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967A -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967A
KR20110079967A KR1020100000090A KR20100000090A KR20110079967A KR 20110079967 A KR20110079967 A KR 20110079967A KR 1020100000090 A KR1020100000090 A KR 1020100000090A KR 20100000090 A KR20100000090 A KR 20100000090A KR 20110079967 A KR20110079967 A KR 2011007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pening
closing member
rotary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462B1 (ko
Inventor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관되는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거나 또는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되, 다양한 루트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의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

Description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A ice storage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reof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관되는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거나 또는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되, 다양한 루트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또는 얼음을 공급하는 정수기에는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에서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보관함, 그리고, 얼음보관함 내부에 마련되어 얼음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이송장치 등이 마련된다.
종래의 얼음보관장치를 보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얼음보관함과, 얼음보관함 내부에 마련되는 얼음이송부재, 그리고, 얼음보관함의 일측에 마련되는 얼음토출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얼음의 토출이 필요한 경우, 얼음이송부재가 작동하여, 얼음을 얼음토출부재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얼음토출부재에 의하여 이동되는 얼음은 냉장고 또는 정수기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얼음보관함에 모여진 얼음이 한방향으로만 토출되어 있었다.
얼음보관함의 얼음을 외부로 냉장고나 정수기 밖으로 토출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목적, 예를 들면, 식용 얼음 형성 및 얼음에 의한 음용수 냉각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얼음을 여러방향으로 토출시킬 필요성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한방향으로만 얼음이 취출되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이 다양한 방향으로 취출될 수 있는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얼음 및 분쇄되지 않은 통얼음이 다양한 루트로 이동할 수 있는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의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얼음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얼음토출구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의 정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이송부재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고 나선형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커터유닛과;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전커터유닛 회전시 상기 회전커터유닛과와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커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중공의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개폐부재는 그 타측에 마련되는 차단벽부와; 상기 차단벽부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얼음이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분쇄장치의 하우징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부와 연통되는 얼음유입구와; 상기 얼음분쇄장치의 하우징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분쇄된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커터유닛은 상호간에 이격되되 순차적으로 비틀리게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복수의 회전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터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커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회전커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커터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커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과한 얼음이 안착되는 개방구 형태의 얼음안착부와; 상기 얼음안착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커터에 마련된 커터부와 함께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고정커터의 형상은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개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보관함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얼음이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폐부재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로 전달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회전축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 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마련되는 개폐부재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축 기어부의 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 및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얼음토출구 또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로 이동하는 얼음의 이동을 교번적으로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개폐부재와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 및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얼음토출구 또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로 이동하는 얼음의 이동을 교번적으로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개폐부재와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얼음이송부재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면서 얼음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각각 다른방향으로 이동한 얼음이 통얼음 상태로 배출되거나, 아니면 분쇄되어 조각얼음이 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하여 토출되어야 하는 얼음이 통얼음상태로 배출되어야 하는 루트와, 조각얼음이 된 상태로 배출되어야 하는 루트가 달라야 하는 경우, 보관된 얼음을 서로 다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각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이송부재 및 회전개폐부재와 얼음분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에 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a)와 도7(b)는 본 발명에 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얼음이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의하여 분쇄된 후 제1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얼음이 상기 얼음분쇄장치에 의하여 분쇄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장치에서 얼음이 제2얼음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얼음보관장치(100)는 얼음이 수용될 수 있는 얼음보관함(110)과, 상기 얼음보관함(110) 내부에 마련되어 얼음보관함(110)에 수용되는 얼음을 이송시킬 수 있는 얼음이송부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일측에는 상기 얼음이송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60)가 마련된다.
