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37B1 -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 Google Patents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37B1
KR102223437B1 KR1020200181555A KR20200181555A KR102223437B1 KR 102223437 B1 KR102223437 B1 KR 102223437B1 KR 1020200181555 A KR1020200181555 A KR 1020200181555A KR 20200181555 A KR20200181555 A KR 20200181555A KR 102223437 B1 KR102223437 B1 KR 10222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ladder
casing
buoyanc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브폼 filed Critical (주)하이브폼
Priority to KR102020018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In a feeding device for beekeeping provided inside a beehive to supply a feeding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which forms an exterior with an open top, and in which the inside thereof is provided such that a charging part for filling the feeding solution on one side and a feeding part for bees ingesting the feeding solution on the other side are partitioned; a ladder wall which is installed in the feeding part of the casing so that the charging part and the feeding part are mutually partitioned; a ladder partition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ladder wall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feeding part,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ladder bars are provided by being spaced apart on the plate surface; a pair of sliding clips which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feeding part of the casing to maintain the upper part of the feeding part in an open state, and in which the ladder wall and the ladder partition are installed to engage the lower part; a feeding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art of the casing to keep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art closed, and in which a nozzle part into which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in the center; and a buoyancy body which is provided to contract or expa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tored therein, so that the level of the feeding solution in contact with the nozzle part is adjusted.

Description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본 발명은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내부에 충전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부력체가 케이싱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종래의 부력체가 단순히 힌지 연동 구조로 구비됨에 의해 사양 당액의 건조시 경화에 의해 부력체의 승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양액의 공급이 필요할 때에 공급이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꿀벌들이 굶주리게 되거나 공급이 멈춰져야 할 때에 사양액이 넘쳐버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력체의 부력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양액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꿀벌들이 안전하게 사양액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케이싱에 내장되는 벌망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클립이 외부 충격 또는 유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and more particularly, a buoyancy body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filled in the casing is independently inside the casing. Because the conventional buoyancy body is simply provided in a hinged interlocking structure, the buoyancy body is not properly raised and lowered by hardening when the sugar solution is dried, so that the supply cannot be made when the supply of the feeding solution is required, and the bees starve or the supply must be stopp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feeding liquid overflows at the time, and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bees can safely intake the feeding liquid, and it is built into the casing. It relates to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the buoyancy that can prevent the clip that stably fixes the bee net without flow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shock or clearance.

일반적으로, 밀원이 풍부한 유밀기에는 꿀벌들이 채집한 꿀의 일부가 꿀벌의 식량으로 소비되고, 남은 꿀은 가을과 겨울의 무밀기에 식량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꿀벌은 꽃에서 꿀을 채집하여 저장하고, 무밀기에 식량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 양봉업자는 꿀벌이 사용하고 남은 여밀만을 채밀하지 않고 전체를 채밀하게 되므로 무밀기에 꿀벌의 아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양액을 공급하여 사양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wheat wheat season where wheat sources are abundant, some of the honey collected by bees is consumed as food for the bees, and the remaining honey is used as food during the wheat wheat season in autumn and winter. In this way, bees collect and store nectar from flowers and use it as food in the non-sealing period. It is refrained by supplying the specification liquid.

이러한 사양액은 꿀, 설탕, 물엿 등의 용액으로서, 일정한 그릇 형태의 사양기에 담겨 벌통 내부로 주입하게 된다.Such a feeding solution is a solution of honey, sugar, starch syrup, etc., and is put into a feeding container in a certain bowl shape and injected into the beehive.

그러나, 상기 사양액은 고농도로 담기기 때문에 청소, 유지관리 등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사양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However, since the feeding liquid is contained in a high concentration, development of a feeding machine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lean and maintain has been required.

이러한 요구에 따라 벌통 바닥면에 서랍식으로 설치된 사양기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16458호가 그 대표적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사양기가 벌통 바닥에 구비되어 서랍식으로 외부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사양액의 존재유무 혹은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벌통 뚜껑을 열지 않고 서랍식으로 사양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적게는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벌통을 관리하면서 양봉을 하는 업자들은 상기의 청소 혹은 사양액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벌통에 설치되는 사양기를 하나씩 외부로 분리하여야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유지관리 등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 되었다. In response to this request, a specification machine installed in a drawer type on the bottom of the beehive, that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16458, is a representative example. Referring to this publication, the feed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eehive so that it can be separated to the outside by a drawer type,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eeding liquid or cleaning can be facilitated.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intain because the storage devi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drawer type without opening the beehive lid. In order to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there wa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separate the specification devices installed in each beehive to the outside one by one. Therefor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the like, and other disadvantages have occurred.

