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170A -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 Google Patents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170A
KR20110079170A KR1020090136149A KR20090136149A KR20110079170A KR 20110079170 A KR20110079170 A KR 20110079170A KR 1020090136149 A KR1020090136149 A KR 1020090136149A KR 20090136149 A KR20090136149 A KR 20090136149A KR 20110079170 A KR20110079170 A KR 2011007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ation liquid
main body
liquid supply
be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7134B1 (en
Inventor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임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혁 filed Critical 임준혁
Priority to KR102009013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134B1/en
Publication of KR2011007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device and to enable a user to easily observ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CONSTITUTION: A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installed in lower one side of the outside of a beehive, has an opened top, and forms a feed liquid discharge pipe in lower one side thereof; a lid covering the main body; a feed liquid inlet tube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lid; a feed liquid supply control part(100) consisting of a buoy hinge-coupled with the side of the main body; a main body of a container structure where the top is opened; a feed part(200); a connection part(300).

Description

분리형 벌 사양기{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본 발명은 분리형 벌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통으로 먹이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사양기를 벌통 외부에 위치하는 사양액공급조절부와 벌통 내부에 위치하는 사양부로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부를 매우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서 벌통 내부의 하부에 부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의 사양부는 단순 저장용 장치로 이루어져 고장문제가 없으며 외부의 사양액공급조절부는 벌로부터 격리되어 있어 벌들이 빠져 죽거나 하여 고장나는 경우가 매우 적어 사양기의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사양부에 저장되는 사양액의 양을 조절하는 부구 등 기타 장치를 사양공급조절부에 설치함으로써 사양액을 공급하는 데 효율적인 분리형 벌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bee specification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he specification device used to feed the beehive is installed inside by separa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located outside the beehive and the specification part located inside the beehive The specification part can be manufactured in a very small size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hive, and the internal specification part consists of a simple storage device so that there is no problem of failure. It is very unlikely that it dies or breaks down so that the specification machine can be properly managed, and other equipment such as a fitting to adjust the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tored in the specification part can be used to supply the specification liquid. An efficient split bee specifier.

일반적으로 벌을 사육함에 있어서 겨울철이나 장마철 등 무밀기에, 혹은 유밀기라도 채밀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벌통에 사양액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를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이는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이었고, 이에 여러 가지 사양장치가 제안되어 벌 사육농가에서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저장장치에 공급되는 사양액을 일정한 수위로 유지하는 사양액공급조절 장치가 제안되어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자동사양기가 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사양기는 일반적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는 장치와 사양액을 저장하는 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와 같은 사양장치는 통상 공급되는 사양액이 저장장치를 넘쳐흐르는 경우가 많아 사양액의 낭비가 심하였고 벌이 사양액에 빠져 죽는 경우도 많아 부구 등 여러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여 고장률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n the breeding of bees,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beehives artificially in the winter or in the rainy season, or when the amount of wheat is not enough to be fed. In the past, this was mainly reliant on manual work, which wa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and various specification devic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in bee breeding farms. Representatively, a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a specification liquid supplied to a storage device at a constant level has been proposed, and a conventional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has been used.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is generally composed of a device for supplying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a device for stor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uch a specification device usually has a waste of specification liquid because the supplied specification liquid often overflows the storage device. In many cases, the bee was drowned in the specification solution, and many of them failed to operate the device such as the ball, which had a very high failure rate.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사양기는 사양액공급조절장치와 저장장치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그 크기 때문에 벌통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벌통 내부의 벌집을 떼어내고 그 자리에 설치하게 되어 있었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구성된 자동사양기는 로얄제리 등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거의 매일 벌의 내검을 실시해야만 하는 현대 사육농가의 현실상 내검시 일일이 모든 장치가 일체로 달려있는 사양기를 들어내었다가 다시 설치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아주 큰 불편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벌통 내부에 모든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양기가 잘 작동하는지 관찰이 어렵고 장치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 장치 전체를 벌통에서 들어 내야하고 수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사양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벌통마다 일일이 사양액공급조절장치를 청소나 정비 등을 해주어야 하는 등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양기가 벌통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먹이를 위로 저장하는 벌들의 습성으로 인해 하단 아래층에 위치하는 여왕벌이 인식을 하지 못하여 산란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is made in one piec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both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and the storage device because of its size wa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ive or to remove the honeycomb inside the hive and installed in place. In this case, the integrated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is a process of lifting up and re-installing the specification machine that is equipped with all the devices at the time of the actual internal inspection of modern breeding farmers who have to perform internal inspection of bees almost daily to produce high value products such as royal jelly. Repeatedly,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and all the devices are installed inside the hive, making it difficult to observe whether the specifier works well, and when the device breaks down, the whole device has to be lifted from the hive and in case repair is not possibl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replacing the whole.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management, such as having to clean and maintai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for each beehive because it is integrated. In addition, when the spectromete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ive, there is a problem in spawning because the bees that are located in the lower lower layer do not recognize due to the habit of the bees storing the food up.