상기 얼음보관장치(100)의 상부에는 제빙장치(3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빙장치(300)에서 형성된 얼음은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보관함(110)으로 낙하하여 보관된다.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일측에는 상기 얼음보관함(110)에서 토출되는 얼음이 안내되는 안내관(162)이 마련되며, 상기 안내관(162)의 출구측에는 상기 안내관(1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내관 개폐부재(161)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장치(160)는 상기 얼음이송부재(120)를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관개폐부재(16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관 개폐부재(161)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관(162)을 따라 이동했던 얼음이 디스펜서(미도시)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토출관(170)이 마련된다.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제1얼음토출구(141)와 제2얼음토출구(151)가 마련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는 상기 얼음이송부재(120)에 마련되는 원통형의 회전개폐부재(1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에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를 통과한 얼음이 분쇄되어 배출될 수 있는 얼음분쇄장치(14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얼음분쇄장치(142)는 하우징부(143)와, 상기 하우징부(143) 내부에 수용되여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축(121)의 축 상에 마련되는 회전커터유닛(144)과, 상기 하우징부(143)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커터유닛(144)과 함게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커터유닛(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는 타측벽(150)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벽(151)에 마련되는 개폐유닛(200)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얼음보관장치는 냉장고 뿐만 아니라 얼음저장기능을 가진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10)은 그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와 제2얼음토출구(15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10) 내부에는 얼음이송부재(12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얼음이송부재(120)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 외주면에 마련되는 나선형 블레이드형태의 이송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에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가 설치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120)가 제1방향(A방향)으로 회전할때 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분쇄장치(142)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120)의 동작에 의하여 얼음이 상기 회전개폐부재(130)를 통과한 후, 상기 얼음분쇄장치(142)로 들어오면, 그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얼음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얼음분쇄장치(14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우선, 상기 하우징부(14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얼음유입구(143a)와, 상기 하우징(143)의 하부에 마련되어 분쇄된 얼음이 낙하하여 배출되는 얼음유출구(14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43)의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커터유닛(144)은 상기 회전축(121)에 끼워지는 결합축(144a)과, 상기 결합축(144a)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커터(14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커터(144b)의 일측면에는 얼음의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톱날형태의 커팅부(144c)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고정커터유닛(146)은, 상기 회전개폐부재(130)를 통과한 얼음이 안착되는 개구부형태의 얼음안착부(146a)와, 상기 얼음안착부(146a)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축(144b)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커터(146b)와, 상기 고정커터(146b)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커터(144b)의 커팅부(144b)와 함께 얼음을 가압하여 분쇄할 수 있는 커팅부(146c)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커터(144b)는 상호 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되, 약간씩 그 배치각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정면에서 봤을 때 그 위상이 상호간에 일정부분 겹쳐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얼음이 상기 회전커터(144b)의 커팅부(144c)와 상기 고정커터(146b)의 커팅부(146c)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고, 상기 회전축(121)이 회전하여 얼음에 가압력을 부여할 때, 그 가압력이 얼음과 접촉하고 있는 회전커터(144b)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상기 회전커터(144b)가 정면에서 봤을 때 서로 겹쳐지게 마련되어 그 위상이 동일한 상태에서, 두 개 이상의 회전커터(144b)의 커팅부(144c)와 고정커터(146b)의 커팅부(146c)사이에 얼음이 끼이게 되고, 가압력이 가해지면, 각각의 회전커터에 분산되기 때문에 얼음의 분쇄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커터(144b)의 위상이 상호 간에 달라지게 배치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회전커터에 의하여 분쇄가 끝나면, 다른 회전커터에 의하여 분쇄가 시작되도록 하여 얼음의 분쇄성능이 좋아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터유닛(146)의 고정커터(146b)는 상기 결합축(144a)에 고정결합되지 않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결합축(144a) 및 상기 회전커터(144b)가 회전하여도 상기 고정커터(146)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커터(144b)는 상기 고정커터(146b)의 사이를 지나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커터(144b)와 상기 고정커터(146b)가 상호간에 접촉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에는 상기 개폐유닛(200)이 마련되는데, 상기 개폐유닛(200) 중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덮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재(201)는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즉, 제2방향(B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가 개방된다.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가 형성된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측벽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 및 상기 개폐유닛(200)을 둘러싸는 리브부재(112)가 마련되는데, 상기 리브부재(112)는 상기 도1에서 개시된 안내관(도1참조, 162)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통하여 토출된 얼음이 상기 안내관(도1참조, 162)을 따라서 아래로 낙하하여 상기 디스펜서(미도시)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회전축(121)의 타단부는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나와 있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축(121)의 타단부는 상기 도1에서 개시된 구동장치(도1참조, 160)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장치(160)가 동작을 하면, 상기 회전축(121)이 회전을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얼음이송부재(120) 및 상기 개폐유닛(200),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및 상기 얼음분쇄장치(142)가 선택적으로 동작을 한다.