또한, 사양기의 관리가 소홀해지거나 어느 하나의 사양기가 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 되면 제때에 사양액의 재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벌통에 있는 꿀벌들은 아사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 되었다. 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of the feeding machine was neglected or when any one feeding machine was excluded from the inspection object, the feeding liquid was not resupplied in time, and the bees in the hives were starved.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16458호(2003년06월02일자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6458 (registered on June 2,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내부에 충전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부력체가 케이싱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종래의 부력체가 단순히 힌지 연동 구조로 구비됨에 의해 사양 당액의 건조시 경화에 의해 부력체의 승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양액의 공급이 필요할 때에 공급이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꿀벌들이 굶주리게 되거나 공급이 멈춰져야 할 때에 사양액이 넘쳐버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력체의 부력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양액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꿀벌들이 안전하게 사양액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케이싱에 내장되는 벌망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클립이 외부 충격 또는 유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buoyant body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filled in the casing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casing, so that the conventional buoyancy body is simply provided in a hinged interlocking structure. When the buoyant body is not properly raised and lowered due to hardening during drying,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is not possible when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is needed, which prevents the bees from starving or overflowing the feeding liquid when the supply must be stopped. The buoyancy of the bee can also be adjusted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bees can safely intake the feeding liquid, and the clip that stably fixes the bee net built in the casing without flow, etc. It is to provide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벌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양봉용 사양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는 일측으로 사양액이 충전되는 충전부와 타측으로 꿀벌이 사양액을 섭취하는 급양부가 구획 형성되도록 마련된 케이싱; 상하로 개방되며, 네 측면에는 다수의 제1 사다리 바아들이 이격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급양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부와 상기 급양부가 상호 구획되도록 하는 사다리 벽체; 상기 사다리 벽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급양부의 내부를 구획하며, 판면에는 다수의 제2 사다리 바아들이 이격 구비된 사다리 칸막이; 상기 급양부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급양부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좌우로 결합되며, 상기 사다리 벽체와 상기 사다리 칸막이가 하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클립; 상기 케이싱의 충전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부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중심부에는 사양액이 외부에서 주입되는 노즐부가 하부에 구비된 사양기 커버; 및, 상기 케이싱의 충전부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저장되어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승강 되게 구비되고, 상승시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면 사양액의 주입이 중단되도록 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수축 또는 팽창되게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에 접촉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tha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eehive to supply the feeding liquid, the upper part forms an open appearance, and the inside is a charging part filled with the feeding liquid on one side and the other A casing provided so that the feeding part for ingesting the feeding liquid by the bees toward the side is formed; A ladder wall that is open up and down,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ladder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four sides, and is installed in a feeding portion of the casing so that the charging portion and the feeding portion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 ladder partition which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ladder wall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feeder, and a plurality of second ladder b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plate surface; A pair of sliding clip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ing portion of the casing to mainta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ing portion open, and installed so that the ladder wall and the ladder partition are fitted to the lower portion; A sealing device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harging part of the casing to maintain a closed state of the charging part, and having a nozzle pa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to which the feeding liquid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And, it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filling part of the casing, and air is stored therein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filling part, an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part when rising, the injection of the feeding liquid is per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buoyancy body provided to be to be stopped and to be contracted or expan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tored therein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eeding liquid in contact with the nozzle part is adjusted.

여기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충전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body includes a corrugated pipe body that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harging unit and expands and contract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interior.

