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229A -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 Google Patents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9229A KR20110079229A KR1020090136226A KR20090136226A KR20110079229A KR 20110079229 A KR20110079229 A KR 20110079229A KR 1020090136226 A KR1020090136226 A KR 1020090136226A KR 20090136226 A KR20090136226 A KR 20090136226A KR 20110079229 A KR20110079229 A KR 201100792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arm
- screen
- bed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영상 스크린 장치는,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이 스크린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아암과, 이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시각에 대응하여 스크린이 적절하게 배치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한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상 스크린 장치는, 영사기, 투사기, 환등기 등의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된 영화나 환등 등의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막)을 구비한다.
이러한 영상 스크린 장치는, 벽 등에 고정되거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이 벽에 펼쳐진 상태로 제작되거나, 스크린을 롤 등에 권회하거나 풀어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린이 공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 배치되므로, 시각의 조절이 곤란하다. 이에 기인하여 시청자는 영상의 시청시 일정한 자세를 계속 유지해야 하므로 피로감을 느끼기 쉽고 흥미 및/또는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람자의 자세 변화에 대응되게 스크린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력에 의해 스크린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전개된 상태로 지지하는 아암; 및 상기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컬럼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에 대해 상기 아암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회전된 상태로 상기 아암을 유지되게 하는 경사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침대본체;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컬럼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에 형성되는 컬럼지지부;를 포함하는 침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전기력 에 의해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아암을 회동 구동시키는 경사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에는 상기 스크린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에는 멀티미디어기기가 설치되는 설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컬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에는 전원과 연결될 수 있게 전원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람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시각의 변화에 대응되게 스크린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력에 의해 스크린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 특히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의 높이 및/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영상을 관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경사조절부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경사조절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는, 침대본체(100)와, 영상이 투영되어 비치는 스크린(210)과,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스크린(210)을 지지하는 아암(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230)을 구비한 영상 스크린 장치(200); 및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의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100)에 형성되는 컬럼지지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매트리스(mattress)(110)와, 상기 매트리스(1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매트리스(110)가 올려 놓여 지는 상판부(121)와, 상기 상판부(121)를 바닥에 대해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레그부(12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21)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지는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121)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부분상판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분상판부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분상판부는 수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거나 또는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회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21)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부분상판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분상판부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 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의 주변에는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에 영상을 조사할 수 있게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빔 프로젝터(170)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머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빔 프로젝터(170)는 상기 침대본체(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천장이나 벽, 또는 테이블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빔 프로젝터(170)가 상기 침대본체(100)의 머리측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침대본체(100)의 머리측에는 상기 빔 프로젝터(170)가 수용될 수 있게 빔프로젝터수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수용부(130)의 내부에는 상기 빔 프로젝터(17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 프로젝터(170)의 투사 경로 중에는 영상을 반사할 수 있게 복수의 미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빔 프로젝터(170)에서 투사된 영상의 크기를 적절히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수용부(130)는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수용부(130)에는 개폐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35)의 내면에는 상기 미러(131)들 중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빔프로젝터(170)의 작동 중에는 상기 개폐부(135)가 개방되어 그 내부에 구비된 미러(131)가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로 영상을 반사하고, 상기 빔프로젝터(170)가 작동되지 아니할 때는 상기 개폐부(135)는 하향 회동되어 상기 빔프로젝터수용부(130)의 개구(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빔 프로젝터(170)에는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180)가 연 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80)는, 피씨(personal computer)(181), 디브이디(DVD) 플레이어(183), 게임기기(미도시), 디지털 캠코더(camcorder)(미도시), 셋톱 박스(set top box)(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180)들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의 