고에 요하는 제어정보량을 삭감하는 관점에서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대한 평균값이 기지국장치에 보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평균값의 근원이 되는 개개의 리소스 블록에서는, 같은 4개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같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제1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고, 후속의 시간 서브프레임에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는, 같은 주파수대역에 대해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리소스 블록이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시간 서브프레임 및 다른 시간 서브프레임에도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는, LTE-A 유저장치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의 페어(pair)를 갖추는 선택지를 늘리고, 보다 적절한 페어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정한 유저장치의 리소스 블록이,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에 더해,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는 다른 P종류의 레퍼런스신호도 포함하도록, 레퍼런스신호 다중부가,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에 다중해도 좋다(전형적으로는, M=P=4이다). 이 경우, LTE-A 유저장치에 할당한 리소스 블록에, 모든 물리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레퍼런스신호가 포함된다. 이는, LTE-A 유저장치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에 관해, 각 물리 송신 안테나의 채널상태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하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1. 동작 예
2. 변형 예(시간방향)
3. 변형 예(시간 및 주파수방향)
4. 변형 예(개별 레퍼런스신호)
5. 기지국
6. 유저장치
실시 예 1
〈1. 동작 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가 설명된다. 동작 설명에 있어서의 이동통신시스템에는 복수의 유저장치 및 복수의 기지국장치가 포함되고, 기지국장치는 코어 네트워크의 상위국에 접속된다. 복수의 유저장치 중에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LTE_UE)와,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LTE-A_UE)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이동국이지만, 고정국이어도 좋다. LTE_UE는 4개의 물리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LTE-A_UE는 8개의 물리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장치는 쌍방의 시스템에 공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에서는, 기지국장치가 셀에 재권(在圈)하는 복수의 유저장치로 알림신호(BCH:Broadcast Channel)를 송신하고 있다. 알림신호(BCH)에 포함되어 있는 알림정보는, 시스템 대역폭, 시스템 프레임 번호, 셀 ID 그 외의 시스템정보를 포함한다. 본 동작 예에서는, 특히,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P#1, P#2, …),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리 안테나(#1, #2, …), 레퍼런스신호 및 물리 안테나의 대응관계, 리소스 블록의 구성 등의 정보가, 알림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의 내용은, 시스템에서 불변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으나,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단계 S12에서는, 기지국장치는 이른바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한다. 스케줄링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무선전파상황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스케줄링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알고리즘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스케줄링은 프로포셔널 페어니스법에 기초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13에서는, 하향링크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작성된다. 대개, 하향신호는, 제어신호, 레퍼런스신호 및 공유 데이터신호를 포함한다.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 내용은, 하향 스케줄링 그랜트로서 제어신호에 포함된다. 상향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 내용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로서 제어신호에 포함된다. 상향 및 하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는, LTE 시스템에서는 특히 하향 물리 제어채널(PDCCH)이라 언급된다. 하향신호를 작성할 때, 제어신호, 레퍼런스신호 및 공유 데이터신호는, 시간 및 주파수의 쌍방의 관점에서 적절히 다중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신호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시간축방향으로 서브프레임 8개분의 모습이 도시되고, 주파수축방향으로 리소스 블록 10개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공유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리소스 블록 및 제어신호는 시간 다중되어 있다. 도시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레퍼런스신호 및 공유 데이터신호는 도 6에서는 상세히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예에서는 리소스 블록은, RB 그룹 A라 불리는 그룹과, RB 그룹 B라 불리는 그룹으로 분류된다. RB 그룹 A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은 제1 리소스 블록이라고도 언급된다. RB 그룹 B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은 제2 리소스 블록이라고도 언급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저주파측(좌측)의 5개의 리소스 블록은, RB 그룹 A에 속해 있다. 고주파측(좌측)의 5개의 리소스 블록은, RB 그룹 B에 속해 있다. 도면 중, 파선의 타원으로 둘러싸여 있는 영역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이 부분의 상세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은 제1 리소스 블록(RB 그룹 A)에 대응하고, 우측은 제2 리소스 블록(RB 그룹 B)에 대응하고 있다. 하나의 리소스 블록은, 소정 수개의 OFDM 심볼 및 소정 수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심볼수 및 서브캐리어수는 적절한 어떠한 수여도 좋다. 일 예로서, 1리소스 블록은, 1ms에 이르는 14개의 OFDM 심볼 및 180kHz에 이르는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해도 좋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는, 같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가 같은 배치 패턴으로 맵핑되고 있다. 