그리고, 상기 사양기 커버의 판면에는 상기 노즐부가 구비된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과주입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기 커버의 단 폭 방향에 따른 단면상으로는 양단부에서 상기 과주입 배출공을 향해 상면이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ver-injection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provided with the nozzle part on the plate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over-injection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d of the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gradient.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의 내부에 충전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부력체가 케이싱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부력체가 단순히 힌지 연동 구조로 구비됨에 의해 사양 당액의 건조시 경화에 의해 부력체의 승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양액의 공급이 필요할 때에 공급이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꿀벌들이 굶주리게 되거나 공급이 멈춰져야 할 때에 사양액이 넘쳐버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력체의 부력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양액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꿀벌들이 안전하게 사양액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케이싱에 내장되는 벌망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클립이 외부 충격 또는 유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oyant body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filled in the casing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casing, so that the conventional buoyancy body is simply provided in a hinge-interlocking structure. Due to hardening during drying, the buoyancy body is not properly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is not possible when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is required, which prevents the bees from starving or overflowing the feeding liquid when the supply must be stopped. The buoyancy is also adjustable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bees can safely intake the feeding liquid, and the clip that stably fixes the bee net built in the casing without flow is caused by external impact or clear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케이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사양기 커버 및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신장 된 상태와 수축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사다리 벽체 및 사다리 칸막이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3의 슬라이딩 클립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사양기 커버의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가 외부사양기에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회전식 주입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회전식 주입구를 통해 여러 각도에서 사양액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회전식 주입구의 부리관이 회전 변위 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의 회전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ior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adjusting the buoyancy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buoyancy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adjusting the buoyancy of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sing of FIG. 1;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eeding machine cover and the buoyancy body of FIG. 3,
7 is a diagram showing an elongated state and a contracted state of the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adder wall and the ladder partition of FIG. 3,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liding clip of FIG. 3;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of the feeding device of FIG. 6;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injection port of FIG. 3,
13 is a view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beak tube of the rotary injection port is rotated and displaced so that the feeding liquid can be inject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 rotary injection port of FIG. 1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valve of FIG. 11;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는 일측으로 사양액이 충전되는 충전부(110)와 타측으로 꿀벌이 사양액을 섭취하는 급양부(120)가 구획 형성되도록 마련된 케이싱(100)과, 상하로 개방되며 네 측면에는 다수의 제1 사다리 바아(210)들이 이격 구비되고 케이싱(100)의 급양부(120)에 설치되어 충전부(110) 및 급양부(120)가 상호 구획되도록 하는 사다리 벽체(200)와, 사다리 벽체(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급양부(120)의 내부를 구획하며 판면에는 다수의 제2 사다리 바아(310)들이 이격 구비된 사다리 칸막이(300)와, 급양부(1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케이싱(100)의 급양부(120)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좌우로 결합되며 사다리 벽체(200) 및 사다리 칸막이(300)가 하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클립(400)과, 사양기 커버(600)와, 부력체(800)를 포함한다.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eehive to supply the specification liquid, as shown in FIGS. 1 to 4, and forms an open top appearance, and The inside is a casing 100 provided to form a compartment with a charging part 110 filled with a feeding liquid on one side and a feeding part 120 for a bee ingesting a feeding liquid on the other side. The ladder bar 210 is provided spaced apart and installed in the feeding part 120 of the casing 100 so that the charging part 110 and the feeding part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o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feeding part 120, and the ladder partition 300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ladder bars 310 ar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su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feeding part 120 are kept open. A pair of sliding clips 400, which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ing part 120 of the casing 100, and installed so that the ladder wall 200 and the ladder partition 300 are snapped to the lower part, and the specification machine It includes a cover 600 and a buoyancy body 800.

케이싱(1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대체로 납작한 오면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의 개구 둘레에는 슬라이딩 클립(400)이 맞물려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물림 돌기(101)가 구비되며, 평면상 단 폭을 이루는 양 내측 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한 쌍씩 길게 연장되어 사다리 벽체(200)와 부력체(800)의 설치가 용이 해지도록 하는 내측 가이드부(105)가 돌출 형성되고, 충전부(110)의 바닥면에는 부력체(800)와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사양액이 굳게 될 경우 부력체(800)가 바닥면에 고착되어 부력체(800)의 부상이 방해받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돌기부(107)가 상부로 쐐기 형태 등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casing 100, as shown in Figs. 3 and 5, is provided to form a generally flat pentahedron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sliding clip 400 is engaged around the open upper opening so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An inner guide portion that is provided with a bite protrusion 101 and extends one pai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n both inner surfaces forming the hem width in the plan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ladder wall 200 and the buoyancy body 800 (105) is formed protruding,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oyancy body 800 and the bottom surface is minimiz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110, so that when the specification liquid is hardened, the buoyancy body 80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becomes buoyant. A protrusion 107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sieve 800 is hindere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 wedge shape or the like.

한편, 케이싱(100)의 급양부(120)를 이루는 하부면에는 단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급양부(120)를 하부에서 상부의 일정한 높이까지 급양부(120)를 가로지르도록 한 쌍의 스토퍼(121)가 상호 이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스토퍼(121)의 상단에는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stopper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eeding part 120 of the casing 100 in the hem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eeding part 120 crosses the feeding part 120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121) is preferably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is formed at the top of each stopper 121 to a predetermined depth.

이에 따라, 사다리 벽체(200)와 사다리 칸막이(300)가 케이싱(100)의 내측으로 끼워져 설치되도록 할 때에 이들의 각 하부가 스토퍼(121)에 맞물려 서로의 간격이 고정되며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adder wall 200 and the ladder partition 300 are fitted and installed inside the casing 100, the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m are engaged with the stopper 121 so that the gaps between them are fixed and installed firmly. have.

사다리 벽체(2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급양부(120)의 형상에 대응되게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판면에는 다수의 제1 사다리 바아(210)들이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ladder wall 200 is provided to form a shape of a squar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eeding part 120 of the casing 100, as shown in FIGS. 3 and 8, and a plurality of first ladder bars on the plate surface (21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이에 따라, 급양부(120)에서 꿀벌들이 사양액을 섭취할 때에 꿀벌들이 사다리 벽체(200)의 제1 사다리 바아(210)들을 타고 기어올라 사양액에 빠지지 않으며 사양액을 손쉽고 안전하게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ees ingest the feeding liquid in the feeding part 120, the bees climb on the first ladder bars 210 of the ladder wall 200 so that they do not fall into the feeding liquid, so that the feeding liquid can be easily and safely ingested. have.

