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295B1 -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 Google Patents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295B1
KR102597295B1 KR1020220041664A KR20220041664A KR102597295B1 KR 102597295 B1 KR102597295 B1 KR 102597295B1 KR 1020220041664 A KR1020220041664 A KR 1020220041664A KR 20220041664 A KR20220041664 A KR 20220041664A KR 102597295 B1 KR102597295 B1 KR 10259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liquid
shaped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2964A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2022004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95B1/en
Publication of KR2023014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은: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소비들이 내부에 나란히 설치되도록 소비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와 함께 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덮개; 상기 본체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사양액이 충전 및 수용되도록 구비된 판형 사양부; 및, 상기 본체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서 상기 판형 사양부의 일측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형 사양부에 급양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판형 사양부로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 분리시 상기 판형 사양부로의 사양액 주입 충전 상태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점검 및 수리가능하게 구비된 체킹 급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벌통 내부의 다수의 소비들과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통에 장착시 꿀벌들의 아사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양기가 벌통의 측면 벽체에서 일정 부분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덮개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양기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도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되어,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을 제공할 수 있다.
A beehive in which i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feed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ith an open top and a consumer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so that a plurality of consume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side;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hexahedral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a plate-shaped compartment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on a plate surface and provided therein to fill and accommodate a compartment liquid;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on the plat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with a supply hose so that the feeding liquid is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s remove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charging stat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is inspected and repair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o.
Accordingly, the suction device,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numerous consumers inside the beehive and prevents starvation of bees when mounted on the beehive, is provided to be integrally assembled and detachable at a certain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beehive, Even if the cover is not opened one by on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ehive liquid contained inside the hive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beekeeping liquid to be injected and recharge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improving the use and use of the beehi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ehive tha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 solution, which can make maintenance work convenient and minimize the risk of workers getting stung by bees.

Description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본 발명은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 내부의 다수의 소비들과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통에 장착시 꿀벌들의 아사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양기가 벌통의 측면 벽체에서 일정 부분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덮개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양기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도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되어,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hive tha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hive fluid,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e hive that is detach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numerous consumers inside the hive and prevents starvation of bees when mounted on the hive. By making it possible to assemble and detach from a certain part of the side wall,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beehive solution contained inside the hive from the outside even without opening the cover of the hive, and at the same time, the beehive solution can be injected and recharged. The structur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maintain the beehive. It is also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hive, which minimizes the risk of workers being stung by bees. It's about a beehive.

일반적으로 밀원이 풍부한 유밀기(有密期)에 꿀벌들이 채집한 꿀은 벌통의 소비틀 내에 저장되어 꿀벌의 식량으로 소비된다. 이렇게 소비되는 꿀 중 일부는 저장꿀이 되어 가을, 겨울의 무밀기(無密期)의 식량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honey collected by bees during the honey season when honey sources are abundant is stored in the consumption frame of the beehive and consumed as food for bees. Some of the honey consumed in this way becomes stored honey and is used as food during the fall and winter season.

여기서, 꿀벌들이 저장하고 남은 꿀을 여밀(餘密)이라 하여 꿀벌들이 자급자족하고 남은 꿀이므로 사람이 채집하여도 무방하다.Here, the remaining honey stored by the bees is referred to as honey, and since the honey is left over after the bees are self-sufficient, it is okay for people to collect it.

꿀벌들이 꽃에서 채집한 꽃 꿀을 소비에 저장하였다가 무밀기에 식량으로 사용하는데 양봉을 하는 사람들은 여밀만 채밀하는 것이 아닌 전체를 채밀하게 되므로 꿀벌의 아사 및 동사를 막기 위해 적절한 양의 급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급양은 때에 따라 저장 꿀의 양이 풍부하여도 벌들의 육아를 촉진하기 위해 행하기도 한다.Bees collect flower nectar from flowers and store it for consumption and then use it as food for the honey bees. Beekeepers collect the entire honey rather than just the honey, so they feed the bees in an appropriate amount to prevent starvation and death. It needs to be done. This kind of feeding is sometimes done to promote child rearing of bees even when the amount of stored honey is abundant.

상술한 바와 같이 급양은, 꿀, 결정 꿀, 가루 설탕, 설탕물, 물엿, 화분, 콩가루 등과 같은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양기를 벌통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비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feeding is to provide a feeder that can contain feed such as honey, crystalline honey, powdered sugar, sugar water, starch syrup, pollen, soybean powder, etc., either inside or outside the hive.