그러나, 제1 리소스 블록(좌측)의 레퍼런스신호 P#1∼P#4와, 제2 리소스 블록(우측)의 레퍼런스신호 P#1∼P#4는, 각각 다른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도 8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와 물리 안테나(#1∼#4)와의 대응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는, 상기의 P#1∼P#4에 대응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장치의 8개의 물리 안테나는, 제1 및 제2 그룹으로 나뉜다. RB 그룹 A에 속하는 제1 리소스 블록에서는,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가,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 #1, #3, #5 및 #7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RB 그룹 B에 속하는 제2 리소스 블록에서는, 같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가,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 #2, #4, #6 및 #8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도 8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설명의 간명화를 도모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고 있으나, 이것은 필수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리코딩을 이용함으로써, 4개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레퍼런스신호가 특정한 방향으로 송신되어도 좋다. 어찌 되었든, 어느 그룹(4개의 물리 안테나)과 다른 그룹(다른 4개의 물리 안테나)으로부터 같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필요하다. 도 8에 도시되는 대응관계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대응관계나 안테나의 그룹화가 이루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그룹이 작은 번호순으로 #1, #2, #3, #4로 구성되고, 제2 그룹이 #5, #6, #7, #8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들의 대응관계는, 시스템에서 불변으로 고정되어도 좋으며,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도 5의 단계 S13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소스 블록이 구축되고, 단계 S14에서 이 하향신호가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동작 예에서는 유저장치 LTE_UE 및 유저장치 LTE-A_UE가 같은 기지국장치에 접속하고 있다. 우선 유저장치 LTE_UE의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유저장치 LTE-A_UE의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LTE_UE의 경우〉
단계 S21에서는, 하향신호 중의 제어신호가 수신신호로부터 추출되고, 복조되며, 복호된다. 이 제어신호는 무선링크의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며,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PDCCH에 상당한다. 제어신호를 복원할 때, 채널 추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레퍼런스신호가 리소스 블록 중의 어디에 맵핑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는, 알림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유저장치 LTE_UE는 알림정보를 이미 취득하고 있다. 유저장치 LTE_UE는, 수신신호 중의 레퍼런스신호(P#1∼P#4)를 추출하고, 그들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채널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유저장치 LTE_UE는, 제어신호의 채널 보상을 수행한다. 유저장치 LTE_UE는, 채널 보상 후의 제어신호로부터, 하향 및/또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인하고, 자장치에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 유저장치 LTE_UE는,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2에서는, 물리 안테나의 그룹이 확인된다. 구체적으로는, 레퍼런스신호 P#1∼P#4와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가, 알림정보 및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유저장치 LTE_UE의 경우, 이 단계의 처리는 필수가 아니다.
단계 S23에서는, 레퍼런스신호 P#1∼P#4에 기초하여, 각 레퍼런스신호의 전파로에 대한 채널상태가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 LTE_UE에 RB 그룹 A의 리소스 블록이 할당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 #1, #3, #5 및 #7과, 유저장치 LTE_UE의 4개의 물리 안테나와의 사이의 채널상태가 측정된다. 유저장치 LTE_UE에 RB 그룹 B의 리소스 블록이 할당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 #2, #4, #6 및 #8과, 유저장치 LTE_UE의 4개의 물리 안테나와의 사이의 채널상태가 측정된다. 유저장치 LTE_UE의 경우, 4개보다 많은 물리 안테나를 구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의 제1 및 제2 그룹을 구별하지 않아도 좋다.
단계 S24에서는, 4안테나 각각에 관한 채널 추정결과를 이용하면서,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가 재생된다.
단계 S25에서는, 4안테나분의 수신상황의 측정결과 및/또는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의 송달확인신호(ACK/NACK)가, 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유저장치 LTE_UE의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용으로 리소스 블록이 할당되어 있지 않던 경우라도, 유저장치 LTE_UE는, 필요에 따라 레퍼런스신호 P#1∼P#4를 이용한 채널상태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장치에 보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 LTE_UE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리소스 블록에 대해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PUCCH에서 보고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리소스 블록에서도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같은 배치 패턴으로 맵핑되고 있다. LTE용 유저장치 LTE_UE의 경우, 4개보다 많은 물리 안테나를 구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가 제1 그룹(#1, #3, #5, #7)인지, 혹은 제2 그룹(#2, #4, #6, #8)인지를 구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LTE용 유저장치 LTE_UE는, 어느 리소스 블록의 할당도 받을 수 있다.
〈LTE-A_UE의 경우〉
다음으로, 유저장치가 LTE-A_UE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21의 동작은 LTE_UE의 경우와 같다. LTE-A_UE의 경우, 8개의 물리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방식의 통신에 대비해서, 8개의 물리 안테나 각각을 구별하고, 각 물리 안테나의 채널상황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 점, LTE_UE와 크게 다르다.
단계 S22에서는, 물리 안테나의 그룹이 확인된다. 구체적으로는, 레퍼런스신호 P#1∼P#4와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가, 알림정보 및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확인된다. 그 리소스 블록이, RB 그룹 A에 속하는 제1 리소스 블록인 경우,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가,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 #1, #3, #5 및 #7로부터 각각 송신되고 있다. 리소스 블록이, RB 그룹 B에 속하는 제2 리소스 블록의 경우, 같은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가,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 #2, #4, #6 및 #8로부터 각각 송신되고 있다.
