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48B1 - Water feeder for honey bees - Google Patents

Water feeder for honey be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48B1
KR102462748B1 KR1020200081547A KR20200081547A KR102462748B1 KR 102462748 B1 KR102462748 B1 KR 102462748B1 KR 1020200081547 A KR1020200081547 A KR 1020200081547A KR 20200081547 A KR20200081547 A KR 20200081547A KR 102462748 B1 KR102462748 B1 KR 10246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ody
water tank
beekeeping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3829A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일 filed Critical (주)매일
Priority to KR102020008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748B1/en
Publication of KR2022000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8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는, 물을 채울 수 있게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고,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위 조절부; 및 상기 수조 본체 내에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형성되며, 물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o be filled with water and has an open top water tank body; a water level control unit formed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and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nd a porous pad formed to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ank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with water.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WATER FEEDER FOR HONEY BEES}WATER FEEDER FOR HONEY BEES

본 발명은 꿀벌에게 물 또는 당액을 공급할 수 있는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ing machine for beekeeping that can supply water or sugar solution to bees.

봄철을 맞은 벌들은 첫 탈분하러 나오는 날부터 물을 찾는다. 알을 낳고 새끼가 부화되면 일벌들이 유충에게 먹이를 먹이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물이 사용되다 보니 추운 날씨에도 물을 찾아 날아다니는 일도 많다. 봄철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육아를 하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한 물공급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Bees in spring look for water from the first day they come out for demolition. After the eggs are laid and the young hatch, the worker bees start feeding the larvae. Since water is essential in this process, they often fly around in search of water even in cold weather. Water suppl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has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water is needed to raise children not only in spring but also in summer.

이른 봄철 외에도 여름이나 장마철 또는 월동기를 앞두고 먹이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먹이 보충을 위하여 당액을 먹게 해준다. 이를 위한 벌의 음용수 또는 먹이 그릇을 사양기라 한다. 사양기에는 광식사양기, 소문사양기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양기는 벌통 내에 설치되어 있거나 벌통의 입구에 놓이는 경우가 많은데, 벌통의 수가 많은 경우 관리해야 할 사양기도 늘게 되어 번거롭다. 또한, 기존의 사양기의 경우 수위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고 벌이 물이나 당액에 앉을 수 있는 자리의 안정성이 떨어져 물에 빠져 익사하는 경우도 발생한다.In addition to the early spring, there may be a shortage of food before the summer,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so at this time, sugar solution is used to supplement the food. For this purpose, drinking water or food bowls for bees are called breeding season. There are speculative specs and gossip specs. However, these breeding machines are often installed in the beehive or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beehive, and when the number of beehives is large, the number of breeding machines to be managed increases, which is cumberso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breeding season, the water level is not adjusted and the stability of the seat where the bees can sit in water or sugar solution is low, and there are cases where they drown in the water.

*관련 선행문헌*Related prior literature

한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0018634호(2000. 10. 25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Room No. 2000-0018634 (published on October 25, 2000)