여기서, 사다리 벽체(200)의 하부에는 스토퍼(121)가 맞물리어 사다리 벽체(200)가 급양부(120)의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제1 끼움 홈(211)이 형성된다. Here, a first fitting groove 21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dder wall 200 so that the stopper 121 is engaged so that the ladder wall 200 is firmly installed in the feeder 120.

사다리 칸막이(3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다리 벽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다리 벽체(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판 체의 형태로 마련되고, 판면에는 다수의 제2 사다리 바아(310)들이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The ladder partition 300 is used as a bee net, as shown in FIGS. 3 and 8, and is installed inside the ladder wall 200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ladder wall 200 in the form of a plate body. It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ladder bars 31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plate surface.

이에 따라, 급양부(120)에서 꿀벌들이 사양액을 섭취할 때에 꿀벌들이 사다리 벽체(200)의 제1 사다리 바아(210) 뿐만 아니라 사다리 칸막이(300)의 제2 사다리 바아(310)들을 타고서도 기어올라 사양액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꿀벌들의 사양액 섭취가 더욱 안전하고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ees ingest the feeding liquid in the feeding part 120, the bees ride the first ladder bar 210 of the ladder wall 200 as well as the second ladder bar 310 of the ladder partition 300 By climbing up and ingesting the feeding liquid, it is possible to make it safer and easier for bees to consume the feeding liquid.

여기서, 사다리 칸막이(300)의 하부에는 스토퍼(121)와 홈에 맞물리어 사다리 칸막이(300)가 급양부(120)의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제2 끼움 홈(311)이 형성된다. Here, a second fitting groove 31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dder partition 300 so that the ladder partition 300 is firmly installed in the feeder 120 by engaging the stopper 121 and the groove.

슬라이딩 클립(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림 돌기(101)에 맞물림에 의해 케이싱(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싱(100)에서 사다리 벽체(200) 및 사다리 칸막이(3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The sliding clip 400, as shown in Figs. 1 and 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101, the ladder wall 200 and the ladder partition ( 300) is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이에 따라, 사양기 커버(600)의 후술할 노즐부(610)와 부력체(800)의 후술할 외측 마개(820)가 접촉하게 될 때(사양액의 공급은 중단됨)에 사양기 커버(600)가 부력체(800)의 상승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 케이싱(100)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슬라이딩 클립(400)과 후술할 커버 클립(500)에 의해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nozzle portion 610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feeding machine cover 600 and the outer stopper 820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buoyancy body 800 come into contact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solution is stopped), the feeding machine cover 600 ) Can be prevented by the sliding clip 400 and the cover clip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pushed out by the rise of the buoyancy body 800 and thus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0.

좀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클립(400)의 상부에는 손잡이(401)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클립(400)의 하부 양단에는 ‘ㄴ’자의 형상으로 상호 좌우 대향 및 대칭되게 한 쌍의 케이싱 물림부(410)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클립(400)의 하부에서 좌우 케이싱 물림부(410)의 사이에는 케이싱 물림부(410)와 함께 케이싱(100)과 사다리 벽체(200)의 상부가 함께 맞물려 고정되도록 벽체 물림부(420)가 좌우 한 쌍으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슬라이딩 클립(400)의 하부에서 좌우 벽체 물림부(420)의 사이에는 사다리 칸막이(300)의 상단이 맞물려 고정되도록 칸막이 물림부(430)가 좌우 한 쌍으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칸막이 물림부(430)는 벽체 물림부(420)보다 더 길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handles 401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clip 400, and the lower both ends of the sliding clip 400 are left and right opposite and symmetrical in the shape of'b' A pair of casing engagement portions 410 are formed,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sing engagement portions 410 at the bottom of the sliding clip 400, the casing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adder wall 200 together with the casing engagement portion 410 The wall engaging portions 420 ar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ward the lower side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o that the sliding clip 400 is engaged and fixed,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ll engaging portions 42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clip 400, the ladder partition 300 The partition engaging portion 43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ward the lower side in a pair of left and right so that the upper end is engag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partition engaging portion 430 is preferably formed extending downwardly longer than the wall engaging portion 420.