그리고 종래의 자동사양기는 사양액공급조절장치의 수위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육시기와 기타 상황에 따른 사양액의 필요한 공급량이 다름에도 언제나 똑같은 양의 사양액을 공급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utomatic specification machine has a problem in that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is fixed so that the same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always supplied even though the required supply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according to the breeding time and other circumstances is differen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일체로 구성된 벌 사양기와는 달리 사양액공급조절부와 사양부를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벌통에서 벌 사양기가 차지하는 크기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며, 거의 매일 반복하여 실행되는 내검시 장치의 분리와 설치가 용이하고 각 장치의 작동 상태를 관찰하기 쉽고 그 관리와 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필요시 사양부에 공급하는 사양액의 수위를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벌사양기를 제공함에 있다.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bee specification consisting of a single bee by limiting the size of the bee specification in the beehive by install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nd the specification part separately, repeated almost daily Easy to remove and install the internal inspection device, easy to observe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device, easy to manage and repair, and separate bee specification that can adjust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part by simple operation In providing a fla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리형 벌 사양기는, Removable bee specifier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벌통 외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하부에 사양액유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상하로 관통하여 삽입결합되어 있는 사양액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설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부구로 구성되는 사양액공급조절부; 벌통 내부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일정한 수위의 사양액이 저장되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다수 개의 연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 구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체를 덮으며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 개가 격자 형태를 이루며 설치되며 각각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어 있는 사양용 격판으로 구성되는 사양부; 및 상기 사양액유출관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 중 어느 하 나 이상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hiv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outflow pipe is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nflow pipe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lid which covers the main body, and penetrates the lid up and down. A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djusting par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nfigured with a hinge which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beehive, and the bottom surface is open at the top to store a certain level of specification liquid, and at one side of the barrel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top of the body. A cover part coupled to cover the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inside the main body in a lattice shape, each lower end of which includes a diaphragm for specifica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outflow pipe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ny one or more of the connection through-hole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이때,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본체 중 벌통의 외측면과 접하는 측면에는 양측 세로모서리에 그 길이를 따라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단이 서로 마주보며 직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삽입지지구와 체결구를 통해 벌통의 일측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삽입지지구가 형성하고 있는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벌통고정판으로 구성되는 벌통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벌통고정판을 벌통에 직접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을 한 다음에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를 직접 상기 벌통고정판에 삽입지지구를 통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 사양액공급조절부가 벌통에 인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At this tim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the side of the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ehive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along its length on both side vertical edges and both sides are bent at right angles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side constant up and down It further includes a beehive fixing part consisting of a beehive fixing plate which can b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ehive through the insertion support and the fastener forming a space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sertion support.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Therefore, the beehive fixing plate can be fixed to the beehive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and the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eehive fixing plate through the insertion support, so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is adjacent to the beehive. It can be fixed.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벌 사양기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 뚜껑의 중심부에는 나사홈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중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사양액유입관은 상기 관통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구에 사양액유입관이 나사결합됨으로 인하여 회전방향을 바꾸어도 손쉽게 사양액유입관이 삽입된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양액공급조절부 본체의 내부에 저장되는 사양액의 양을 부구가 뜨는 수위에 맞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ble bee spec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The screw thread is form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is screwed to the through hole. Since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is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the depth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can be easily adjusted even if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hanged. It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float level.

한편,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부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최고 수위시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하단을 내장하여 사양액의 유입을 폐쇄하는 부구홈을 더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부구의 상단에 형성된 부구홈을 통해 사양액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사양액은 부구가 상승하여 상기 사양액유입구를 막게 되면 더 이상 사양액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uth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uth groove for closing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by embedding the bottom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t the highest water level. When the specification liquid flowing through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through the mouth groov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th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the specification liquid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body when the accessory is raised to block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아울러,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부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부구홈에 내장되며, 상기 부구의 최고 수위시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사양액유입관과 부구홈과의 밀폐를 도와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부구가 최고수위를 기록할 때 사양액이 새어나오거나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t-in buoy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uoy,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late fo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t the highest level of the float. . This serves to help seal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nd the float groove effectively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leaking out when the float records the highest level.