상기 얼음보관함(110)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나 기타 냉동저장 또는 냉장저장이 필요한 저장물을 보관하는 저장부(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저장부(400)의 상면에는 상기 얼음분쇄장치(142)에서 토출되는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430)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얼음보관장치가 정수기나 냉장고에 장착되고, 이러한 정수기나 냉장고에서 상기 저장부(400)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 저장부의 역할ㅇ르 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430)로 들어간 얼음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에 녹으면서 그 물의 온도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물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보관함(110)의 일측에는 제1얼음토출구(141)가 마련되고, 얼음보관함(110)의 내부 좌측에는 제2얼음토출구(151)가 마련되며, 상기 얼음이송부재(12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여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 또는 제2얼음토출구(151) 어디로든 얼음을 이동시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110)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축(121)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도록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이송부(122)는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얼음을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 방향으로 밀기도 하고, 또는 제2얼음토출구(151) 방향으로 밀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와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는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121)은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및 상기 얼음분쇄장치(142)를 통과한 뒤,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최외곽측벽까지 연장되며, 상기 얼음분쇄장치(142)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와,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최외곽측벽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바닥면에는 얼음이 녹은 물이 빠지는 배수홀(180)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180)에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하부에는 배출유로(181)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181)는 얼음보관함(110)의 하면을 따라 배치되되, 물의 배출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배출유로(181)를 따라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유로(181)에 마련되는 배수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안내돌기부(190)가 마련되는데, 상기 돌출부(190)는 상기 원통형의 회전개폐부재(13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경우, 그 자체의 두께로 인하여,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바닥면과 단차진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차가 형성되면, 상기 이송부(122)에 의하여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방향으로 이동하는 얼음이 걸려서 그 이동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그러한 얼음이 용이하게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얼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부(190)가 필요하다.
상기 안내돌기부(190)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외벽의 두께(t)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얼음이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경사부(190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부(190a)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방향으로 상향경사 형태로 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개폐부재(130)는 상기 회전축(121)에 고정결합되고, 중공의 원통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후방측은 전부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기 전방측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전방측은 상기 제1얼음토출구(도3 참조, 141)를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전방측에는 얼음의 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얼음토출구(도3 참조, 141)와 상기 얼음보관함(도3참조, 110) 내부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얼음의 토출경로(도3참조, D)를 차단하는 차단벽부(131)와, 상기 얼음의 토출경로(도3참조, D)를 연통시키는 개방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132)가 하부에 위치하고, 차단벽부(131)가 상부에 위치하면 얼음이 상기 이송부(122)에 밀려서 상기 개방부(132)를 통과한 후, 상기 얼음분쇄장치(142)에 의하여 분쇄된 후에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를 통과하여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개방부(132)가 상부에 위치하고, 차단벽부(131)가 하부에 위치하면, 얼음이 차단벽부(131)에 막혀서 외부로 토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1)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121)에 연결된 상기 회전개폐부재(130)가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보관함(110) 내부에서 상기 얼음토출구(141)로 이어지는 얼음토출경로가 교번적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차단된다.