하지만, 벌통 외부에 노출되게 사양기를 구비하면 도봉을 유도하게 되어 통상 각 꿀벌들의 채밀 형편에 따라 각각의 벌통 내부에서 행하는 것이 통상적이다.However, providing a beehiv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ive induces swarming, so it is usually carried out inside each hive depending on the harvesting situation of each bee.

이러한 벌통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7-0001507호(2017년04월28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beehiv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1507 (published on April 28,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에 의하면, 사양기가 벌통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파손되거나 별도의 사양기를 제조하는 비용 등이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since the breeding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outside the hive, it can be easily damaged from the outside or the cost of manufacturing a separate breeding device may increase.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10)의 내부에 별도의 사양기(20)를 다수의 소비(30)들과 함께 나란히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eehiv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has a separate feeder 20 installed side by side with a plurality of consumers 30 inside the beehive 10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You may.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10)의 내부에 별도의 사양기(20)를 착탈식으로 구비하더라도 사양기(20)를 일일이 벌통(10)의 내부에 장착 또는 분리해 줘야하는 등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통상 사양기가 목재재질로 따로 마련되기 때문에 사양기 내부의 사양액이 외부로 쉽게 유출될 수 있으며, 그 제조에 따른 비용은 여전히 양봉농가에 부담으로 작용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ven if a separate feeder 20 is provided in a detachable manner inside the beehiv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ot easy to manage, as the feeders 20 must be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beehive 10 one by one. In addition, since the feeder is usually prepared separately and made of wood, the feed liquid inside the feeder can easily leak to the outside, and the cost of manufacturing it can still be a burden to beekeeping farmers.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10)의 내부에 별도의 사양기(20)를 착탈식으로 구비할 경우에는 사양기(20)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확인해야 하거나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에서 어디가 막혔거나 손상됐는지를 점검 및 수리하려면 작업자가 일일이 벌통의 덮개를 개방하여 확인하고 점검, 수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벌통의 덮개를 개방하여 작업하는 동안 작업자가 벌들에게 많이 쏘이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suction device 20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inside the beehiv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ehive solution contained within the beehive 20 must be checked or the bee hive 10 must be injected and charged. In order to check and repair which part of the structure is blocked or damaged, the worker must open the cover of the hive one by one to check, inspect, and repair, which can be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and the worker must open the cover of the beehive while working. The problem is that you may get stung a lot by bees.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7-0001507호(2017년04월28일자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01507 (published on April 28,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 내부의 다수의 소비들과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통에 장착시 꿀벌들의 아사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양기가 벌통의 측면 벽체에서 일정 부분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덮개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양기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도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되어,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device that is detachably separate from the numerous consumers inside the beehive to prevent starvation of bees when mounted on the hive, by providing an integrally assembled and detachable device at a certain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beehive. Even without opening the cover of the hive one by one, the remaining amount of beehive liquid contained inside the hive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bee hive to be injected and recharge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making it possible to inspect and repair the hive. The goal is to provide a beehive tha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keeping fluid, which makes use and maintenance work convenient, and minimizes the risk of workers getting stung by be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은: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소비들이 내부에 나란히 설치되도록 소비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와 함께 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덮개; 상기 본체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사양액이 충전 및 수용되도록 구비된 판형 사양부; 및, 상기 본체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서 상기 판형 사양부의 일측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형 사양부에 급양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판형 사양부로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탈거 분리시 상기 판형 사양부로의 사양액 주입 충전 상태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점검 및 수리가능하게 구비된 체킹 급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ehive in which i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n open top and a consumer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so that a plurality of consume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side;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forming a hexahedral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a plate-shaped compartment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on a plate surface and provided therein to fill and accommodate a compartment liquid;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on the plat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with a supply hose so that the feeding liquid is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s remove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charging state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is inspected and repair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o.

여기서, 상기 판형 사양부로 주입 충전되는 사양액의 양이 제한되도록 상기 체킹 급양부의 내부에는 상기 체킹 급양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 승강 되는 부력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o limit the amount of feeding liquid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feed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be provided with a buoyancy body that rises and fall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injected into the checking feeding part.