또한,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사양액유입관 상단과 결합되어 벌통외부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액공급통과 연통되도록 하는 사양액공급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사양액공급연결관은 ㄱ자형 또는 T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nd installed in the beehive and communicate with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the specification liquid. At this tim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is preferably made of a L-shape or T-shape.

아울러,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사양액유출관이 위치한 곳보다 높고 상기 부구가 본체와 힌지결합된 곳보다 낮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 형태의 사양액넘침배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양액의 공급이 과잉되어 본체의 내부에 사양액이 과잉공급이 된다 하더라도 부구의 힌지회동에 무리가 없도록 사양액을 상기 사양액공급량조절부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the through-flow specification liquid overflow outlet formed in one sid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pecification liquid discharge pipe is located and the lower portion is hinged to the body.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is plays a role of discharging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mount control unit to the outside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hinge rotation of the mouth even i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excessively supplied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벌 사양기에 있어서, 상기 사양용 격판은 상기 본체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격판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단에 다수의 격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격판과 상기 가로격판의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격자 결합홈이 하단에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의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In the separable bee specific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diaphragm is fixed to the diaphragm fixing groove which is formed in a plurality of inner vertical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lattic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top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lattice coupling grooves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lattice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the leg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 vertical plat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벌 사양기 중 상기 사양부는 상기 연결통공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연결통공을 개폐할 수 있는 연결통공막음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cification portion of the detachable bee spec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through-hole blocking bol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hole by screwing with the connection hol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벌사양기 중 연결부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과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과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관 및 일측단은 상기 제1연결관과 연통되어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은 상기 제2연결관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parate bee specific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outflow pip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one end of the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hole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is The first connection tube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ube.

아울러 사양액의 공급상태 및 저장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본체와 상기 본체 뚜껑은 그 내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determine the supply state and storage stat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and the body li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grasp the internal state.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벌 사양기는, 종래의 일체형 벌 사양기에 비해 벌통 외부에는 사양액공급조절부를, 벌통 내부에는 사양부를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부를 매우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서 벌통 내부의 하부에 부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eparating bee specifica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piece bee specification machine, can be produced in a very small size specification part installed inside by separa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ortion outside the beehive, and the specification part inside the beehi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laid at the bottom.

또한, 벌통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사양부는 고장이 나지 않는 단순한 구조 로 이루어져 있고 벌통 외부에 설치되는 사양액공급조절부는 벌로부터 격리되어 있어 벌들이 빠져 죽거나 하여 벌의 사체로 인하여 벌 사양기가 고장이 나는 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였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par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eehive has a simple structure that does not fail,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installed outside the beehive is isolated from the bee so that the bee specifier fails due to the dead body of the bee. I have another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cause at the source.

설혹 사양기 자체에서 수리를 요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장치 전체를 들어낼 필요가 없고 주로 장치 자체의 수리가 요구되는 사양액공급조절부만 별도로 떼어 내어 수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가 용이하고 설사 수리가 불가능하여 교체를 하여야 한다 하더라도 고장이 난 사양액공급조절부만 교체를 하면 되므로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라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Even if the specifier itself requires repairs, it is not necessary to lift the whole device, and only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which requires repair of the device itself, can be removed and repaired. Even if a replacement is required, only the failed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needs to be replaced, which is another cost-effective advantage.

한편, 사양액공급조절부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일일이 벌통 등의 내부를 관찰하지 않아도 사양액의 공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으며, 사양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사양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사양액공급조절부로도 다수 개의 사양부에 대해 일정한 양의 사양액을 공급하여 그 관리와 사양액 공급의 효율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supply stat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even without observ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etc., and one specification liquid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situation. There is another advantage that the supply control unit also supplies a certain amount of specification liquid to a plurality of specification units, and thus the management and efficient contro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re possible.