유저장치 LTE-A_UE가, RB 그룹 A 및 B 쌍방의 리소스 블록의 할당을 받고 있었던 경우, 각 그룹의 리소스 블록 중의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의 수신상황을 측정함으로써, 물리 안테나 #1, #3, #5 및 #7에 관한 채널상태 및 물리 안테나 #2, #4, #6 및 #8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유저장치 LTE-A_UE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이, RB 그룹 A에만 소속되어 있던 경우(예를 들면, RB1), 그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추출한 레퍼런스신호 P#1∼P#4는,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 #1, #3, #5 및 #7에 관한 채널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S23에서는, 이들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수신상황이 측정된다. 유저장치 LTE-A_UE는, 다른 물리 안테나(#2, #4, #6, #8)에 관한 채널상태도 마련해야 한다. 그래서, 유저장치 LTE-A_UE는,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현재의 예에서는, RB1)에 가장 가까운 RB 그룹 B의 리소스 블록(예를 들면, RB2)의 레퍼런스신호를 추출한다. RB 그룹 B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의 레퍼런스신호 P#1∼P#4는, 물리 안테나 #2, #4, #6 및 #8로부터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상황를 측정함으로써, 물리 안테나 #2, #4, #6 및 #8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단, 이 측정값은,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에 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근사적인 채널 추정값이다. 따라서, 유저장치 LTE-A_UE는,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현재의 예에서는, RB 그룹 A에 속한다)에 가장 가까운 RB 그룹 B의 리소스 블록을 선택해야 한다. 되도록 가까운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는 것에 더해 또는 대체로서, 레퍼런스신호의 수신상황의 측정값은 보간(補間)되어도 좋다. 보간은 외삽(外揷)법이어도 내삽(內揷)법이어도 좋다.
유저장치 LTE-A_UE의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이, RB 그룹 B에만 소속되어 있던 경우,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P#1∼P#4)는,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 #2, #4, #6 및 #8로부터 각각 송신되고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저장치 LTE-A_UE는,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에 가장 가까운 RB 그룹 A의 리소스 블록의 레퍼런스신호를 추출함으로써, 8개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단계 S24에서는, 8안테나 각각에 관한 채널 추정결과를 이용하면서,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가 재생된다.
단계 S25에서는, 8안테나분의 수신상황의 측정결과 및/또는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의 송달확인신호(ACK/NACK)가, 기지국장치로 송신된다.
유저장치 LTE_UE의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용으로 리소스 블록이 할당되어 있지 않던 경우라도, 유저장치 LTE_UE는, 필요에 따라 레퍼런스신호 P#1∼P#4를 이용한 채널상태의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결과를 기지국장치에 보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 LTE_UE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지시된 리소스 블록에 대해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PUCCH에서 보고해도 좋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리소스 블록에서도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가 같은 배치 패턴으로 맵핑되고 있다. 이 레퍼런스신호를 사용하여 제어신호가 복조된다. 따라서 제어신호에 관해서는, LTE용 유저장치도 LTE-A용 유저장치도 같은 수순으로 제어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LTE-A용 유저장치 LTE-A_UE는, RB 그룹 A의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 및 RB 그룹 B의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레퍼런스신호를 각각 추출함으로써, 8개의 물리 안테나 전부에 관한 무선채널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리소스 블록이 LTE_UE 및 LTE-A_UE에 할당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의 보고는, 리소스 블록마다 수행되어도 좋으나, 보고에 요하는 제어정보량을 절약하는 등의 관점에서, 몇 개의 리소스 블록에 대한 평균값이 보고되어도 좋다. 또한, 소정 수개의 리소스 블록 중, 품질이 좋은 상위 소정 수개의 리소스 블록에 관한 개개의 값 또는 그들의 합계값이 기지국장치에 보고되어도 좋다. 도 6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5개의 리소스 블록에서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리소스 블록 그룹)이 형성되고, 채널상태는, 서브밴드 그룹마다 보고되어도 좋다(물리 안테나마다 보고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6에서는 RB 그룹 A 및 B가,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서브밴드 사이즈마다 변경되고 있다. 기지국장치의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1, #3, #5, #7)로부터의 레퍼런스신호도,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1, #3, #5, #7)로부터의 레퍼런스신호도, 1서브프레임 내에서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의 예는, LTE-A용 유저장치 LTE-A_UE가 조속히 채널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2. 변형 예(시간방향)〉
하향신호의 구성 예는, 도 6에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9는 하향신호의 구성이 서브프레임마다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의 배치 패턴 및 대응하는 기지국장치의 물리 안테나의 대응관계는, 서브프레임이 같다면 모두 같다. 이 점, 신호처리의 간이화(특히, 하향신호의 작성 부담의 경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A용 유저장치는, 어느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블록과, 전 및/또는 후의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측정에 적어도 2서브프레임의 기간을 소비해 버리지만, 제1 그룹의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안테나에 관해, 같은 주파수대역(도면 중, RB1 및 RB2로 도시된다)을 측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채널상태의 시간 변동이 적은 경우, 예를 들면 저속으로밖에 이동하고 있지 않는 유저의 경우, 도시의 구성 예는 바람직하다.
〈3. 변형 예(시간 및 주파수방향)〉
도 10은 하향신호의 구성이 서브밴드 및 서브프레임마다 변경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 예는, 도 6에 도시되는 예와 도 9에 도시되는 예의 조합이기 때문에, 적어도 설명 완료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RB 그룹의 다른 리소스 블록은, 동일 서브프레임으로부터도, 전후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LTE-A용 유저장치 LTE-A_UE에 있어서, RB 그룹의 다른 적절한 리소스 블록의 선택지가 늘어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0의 RB1의 경우, RB 그룹의 다른 적절한 리소스 블록은 RB2와 같이 동일 서브프레임 중뿐 아니라, RB3과 같이 선행하는 서브프레임에도 존재한다.