그리고, 상기 판형 사양부에는 상기 체킹 급양부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판형 사양부의 내부로 충전 및 수용된 사양액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된 사양액 수위 표시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part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jected through the checking feeding part and filled and received insid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벌통 내부의 다수의 소비들과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통에 장착시 꿀벌들의 아사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양기가 벌통의 측면 벽체에서 일정 부분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덮개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양기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도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되어,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ction device that is detach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consumers inside the beehive to prevent starvation of bees when mounted on the hive is provided to be integrally assembled and detachable at a certain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beehive, Even without opening the cover of the hive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beehive solution contained inside the hive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beehive solution to be injected and recharge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ehive tha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keeping fluid, which can make use and maintenance work convenient, and minimize the risk of workers getting stung by bee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의 일 예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본체의 네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판형 사양부 및 체킹 급양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사양부 및 체킹 급양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측면에 판형 사양부가 조립된 상태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사양부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킹 급양부에 오버플로우 방지 펌프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ehive in which i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feed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and the checking feeding part on any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and the checking fee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inside of a state in which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is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at an overflow prevention pump is provided in the checking fee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소비들이 내부에 나란히 설치되도록 소비 수용부(110)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본체(100)와 함께 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덮개(200)와, 본체(1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벽체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사양액이 충전 및 수용되도록 구비된 판형 사양부(300)와, 본체(1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서 판형 사양부(300)의 일측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판형 사양부(300)에 급양 호스(410)로 연결되어 판형 사양부(300)로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덮개(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로부터 탈거 분리시 판형 사양부(300)로의 사양액 주입 충전 상태가 본체(100)의 외부에서 점검 및 수리가능하게 구비된 체킹 급양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beehive, which facilitates checking and repairing the remaining amount of feed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n top appearance and has a consumer receiving portion ( 11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forms a hexahedral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and a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ll of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s provided to fill and accommodate the specification liquid therein, and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unit 300 on at least one plate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unit 300 with a supply hose 410 so that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unit 300. It is provided, and 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ject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and the charging state can be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ncludes a checking feeding unit 400.

이에 따라, 벌통 내부의 다수의 소비들과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벌통에 장착시 꿀벌들의 아사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양기가 벌통의 측면 벽체에서 일정 부분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덮개(200)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양기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구조도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되어,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ction device,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numerous consumers inside the beehive and prevents starvation of bees when mounted on the hive, is installed in a certain part on the side wall of the beehive so that it can be assembled and detachably. Even if the cover 200 is not opened one by on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contained inside the specification device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specification solution to be injected and charge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inspect and repair the bee hi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ehive tha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bee solution, which can make use and maintenance work convenient, and minimize the risk of workers getting stung by bees.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소비들이 나란히 설치되는 소비 수용부(110)가 형성되도록 하나의 금형에 의해 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의 외관에서 상부가 개방된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using a single mold to form a consumer receptacl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consume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has a roughly hexahedral appearance at the top. Can be provided to have an open pentahedral appear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체(10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resin material.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이 깨짐성, 유연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제품 포장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부피가 소형이든 대형이든 다양한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고,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에 사양액이 충전되어도 사양액이 환경적으로 영향받지 않는 친환경적인 조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에 충전된 사양액이 외부로 새어나가게 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o have excellent product packaging properties such as breakability, flexi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whether small or large in volume, and the plate-type specification unit (300) ), it is possible to crea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ditions in which the specification liquid is not environmentally affected even i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filled inside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filled inside the plate-type specification part 300 leaks to the outside. It can be prevented.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네 측면 중 판형 사양부(300)가 결합되는 전방 측면에서 판형 사양부(300)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벌들이 본체(100)의 내외로 출입 되는 통로와 통풍구를 제공하는 소문(120)이 구비되며, 소문(120)이 구비되는 본체(100)의 개구 부분과 소문(120)의 사이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소문(120)이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부(12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S. 2 and 3, on the front side wher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is coupled among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bees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rtion wher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 A small door 120 is provided that provides a passage and a ventilation hole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small door 100, and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lide left and right between the opening part of the main body 100 where the small door 120 is provided and the small doo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120 is provided with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1 that allows it to be opened and clos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네 측면 중 판형 사양부(300)가 결합되는 측면 벽체에는 판형 사양부(30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사양부 끼움부(130)가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mong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 side wall to which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is coupled is provided with a specification portion fitting portion 130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foration is formed.