또한, 사양부를 벌통 내부의 하단 바닥면에 설치함에 따라 벌의 습성에 의해 벌들이 사양액 접근에 용이함과 동시에 여왕벌의 사양액 인식으로 인해 산란을 활발하게 할 수 있으며, 벌통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사양부의 상부에는 뚜껑을 설치하여 벌 사체나 이물질 등이 사양부 바닥에 고여져 있는 사양액으로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specification part on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beehive, the bee's habit makes it easy for bees to access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at the same time, it enables active spawning due to recognition of the queen bee's specification liquid. The upper part of the part has another advantage of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bee carcasses and foreign matters into the specification liquid collected on the bottom of the specification pa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 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벌사양기 일시예의 결합구성도이다.1 is a combined configuration of a separate type bee speculative in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벌통의 외부 일측에 벌통고정판(42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에 사양액공급조절부 본체(110)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벌통 내부에 사양부 본체(210)를 위치시키는데 벌통의 내부의 하단 바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양부가 벌통 내부의 하단 바닥에 설치됨으로 인해 벌들이 하부에서 사양액을 품어 상단으로 올라가서 먹이를 저장하게 되므로 아래층에 위치하는 여왕벌도 사양액을 인식하여 산란을 활발하게 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사양부 본체(210)에 뚜껑(220)을 결합하고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150)과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230)을 연결부로 연결한다. 다른 연결통공(230)에는 도면에는 미발현된 맑은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사양액과 물이 번갈아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하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통공(230)은 연결통공막음볼트(240)로 폐쇄한다.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 본체(110)에 뚜껑(120)을 결합하고 상기 뚜껑의 관통구(121)에 사양액유입관(140)을 삽입한 후 그 높이를 조절하여 공급될 사양액의 양을 결정한다.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상단에 사양액공급연결관(170)을 연결한 후 도면에 미발현된 사양액공급통과 상기 사양액공급연결관(170)을 연결부재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모든 장치가 연결되면 사양액공급통에서 사양액공급조절부(100)로 사양액이 유입되고 연결부(300)를 통해 벌통 내부의 사양부(200)로 사양액이 공급되게 된다. 일정한 양의 사양액이 사양부(200)로 공급되면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100)의 내부에 부설된 부구(130)가 상승하여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하단을 밀폐하게 되고 더 이상 사양액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그 후 벌들이 상기 사양부(200)에 저장된 사양액을 소비함으로써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100)에서 사양액이 유출되고 상기 부구(130)가 하강하여 다시 사양액공급통으로부터 사양액이 유입되어 사양부(200)로 공급하여 사양부의 사양액이 적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 beehive fixing plate 420 is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beehiv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djusting unit main body 110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Positioning the specification body main body 210 in the hive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bottom bottom of the hive. Because the bee is installed on the bottom bottom of the beehive, the bees bear the specification liquid at the bottom and go to the top to store the food, so the queen bee located on the lower floor also recognizes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has the advantage of actively spawning. The cap 220 is coupled to the specification part main body 210 and connects the specification solution outlet pipe 150 and the connection hole 230 of the specification part with a connection part. The other connection hole 23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unexpressed clear water in the drawing to connect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water can be alternately supplied, and the connection hole 230 not used is a connection through hole blocking bolt To 240. Couple the cap 120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10 and insert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n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lid, and then adjust the height to adjust the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to be supplied. Decide After connec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170 to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connects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tub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170 that are not expressed in the drawing with a connection member. When all the devices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from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ainer,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s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part 200 inside the beehiv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0. When a certain amount of specification liquid is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part 200, the buoy 130 installed insid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100 rises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flow pipe 140 and further. When the abnormal specification liquid is not introduced and the bees consume the specification liquid stored in the specification unit 200,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 specification liquid flows out from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and the bulge 130 The descending liquid is introduced again from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ainer and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unit 200 to maintain the proper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of the specification unit.

한편, 상기 실시예는 사양액공급조절부(100)와 사양부(200)가 일대일로 구성되게 서술하였지만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와 사양부가 분리되어 설치된다는 장점으로 인해 일대다수로 구성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측은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150)에 연결되고 타측은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을 연결부에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사양액공급조절부에 다수 개의 사양부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described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and the specific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one-to-one, but due to the advantage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nd the specification unit is installed separately can be configured in a one-to-many number. Of course. That is,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150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nd the other side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Specifications can be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측면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평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100)는 사양액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120)과 상기 본체에 부설되는 부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3, and 4,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 for sealing the main body 110 and the open top of the main body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pecification liquid ( 120) and the accessory 13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이때, 상기 본체(110)는 유입된 사양액이 일시 저장될 수 있는 일정 형태의 통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10)의 일측 하부에는 사양액유출관(150)이 형성되어 유입된 사양액이 벌통의 내부에 설치된 사양 부(200)와 연통되어 있는 연결부(300)와 결합하여 사양액을 사양부(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일정한 부력을 가지는 부구(130)가 부설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을 하여 사양액이 유입됨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하거나 사양액이 유출됨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 tubular shape of a certain form that can be temporarily stored the introduced specification liquid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discharge pipe 150 is form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introduced specification liquid serves to supply the specification liquid to the specification part 200 by combining with the connection part 300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ation part 200 installed inside the beehive. In addi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a buoy 130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is installed, and hing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rise by the buoyancy as the specification liquid flows or descends as the specification liquid flows out. do.