RB 그룹의 다른 리소스 블록이 하향신호 중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는, 도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어떠한 배치가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이나 도 10과 같이 RB 그룹은, 서브밴드마다 변경될 뿐 아니라, 복수의 서브밴드마다 변경되어도 좋으며, 서브밴드와는 다른 또 다른 리소스 블록수마다 변경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RB 그룹은, 서브프레임마다 변경될 뿐 아니라, 복수의 서브프레임마다 변경되어도 좋다.
〈4. 변형 예(개별 레퍼런스(dedicated reference) 신호)〉
상기의 예에서는, RB 그룹 A 및 B의 어느 것의 리소스 블록에서도 동일 레퍼런스신호 P#1∼P#4가 송신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어느 리소스 블록도, LTE 유저장치에 할당 가능해진다. 그 대신에, LTE-A 유저장치는, RB 그룹의 다른 적어도 2개의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레퍼런스신호 P#1∼P#4를 추출하고, 8안테나분의 채널상태를 추정해야 했다. LTE-A 유저장치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이, 모두 같은 RB 그룹에 속하고 있던 경우, 그 유저장치 LTE-A_UE는, 할당을 받고 있지 않는 리소스 블록(다른 RB 그룹에 속하는 리소스 블록)을 선택하고, 거기서 추출된 레퍼런스신호를 사용하여 나머지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추정해야 한다. 실제로 할당을 받은 리소스 블록과는 다른 리소스 블록이 사용되는 점에서, 채널 추정 정밀도의 열화가 우려된다.
한편, 기지국장치는 무선리소스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어느 유저장치가 LTE 시스템에 속하는지 및 어느 유저장치가 LTE-A 시스템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변형 예에서는, LTE 유저장치에 기지국장치가 리소스 블록을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장치는, 전(全) 유저에 공통의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를 그 리소스 블록에 포함시킨다. 또한, LTE-A 유저장치에 기지국장치가 리소스 블록을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장치는, 전 유저에 공통의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뿐 아니라, LTE-A 유저에 고유의 레퍼런스신호 P#5∼P#8도 그 리소스 블록에 포함시킨다.
도 11은, LTE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좌측)과, LTE-A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우측)을 나타낸다. 좌측의 리소스 블록은, 도 7 좌측에 도시되는 것과 동일하다. LTE-A 시스템의 유저장치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도 11 우측)은, 전 유저에 공통의 4종류의 레퍼런스신호 P#1∼P#4뿐 아니라, LTE-A 시스템에 유저에 고유의 레퍼런스신호 P#5∼P#8도 포함하고 있다. 공통의 레퍼런스신호 P#1∼P#4의 배치 패턴은, 도 11의 좌우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에 유의를 요한다.
도 12는, 레퍼런스신호 P#1∼P#8과 물리 안테나 #1∼#8과의 대응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의 예에서는, 전 유저에 공통의 레퍼런스신호 P#1, P#2, P#3, P#4는,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 #1, #3, #5, #7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LTE-A 유저에 고유의 레퍼런스신호 P#5, P#6, P#7, P#8은,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 #2, #4, #6, #8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대응관계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대응관계나 안테나의 그룹화가 이루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그룹이 작은 번호순으로 #1, #2, #3, #4로 구성되고, 제2 그룹이 #5, #6, #7, #8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들의 대응관계는, 시스템에서 불변으로 고정되어도 좋으며,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도 11 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리소스 블록이, LTE-A 시스템의 유저장치에 할당된 경우, 8안테나분의 채널상태를 그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 P#1∼P#8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 예는, 채널상태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5. 기지국〉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낸다. 기지국장치는, LTE 유저장치용 신호 처리부 및 LTE-A 유저장치용 신호 처리부를 갖는다.
LTE 유저장치용 신호 처리부는, 버퍼(103b), 채널 부호화부(107b), 데이터 변조부(109b), 프리코딩 승산부(111b), 공통 레퍼런스신호 생성부(114b),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b) 및 맵핑 제어부(116b)를 갖는다.
LTE-A 유저장치용 신호 처리부도 마찬가지로, 버퍼(103a), 채널 부호화부(107a), 데이터 변조부(109a), 프리코딩 승산부(111a), 개별 레퍼런스신호 생성부(114a),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 및 맵핑 제어부(116a)를 갖는다.
스케줄러(105) 및 서브캐리어 맵핑부(113)는, LTE 및 LTE-A 유저장치용 신호 처리부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또한, 기지국장치는, 8개의 물리 안테나의 각각에 대해,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ation)부(117) 및 사이클릭 프리픽스(CP:Cyclic Prefix) 부여부(119) 및 무선부(RF)를 갖는다. 기지국장치는, 8개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으나, 안테나수는 8개 이상이어도 좋다.