본 발명과 관련된 일 목적은 벌들이 이동하여 다닐 수 있는 위치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수관 등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벌이 물이나 당액을 먹는 동안 빠지거나 익사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패드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양봉용 사양기를 제시하는데 있다.One obje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bees can move, and the water level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connecting to a water supply pipe, etc. It is to present a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that can be stably supported.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사양기 내의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이 마시기 좋은 수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good water temperature state for bees to drink by allowing the water in the breeding season to be heated.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목적은 벌이 몰려 있거나 변형이나 처짐 등의 상황이 발생할 시에도 벌이 앉아 물을 마시는 패드가 수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음용을 도모하고 벌이 물에 빠지는 것을 최소화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mote stable drinking and minimize bees drowning by ensuring that the pad where the bees sit and drink water is stab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even when the bees are flocking or a situation such as deformation or sagging occurs. .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는, 물을 채울 수 있게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고,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위 조절부; 및 상기 수조 본체 내에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형성되며, 물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o be filled with water and has an open top water tank body; a water level control unit formed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and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nd a porous pad formed to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ank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with wat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수위 조절부는, 상기 수조 본체의 일측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인렛연결부; 상기 인렛연결부에 결합되는 밸브; 및 일단에 수면에 떠 있을 수 있게 형성된 부력체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상기 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된 부력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nlet connection unit for supplying water to on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body; a valve coupled to the inlet connector; And one end is provided with a buoyancy body formed to be able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alve may include a buoyancy lever formed to block the valve when the buoyancy body is above a preset water leve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는, 상기 수위 조절부가 상기 수조 본체 내의 수중에서 격실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수조 본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attached to the water tank body so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part can form a compartment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는, 상기 수조 본체에 설치되며 전기에 의해 물을 데울 수 있게 형성된 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water tank body and configured to heat water by electricit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히터부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 석영관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er unit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that is heated by electricity; It may include a quartz tube formed to surround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는 상기 수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roof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붕은 상기 수조 본체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기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지붕은 상기 수조 본체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is supported by four pillars extending from the corners of the water tank body, and the roof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tank body at a certain distance in sp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공패드는 수지재의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pa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of a resin materi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봉용 사양기는 상기 다공패드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잠기는 것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 잠김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limiter formed to prevent the porous pad from being submerged to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and from sagg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잠김 제한부는 일단이 상기 다공패드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으로 연장하는 다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locking limi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rous pad, and the other e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eg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공패드에 포함된 상기 구멍의 내측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얕아지도록 형성된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rtion of the hole included in the perforated pad may include a step formed to become deeper toward the center and shallower toward the edg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공패드에 포함된 상기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장방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included in the perforated pad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or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에 의하면, 수조 본체 내에 수위조절부를 설치하고 벌이 물을 마실 수 있게 다공패드를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벌이 물을 마시는 동안 빠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machine for beekeeping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stably supplied while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water level by installing a water level control unit in the water tank body and placing a porous pad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so that bees can drink water. You can minimize fading while drinking water.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수조 본체 내에 히터부를 설치함으로써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벌이 마시기 적당한 온도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heater in the tank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reezing and supply water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bees to drink.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다공패드의 구멍에 단차를 형성시킴으로써 벌이 한꺼번에 다공패드에 몰려 있을 경우에 물에 빠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tep in the hole of the perforated pa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water when the bees flock to the perforated pad at once.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다공패드의 하부에 잠김제한부를 설치함으로써 다공패드의 부력에 이상이 있거나 벌이 몰려 있을 경우에 벌이 물에 빠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ocking limiter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ous pa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es falling into the water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uoyancy of the porous pad or the bees are crowd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100)의 일 예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봉용 사양기(100)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양봉용 사양기(100)에서 지붕(140)을 제거한 상태하고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양봉용 사양기(100)를 통한 사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공패드(130)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양기 내에 히터부(26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다공패드(23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다공패드(230)의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of FIG. 1 .
3 is a plan view with the roof 140 removed from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porous pad 130 for explaining the specification state through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er unit 260 is installed in the specification machine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ous pad 2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porous pad 2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양봉용 사양기(100)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양봉용 사양기(100)는 수조 본체(110), 수위 조절부(120), 다공패드(130), 지붕(140) 등을 구비하고 있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includes a water tank body 110 , a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 a porous pad 130 , a roof 140 , and the like.

수조 본체(110)는 물을 채울 수 있게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벌이 수면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수조 본체(110)는 경량이면서 강성이 있는 수지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수조 본체(110)는 수지를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강성의 증대를 위하여 살빼기홈 및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본체(110)의 상부는 지붕(140)을 씌워 낙옆 수조 본체(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그늘에서 사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붕(140)은 조립 가능한 봉형 지주(145)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봉형 지주(145)는 수조 본체(110)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수직 기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 기둥에 의하여 지붕(140)은 수조 본체(110)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평 방향의 봉형 지주(145)를 수조 본체(110)의 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해, 수조 본체(110)의 상단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봉형 지주(145)는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146)에 의하여 고정 및 조립될 수 있다. 지붕(140)은 봉형 지주(145)의 상부의 수평 부재에 체결용 브라켓(147)을 배치하고 나사(148)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지붕(140)은 하나의 판으로 구성되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이거나, 두 장을 이용하여 맞배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tank body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o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bees can access the water surface. The water tank body 11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and rigid resin. The tank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of resin, and may include a slimming groove and a rib 113 to increase rigidity while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speed.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body 110 can be configured to cover the roof 140 to block the inflow into the falling water tank body 110 and to make the specification in the shade. The roof 140 may be installed on a rod-shaped post 145 that can be assembled. The rod-shaped post 145 may include four vertical pillars extending from the corners of the water tank body 110 , and the roof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tank body 110 at a certain distance spatially by these vertical pillars. placed so In order to attach the horizontal rod-shaped post 145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body 110 ,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body 110 may be formed in a flange shape. The rod-shaped post 145 may be fixed and assembled by a joint 146 for mutual connection. The roof 140 may be fixed by arranging a fastening bracket 147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d-shaped post 145 and fastening the screw 148 . The roof 14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plate and inclined in one direction, or may be configured in a gable shape using two sheets.