이에 따라, 판형 사양부(300)가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하여 판형 사양부(300)가 본체(100)의 측면 벽체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can be fitted and engaged with the specifications fitting part 130 so that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can be integrally assembled and detachable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부 끼움부(130)의 좌우 양측에는 사양부 끼움부(130)에 끼워진 판형 사양부(300)를 사양부 끼움부(130)에서 탈거 분리시키려고 할 때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편리하게 판형 사양부(300)를 사양부 끼움부(130)에서 빼낼 수 있도록 제1 보조 홈(131)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 3, when trying to remove and separat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inserted into the specifications part fitting part 13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ecifications part fitting part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uxiliary grooves 131 are formed so that the worker can conveniently remov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from the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0 by inserting a finger.

이에 따라, 본체(100)의 측면 벽체 일부를 이루도록 본체(100)의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워진 판형 사양부(300)의 탈거 분리와 장착 조립이 제1 보조 홈(131)에 의해 모두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oval, separation and installation assembly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0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is all performed through the first auxiliary groove 131. It can be done easily.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부 끼움부(130)가 형성된 본체(100)의 측면 벽체에서 내측에는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워진 판형 사양부(300)보다 상측으로 약간 크게 형성되어 꿀벌들이 판형 사양부(300)로 출입하며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사양 통로(133)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where the specifications fitting part 130 is formed, a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is formed slightly larger on the upper side than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inserted into the specifications fitting part 130.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feed passage 133 that allows bees to enter and exit the plate-shaped feed portion 300 and ingest the feed liquid.

여기서, 사양 통로(133)는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워진 판형 사양부(300)로부터 대략 8 ~ 25 mm 정도의 폭을 갖는 수평 통로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afety passage 133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assage having a width of approximately 8 to 25 mm from the plate-shaped safety portion 300 inserted into the safety portion fitting portion 130.

이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에서 꿀벌들이 사양 통로(133)를 타고 판형 사양부(300)로 출입하며 사양액을 용이하게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ithin the main body 100, bees can enter and exit the plate-shaped suction part 30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33 and easily ingest the bee flui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네 측면 중 판형 사양부(300)가 결합되는 측면 벽체에서 사양부 끼움부(130)의 일측에는 체킹 급양부(40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급양부 끼움부(140)가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size and shape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re on one side of the specifications part fitting part 130 on the side wall wher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s coupled among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eeding portion fitting portion 140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이에 따라, 체킹 급양부(400)가 급양부 끼움부(140)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하여 체킹 급양부(400) 또한 판형 사양부(300)와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측면 벽체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so that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also integrally assembled and detached from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like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t can be made available.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양부 끼움부(140)의 상하 양측에는 급양부 끼움부(140)에 끼워진 체킹 급양부(400)를 급양부 끼움부(140)에서 탈거 분리시키려고 할 때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편리하게 체킹 급양부(400)를 급양부 끼움부(140)에서 빼낼 수 있도록 제2 보조 홈(141)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 3, when trying to remove and separat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nserted into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uxiliary grooves 141 are formed so that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remov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from the feeding part insertion part 140 by inserting a finger.

이에 따라, 본체(100)의 측면 벽체 일부를 이루도록 본체(100)의 급양부 끼움부(140)로 끼워진 체킹 급양부(400)의 탈거 분리와 장착 조립이 제2 보조 홈(141)에 의해 모두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oval, separation, and installation assembly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is all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groove 141. It can be done easily.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측면 벽체 중 사양부 끼움부(130)와 급양부 끼움부(140)가 형성된 측면 벽체에서 사양부 끼움부(130)와 급양부 끼움부(140)의 사이에는 급양 호스(41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호스 끼움부(150)가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where the feed portion fitting portion 130 and the feed portion fitting portion 140 are formed, the feed portion fitting portion 130 and the feeding portion fitting portion 14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 hose fitting portion 150 is formed between the holes 140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water supply hose 410.

이에 따라, 급양 호스(410)가 호스 끼움부(150)로 끼워져 맞물리도록 하여 급양 호스(410) 또한 체킹 급양부(400) 및 판형 사양부(300)와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측면 벽체에 일체로 조립 및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ly hose 410 is inserted into the hose fitting part 150 and engaged, so that the supply hose 410 is also integrated into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like the checking supply part 400 and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t can be provided to be assembled and detachable.

덮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본체(100)와 함께 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하부의 내측 둘레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의 내측 둘레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ver 200 is formed to have an open lower part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form a hexahedral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open lower part. The circumference is provided to engage and couple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덮개(200)는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200, like the main body 100, may be made of expanded polypropylene (EPP) resin.