LTE 유저장치용 버퍼(103b)는, 셀 내의 Nb대의 LTE 유저장치에 대한 송신 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LTE-A 유저장치용 버퍼(103a)는, 셀 내의 Na대의 LTE-A 유저장치에 대한 송신 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신호에는, 제어신호, 공유 데이터신호, 레퍼런스신호 등 다양한 신호가 포함되나, 본 실시 예에서는 레퍼런스신호와 다른 신호와의 관계가 특히 중요하다. 이 때문에, 제어신호 및 공유 데이터신호에 관한 처리의 상세는 생략되어 있다.
스케줄러(105)는,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무선리소스를 관리한다. 스케줄러(105)에 의한 스케줄링의 하에서, 버퍼(103a, 103b)에 저장된 송신 데이터에 리소스 블록이 할당된다. 스케줄링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일 예로서, 프로포셔널 페어니스법에 기초하여 스케줄링이 이루어져도 좋다.
LTE 유저장치용 채널 부호화부(107b)는, 송신 데이터를 채널 부호화한다. LTE-A 유저장치용 채널 부호화부(107a)도, 송신 데이터를 채널 부호화한다. 채널 부호화율은, 미도시의 제어부로부터 지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응 변조 및 채널 부호화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채널 부호화율은, 유저장치의 채널상태(구체적으로는, CQI)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일 예로서, 채널 부호화율은, 1/3이나 1/16 등의 값을 취해도 좋다. 채널 부호화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부호화방법이 사용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채널 부호화는 터보 부호화(Turbo coding)나 컨볼루션 부호화 등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LTE 유저장치용 데이터 변조부(109b)는, 채널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한다. LTE-A 유저장치용 데이터 변조부(109a)도, 채널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변조한다. 데이터 변조방식은, 미도시의 제어부로부터 지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응 변조 및 채널 부호화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터 변조방식은, 유저장치의 채널상태(구체적으로는, CQI)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데이터 변조방식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데이터 변조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데이터 변조방식은, BPSK, QPSK, 16QAM, 64QAM 등이어도 좋다.
LTE 유저장치용 프리코딩 승산부(111b)는, LTE 유저장치로부터 피드백된 프리코딩 행렬 인디케이터(PMI:Precoding Matrix Indicator)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에 프리코딩 행렬을 승산한다. LTE-A 유저장치용 프리코딩 승산부(111a)도, LTE-A 유저장치로부터 피드백된 프리코딩 행렬 인티케이터(PMI)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에 프리코딩 행렬을 승산한다. 프리코딩 행렬 인디케이터는, 소정 수개의 가중 행렬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것의 가중 행렬군이어도 좋다. 소정 수개의 가중 행렬군은, 코드북이라 언급되어도 좋다. 또한, 프리코딩이 필수가 아닌 셀의 경우, 프리코딩에 관한 이들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좋다.
서브캐리어 맵핑부(113)는, 스케줄러(103)로부터의 리소스 할당정보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각 서브캐리어에 맵핑한다.
공통 레퍼런스신호 생성부(114b)는, 셀 내의 전 유저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레퍼런스신호 P#1∼P#4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공통 레퍼런스신호는 4종류이지만, 보다 다수의 또는 보다 소수의 공통 레퍼런스신호가 마련되어도 좋다. 공통 레퍼런스신호는, 셀 내의 전 유저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셀마다 다르기 때문에, 셀 고유의 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라 언급되어도 좋다. 공통 레퍼런스신호는, 직교 부호 계열로 표현되어도 좋으며, 비직교의 부호 계열로 표현되어도 좋다. 자셀 내의 유저간 간섭을 저감하는 등의 관점에서는, 직교 부호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레퍼런스신호 생성부(114a)는, LTE-A 유저장치로만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 P#5∼P#8을 생성한다 또는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개별 레퍼런스신호는 4종류이지만, 보다 다수의 또는 보다 소수의 공통 레퍼런스신호가 마련되어도 좋다. 개별 레퍼런스신호는, LTE-A 유저장치에 고유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저 고유의 RS(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언급되어도 좋다. 개별 레퍼런스신호도, 직교 부호 계열로 표현되어도 좋으며, 비직교의 부호 계열로 표현되어도 좋다. 자셀 내의 유저간 간섭을 저감하는 등의 관점에서는, 직교 부호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레퍼런스신호에 관한 맵핑 제어부(116b)는, 공통 레퍼런스신호 P#1∼P#4와 물리 안테나 #1∼#8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 115b)에 부여한다. 이 제어신호는, 공통 레퍼런스신호가 어떻게 리소스 블록에 다중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통 레퍼런스신호의 다중법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는, 모든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 및 115b)에 부여되고 있는 점에 유의를 요한다. 이로 인해, 공통 레퍼런스신호의 리소스 블록 중에서의 배치 패턴이, 리소스 블록에 상관없이 불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개별 레퍼런스신호에 관한 맵핑 제어부(116a)는, 개별 레퍼런스신호 P#5∼P#8과 물리 안테나 #1∼#8과의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LTE-A용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에 부여한다. 이 제어신호는, 개별 레퍼런스신호가 어떻게 리소스 블록에 다중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레퍼런스신호의 다중법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는, LTE-A용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에만 부여되고 있는 점에 유의를 요한다(모든 레퍼런스신호 다중부에는 부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LTE-A 유저장치의 리소스 블록에 대해서만, 개별 레퍼런스신호 P#5∼P#8을 맵핑할 수 있다.