이에 따라, 케이싱(100)에 내장되는 벌망으로 사용되는 사다리 칸막이(300)를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슬라이딩 클립(400)이 외부 충격 또는 유격 등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좌우에서 절곡 형성된 케이싱 물림부(410)에 의해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케이싱 물림부(410)와 벽체 물림부(420)의 사이에 케이싱(100)과 사다리 벽체(200)의 상단이 함께 맞물려 사다리 벽체(200)가 급양부(12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한 쌍의 칸막이 물림부(430)의 사이에 사다리 칸막이(300)의 상단이 맞물려 사다리 칸막이(300)가 급양부(12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liding clip 400 for stably fixing the ladder partition 300, which is used as a bee net embedded in the casing 100, without flow, is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shock or a gap, etc. It can be prevented by 410, and the upper end of the casing 100 and the ladder wall 200 are engaged together between the casing biting part 410 and the wall biting part 420, so that the ladder wall 200 is fed to the feeding part ( 120) can be installed to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ladder partition 300 is engag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s biting part 430, so that the ladder partition 300 is inside the feeding unit 120 It can be installed fixedl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충전부(110) 상부에서 단부에는 케이싱(100) 상부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클립(400)과 함께 사양기 커버(600)가 충전부(110)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는 커버 클립(5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from the top of the charging portion 110 of the casing 100, the end cover 600 with a sliding clip 400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casing 100 is a charging unit ( 110) It is preferable that a cover clip 500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upled state at the top.

이에 따라, 충전부(110)의 상부를 덮도록 케이싱(100)에 결합되는 사양기 커버(600)가 설치된 후 사양기 커버(600)의 케이싱(100)으로부터의 분리 이탈이 커버 클립(500)과 슬라이딩 클립(400)에 의해 억제되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the feeding part cover 600 coupled to the casing 10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art 110, the separation and separation of the feeding part cover 600 from the casing 100 is prevented by the cover clip 500 and It can be suppressed by the sliding clip 400 to be prevented.

사양기 커버(600)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충전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충전부(110)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중심부에는 사양액이 외부에서 주입되는 노즐부(610)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노즐부(610)에 연통 되는 주입공이 중심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주입되는 사양액이 노즐부(610)를 통해 충전부(110)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구 결합부(601)가 구비된다. The cover 6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ing unit 110 of the casing 100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charging unit 110, as shown in Figs. 6 and 10, and in the center A nozzle part 610 into which the liquid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a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part 610 is formed inside the center, so that the liquid that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is filled through the nozzle part 610 An injection port coupling part 601 for injection into the interior of 110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사양기 커버(600)의 판면에는 노즐부(610)가 구비된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과주입 배출공(620)이 형성되고, 사양기 커버(600)의 단 폭 방향에 따른 단면상으로는 양단부에서 과주입 배출공(620)을 향해 상면이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injection and discharge holes 6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in which the nozzle part 610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eeding machine cover 600, and the feeding machine cover 600 In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d of ),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 slope inclined toward the over-injection discharge hole 620 at both ends.

이에 따라, 충전부(110)의 내부로 충전되는 사양액이 과도하게 주입될 경우 적절히 과주입 배출공(620)을 통해 외측으로 사양액이 빠져나가게 되어 사양기 커버(600)에 가해지는 내압을 줄여주어 사양기 커버(600)가 케이싱(10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과주입 배출공(620)을 통해 상면으로 빠져나갔던 사양액은 다시 경사진 상면에 의해 과주입 배출공(620)으로 흐름이 유도되어 충전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excessively injecting the specification liquid filled into the filling unit 110, the specification solution is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injection discharge hole 620, thereby reducing the internal pressure applied to the filling unit cover 6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ject cover 600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casing 100, and the over-injection discharge hole 620 that has passed out to the upper surface through the over-injection discharge hole 620 is again inclined by the upper surface. ) Can be induced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harging unit 1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0)를 통해 외부사양기(10)에 연결되어 외부사양기(10)에서 사양액이 충전부(110)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controll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10 through a hose 20 to be specified in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10, as shown in FIG. The liquid may be injected into the charging unit 110.

여기서, 호스(20)에는 사양액의 주입이 단속되도록 회전밸브(900)가 구비되고, 호스(20)의 말단에는 회전식 주입구(700)가 구비되며, 회전식 주입구(700)는 사양기 커버(600)의 주입구 결합부(601)의 상부에 결합된다. Here, the hose 20 is provided with a rotary valve 900 so as to intercept the injection of the feed solution, a rotary inlet 7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se 20, and the rotary inlet 700 is a cover 600 )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coupling portion 601.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식 주입구(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둥근 돔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후술할 부리관(730)의 변위 경로를 제공하는 홈이 형성된 돔 커버(710)와, 돔 커버(710)의 하부에서 돔 커버(710)에 나사 조립방식으로 결합되며 주입구 결합부(601)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부리관(730)의 회전 볼(731)이 안착 되는 홈이 중심부에 형성된 하부 베이스(720)와, 돔 커버(710) 및 하부 베이스(720)의 사이에 회동 변위 가능하게 구비되며 호스(20)에 단부가 연결되는 부리관(730)과, 고무와 같은 기밀 소재로 마련되어 돔 커버(710) 및 하부 베이스(720)가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패킹 링(740)을 포함한다. 이때, 부리관(730)의 하부에는 회전 볼(731)이 형성되어 부리관(730)이 하부 베이스(720)의 홈에 안착 된 상태에서 회동 변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rotary injection hole 700, as shown in FIG. 12, forms a round dome shape from the top and has a dome cover 710 having a groove providing a displacement path of the beak tube 730 to be described later. Wow, from the bottom of the dome cover 710 is coupled to the dome cover 710 by a screw assembly metho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coupling part 601, and a groove in which the rotating ball 731 of the beak tube 730 is seated in the center The lower base 720 formed in the center, the dome cover 710 and the lower base 720 ar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y displaced and the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20, the beak pipe 730, and rubber-like It is provided with an airtight material and includes a packing ring 740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dome cover 710 and the lower base 7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rotating ball 73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ak pipe 730 so that the beak pipe 730 is rotated and displaced while seated in the groove of the lower base 720.