주변 또는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80)가 설치될 수 있게 멀티미디어기기설치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설치공간(S)은 상기 침대본체(100)의 저부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설치공간(S)에는 상기 멀티미디어기기(180)가 전원에 연결될 수 있게 전원연결부(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설치공간(S)에는 인터넷선 또는 랜선이 연결될 수 있게 통신선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기기설치공간(S)에는 상기 멀티미디어기기(180)를 수납할 수 있는 설치대(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175)는 상기 침대본체(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175)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175)는 롤러(17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설치대(175)의 출입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롤러(175)는 상기 설치대(175)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의 일 측에는 상기 설치대(175)가 인출될 수 있게 개폐부 또는 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175)에는 상기 빔 프로젝터(170)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80)들을 연결할 수 있게 연결장치(190)가 구비될 수 있 다. 이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80)와 상기 빔 프로젝터(17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 또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주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스피커(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9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95)는 상기 빔 프로젝터(17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상기 빔 프로젝터(170)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비치는 스크린(screen)(210)과, 상기 스크린(210)을 펼쳐진 상태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아암(arm)(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column)(23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권회롤(미도시)의 둘레에 권회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린(210)이 상기 권회롤에 권회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회롤에 탄성력을 가하는 권회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의 일 측에는 상기 스크린(210)이 출입할 수 있게 출입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0)의 일 단부는 상기 권회롤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출입구(213)를 통해 상기 하우징(211)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우징(211)의 외부로 인출된 스크린(210)의 단부에는 바(bar)(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215)는 상기 출입구(213)의 두께(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바(215)는 상기 스크린(210)이 상기 하우징(211)의 내부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억제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210)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아암(220)에는 상기 바(215)가 고정될 수 있게 바고정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고정부(225)는 상기 바(215)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아암(220)에 홈 또는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211)을 지지할 수있게 아암(2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은 상기 아암(22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은 상기 침대본체(100)에 수직하게 배치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아암(220)이 지지될 수 있게 컬럼지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5)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발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럼지지부(125)는 상기 지지대(120)의 측면부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5)는 상기 컬럼(230)의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컬럼(230)은, 하부컬럼(231)과, 상기 하부컬럼(231)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컬럼(23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컬럼(231)에는 상기 상부컬럼(232)이 상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높이조절부재(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컬럼(232)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35)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홈 또는 구멍 형태로 된 삽입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35)는 상기 컬럼(230)에 나사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럼(230)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아암(220)의 일 측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과 상기 아암(220)의 상호 연결영역에는 상기 컬럼(230)에 대해 상기 아암(220)이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재(240)는, 상기 아암(220) 및 컬럼(2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사조절볼트(241)와, 상기 경사조절볼트(24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사조절너트(24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너트(243)를 풀면 상기 아암(220)은 상기 컬럼(2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며, 이때 상기 아암(220)을 적절한 위치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경사조절너트(243)를 조여 고정하면 상기 아암(220)이 고정된다.
상기 경사조절부재(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억제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재(250)는 상기 컬럼(230)과 상기 아암(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재(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반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경사조절볼트(241)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2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억제부재(250)는 고무부재 또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재(250)의 일 판면에는 요철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55)는, 예를 들면, 원주방향을 따라 정(頂)부(256) 및 저(低)부(257)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게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억제부재(250)는 상기 컬럼(230) 및 상기 아암(220)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을 관람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스크린(210)이 사용자의 적절한 시선 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컬럼(2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컬럼(23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35)를 풀어 상기 높이조절부재(235)의 단부가 삽입부(237)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컬럼(232)을 하부컬럼(231)에 대해 올리거나 내린 후 다시 높이조절부재(235)의 단부가 삽입부(237)에 삽입되도록 하면 높이조절이 완료된다.