상기 뚜껑(120)은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일정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뚜껑(120)의 중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21)에는 사양액유입관(140)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을 통해 사양액이 상기 본체(110)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부구(13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본체(110)에 일정한 양의 사양액이 유입되면 상기 부구(130)는 최고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하단을 밀폐하여 더 이상 사양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121)의 내주면과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외주면에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뚜껑과 나사결합하고 있는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부구(130)와 접촉하는 높이를 변경하여 최고 수위를 임의로 조절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구(130)의 상단에는 최고 수위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하단을 내장할 수 있는 형태의 부구홈(160)을 형성하여 사양액유입관(140)을 확실하게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구(130)의 상단에 형성된 부구홈(160)에 삽입되어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하단에 대응하여 마개 역할을 하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패킹 형태의 밀폐판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d 1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te shape that can completely close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a through hole 121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d 120.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to supply specification liquid into the main body 110,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As the inlet 130 rises due to buoyancy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specification liquid flows into the main body 110, the buoy 130 reaches the highest water level and thus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t is sealed to prevent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flowing in any mor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to be configured to be screwed. That is, the height in contact with the mouth 130 is changed by adjusting the length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by rota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screwed to the li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easy to arbitrarily adjust the highest water level. In addition, when the upper end of the buoy 130 reaches the highest water level, the buoyancy groove 160 of the form that can incorporate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s formed to ensure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Can be configured to be sealed. At this time, the sealing plate of the packing form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is inserted into the buckle groove 160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uoy 130 to act as a stopper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further.

또한, 상기 사양액유입관(140)의 상단에는 사양액공급연결관(170)이 결합되어 지는데, 상기 사양액공급연결관(17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양기에 공급되는 사양액을 저장하는 사양액공급통과 호스 등과 같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양액이 상기 사양액공급통에서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본체(110)로 유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is coupl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170,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17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o stor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ied to the specification machin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member such as a hose so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flows from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ainer to the main body 110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djusting unit.

이때 상기 사양액공급연결관(170)는 ㄱ자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사양액공급통과 일대일로 바로 연결되거나 T자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사양액공급통과 다수의 사양액공급조절부를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17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assage in one-to-one form or formed in a T-shape or one T-shaped liquid supply passage and a plurality of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s.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본체(110)에는 상기 부구(130)나 상기 사양액유입관(140) 등의 고장으로 인해 사양액공급조절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사양부(200)에 과잉의 사양액이 공급되어 벌통으로 사양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사양액넘침배출구(190)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양액넘침배출구(190)는 상기 본체 일측의 사양액유출관(150)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설된 부구(130)의 힌지부(131)의 수직높이보다는 낮게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양액이 일시적으로 과잉 공급되어 상기 부구(130)의 힌지부(131)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힌지부가 사양액에 의해 굳어져서 차후 수리가 불가능할 수도 있고 수리 후에도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properly due to a failure of the buckle 130 or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40, etc., the specification 110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djusting unit is excessively specification. The specification liquid overflow outlet 190 which prevents the liquid from being supplied and overflows into the beehive may be configured. At this time, the specification liquid overflow outlet 19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outlet pipe 150 of the main body side and positioned l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hinge portion 131 of the buoy 130 installed in the body. It is desirable to make it. This is to prevent the specification from being temporarily oversupplied and rising to the hinge portion 131 of the float 130 so that the hinge portion is hardened by the specification liquid, so that it cannot be repaired later and does not work properly even after repair. .