한편, 도3 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32)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얼음보관함(110)내부에서 상기 얼음토출구(141)로 이어지는 얼음토출유로가 개방되는 경우, 얼음이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32)와, 상기 개방부(132)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이송부(122)의 간격(L2)은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전후폭(L)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2의 길이는 얼음의 폭 또는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얼음이 L2의 길이를 갖는 공간에 위치하면, 상기 개방부(132)를 통과하겨 상기 얼음분쇄장치(143)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벽부(131)와, 상기 차단벽부(131)와 가장 인접한 이송부간의 거리(L1)은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전후폭(L)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차단벽부(131)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얼음보관함(110) 내부와 상기 제1얼음토출구(141)간의 토출유로가 차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송부(122)에 의하여 밀려 이동하는 얼음이 차단벽부(131)까지는 이동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얼음분쇄장치(142)의 하우징부(143)는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얼음유입구(143a)가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개방부(132)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개방부(132)를 통과한 얼음이 상가 하우징(143)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43)의 하면에는 분쇄된 얼음이 배출되는 상기 얼음유출구(143b)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1)은 상기 회전개폐부재(131)를 관통하고 일단부가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는데, 그 돌출된 부분에 상기 회전커터유닛(144)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커터유닛(144)의 결합축(144a)은 그 내부가 빈 중공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121)에 끼워지고, 상기 결합축(144a)의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회전커터(144b)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커터(144b)에는 커팅부(144c)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회전커터(144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얼음을 가압하는 가압력의 집중화를 위하여 상호간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비틀려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터유닛(146)은 상기 개방부(13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이격되며 복수의 고정커터(146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커터(146b)의 내부에는 상기 얼음안착부(146a)가 얼음이 유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 형태로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커터(146b)가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하여 상기 얼음유입구(143b)를 통과한 얼음은 복수개의 고정커터(146b)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얼음안착부(146a)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안착부(146a)는 상기 커팅부(146c)로 둘러싸여져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터유닛(144)및 상기 고정커터유닛(146) 간의 가압작용이 발생하면 얼음이 분쇄되어 상기 얼음유출구(143b)를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10)에는 안내경사부(111)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경사부(111)에 떨어진 얼음은 상기 안내경사부(111)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얼음이송부재(도3참조, 120)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는 상기 얼음보관함(110)에 부채꼴 형태로 마련되나, 형상은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상기 개폐유닛(200)은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개폐유닛(200)은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폐하며 상기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2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측벽에는 상기 개폐부재(201)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209a,209b)이 각각 2개가 마련된다.
도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1)의 외주면에는 그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121) 회전시 상기 회전축(121)과 동시에 회전하는 돌출부(125)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201)는 상기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개폐부재(201)와 상기 돌출부(125)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125)와 상기 개폐부재(201)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전축(201)의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201)로 전달하는 마찰부재(202)가 마련된다.
여기서, 도5(a)에서 상기 회전축(1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125)도 그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돌출부(125)와 면접촉하는 마찰부재(202)도 회전한다.
상기 마찰부재(202)는 상기 개폐부재(201)와 면접촉하고 있으므로, 마찰부재(202)의 회전력은 상기 개폐부재(201)에도 전달되어,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01)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가 개방되고,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얼음은 얼음이송부재(도3참조, 120)의 이송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0)로 밀려서 상기 얼음보관함(110)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승하는 개폐부재(201)는 상부측에 있는 걸림턱(209a)에 의해 걸려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개폐부재(201)가 상부에 있는 걸림턱(209a)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1)이 계속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125)와 마찰부재(202)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마찰부재(202)와 상기 개폐부재(201) 간에 마찰은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하지만, 그 마찰력이 상기 개폐부재(201)의 움직임에 의한 걸림턱(209a)의 변형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개폐부재(201)가 더 이상 움직이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201)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오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가 폐쇄된다.
상기 개폐부재(201)가 아래로 회전을 하면, 상기 마찰부재(202)도 상기 개폐부재(202)에 의하여 회전을 한다.
이 회전운동시 상기 마찰부재(202)와 상기 돌출부(125)와의 마찰이 발생하나, 그 마찰력이 상기 개폐부재(201)의 회전운동을 막을 정도로 큰 것은 아니므로 상기 개폐부재(201)의 하강운동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강운동을 하면서 회전하는 개폐부재(201)는 하부의 걸림턱(209b)에 걸려서 더 이상 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만약에, 개폐부재(201)가 상부에 있는 걸림턱(209a)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125)와 마찰부재(201)간의 마찰력 및 상기 마찰력과 상기 개폐부재(201)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01)가 하강회전운동을 한다.