다음, 상기 빔 프로젝터(170)로부터 조사되어 스크린(210)에 맺힌 영상과 시각이 적절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아암(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경사조절너트(243)를 풀어 상기 회전억제부재(250)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암(220)이 적절한 경사각을 가지게 상기 아암(220)을 상향회동 또는 하향 회동시킨다. 다음, 상기 아암(220)이 적절한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경사조절너트(243)를 조인다. 이때, 상기 회전억제부재(250)들은 각 접촉면의 정부(256) 및 저부(257)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아암(220)이 불시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빔 프로젝터(170)로부터 조사된 영상이 비치는 스크린(210)과,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스크린(210)을 지지하는 아암(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 럼(23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0)은, 하우징(211)과, 상기 하우징(2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도시 하지 아니한 권회롤 및 권회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에는 상기 스크린(210)이 출입할 수 있게 출입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의 외부로 인출된 스크린(210)의 단부에는 바(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에는 상기 바(215)를 고정할 수 있게 바고정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고정부(225)는 홈 또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은 상기 컬럼(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 및 컬럼(2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경사조절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재(240)는, 상기 아암(220) 및 컬럼(2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사조절볼트(241)와, 상기 경사조절볼트(24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사조절너트(24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럼(230)은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럼(230)은, 하부컬럼(231)과, 상기 하부컬럼(231)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컬럼(23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컬럼(232) 및 하부컬럼(231)은 사각의 관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컬럼(232)은 상기 하부컬럼(23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상기 하부컬럼(231)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컬럼(231) 및 상부컬 럼(232)에는 높이조절부재(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컬럼(232)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35)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37)는 홈 또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35)는 상기 하부컬럼(2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상기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100)와 별개로 형성되는 받침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와 스크린(210)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0)에는 상기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컬럼지지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310)는 상기 컬럼(230),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컬럼(231)의 하부영역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컬럼(231)은 상기 받침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300)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바퀴(3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컬럼 결합영역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7의 영상 스크린 장치의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는, 침대본체(100)와, 영상이 맺혀지는 스크린(210)과,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스크린(210)을 지지하는 아암(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230)을 구비한 영상 스크린 장치(200); 및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의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100)에 형성되는 컬럼지지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상판(115)과, 상기 상판(115)을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115)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상판지지부(122)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판(115)의 표면이 상기 지지대(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침대본체(10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판(115)은 석재(예를 들면 옥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15)에는 상기 상판(115)을 가열할 수 있게 가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전기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가열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전력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빔 프로젝터(170)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표면에 비치는 스크린(210)과, 상기 스크린(210)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아암(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23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0)은 하우징(2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권회롤(미도시)의 둘레에 권회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에는 상기 스크린(210)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1)의 외부에 배치되는 스크린(210)의 단부에는 바(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은 두 아암(22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은 상기 아암(220)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에는 상기 스크린(210)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바(215)가 고정될 수 있게 바고정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은 상기 컬럼(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컬럼지지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7)는 상기 컬럼(23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7)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상판(115)의 발치에 상기 컬럼(230)의 하단이 소정 깊이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암(220)과 상기 컬럼(2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경사조절유닛(3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전기 동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에 전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전원연결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상기 컬럼(2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접속단자(321)와, 상기 침대본체(100)에 상기 접속단 자(321)와 접속되고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21)는 상기 컬럼(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경사조절유닛(350)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323)는 상기 침대본체(100)에 구비되는 전력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상기 아암(220)에 연결되는 구동축(351); 상기 구동축(35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아암구동모터(355);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와 상기 구동축(35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35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에는 