LTE 유저장치용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b)는, 공통 레퍼런스신호에 관한 맵핑 제어부(116b)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데이터와 공통 레퍼런스신호를 다중한다. 다중 후의 리소스 블록은, 도 7이나 도 11(좌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LTE-A 유저장치용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도, 공통 레퍼런스신호에 관한 맵핑 제어부(116b)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데이터와 공통 레퍼런스신호를 다중한다. 또한, LTE-A 유저장치용 레퍼런스신호 다중부(115a)는, 개별 레퍼런스신호에 관한 맵핑 제어부(116a)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 데이터와 개별 레퍼런스신호를 다중한다. 다중 후의 리소스 블록은, 도 11(우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개별 레퍼런스신호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LTE-A 유저장치에 대한 리소스 블록은, 도 7 및 도 11(좌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공통 레퍼런스신호 및 필요에 따라 개별 레퍼런스신호를 포함하는 송신 데이터는, 각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도록 물리 안테나마다 처리된다. IFFT부(117)에서는, 송신 데이터는 고속 역 푸리에 변환되고, 시간영역의 심볼로 변환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부여부(+CP)(119)는, 송신하는 심볼의 선두 또는 말미의 일부를 사용하여 가드 인터벌을 마련한다.
무선부(RF)(121)는, 가드 인터벌이 부여된 심볼에 대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대역 한정, 주파수 변환, 전력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통신신호를 작성한다. 무선통신신호는, 각 안테나로부터 유저장치로 무선 송신된다.
〈6. 유저장치〉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나타낸다. 유저장치는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유저장치는, LTE-A 시스템의 존재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유저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이동국이지만, 고정국이어도 좋다. 도시의 유저장치는, 기지국장치의 N개의 송신 안테나(예를 들면, 8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응하여, N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다. 유저장치는, 8개의 물리 안테나의 각각에 대해, 듀플렉서(201), 무선부(RF)(203), 고속 푸리에 변환부(FFT)(207)를 갖는다. 또한, 유저장치는, 수신타이밍 추정부(205), 공통 레퍼런스신호를 사용하는 채널 추정부(209), 알림정보 복호부(210), 제어신호 복호부(211), 개별 레퍼런스신호를 사용하는 채널 추정부(212), 데이터채널 검출부(213) 및 채널 복호부(215)를 갖는다.
듀플렉서(201)는, 송수신의 전환을 제어한다. 주파수분할 복신(FDD)방식의 경우, 듀플렉서는, 송신대역 및 수신대역 각각을 통과시키는 필터로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분할 복신(TDD)방식의 경우, 듀플렉서는 단순한 스위치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부(RF)(203)는, 물리 안테나 및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베이스밴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 신호처리에는, 예를 들면, 전력 증폭, 대역 한정,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수신타이밍 추정부(205)는, 수신신호의 수신타이밍을 추정한다. 추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 OFDM 심볼과 유효 심볼 기간만큼 지연시킨 수신 OFDM 심볼과의 상관을 순차적으로 산출해 가면, 가드 인터벌(CP)의 기간에 걸쳐 높은 상관값이 얻어지며, 심볼타이밍을 추정할 수 있다.
FFT부(207)는, 수신타이밍 추정부(205)로부터 통지된 수신타이밍에 기초하여, 수신신호에 대해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수신신호는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채널 추정부(209)는, 수신신호로부터 공통 레퍼런스신호 P#1∼P#4를 추출하고, 공통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각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채널 추정에 의해, 전파로 상에서의 위상 회전량이나 진폭 변동량이 판정되고, 위상 회전량 등은 이후의 신호의 수신시에 보상량으로서 사용된다.
알림정보 복호부(210)는, 알림채널(BCH)에서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수신신호로부터 추출하고, 복조 및 복호한다. 알림채널은, 기지국장치의 특정한 4개의 물리 안테나(예를 들면, 제1 그룹)로부터 송신된다. LTE 유저장치에서도 LTE-A 유저장치에서도 알림정보를 적절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알림정보에는 일반적인 시스템정보에 더해, 본 실시 예에서는, 공통 레퍼런스신호와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예를 들면, 도 8), 개별 레퍼런스신호와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예를 들면, 도 12), 공통/개별 레퍼런스신호의 배치 패턴, RB 그룹의 배치 구성 등을 나타내는 정보도 알림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정보가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것은 본 발명에 필수가 아니며, 다른 채널에 포함되어도 좋다. 혹은 시스템으로 고정하고, 시그널링을 불필요로 해도 좋다. 단, 그 대응관계를 가변하면서 전 유저에 효율적으로 통지하는 관점에서는, 알림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 복호부(211)는, 하향 제어신호(특히, PDCCH)로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복조 및 복호한다. 하향 제어신호는, 무선리소스의 할당정보(하향/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포함하고, 유저장치가 하향 공유 데이터신호에 대해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받고 있었던 경우,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이나, MCS(데이터 변조방식 및 채널 부호화율) 등이 특정된다.