그리고, 개폐부재(201)가 하강회전운동을 하면서 하방에 있는 걸림턱(209b)에 걸리는 경우에는 하강회전운동이 제한된다.
상기 회전축(121)이 지속적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여도 상기 개폐부재(201)가 회동가능하게 회전축에 마련되어 있고, 마찰부재(202)와 개폐부재 (201)간의 마찰력이 걸림턱을 변형시킬 정도로 크지는 않으므로, 상기 개폐부재(201)는 하방의 걸림턱(209b)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202)는 와셔형태의 실리콘 링이나, 고무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개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10)의 일측에도 얼음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부(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에는 개폐유닛(210)이 마련된다.
상기 개폐유닛(210)의 개폐부재(211)도 회동하며 상하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211)의 상부로의 회전운동은 상부측의 걸림턱(219a)에 제한되고, 하부로의 회전운동은 하부측의 걸림턱(219b)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2)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25)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125)의 옆에는 상기 회전축(212)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기어부(213)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기어부(213)는 상기 회전축 옆에 배치되는 제1전달기어부(214)와 치합된다.
상기 제1전달기어부(214)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2전달기어부(216)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전달기어부(214)와 상기 제2전달기어부(215) 사이에는 댐퍼부재(215)가 개재된다.
상기 댐퍼부재(215)는 그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는 유체댐퍼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댐퍼부재(215)의 특징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그 일면에 작동하는 회전력을 그 타면에 전달하되, 일방향과 정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타면에 작동하는 회전력이 일면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상기 댐퍼부재(215) 내부에 마련되는 유체의 저항력이 회전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아니한 특징 때문이다.
상기 제2전달기어부(216)는 상기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개폐부재(211)에 마련되는 개폐부재 기어부(217)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21)이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 즉 C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축기어부(213)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기어부(213)와 치합하고 있는 제1전달기어부(214)는 반 시계방향 D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 제1전달기어부(214)와 연결되는 댐퍼부재(215)는 제1전달기어부(214)의 회전력을 제2전달기어부(216)로 전달을 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전달기어부(216)도 제1전달기어부(214)와 동일한 반시계방향인 D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전달기어부(216)와 치합되어 있는 개폐부재 기어부(217)는 상기 제2전달기어부(216)의 운동전달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11)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폐부재(211)가 회전운동 하는 경우, 그 개폐부재(211)의 이동은 제1실시예와 같이 상부측의 걸림턱(219a)에 의하여 제한된다.
한편, 개폐부재(211)가 상기 상부측의 걸림턱(219a)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151)를 개방하고, 동시에 상기 회전축(121)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축 기어부(213)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전달기어부(214)는 상기 댐퍼부재(215)를 회전시킨다.
다만, 댐퍼부재(215)에 의하여 상기 제2전달기어부(216)로 전달되는 힘은 상기 개폐부재(211)를 들어올릴 정도의 힘은 되나, 상기 걸림턱(219a)을 변형시킬 정도의 힘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11)가 상기 상부측의 걸림턱(219a)에 걸려서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 기어부(217)와, 이에 치합되는 제2전달기어부(216)는 정지상태가 되고, 다만, 댐퍼부재(215)만 제2전달기어부(216)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21)이 지속적으로 회전을 하므로 상기 회전축(121)에 설치된 나선형 블레이드 형태의 이송부(도3참조, 122)에 의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 방향으로 계속 얼음이 이동하고,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회전축(121)의 회전이 멈추면, 상기 개폐부재(211)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회동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전달기어부(21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211)가 상기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2전달기어부(216)의 회전력은 상기 댐퍼부재(215)에 의하여 제1전달기어부(214)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전달기어부(214)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2전달기어부(216)의 회전 및 상기 개폐부재(217)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개폐부재(211)는 하부측의 걸림턱(219b)에 걸려서 정지된다.