상기 컬럼(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321)에 일단이 연결된 케이블(322)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의 양 단부는 상기 컬럼(2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에는 상기 구동축(3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베어링(3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은 상기 두 아암(220)의 하단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아암(22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구동축(351)이 관통할 수 있게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요철부(3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아암(220)의 관통공에는 요철맞물림부(3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축(351)의 회전력이 상기 아암(22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361) 및 요철맞물림부(362)는 스플라인(spline) 또는 세레이션(serrati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의 일 단부영역에는 상기 아암(22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아암구동모터(3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와 상기 구동축(351) 사이에는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351)에 전달할 수 있게 동력전달수단(3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57)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357)은,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358)와, 상기 구동축(351)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358)와 맞물림되는 동력전달기어(3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357)을 구성하는 기어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357)은 벨트 및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체인 및 스프로킷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터(355) 및 동력전달수단(357)의 외부에는 이들을 수용할 수 있게 케이스(3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구동모터(355)를 제어할 수 있게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유닛(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10)은 피씨비(pcb)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케이스(3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80)에는 상기 아암(220)을 상승 회동 또는 하강 회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신호입력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9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상승회동버튼(391) 및 하강회동버튼(39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회동버튼(391) 및 하강회동버튼(392)은 상기 케이스(380)의 외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승회동버튼(391) 및 상기 하강회동버튼(392)은 각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상기 제어유닛(4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90)는 원거리에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리모컨(395)(remote control: 원격조정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95)에는 상기 아암(220)의 상승 회동 및 하강 회동 신호 입력을 위한 상승회동버튼(396) 및 하강회동버튼(397)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유닛(410)에는 무선신호(예를 들면 상기 아암(220)의 상승 회동 신호 및 하강 회동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무선통신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침대본체(100)에서 상기 케이스(380) 측으로 이동함이 없이 상기 리모컨(395)의 상승회동버튼(396) 및 하강회동버튼(397)을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아암(220)을 상승 회동 및 하강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상기 케이스(380)의 상승회동버튼(391) 및 하강회동버튼(392)을 구비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무선통신부(411)만을 구비하거나, 이들 둘 다를 동시에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컬럼(230)을 지지하는 받침대(3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0)는 상기 컬럼(230)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지지될 수 있게 컬럼지지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0)의 내부에는 상기 컬럼(230)의 접속단자(321)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전원단자(3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333)는 케이블(334)에 의해 상용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334)의 단부에는 플러그(3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335)가 상용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컬럼(230)이 상기 컬럼지지부(127)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321)와 전원단자(333)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전원과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침대본체(100) 위에서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을 관람하고자 할 때는,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의 컬럼(230)을 상기 침대본체(100)의 컬럼지지부(127)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컬럼(230)의 접속단자(321)와 전원단자(323)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음, 상기 스크린(210)이 사용자의 시각(시선)과 적절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은 상기 케이스(380)에 구비된 상승회동버튼(391) 또는 하강회동버튼(392)을 조작하거나, 리모컨(395)의 상승회동버튼(396) 또는 하강회동버튼(397)을 조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승회동버튼(391,396) 또는 하강회동버튼(392,397)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410)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암구동모터(355)를 제어하여 상기 아암(220)이 상승회동 또는 하강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승회동버튼(391,396) 또는 하강회동버튼(392,397)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스크 린(210)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300)를 이용하여 상기 컬럼(230)을 지지하고자 할 때는, 상기 침대본체(100)로부터 상기 컬럼(230)을 분리 인출하고, 상기 컬럼(230)을 상기 받침대(300)의 컬럼지지부(310)에 삽입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300)의 전원 플러그(335)를 전원과 연결하면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리모컨(395)의 상승회동버튼(396) 및 하강회동버튼(397)을 조작하여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리모컨(395)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아암(220)이 상승회동 또는 하강회동하게 상기 아암구동모터(35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린(210)이 적적한 경사각으로 배치되게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부분절취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영상 스크린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는, 침대본체(100)와, 영상이 비치는 스크린(210)과, 상기 스크린(210)이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아암(220)과, 상기 아암(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230)을 구비한 영상 스크린 장치(200); 및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의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100)에 형성되는 컬럼지지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는, 상판(115)과, 상기 상판(115)을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10)은 하우징(211)의 내부에 일 단이 인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권회롤이 