채널 추정부(212)는, 수신신호로부터 개별 레퍼런스신호 P#5∼P#8을 추출하고, 개별 레퍼런스신호에 기초하여 각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한다. 채널 추정에 의해, 물리 안테나 #5∼#8에 관한 전파로 상에서의 위상 회전량이나 진폭 변동량이 판정되고, 위상 회전량 등은 이후의 신호의 수신시에 보상량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개별 레퍼런스신호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리소스 블록의 구성이 다른 적어도 2개의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레퍼런스신호가 추출되고, 8안테나분의 채널상태가 측정된다.
데이터채널 검출부(213)는, 채널 추정부(209, 212)의 채널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수신신호는, 각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혼재하는 상태에서 수신되기 때문에, 수신신호는, 우선 개개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 각각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신호 분리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알고리즘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제로 포싱법(zero forcing scheme), 최소 평균 이승 오차(MMSE:Maximum Mean Square Error)법, 최우(最尤) 검출(MLD:Maximum Likelihood Detection)법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신호 분리 후의 각 안테나의 신호는, 데이터 복조된다. 데이터 복조는, 송신측에서 수행된 데이터 변조방식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채널 복호부(215)는, 데이터채널 검출부(213)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재생한다.
본 발명은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의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물리 안테나수가 다른 유저장치가 혼재하는 적절한 어떠한 상황에서 사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HSDPA/HSUPA 방식의 W-CDMA 시스템, LTE 방식의 시스템, IMT-Advanced 시스템, WiMAX, Wi-Fi 방식의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또는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의해서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는 한) 적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10월 3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27996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국 특허출원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3a, 103b 버퍼
105 스케줄러
107a, 107b 채널 부호화부
109a. 109b 데이터 변조부
111a, 111b 프리코딩 승산부
113 서브캐리어 맵핑부
114a 개별 레퍼런스신호 생성부
114b 공통 레퍼런스신호 생성부
115a, 115b 레퍼런스신호 다중부
117 IFFT부
119 CP 부여부
121 무선부
201 듀플렉서
203 무선부
205 수신타이밍 추정부
207 FFT부
209 채널 추정부(공통 RS)
210 알림정보 복호부(BCH)
211 제어신호 복호부(PDCCH)
212 채널 추정부(개별 RS)
213 데이터채널 검출부
215 채널 복호부

Claims (16)

  1.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
    적어도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의 리소스 블록에 다중하는 레퍼런스신호 다중부;
    상기 하향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같은 배치 패턴으로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d으로 다중되고,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도록 한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그룹 중의 M개의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가, 유저장치에 알려지는 기지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시간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개의 제1 또는 제2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방향으로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1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고, 후속의 시간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블록이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시간 서브프레임 및 다른 시간 서브프레임에도 상기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특정한 유저장치의 리소스 블록이,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에 더해,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는 다른 P종류의 레퍼런스신호도 포함하도록, 상기 레퍼런스신호 다중부는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에 다중하는 기지국장치.
  8.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하향신호의 리소스 블록에 다중하는 다중단계;
    상기 하향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가지며,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같은 배치 패턴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다중되고,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는,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도록 한 기지국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
  9.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
    제1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갖는 유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그룹 중의 M개의 물리 안테나와의 대응관계가, 기지국장치로부터 알려지는 기지국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시간 서브프레임(temporal sub-frame)에, 상기 제1 및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2. 제 11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개의 제1 또는 제2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방향으로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1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고, 후속의 시간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블록이 어느 시간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상기 시간 서브프레임 및 다른 시간 서브프레임에도 제2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장치에 할당된 리소스 블록이,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에 더해, 상기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와는 다른 P종류의 레퍼런스신호도 포함하는 기지국장치.