수조 본체(110)의 일측은 외부의 상수관 등과 접속되기 위한 인렛연결부(121)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수조 본체(110)는 물을 채워야 하는 별도의 탱크나 저장용기가 없이도 상수관 등과 직접 연결됨으로써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사용 상태에 따라서는 인렛연결부(121)는 물 탱크 또는 당액 탱크의 공급관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One side of the water tank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connection part 121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water pipe and the like. That is, the water tank body 1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water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pipe, etc. without a separate tank or storage container to be filled with water. Depending on the use state, the inlet connection par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of the water tank or the sugar solution tank.

수조 본체(110) 내에 채워지는 물은 수위 조절부(120)에 의하여 설정된 수위로 유지된다. 도 2와 같이, 수위 조절부(120)는 인렛연결부(121), 밸브(125) 및 부력레버(127)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렛연결부(121)는 피팅부재 등에 의하여 상수관과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밸브(125)는 부력레버(127)에 연결되어 있으며, 부력레버(127)의 위치 및 각도에 따라 개방 또는 차단된다. 부력레버(127)의 일단은 수면에 떠 있을 수 있게 부력체(128)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밸브(125)와 연결되어 있다. 부력레버(127)는 부력체(128)의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서, 부력체(128)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올라가면 그에 따라 기울어진 각도도 증가하면서 밸브(125)를 막는다. 반대로, 부력체(128)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에서는 밸브(125)를 열어 인렛연결부(121)를 통하여 물이 수조 본체(110) 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수위의 설정은 부력레버(127)의 부력체(128)에 대한 위치 등을 변경하여 할 수 있다.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body 110 is maintained at a water level set by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 As shown in FIG. 2 ,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n inlet connection unit 121 , a valve 125 , and a buoyancy lever 127 . The inlet connection part 12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by a fitting member or the like. The valve 125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lever 127, and is opened or blo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buoyancy lever 127. One end of the buoyancy lever 127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128 so that it can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alve 125 . The buoyancy lever 127 is a stat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128, and when the buoyancy body 128 rises above a preset water level, the inclined angle increases accordingly and blocks the valve 125. Conversely, when the buoyancy body 128 is below the preset water level, the valve 125 is opened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body 110 through the inlet connection part 121 . The setting of the water level can be don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lever 127 with respect to the buoyancy body 128 .

수위 조절부(120)는 커버부(115)에 의하여 수조 본체(110) 내의 수중에서 격실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수위 조절부(120)는 수조 본체(110) 내의 일측 코너에 위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한 커버부(115)는 수조 본체(110) 내의 인접하는 양쪽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커버부(115)는 이물이 부력체(128) 및 부력레버(127)의 부근으로 접근하여 밸브(125)가 오동작되거나 동작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15)는 수조 본체(110) 내의 공간과 격실 형태이지만 물의 상호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위 조절부(120) 내의 공간과 수조 본체(110) 내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틈을 가질 수 있다.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is configured to form a compartment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110 by the cover unit 115 .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may be located at one corner in the water tank body 110 , and the cover unit 115 for this may be fixed to both sides adjacent to the water tank body 110 . This cover part 115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pproaching the buoyancy body 128 and the buoyancy lever 127 in the vicinity of the valve 125 to malfunction or fail to operate. Although the cover part 115 is in the form of a space and a compartment in the water tank body 110 , it may have a gap connecting the space in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0 and the space in the water tank body 110 to enable mutual movement of water.

도 3은 도 1의 양봉용 사양기(100)에서 지붕(140)을 제거한 상태하고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양봉용 사양기(100)를 통한 사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공패드(130) 주변의 단면도이다.3 is a plan view with the roof 140 removed from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of FIG. 1 , and FIG. 4 is a perforated pad 130 for explaining the specification state through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100 of FIG. 1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rrounding area.