구비되며, 상기 권회롤은 권회스프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1)에는 상기 스크린(210)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213)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210)의 외측 단부에는 바(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은 상기 컬럼(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침대본체(100)에는 상기 컬럼(230)을 지지할 수 있게 컬럼지지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7)는 상기 컬럼(23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7)는 상기 침대본체(100)의 상판(115)의 발치에 상기 컬럼(230)의 하단이 소정 깊이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과 상기 컬럼(23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경사조절유닛(3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대응되게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전기 동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은 긴 길이를 가지는 단일의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럼(230)은 신축 가능하게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컬럼(230)은, 하부컬럼(231)과, 상기 하부컬럼(231)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컬럼(23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하부컬럼(231))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에 전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전원연결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상기 컬럼(2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접속단자(321)와, 상기 침대본체(100)에 상기 접속단자(321)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321)는 상기 컬럼(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경사조절유닛(350)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323)는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유닛(350)은, 상기 아암(220)에 연결되는 구동축(351); 상기 구동축(35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아암구동모터(355);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와 상기 구동축(35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35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5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에는 상기 컬럼(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321)와 연결되는 케이블(32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구동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53)이 구비되며, 상기 각 아암(22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구동축(351)이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암(220)과 상기 구동축(351)의 상호 결합영역에는 요철부(361) 및 요철맞물림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축(351)의 회전력이 상기 아암(22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51)의 일 단부영역에는 상기 아암구동모터(355)가 구비되며,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와 상기 구동축(351)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3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57)은,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358)와, 상기 구동축(351)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358)와 맞물림되는 동력전달기어(35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는 상기 컬럼(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컬럼(230)을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유닛(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유닛(450)은 전기력을 구동력으로 하여 동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유닛(450)은, 상기 컬럼(230)의 승강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컬럼구동모터(451)와, 상기 컬럼구동모터(451)의 구동력을 상기 컬럼(2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5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230)은, 상기 침대본체(100)에 고정지지되는 하부컬럼(231)과, 상기 하부컬럼(231)에 대해 승강하는 상부컬럼(23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55)은, 상기 컬럼구동모터(45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피니언(456)과, 상기 컬럼(230),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컬럼(231)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456)과 맞물림되어 상대 운동하는 랙치형부(45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피니언(456)이 회전하면 상기 랙치형부(457)가 승강함으로써 상기 컬럼(230)이 승강하게 된다. 상기 랙치형부(457)는 상기 상부컬럼(23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455)은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127)는 상기 컬럼(230)(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컬럼(231))이 소정 깊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암구동모터(355)의 주변에는 상기 아암구동모터(355)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케이스(3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유닛(350) 및 상기 승강구동유닛(450)을 제어할 수 있게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유닛(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케이스(3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10)에는 상기 아암구동모터(355) 및 상기 컬럼구동모터(451)이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80)에는 상기 아암(220)을 상승 회동 또는 하강 회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신호입력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90)는 상기 제어유닛(410)에 신호 입력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9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들은 상기 케이스(38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80)에 구비되는 버튼은 상기 아암(220)의 상승 회동 및 하강 회동 조작을 위한 상승회동버튼(391) 및 하강회동버튼(39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컬럼(230)의 상승 및 하강 조작을 위한 상승버튼(393) 및 하강버튼(394)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90)는 상기 제어유닛(410)에 무선통신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리모컨(39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리모컨(395)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무선통신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모컨(395)에는 상기 아암(220)의 상승회동 및 하강회동 조작을 위한 상승회동버튼(396) 및 하강회동버튼(397)과, 상기 컬럼(230)의 승강 조작을 위한 상승버튼(398) 및 하강버튼(399)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침대본체(100)에서 상기 케이스(380) 측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리모컨(395)의 조작만으로 상기 스크린(210)의 높이 및 경사각을 각각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침대본체(100) 위에서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을 관람하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스크린(210)이 사용자의 시각(시선)과 적절한 높이 및 경사각을 가지게 상기 스크린(210)의 높이 및 경사각을 조절한다.
상기 스크린(2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리모컨(395)의 상승버튼(398) 또는 하강버튼(399)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상승버튼(398) 또는 하강버튼(399)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컬럼(230)이 승강되게 상기 컬럼구동모터(451)를 제어한다.