이에 따라, 호스(20)에 의해 벌통 내부의 양봉용 사양장치가 외부사양기(10)에 연결되어 사양액을 공급받는 경우 호스(20)가 쉽게 꺾이게 되어 사양액의 주입이 원활해지지 않게 될 수 있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주입구(700)에 의해 부리관(730)의 회전 볼(731)이 회전되며 호스(20)가 꺾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양액의 주입이 훨씬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패킹 링(740)에 의해 돔 커버(710) 및 하부 베이스(720) 간의 결합 부위에서 사양액이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inside the beehiv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10 by the hose 20 to receive the specification solution, the hose 20 may be easily bent and the injection of the specification solution may not be smooth.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jection of the feeding liquid is prevented by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rotating ball 731 of the beak pipe 730 is rotated by the rotary injection port 700 and the hose 20 is bent. It can be made much smoother, and the packing ring 740 can prevent leakag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at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dome cover 710 and the lower base 720.

부력체(8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충전부(110)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저장되어 충전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승강 되게 구비되고, 상승시 노즐부(610)에 접촉되면 사양액의 주입이 중단되도록 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수축 또는 팽창되게 구비되어 노즐부(610)에 접촉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한다. The buoyancy body 800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unit 110 of the casing 100,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the air is stored therein and is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unit 110 It is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iquid, an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part 610 when it rises, the injection of the depleted liquid is stopped, and it is provided to contract or expan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tored in the nozzle part 610 Make sure that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in contact is controlled.

이에 따라, 케이싱(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부력체(800)가 케이싱(100)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부력체가 단순히 볼탑 밸브의 힌지 연동 구조로 구비됨에 의해 사양 당액의 건조시 경화에 의해 부력체의 승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양액의 공급이 필요할 때에 공급이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꿀벌들이 굶주리게 되거나 공급이 멈춰져야 할 때에 사양액이 넘쳐버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력체의 부력이 일반적으로 사양액의 농도에 따라 쉽게 변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800)의 부력은 사양액의 농도에 따라서 조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단순히 부력체의 부력이 고정되어 사양액의 농도에 따라 승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꿀벌들이 급양부(120)에서 사양액을 섭취시 익사하게 되는 일이 없이 사양액의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꿀벌들이 안전하게 사양액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uoyancy body 800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casing 100 to regulate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filled in the casing 100, so that the conventional buoyancy body is simply a ball top.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ing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valve, the buoyant body is not properly raised and lowered by hardening during drying of the specified sugar solution, so that the supply cannot be provided when the supply of the non-sugar solution is needed. Since the phenomenon of being discarded can be prevented and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feeding liquid,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feeding liquid. As a result,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is simply fixed, so that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feeding liquid, so that the bees do not drown when ingesting the feeding liquid from the feeding part 120, and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properly adjusted. You can make sure that the bees safely consume the feeding liquid.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800)가 신장 되어 부력을 증가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800)가 수축되어 부력을 감소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longated to increase the buoyancy, and Figure 7 (b) is the buoyancy body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acted to increase the buoyancy.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duc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 몸체(810)와, 주름관 몸체(8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측 마개(820)와, 주름관 몸체(810)의 상부 및 외측 마개(820)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 마개(830)를 포함한다.The buoyancy body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harging unit 110 and extend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corrugated pipe body 810 and , And an outer stopper 8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rrugated pipe body 810, and an inner stopper 830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outer stoppers 820 of the corrugated pipe body 810.

여기서, 주름관 몸체(810)의 상부와 하부는 경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마련되고 중간 부분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마련되며, 외측 마개(820)는 탄성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마련되고 상부 중심으로는 노즐부(610)와 연결되며 하부로는 마개 돌기(821)가 형성되고, 내측 마개(830)는 중심부에 마개 돌기(821)가 직접 닿아 탄성에 방해받게 되는 것을 피하도록 저면부(831)가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rrugated pipe body 810 ar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middle part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outer stopper 8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elastic rubber, silicone, urethane, etc. The upper center is connected to the nozzle part 610, and the lower part has a stopper protrusion 821, and the inner stopper 830 is a bottom part to avoid being disturbed by elasticity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stopper protrusion 821 at the center. It is preferable that (831) is depressed.