또한,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본체(110)의 측면 중에 벌통과 인접하는 일 측면의 양측에 있는 세로모서리에 그 길이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각각 ㄱ자 형태로 형성된 삽입지지구(410)와 상기 삽입지지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벌통고정판(420)으로 구성되는 벌통고정부(400)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벌통고정판(420)에는 일정 수의 통공을 형성시켜 벌통이나 기타 외부 구성품의 일측면에 나사나 못 등 체결도구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100)가 벌통 등에 고정되면 산비탈 같은 경사진 곳 등의 외부 환경에서도 안정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of the vertical edges on both sides of one side adjacent to the beehive in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both ends are bent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constant space therein By adding a beehive fixing unit 400 consisting of a beehive fixing plate 42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insertion support 410 and the insertion suppor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so as to form each Can be configured. The beehive fixing plate 420 may be easily fixed with a fastening tool such as screws or nails to one side of the beehive or other external components by form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hrough holes. When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is fixed to the beehive, etc., it is possible to supply stable specification liquid even in an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an inclined place such as a mountain slope.

이상에서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10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본체(110)와 뚜껑(120)은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본체(110)와 뚜껑(1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100)의 내부를 잘 관찰할 수 있어서 사양액의 공급상황을 항상 주시할 수 있으며 고장 등의 상황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body 110 and the lid 120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 particular, the main body 110 and the lid 120 can be configured t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y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well, always watching the supply situation of the specification liquid You can do i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easily grasp the situation such as failur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단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pec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c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200)는 일정한 수위의 사양액이 저장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체를 덮으며 결합되는 뚜껑(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5, 6 and 7, the specific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cover the main body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main body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s stored a certain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d (220).

이때, 상기 본체(210)는 공급된 사양액이 저장될 수 있는 일정한 형태의 통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210)의 일측에는 연결통공(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통공(230)에는 연결부(300)의 일측을 삽입하여 사양액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210)에 저장된다. 상기 연결통공(230)은 단수 개보다는 다수 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중 어느 하나의 연결통공(230)은 사양액 공급용으로, 다른 어느 하나의 연결통공(230)은 물 공급용으로, 또 다른 어느 하나의 연결통공(230)은 배수용 등 기타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용하지 않는 연결통공(230)은 연결통공막음볼트(240)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21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shape in which the supplied specification liquid can be store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has a connection hole 230 is formed. The connection hole 23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supplied with the specification liquid is stored in the main body 2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230 rather than a single number, which is one of the connection holes 230 for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on holes 230 for water supply This is because one of the other connection through-hole 230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rainag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through-hole 230 that is not used is configured to be closed using the connection through-hole blocking bolt 240.

또한, 상기 본체(210) 내부에는 격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사양용 격판이 부설되어 있는 데 상기 사양용 격판의 하단은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과 밀착되게 형성되어서는 안되고 상기 격판의 하단과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유격을 가지게 상기 사양용 격판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사양용 격판 하부로 공간을 만들어서 공급된 사양액이 바닥면으로 연통되어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사양용 격판은 상기 본체(210)에 고정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지만, 별개로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210)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 다수의 격판 고정홈(211)을 형성하고, 상기 격판 고정홈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단에 일정 간격의 다수의 격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 양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격판(250)과, 상기 가로격판의 격자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격자 결합홈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 양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격판(2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상기 본체(210)의 청소 등의 관리가 용이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specification diaphragm having a lattice shap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0.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diaphragm should not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he specification diaphragm should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clear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210. This is to make a space under the specification diaphragm so that the supplied specification liquid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 diaphragm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210 to be integrally configured, bu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separately. That is, a plurality of diaphragm fixing grooves 211 are formed on the inner vertical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diaphragm fixing grooves are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diaphragm fixing grooves, and a plurality of lattice coupling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on the upper body and the main body ( The horizontal plate 25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210, and a plurality of grid coupling grooves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grid coupling groove of the horizontal plate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bottom.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plate 260, the leg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separation and assembly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such as easy management of the main body 210.

상기 뚜껑(220)은 상기 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일정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에서 떨어지는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상기 본체(210) 내에 저장된 사양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뚜껑(220)의 하단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210)의 외벽과 결합할 수 있는 ㄷ자 형태의 발이 달린 일정 길이의 지지대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사양부의 본체(210)와 뚜껑(220) 사이에 유격을 두어 결합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유격은 벌들이 사양부(200)로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The lid 2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te shape of the size that can cover the open top of the body 210, and serves to protect the specification liquid stored in the body 210 from contaminants falling from the outside, etc. . At this time, at the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lid 220 is formed a support of a predetermined length with a c-shaped foot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210 at regular intervals to the main body 210 and the lid 220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o leave a clearance between the) to be coupled, the clearance is necessary to allow the bees to freely enter and exit the specification (200).