도7(a)와 도7(b)는 상기 개폐유닛의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개폐유닛(220)의 개폐부재(221)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15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개폐부재(221)의 일측에는 호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222) 및 연장부에 마련되는 랙기어(222a)가 마련된다.
상기 연장부(222)의 랙기어(222a)는 구동기어부(223)와 치합하고, 상기 구동기어부(223)는 구동모터(22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4)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기어부(223)가 회전을 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랙기어(222a)가 형성된 연장부(222)가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개폐부재(221)가 회동하여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21)는 상기 회전축(1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개폐부재(121)의 회전이 상기 회전축(121)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224)가 상기 구동기어부(223)를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222)와 개폐부재(221)도 A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가 개방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1)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21)에 마련되는 이송부(도3참조, 122)에 의하여 얼음이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로 이동하고, 토출된다.
그리고, 제2얼음토출구(151)가 폐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224)가 상기 구동기어부(223)를 B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서 연장부(222)와 상기 개폐부재(221)도 B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얼음토출구(151)를 폐쇄한다.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 근처에는 상기 개폐부재(221)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턱(229)이 마련된다. 따라서, 폐쇄동작시 상기 개폐부재(221)가 상기 걸림턱(229)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개폐부재(221)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1얼음토출구(151)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24)는 상기 얼음보관장치(도1참조, 100) 및 상기 제빙장치(도1참조, 300)가 수용되는 제빙실을 형성하는 제빙실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10)에 얼음이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이송부재(120)가 제A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121)에 마련되는 나선형의 블레이드 형태의 이송부(122)가 얼음을 오른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부(122)에 의하여 이송된 얼음은 상기 얼음이송부재(120)에 마련되는 회전개폐부재(13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회전개폐부재(130) 내부로 유입된 얼음은 상기 회전개폐부재(130)의 개방부(132)를 통과한 다음 상기 얼음분쇄장치(142)의 하우징부(143)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43) 내부에 유입된 얼음은 상기 고정커터유닛(146)의 얼음안착부(146a)에 놓이고, 이후, 상기 회전축(12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커터유닛(144)의 회전작용에 의하여 분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커터유닛(146)의 커팅부(144b)와 상기 회전커터유닛(144)의 커팅부(144b) 사이에 얼음이 끼인 상태에서 각 커팅부(144b,146b)간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분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쇄된 얼음은 상기 하우징부(143)의 얼음유출구(143b)로 빠져나가 아래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에 마련되는 개폐유닛(200)은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막아서 제2얼음토출구(151) 방향으로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상기 안내관개폐장치(161) 또한 상기 안내관(16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이송부재(120)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122)에 의하여 얼음이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에 마련되는 개폐유닛(200)은 상기 도5내지 도7에서 개시된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60)에 의하여 상기 안내관개폐장치(161)가 상기 안내관(162)을 개방한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부(121)에 의하여 제2얼음토출구(151)로 이동한 얼음은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를 통과하고, 이후, 상기 안내관(162)을 따라 이동한 뒤 상기 토출관(170)을 거쳐 상기 디스펜서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얼음이송부재(120)는 상기 상기 제2얼음토출구(151)방향으로만 얼음을 이송하기 때문에 얼음이 상기 제2얼음토출구(141)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아서 상기 얼음분쇄부재(142)에 의하여 분쇄되어 토출되지는 않는다.