이에 따라, 주름관 몸체(810)의 상부와 하부가 경질 재질로 단단하게 마련되어 유동은 최소화되면서 중간 부분은 연질 재질로 마련되어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구조로 내부의 공기 양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주름관 몸체(810)의 내부로 채워지는 공기의 양에 의해 주름관 몸체(810)가 용이하게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부력체(800)의 부력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부력체(800)의 승강에 의해 사양액의 공급이 편리하게 단속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rrugated pipe body 810 are rigidly provided with a hard material to minimize flow while the middle part is made of a soft material to facilitate contraction and expansion, so that the amount of air inside can be easily controlled. , By allowing the corrugated tube body 810 to be easily extended or contracted by the amount of air filled into the corrugated tube body 810,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800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buoyancy force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ieve 800,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conveniently regulated.

한편, 회전밸브(9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에 의해 사양액의 유동이 단속되도록 하는 속 밸브(910)와, 속 밸브(9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호스(20)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체(920)와, 고무와 같은 기밀 소재로 마련되어 속 밸브(910) 및 호스 연결체(920)가 결합되는 부위에 밀착되게 구비된 오링(930)을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 the rotary valve 9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valve 910 and the inner valve 910 so that the flow of the feed solution is interrupted by a rotation operation, and hoses at both ends ( It includes a hose connector 920 to which 20) is connected, and an O-ring 930 provided with an airtigh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to which the inner valve 910 and the hose connector 920 are coupl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가 호스(20)에 의해 외부사양기(10)에 연결되어 사양액을 공급받을 때에 회전밸브(9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양액의 공급이 편리하게 단속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10 by the hose 20, and is supplied with the feeding solution,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rotary valve 900 The supply of the feeding liquid can be conveniently regula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림 돌기(101)는 일측에서 ‘ㄱ’자의 형상으로 절곡 연장되게 상측 연장부(103)가 형성되어 하측으로는 슬라이딩 클립(400)의 상부 판면이 견고하게 맞물리며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bite protrusion 101 is formed with an upper extension part 103 so as to be bent and extended in a shape of'a' from one side to the lower side.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sliding clip 400 may be firmly engaged and fixedly coupled.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aspect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having ordinary technic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케이싱 101 : 물림 돌기
103 : 상측 연장부 105 : 내측 가이드부
110 : 충전부 120 : 급양부
121 : 스토퍼 200 : 사다리 벽체
210 : 제1 사다리 바아 211 : 제1 끼움 홈
300 : 사다리 칸막이 310 : 제2 사다리 바아
311 : 제2 끼움 홈 400 : 슬라이딩 클립
401 : 손잡이 410 : 케이싱 물림부
420 : 벽체 물림부 430 : 칸막이 물림부
500 : 커버 클립 600 : 사양기 커버
601 : 주입구 결합부 610 : 노즐부
620 : 과주입 배출공 700 : 회전식 주입구
710 : 돔 커버 720 : 하부 베이스
730 : 부리관 731 : 회전 볼
740 : 패킹 링 800 : 부력체
810 : 주름관 몸체 820 : 외측 마개
821 : 마개 돌기 830 : 내측 마개
831 : 저면부
100: casing 101: bite protrusion
103: upper extension part 105: inner guide part
110: charging unit 120: feeding unit
121: stopper 200: ladder wall
210: first ladder bar 211: first fitting groove
300: ladder partition 310: second ladder bar
311: second fitting groove 400: sliding clip
401: handle 410: casing bite
420: wall biting part 430: partition biting part
500: cover clip 600: specification machine cover
601: injection port coupling portion 610: nozzle portion
620: over-injection discharge hole 700: rotary inlet
710: dome cover 720: lower base
730: beak tube 731: rotating ball
740: packing ring 800: buoyancy body
810: corrugated pipe body 820: outer plug
821: stopper projection 830: inner stopper
831: bottom part

Claims (3)