이상에서 살펴 본 사양액공급조절부(100)와 사양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서로 연통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150)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2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플라스틱 호스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150)과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을 부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230)과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330)을 부착하여 각각의 관들이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을뿐더러 탈부착도 간편한 연결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00 and the specification unit 200 described abov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unit 300,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discharge pipe 150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50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 connection member for coupling with any one of the connection hole 230 of the specifica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such as plastic hoses.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15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crew,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on hole 230 and the specification member By attaching the second connection pipe 330 connected by screw coupling, not only can the respective pipes be firmly coupled, but also removable attachment can be configu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벌 사양기 일실시예의 결합구성도.1 is a combined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eparate bee spec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측면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공급조절부의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양부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사양액공급조절부 110 : 사양액공급조절부 본체100: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10: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120 : 사양액공급조절부 뚜껑 121 : 관통구120: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lid 121: through hole

130 : 부구 131 : 힌지부130: ball 131: hinge

140 : 사양액유입관 150 : 사양액유출관140: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50: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160 : 부구홈 170 : 사양액공급연결관160: float groove 170: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180 : T자형 연결관 190 : 사양액넘침배출구180: T-shaped connector 190: Specification overflow outlet

200 : 사양부 210 : 사양부 본체200: Specifications 210: Specifications Body

211 : 격판고정홈 220 : 사양부 뚜껑211: plate fixing groove 220: specification cap

230 : 연결통공 240 : 사양액막음볼트230: connection hole 240: specification liquid blocking bolt

250 : 사양부 가로격판 260 : 사양부 세로격판250: horizontal section of the specification section 260: vertical section of the specification section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관300: connector 310: first connector

320 : 연결부재 330 : 제2연결관320: connecting member 330: second connector

400 : 벌통고정부 410 : 삽입지지구400: beehive and fixed government 410: insertion support

420 : 벌통고정판420: hive fixed plate

Claims (12)

벌통 외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의 하부에 사양액유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을 상하로 관통하여 삽입결합되어 있는 사양액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설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부구로 구성되는 사양액공급조절부;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hiv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outflow pipe is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nflow pipe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lid which covers the main body, and penetrates the lid up and down. A specification liquid supply adjusting par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nfigured with a hinge which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벌통 내부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일정한 수위의 사양액이 저장되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다수 개의 연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 구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체를 덮으며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으로 다수 개가 격자 형태를 이루며 설치되며 각각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어 있는 사양용 격판으로 구성되는 사양부; 및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beehive, and the bottom surface is open at the top to store a certain level of specification liquid, and at one side of the barrel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top of the body. A cover part coupled to cover the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inside the main body in a lattice shape, each lower end of which includes a diaphragm for specifica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사양액유출관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Separating bee spec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coupl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outflow pipe and the other side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ny one or more of the connection through-holes of the specifica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 뚜껑의 중심부에는 나사홈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중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사양액유입관은 상기 관통구에 나사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through-hole has a screw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the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Separating bee specifica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screwed into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부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최고 수위시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하단을 내장하여 사양액의 유입을 폐쇄하는 부구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uoy type separate bee spec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b-groove groove for closing the inflo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by embedding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t the highest water level .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부구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부구홈에 내장되며, 상기 부구의 최고 수위시 상기 사양액유입관의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built-in a buoy groov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loat, the separation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late fo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at the highest level of the float Suit spe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사양액유입관 상단과 결합되어 벌통외부에 설치되어 사양액을 공급하는 사양액공급통과 연통되도록 하는 사양액공급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let pipe is installed outside the beehive is a separate type be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ng pipe to communicate with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the specification liquid Specification machin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사양액공급연결관은, ㄱ자형 또는 T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nection pipe, split type bee spec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shaped or T-shaped for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는, 상기 사양액유출관이 위치한 곳보다 높고 상기 부구가 본체와 힌지결합된 곳보다 낮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 형태의 사양액넘침배출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through-flow specification liquid overflow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a por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pecification liquid outlet pipe is located and lower than that of the hinge connected to the main body. Detachable bee spectro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본체와 상기 본체 뚜껑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Separating bee spec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and the body cap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용 격판은, 상기 본체의 내부 세로 양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격판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단에 다수의 격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격판과 상기 가로격판의 결합홈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격자 결합홈이 하단에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유격되게 하단의 양 끝단에 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세로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diaphragm is fitted into a diaphragm fixing groove which is formed on a plurality of inner vertical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lattic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leg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omprising a horizontal plate and a plurality of lattice coupling grooves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rizontal plate is formed in the bottom and the vertical plate is formed with leg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Removable bee specification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양부는, 상기 연결통공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연결통공을 개폐할 수 있는 연결통공막음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pecification portion, the separation type bee spec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through-hole blocking bolt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connecting through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ng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의 사양액유출관과 나사결합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사양부의 연결통공과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관 및 일측단은 상기 제1연결관과 연통되어 결합되어 있고 타측단은 상기 제2연결관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connec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pip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part by a screw connection, a second connecting pipe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specificat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necting pipe. Separated bee specific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necting pipe.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사양액공급조절부 본체 중 벌통의 외측면과 접하는 측면에는 양측 세로모서리에 그 길이를 따라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단이 서로 마주보며 직각으로 절곡되어 내부에는 상하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삽입지지구와 체결구를 통해 벌통의 일측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삽입지지구가 형성하고 있는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벌통고정판으로 구성되는 벌통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벌 사양기.The sid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upply control unit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ehiv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front along the length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edge, both sides are bent at right angl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 constant space up and down in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ehive fixing portion consisting of a beehive fixing plate that can b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eehive through the insertion support and the fastener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insertion support. Split bee specification machine.
KR1020090136149A 2009-12-31 2009-12-31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1117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49A KR101117134B1 (en) 2009-12-31 2009-12-31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49A KR101117134B1 (en) 2009-12-31 2009-12-31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70A true KR20110079170A (en) 2011-07-07
KR101117134B1 KR101117134B1 (en) 2012-03-07