상기 스크린(210)의 경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리모컨(395)의 상승회동버튼(396) 및/또는 하강회동버튼(397)을 조작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상승회동버튼(396) 또는 하강회동버튼(397)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유닛(410)은 상기 아암(220)이 상승회동 또는 하강회동하게 상기 아암구동모터(355)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침대본체(100) 위에서 케이스(380) 측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리모컨(395)을 조작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스크린(210)의 높이 및/또는 경사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도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받침대(300)를 이용하여 영상 스크린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는 도 1의 경사조절부영역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경사조절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컬럼 결합영역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제어블록도,
도 11은 도 7의 영상 스크린 장치의 받침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영상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침대의 부분절취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영상 스크린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침대본체 125 : 컬럼지지부
130 : 빔프로젝터수용부 131 : 미러
135 : 개폐부 170 : 빔 프로젝터
175 : 설치대 171 : 도어
190 : 연결장치 195 : 스피커
200 : 영상 스크린 장치 210 : 스크린
211 : 하우징 213 : 출입구
215 : 바 220 : 아암
225 : 바고정부 230 : 컬럼
231 : 하부컬럼 232 : 상부컬럼
240 : 경사조절부재 241 : 경사조절볼트
243 : 경사조절너트 250 : 회전억제부재
Claims (11)
-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상기 스크린을 전개된 상태로 지지하는 아암; 및상기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컬럼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컬럼에 대해 상기 아암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회전된 상태로 상기 아암을 유지되게 하는 경사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컬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받침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스크린 장치.
- 침대본체;제1항의 영상 스크린 장치; 및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컬럼을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침대본체에 형성되는 컬럼지지부;를 포함하는 침대.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전기력에 의해 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아암을 회동 구동시키는 경사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침대.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침대본체에는 상기 스크린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침대본체에는 멀티미디어기기가 설치되는 설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멀티미디어기기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영상 스크린 장치의 컬럼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226A KR20110079229A (ko) | 2009-12-31 | 2009-12-31 |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226A KR20110079229A (ko) | 2009-12-31 | 2009-12-31 |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229A true KR20110079229A (ko) | 2011-07-07 |
Family
ID=4491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6226A KR20110079229A (ko) | 2009-12-31 | 2009-12-31 |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922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3414A1 (ko) * | 2016-06-07 | 2017-12-14 | 안성호 |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
CN109043964A (zh) * | 2018-09-07 | 2018-12-21 | 徐州唯顾家家具有限公司 | 一种多媒体床垫 |
KR102121596B1 (ko) * | 2019-11-21 | 2020-06-10 | 송경진 | 티브 벽걸이 거치대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6226A patent/KR201100792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3414A1 (ko) * | 2016-06-07 | 2017-12-14 | 안성호 |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
KR20170138144A (ko) * | 2016-06-07 | 2017-12-15 | 안성호 | 영상 출력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
CN109043964A (zh) * | 2018-09-07 | 2018-12-21 | 徐州唯顾家家具有限公司 | 一种多媒体床垫 |
KR102121596B1 (ko) * | 2019-11-21 | 2020-06-10 | 송경진 | 티브 벽걸이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3920B1 (ko) |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556679B1 (ko)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848619B1 (ko) |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0521359B1 (ko) |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 |
KR101613929B1 (ko) |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00931B1 (ko) |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 |
US9167192B2 (en) | Display system | |
JP2007032654A (ja) | 機器取付装置、調整冶具、及び調整機構付撮像装置 | |
KR100383888B1 (ko) |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 |
US20130129047A1 (en) | Patient table and x-ray imaging system having the same | |
US9095310B2 (en) | Radiographic apparatus | |
KR101605041B1 (ko) |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00927B1 (ko) |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803722B1 (ko) |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JP2006060773A (ja) | カメラのパン・チルト装置 | |
KR20110079229A (ko) | 영상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침대 | |
KR101969635B1 (ko) |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91951B1 (ko) | 탄성복원 밸런싱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0726813B1 (ko) |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 |
KR101607917B1 (ko) |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 |
KR100593059B1 (ko) |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 |
KR101778545B1 (ko) | 엑스레이촬영장치 | |
KR101697074B1 (ko) | 보조 견인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20080064647A (ko) | 수직이동장치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83646B1 (ko) | 랙기어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