100: 얼음보관장치 110: 얼음보관함
120: 얼음이송장치 121: 회전축
122: 이송부 130: 회전개폐부재
131: 차단벽부 132: 개방부
141: 제1얼음토출구 142: 얼음분쇄장치
143: 하우징부 144: 회전커터유닛
146: 고정커터유닛 151: 제2얼음토출구
200;210;220: 개폐장치 201;211;221: 개폐부재
202: 마찰부재 213: 회전축기어부
214: 제1전달기어부 215: 댐퍼부재
216: 제2전달기어부 217: 개폐부재 기어부
222: 연장부 223: 구동기어부

Claims (16)

  1.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되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얼음토출구와 연통되는 얼음의 토출경로를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얼음토출구는
    상기 얼음보관함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얼음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의 정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송부재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고 나선형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분쇄장치는
    상기 제1얼음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커터유닛과;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전커터유닛 회전시 상기 회전커터유닛과와 얼음을 분쇄하는 고정커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중공의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개폐부재는 그 타측에 마련되는 차단벽부와;
    상기 차단벽부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얼음이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분쇄장치의 하우징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부와 연통되는 얼음유입구와;
    상기 얼음분쇄장치의 하우징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분쇄된 얼음이 토출되는 얼음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유닛은 상호간에 이격되되 순차적으로 비틀리게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복수의 회전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터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커터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회전커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유닛은 상기 복수의 회전커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과한 얼음이 안착되는 개방구 형태의 얼음안착부와;
    상기 얼음안착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커터에 마련된 커터부와 함께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의 형상은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개방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동하는 얼음이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개폐부재와 면접촉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로 전달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회전축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 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마련되는 개폐부재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축 기어부의 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
  15.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 및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얼음토출구 또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로 이동하는 얼음의 이동을 교번적으로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개폐부재와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16.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마련되는 제1얼음토출구 및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얼음토출구와;
    상기 얼음보관함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얼음토출구 또는 상기 제2얼음토출구로 선택적으로 얼음을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얼음이송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얼음토출구로 이동하는 얼음의 이동을 교번적으로 차단하는 회전개폐부재와;
    상기 얼음이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개폐부재와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2얼음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제1얼음토출구와 상기 회전개폐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개폐부재를 통과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얼음분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보관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100000090A 2010-01-04 2010-01-04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10117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90A KR101177462B1 (ko) 2010-01-04 2010-01-04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90A KR101177462B1 (ko) 2010-01-04 2010-01-04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967A true KR20110079967A (ko) 2011-07-12
KR101177462B1 KR101177462B1 (ko) 2012-08-24

Family

ID=4491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90A KR101177462B1 (ko) 2010-01-04 2010-01-04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87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80068071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오거의 제조방법
CN110425784A (zh) * 2018-04-30 2019-11-08 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用制冰机
EP3786549A4 (en) * 2018-06-19 2021-06-30 Hefei Hualing Co., Ltd. ICE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INCLUDING 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2954B1 (en) 2001-07-02 2002-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hopper icemaking refriger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873A (ko) * 2016-06-02 2017-12-12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20180068071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오거의 제조방법
WO2018110898A1 (en) * 2016-12-13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uger for the refrigerator
CN109716047A (zh) * 2016-12-13 2019-05-03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和制造用于冰箱的螺旋推运器的方法
US11073321B2 (en) 2016-12-13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uger for the refrigerator
CN110425784A (zh) * 2018-04-30 2019-11-08 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用制冰机
EP3786549A4 (en) * 2018-06-19 2021-06-30 Hefei Hualing Co., Ltd. ICE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INCLUDING IT
US11480376B2 (en) 2018-06-19 2022-10-25 Hefei Hualing Co., Ltd. Ice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462B1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61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EP3293474B1 (en) Refrigerator
US9857118B2 (en) Refrigerator
KR101177462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20090054088A (ko) 얼음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060027146A (ko) 가루얼음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80065435A (ko) 냉장고용 얼음안내장치
KR20170116872A (ko) 얼음 분리 성능이 개선된 아이스 빈 및 그 아이스 빈이 구비된 냉장고
KR101177463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101177439B1 (ko) 얼음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정수기
KR100776444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KR101236771B1 (ko) 제빙기의 얼음 분리 저장 장치
KR100799997B1 (ko) 얼음분쇄기와 이를 이용한 얼음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20080016370A (ko) 냉장고
KR101482383B1 (ko) 정수기
KR101988948B1 (ko) 얼음저장고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20080000127A (ko) 냉장고
KR101322317B1 (ko) 얼음 취출 장치
KR20170112212A (ko) 얼음저장고
KR20170138662A (ko) 얼음저장고
KR20040074856A (ko) 냉장고의 얼음 분쇄장치
KR20070102845A (ko) 냉장고
KR20170136755A (ko) 얼음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