Family

ID=4491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49A KR101117134B1 (en) 2009-12-31 2009-12-31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13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8B1 (en) * 2010-07-02 2012-05-04 임준혁 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200464455Y1 (en) * 2011-08-24 2013-01-02 김장춘 Liquid Sugar Auto Supply for bee
KR101348832B1 (en) * 2011-12-27 2014-01-10 양승복 Honeybee rearing machine
CN104186372A (en) * 2014-09-02 2014-12-10 山东农业大学 Indoor bee rais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38Y1 (en) * 2016-11-16 2017-08-03 김광진 Sap supplying device for bee-keeping
KR102597295B1 (en) * 2022-04-04 2023-11-02 최훈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39Y1 (en) 2001-03-27 2001-10-10 조동칠 Apparatus for Supply Nourishment in an Apiary
KR200348705Y1 (en) 2004-02-05 2004-04-29 이경만 Sap supplying device for bee-keep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8B1 (en) * 2010-07-02 2012-05-04 임준혁 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200464455Y1 (en) * 2011-08-24 2013-01-02 김장춘 Liquid Sugar Auto Supply for bee
KR101348832B1 (en) * 2011-12-27 2014-01-10 양승복 Honeybee rearing machine
CN104186372A (en) * 2014-09-02 2014-12-10 山东农业大学 Indoor bee rai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134B1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134B1 (en)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20180001552U (en) Bee-breeding apparatus
KR101667628B1 (en) Bee feed contalner
KR101348832B1 (en) Honeybee rearing machine
CA2848093C (en) Breather cap assembly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101141538B1 (en) 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0946590B1 (en) Bee-breeding apparatus
KR101178036B1 (en) The feeding appliance structure for bee raising
KR200489815Y1 (en) Bee breeding apparatus
KR101556622B1 (en) An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ler for stock raising
KR102266914B1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US8534226B2 (en) Bird drinker assembly with a triangular supply line
KR102223432B1 (en) feeding device having elevating boat structure linked to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20240059833A (en)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KR200464455Y1 (en) Liquid Sugar Auto Supply for bee
KR20120003429U (en) bee feed bucket
KR200254919Y1 (en) Bee feed contalner
KR102390320B1 (en) Nature-friendly automatic wood bee breeding apparatus machine for beekeeping
RU2619235C2 (en) Universal hive frame
KR102464412B1 (en) 2 group combined use door automatic water supply beekeeping machine
KR200150376Y1 (en) The feeder for bees
KR102223437B1 (en)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200254922Y1 (en) Bee feed contalner
KR200484138Y1 (en) Sap supplying device for bee-kee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