벌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양봉용 사양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는 일측으로 사양액이 충전되는 충전부(110)와 타측으로 꿀벌이 사양액을 섭취하는 급양부(120)가 구획 형성되도록 마련된 케이싱(100);
상하로 개방되며, 네 측면에는 다수의 제1 사다리 바아(210)들이 이격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급양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부(110)와 상기 급양부(120)가 상호 구획되도록 하는 사다리 벽체(200);
상기 사다리 벽체(20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급양부(120)의 내부를 구획하며, 판면에는 다수의 제2 사다리 바아(310)들이 이격 구비된 사다리 칸막이(300);
상기 급양부(1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급양부(120)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좌우로 결합되며, 상기 사다리 벽체(200)와 상기 사다리 칸막이(300)가 하부에 물리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클립(400);
상기 케이싱(100)의 충전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부(110)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중심부에는 사양액이 외부에서 주입되는 노즐부(610)가 하부에 구비된 사양기 커버(6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충전부(110)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저장되어 상기 충전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승강 되게 구비되고, 상승시 상기 노즐부(610)에 접촉되면 사양액의 주입이 중단되도록 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수축 또는 팽창되게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610)에 접촉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부력체(8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
In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eehive to supply the specification liquid,
A casing 100 provided to form an open-top top, the inside of which is a charging part 110 filled with a feeding liquid on one side and a feeding part 120 on the other side of which a bee feeds a feeding liquid is partitioned;
It is open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first ladder bar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four sides, and are installed in the feeding part 120 of the casing 100 so that the charging part 110 and the feeding part 120 are mutually A ladder wall 200 to be partitioned;
A ladder partition 300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ladder bars 3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plate surface by being inserted into the ladder wall 200 to partition the inside of the feeding part 120;
It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top of the feeding portion 120 of the casing 10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ing portion 120 is kept open, the ladder wall 200 and the ladder partition 300 A pair of sliding clips 400 installed to be engaged in the lower part;
I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art 110 of the casing 10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harging part 110 is kept closed, and a nozzle part 610 in which the non-standard liquid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center. A feeding machine cover 600; And
It is independently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part 110 of the casing 100, air is stored therein, and is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part 110, and when ascending, the nozzle part ( The buoyancy body 800 is provided to be contracted or expan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tored therein and adjusts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in contact with the nozzle unit 610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610. );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800)는 상기 충전부(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 몸체(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body 8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harging unit 110 and includes a corrugated pipe body 810 that expands and contract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interior.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with a siev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기 커버(600)의 판면에는 상기 노즐부(610)가 구비된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과주입 배출공(620)이 형성되고,
상기 사양기 커버(600)의 단 폭 방향에 따른 단면상으로는 양단부에서 상기 과주입 배출공(620)을 향해 상면이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 양봉용 사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over-injection and discharge hole 620 is form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eeding machine cover 60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in which the nozzle part 610 is provided,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having a buoyancy body capable of controlling buoyancy,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gradient from both ends toward the over-injection and discharge hole 620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d of the cover 600 .
KR1020200181555A 2020-12-23 2020-12-23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102223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55A KR102223437B1 (en) 2020-12-23 2020-12-23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55A KR102223437B1 (en) 2020-12-23 2020-12-23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437B1 true KR102223437B1 (en) 2021-03-05

Family

ID=7516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55A KR102223437B1 (en) 2020-12-23 2020-12-23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6931A (en) * 2021-03-31 2022-10-04 易颖文 Automatic bee pupa feeding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999Y1 (en) * 1997-04-23 1999-06-15 오금석 The feed bucket for bees
KR200316458Y1 (en) 2003-03-29 2003-06-18 고상인 A beehive with drawer type feed trough
KR200369756Y1 (en)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Bee-breeding apparatus
KR200492616Y1 (en) * 2019-02-28 2020-11-11 김광진 Beeding vessel for beekeeping with a Cl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999Y1 (en) * 1997-04-23 1999-06-15 오금석 The feed bucket for bees
KR200316458Y1 (en) 2003-03-29 2003-06-18 고상인 A beehive with drawer type feed trough
KR200369756Y1 (en) * 2004-09-25 2004-12-09 (주)야생양봉원 Bee-breeding apparatus
KR200492616Y1 (en) * 2019-02-28 2020-11-11 김광진 Beeding vessel for beekeeping with a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6931A (en) * 2021-03-31 2022-10-04 易颖文 Automatic bee pupa feed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427B2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float valve base closure mechanism
KR102002707B1 (en) Honey bee feeding vessel and apparatus including this vessel
KR102223437B1 (en)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101667628B1 (en) Bee feed contalner
US4798172A (en) Birdfeeder
KR101117134B1 (en)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20200049777A (en) Hydroponics
KR102223432B1 (en) feeding device having elevating boat structure linked to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20130074885A (en) Honeybee rearing machine
KR200489815Y1 (en) Bee breeding apparatus
KR101141538B1 (en) 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1178036B1 (en) The feeding appliance structure for bee raising
KR200191550Y1 (en) An automatic br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KR102098390B1 (en) Beehive with bee-breeding apparatus
KR102266914B1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KR20240059833A (en)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KR200317686Y1 (en) An automatic nourishing device for beekeeping
KR102373660B1 (en) The bottom plate of beehives
KR200433173Y1 (en) Bee-breeding apparatus
SU1313405A1 (en) Intrabee-hive feeder-waterer for bees over frame
KR20130002087U (en) bee feed bucket
KR970001350Y1 (en) Automatic breeding machine assembly for beekeeping
KR200186570Y1 (en) bee feed contatner both roayalgeey device
KR200254919Y1 (en) Bee feed contal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