  16. 제1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 및 제2 그룹의 M개의 물리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를 갖는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 및 제2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M종류의 레퍼런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1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리소스 블록 중의 레퍼런스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그룹의 물리 안테나에 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갖는 유저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
KR1020117010787A 2008-10-30 2009-09-03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KR101590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9968A JP5189460B2 (ja) 2008-10-30 2008-10-30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JP-P-2008-279968 2008-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160A true KR20110080160A (ko) 2011-07-12
KR101590829B1 KR101590829B1 (ko) 2016-02-18

Family

ID=4212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787A KR101590829B1 (ko) 2008-10-30 2009-09-03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43023A1 (ko)
EP (1) EP2352244B1 (ko)
JP (1) JP5189460B2 (ko)
KR (1) KR101590829B1 (ko)
CN (1) CN102265537B (ko)
CA (1) CA2740814A1 (ko)
ES (1) ES2581430T3 (ko)
PT (1) PT2352244E (ko)
WO (1) WO20100502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67A2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481A1 (ja) * 2008-08-05 2010-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通信方法
US8315225B2 (en) * 2008-09-22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spects to support LTE-A downlink hi-order MIMO
US8767843B2 (en) * 2008-11-10 2014-07-01 Motorola Mobility Llc Employing cell-specific and user entity-specific reference symbols in a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US8611294B2 (en) 2008-12-03 2013-1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US9094167B2 (en) 2009-02-02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and multi-cell MIMO transmissions
US9647810B2 (en) * 2009-03-17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ilot signals in multi-stream transmissions
CN101621492A (zh) * 2009-08-14 2010-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专用解调数据参考信号的资源确定方法
WO2011047462A2 (en) * 2009-09-21 2011-04-28 Nortel Networks Limi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high-order mimo
CN102959914A (zh) * 2010-06-30 2013-03-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小区特定参考符号进行信道估计的方法
JP2012060407A (ja) * 2010-09-08 2012-03-22 Sharp Corp 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CN103828396B (zh) * 2011-07-06 2018-09-25 诺基亚通信公司 基于dm rs的下行链路lte物理层
KR20140101830A (ko) 2011-08-12 2014-08-2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융통성있는 대역폭 동작을 위한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JP5809482B2 (ja) * 2011-08-15 2015-11-11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5753022B2 (ja) * 2011-08-15 2015-07-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75919A1 (en) * 2013-04-26 2014-10-30 Intel IP Corporation Shared spectrum reassignment in a spectrum sharing context
KR20160013871A (ko) * 2013-05-3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규모 mimo 시스템을 위한 참조 신호 확장
US10063293B2 (en) * 2013-09-03 2018-08-2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JP2014060738A (ja) * 2013-10-21 2014-04-03 Nokia Siemens Networks Oy 基準信号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要素
KR102323130B1 (ko) 2013-11-27 2021-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오픈-루프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67148B2 (en) 2014-01-31 2018-01-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control for transmissions to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s
US10225781B2 (en) * 2014-06-19 2019-03-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software controlled devices
WO2016011651A1 (zh) * 2014-07-25 2016-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基站及用户设备
US9867175B2 (en) * 2014-12-03 2018-01-0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antenna diversity scheme
WO2016190215A1 (ja) * 2015-05-22 2016-12-0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6064017B2 (ja) * 2015-10-22 2017-01-18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基準信号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要素
CN115150047A (zh) 2016-01-20 2022-10-04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传输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CN114884637B (zh) * 2017-01-09 2023-10-13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用于资源块中的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WO2021171477A1 (ja) * 2020-02-27 2021-09-0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3405B2 (en) *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KR101344111B1 (ko) * 2006-10-27 2014-01-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US20080273452A1 (en) * 2007-05-04 2008-11-06 Farooq Khan Antenna mapping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558759B2 (ja) 2007-05-14 2010-10-0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液体化学薬品輸送船の貨物槽構造
US8345803B2 (en) * 2008-10-02 2013-01-0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finger assignment for improved multicarrier throughput
KR101488028B1 (ko) * 2008-07-17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US8503425B2 (en) * 2008-07-22 2013-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phich and generating reference signal in system using single-user MIMO based on multiple codewords when transmitting uplink
KR101027233B1 (ko) * 2008-07-23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US9225481B2 (en) * 2008-08-11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grant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14975B2 (en) * 2008-08-21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25661B2 (en) * 2008-08-28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547954B2 (en) * 2008-08-28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adapting number of advertised transmit antenna ports
US8676133B2 (en) * 2008-09-19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LTE A
US8315225B2 (en) * 2008-09-22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spects to support LTE-A downlink hi-order MIMO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RI, "Common reference signal structure for 8 transmit antennas", 3GPP TSG RAN WG1 Meeting #55 R1-084145(2008.11.14.) *
Motorola, "Common Reference Symbol Mapping/Signaling for 8 Transmit Antennas", 3GPP TSG RAN1 #54bis R1-083827(2008.10.03.)* *
Nortel,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MIMO in LTE-advanced", 3GPP TSG-RAN Working Group 1 Meeting #55 R1-084468(2008.11.14.) *
Qualcomm Europe, "DL Higher Order MIMO in LTE-A", 3GPP TSG-RAN WG1 #54bis R1-083815(2008.10.0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67A2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WO2013027967A3 (ko) * 2011-08-19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43023A1 (en) 2011-10-06
JP2010109714A (ja) 2010-05-13
ES2581430T3 (es) 2016-09-05
CA2740814A1 (en) 2010-05-06
JP5189460B2 (ja) 2013-04-24
PT2352244E (pt) 2016-06-02
EP2352244A1 (en) 2011-08-03
CN102265537B (zh) 2016-02-17
EP2352244B1 (en) 2016-04-20
CN102265537A (zh) 2011-11-30
KR101590829B1 (ko) 2016-02-18
WO2010050295A1 (ja) 2010-05-06
EP2352244A4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유저장치 및 방법
US11728953B2 (en) Reference signal reception and CQI comput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9621242B2 (en) Downlink control signalling for indication of interfering layers
KR1014897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및 방법
US10624088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KR101625861B1 (ko) 상향링크 전송 시, 다중 코드워드 기반 단일 사용자 mimo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phich 할당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
CN104737479B (zh) 通信系统中接收或发送下行链路控制信号的方法及设备
KR101622967B1 (ko)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RU2581037C2 (ru) Способ сообщ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тоянии канала,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EP219473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EP2523490A1 (en) Base station device,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KR20110099727A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
JP510733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KR101772454B1 (ko)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1107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