이들 도면에 의하면, 다공패드(130)는 대략 수조 본체(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공패드(130)는 물에 뜰 수 있는 비중을 갖는 수지재의 판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다공패드(130)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DPM) 발포 스폰지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다공패드(130)는 내열성, 내한성, 내오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공패드(130)는 상부에 앉은 벌이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부의 물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의 구멍(131)을 갖는다. 복수의 구멍(131)은 벌이 물을 마시기 적당한 폭(a)과 간격(b)을 갖는다. 일 예시로서, 폭(a)은 13 ~ 15 ㎜, 간격(b)은 9 ~ 25 ㎜ 정도일 수 있다. 다공패드(130)의 구멍(131)의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벌집과 유사하게 구멍(131)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porous pad 130 has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water tank body 110 . The porous pad 13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that can float in water. As an example, the porous pad 130 may be in the form of an ethylene propylene rubber (EDPM) foamed sponge. The porous pad 130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ozone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and can provide stable buoyancy. The porous pad 130 has a plurality of holes 131 for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at the bottom so that a bee sitting on the top can drink water. The plurality of holes 131 have a width (a) and a spacing (b) suitable for bees to drink water. As an example, the width (a) may be about 13 to 15 mm, and the interval (b) may be about 9 to 25 mm. The shape of the hole 131 of the porous pad 13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3 , similar to the honeycomb, the hole 131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다공패드(130)가 수조 본체(110)의 내의 수면에서 떠 있는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공패드(130)는 커버부(115)에 의한 간섭 영역은 컷아웃(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ous pad 130 may include a cutout 132 in the interference area by the cover part 115 so that the porous pad 130 can move up and down whil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110 . .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양기에 물을 데우기 위한 히터부(260)가 구비된 것을 보인다. 즉, 이러한 히터부(260)는 전기에 의하여 발열될 수 있는 발열체(261)와, 발열체(261)를 감싸는 석영관(2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260)에는 수조 본체(210) 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260)에 의하여 수조 본체(210) 내에 채워진 물을 일정 온도로 데울 수 있게 되므로 추위에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벌이 마시기에 적당한 온도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5 show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eater unit 260 for heating water in the specification period is provided. That is, the heater unit 260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261 capable of generating heat by electricity, and a quartz tube 262 surrounding the heating element 261 . In addition, the heater unit 260 may include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210 . Since the water filled in the tank body 210 can be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by the heater unit 2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freezing in the cold and implement a temperature state suitable for bees to drink.

또한, 본 예의 사양기(200)는 다공패드(230)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잠기는 것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잠김제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김제한부(270)는 일단이 다공패드(23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조 본체(210)의 바닥으로 연장하는 다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잠김제한부(270)는 수조 본체(210)의 바닥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하는 기둥 형태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다리 형태와 기둥 형태가 조합된 잠김제한부(270)가 설치된 것을 보인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a locking limiting unit 270 to prevent the porous pad 230 from being submerged by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and from sagging. The locking limiting part 27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e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rous pad 23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210 . Conversely, the locking limiter 270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21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extending upward. 5 shows that the locking limiter 270 in which the bridge shape and the pillar shape are combined is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에 따른 다공패드(330)의 단면도이다. 본 예의 다공패드(330)는 벌들이 모여 있거나 부력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벌이 안전하게 앉을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다공패드(330)는 구멍(331)의 내측부가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얕아지는 단차(33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단차(334)에 의하여 다공패드(330)가 상대적으로 물에 가라앉게 되면, 벌은 넓은 쪽의 구멍 주변에 앉아 물을 마실 수 있고, 반대로 다공패드(330)가 상대적으로 물에 떠 있게 되면, 벌은 좁은 쪽의 구멍 주변에 앉아 물을 마실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ous pad 3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pad 330 of this example is configured so that the bees can sit safely even when the bees are gathered or there is a change in buoyancy. That is, the porous pad 330 includes a step 334 that becomes deeper toward the center and shallower toward the edg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hole 331 . When the porous pad 330 is relatively submerged in water due to the step 334, the bee can drink water while sitting around the hole on the wide side. , the bee can drink water by sitting around the hole on the narrow side.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예에 따른 다공패드(430)의 평면도로서, 다공패드(430)는 앞서와 달리 장공 형태의 구멍(131)을 가질 수 있다. 7 is a plan view of a porous pad 4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pad 430 may have a hole 131 in the form of a long hole unlike the previous on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양봉용 사양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described as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ed.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양봉용 사양기 110: 수조 본체
120: 수위 조절부 130, 230, 330, 430: 다공패드
131, 231, 33, 431: 구멍 140: 지붕
100: beekeeping specification device 110: water tank body
120: water level control unit 130, 230, 330, 430: perforated pad
131, 231, 33, 431: hole 140: roof

Claims (12)

물을 채울 수 있게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 내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되고,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위 조절부;
상기 수조 본체 내에서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형성되며, 물과 연통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패드;
상기 수조 본체에 설치되며 전기에 의해 물을 데울 수 있게 형성된 히터부; 및
상기 수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패드는 수지재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패드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구멍의 내측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지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얕아지도록 형성된 단차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은 상기 수조 본체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기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지붕은 상기 수조 본체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양봉용 사양기.
The water tank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o be filled with water and has an open top;
a water level control unit formed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and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 porous pad formed to be maintain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water surface in the water tank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 communicating with water;
a heater unit installed in the water tank body and formed to heat water by electricity; and
Including a roof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The porous pa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of a resin material,
The inner portion of each hole included in the perforated pad includes a step formed to become deeper toward the center and shallower toward the edge,
The roof is supported by four pillars extending from the corners of the tank body, and the roof is spatially spaced apart from the tank body at a certain distance, beekeeping specific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부는,
상기 수조 본체의 일측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인렛연결부;
상기 인렛연결부에 결합되는 밸브; 및
일단에 수면에 떠 있을 수 있게 형성된 부력체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때 상기 밸브를 차단시킬 수 있게 형성된 부력레버를 포함하는, 양봉용 사양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an inlet connection for supplying water to one wall of the water tank body;
a valve coupled to the inlet connector; and
A buoyancy body formed so as to be able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t one end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alve and includes a buoyancy lever formed to block the valve when the buoyancy body is above a preset water lev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부가 상기 수조 본체 내의 수중에서 격실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수조 본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양봉용 사양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eekeeping spec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attached to the water tank body so that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can form a compartment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 석영관을 포함하는, 양봉용 사양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er unit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ity;
A specification device for beekeeping, including a quartz tube formed to wrap the heating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패드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잠기는 것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 잠김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양봉용 사양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limiter formed to prevent the porous pad from being submerged to a certain depth or more and from sagging,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 제한부는 일단이 상기 다공패드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으로 연장하는 다리의 형태로 형성된, 양봉용 사양기.
10. The method of claim 9,
One end of the locking limi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a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leg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beekeeping specification machi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패드에 포함된 상기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육각형 또는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양봉용 사양기.


The method of claim 1 .
The hole included in the perforated pad is formed in a hexagonal or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ekeeping specifications.


KR1020200081547A 2020-07-02 2020-07-02 Water feeder for honey bees KR102462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47A KR102462748B1 (en) 2020-07-02 2020-07-02 Water feeder for honey be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547A KR102462748B1 (en) 2020-07-02 2020-07-02 Water feeder for honey b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29A KR20220003829A (en) 2022-01-11
KR102462748B1 true KR102462748B1 (en) 2022-11-04

Family

ID=7935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547A KR102462748B1 (en) 2020-07-02 2020-07-02 Water feeder for honey be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7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707B1 (en) * 2017-12-19 2019-07-23 장봉환 Honey bee feeding vessel and apparatus including this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186Y1 (en) * 1984-03-03 1986-11-14 신정수 Bottom boards of beehive equipped with breeding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707B1 (en) * 2017-12-19 2019-07-23 장봉환 Honey bee feeding vessel and apparatus including this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829A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181B1 (en) Beehive where accurate adjustment of opening and shutting of the doorway is possible
KR101986727B1 (en) Insulating panel for wooden beehive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US20170223935A1 (en) Container for aquatic plants
KR102462748B1 (en) Water feeder for honey bees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20120000770U (en) House for breeding insects
KR101530433B1 (en) A flowerpot formed the grating structure
KR101117134B1 (en)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200489815Y1 (en) Bee breeding apparatus
KR102031501B1 (en) A multifunctional bee hive for beekeeping
KR200487626Y1 (en) Bee breeding apparatus
US4364131A (en) Liquid reservoir
JP5260805B1 (en) Floating tank
KR102266914B1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KR102223437B1 (en) feeding device having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KR20190001409U (en) Beekeeping box with built-in feeders of pollen and sugared water
KR20140007165A (en) Beehive and durable insulation
KR200153076Y1 (en) The automatic feeder for raising bees
JP2011078375A (en) Surfacing vessel
KR102390320B1 (en) Nature-friendly automatic wood bee breeding apparatus machine for beekeeping
CN205623455U (en) Multi -functional fish bowl cultivated in a pot
KR101446562B1 (en) Artificial Incubation Device For Basin Bowl
KR20190001138U (en) Keeping Warm Mat for Pigsty
CN106719257A (en) A kind of small water turtle rearing-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