판형 사양부(3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워져 맞물려 조립되도록 정면상 대략 장방형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되어 내부에는 사양액이 충전 및 수용되는 공간인 사양액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사양액 수용부(310)는 체킹 급양부(400)의 급양 호스(41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4 and 6,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front so as to be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part is open. The nutritional fluid receiving part 310,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nutritional fluid is filled and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and the nutritional fluid receiving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feeding hose 410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사양부(300)에는 체킹 급양부(400)를 통해 주입되어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로 충전 및 수용된 사양액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된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s liquid inject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unit 300 through the checking supply unit 400 and filled and receiv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unit 300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that a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unit 320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이에 따라, 벌통의 덮개(200)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본체(100)의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만 확인하면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cover 200 of the beehive is not opened one by one, the operato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beekeeping liquid level display unit 32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beekeeping liquid contained inside the plate-shaped beekeeping unit 300. It can be easily checked from outside.

여기서,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는 외측에 눈금들이 표시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luid level display unit 3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scales displayed on the outside.

이에 따라,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에 수용된 사양액의 잔량을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에 표시된 눈금들에 의해 좀더 계량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stored inside the plate-type specification unit 300 can be confirmed more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using the scales displayed on the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unit 320.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사양부(300)는 측면 상 전방에 전면 돌출부(330)가 후방보다 단턱 진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ortion 300 preferably has a front protrusion 330 protruding from the front side in a stepped shape compared to the rear side.

이에 따라, 판형 사양부(300)를 사양부 끼움부(130)로 끼울 때에 전면 돌출부(330)가 사양부 끼움부(130)의 내측으로 맞물려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전면 돌출부(330)의 후방의 개방된 상부를 형성하는 둘레가 전면 돌출부(33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100)의 내측에서 사양 통로(133)가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fitting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nto the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0, the front protrusion 330 can be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0 to be stably and firmly coupled, and the front protrusion ( The perimeter forming the rear open upper part of the 33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the front protrusion 330, so that the specification passage 133 can be easily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체킹 급양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급양부 끼움부(140)로 끼워져 맞물려 조립되도록 정면상 방형의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에는 판형 사양부(300)의 사양액 수용부(310)로 연결된 급양 호스(410)가 구비되며, 상부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며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체킹 커버(4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또는 힌지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체킹 급양부(400)로의 사양액 공급은 체킹 커버(420)를 개방하여 체킹 급양부(4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으로 사양액을 부어주는 과정을 통해 이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front to be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at the bottom. A supply hose 410 connected to the feed solution receiving portion 310 is provided,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worker can supply the feed solu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open area at the top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in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sure sealing, a checking cover 420 is provided at the top to be detachably coupled or hinged to open and close.
In other words, the supply of feeding liquid to the checking feeding unit 400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he checking cover 420 and pouring the feeding liquid into the open upper area of the checking feeding unit 400.

이에 따라,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로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하는 체킹 급양부(400)와 급양 호스(410) 등에서의 막힘이나 손상 여부 등과 같은 문제점을 작업자가 벌통의 덮개(200)를 일일이 개방하지 않더라도 체킹 급양부(400)만을 급양부 끼움부(140)로부터 간단히 빼내어 체킹 커버(420)를 열어 확인하며 본체(100)의 외부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벌통의 사용과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벌들에게 쏘이게 되는 것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problems such as clogging or damage in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nd the feeding hose 410, which allow the feeding liquid to be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can be solved by allowing the worker to close the cover 200 of the hive. Even if it is not opened individually, only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eeding part insertion part 140 and the checking cover 420 can be opened and inspected and repaired easily and conveniently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improving the use of the beehive. It can make maintenance work convenient and minimize the risk of workers getting stung by be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에는 판형 사양부(300)로 주입 충전되는 사양액의 양이 제한되도록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 승강 되는 부력체(43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력체(430)는 발포 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 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면 충분하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nside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provided so that the amount of fluid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is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a buoyancy body 430 that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 liquid injected into the buoyancy body is provided.
Here, the buoyancy body 430 may be made of a foamed res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o this. If the buoyancy body 4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Suffice.

이에 따라,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로 사양액이 주입됨에 따라 상승하게 되는 부력체(43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양액의 주입이 멈춰져야 할 때 사양액이 과도하게 주입되어 넘쳐버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고, 사양액의 농도와 수위에 따라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체킹 급양부(400)를 통해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부력체(430)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by providing a buoyancy body 430 that rises as the feed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the feeding liquid is excessively injected and overflows when the injection of the feeding liquid should be stopped.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supply of the feeding solution can be regula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level of the feeding solution, and the level of the feeding solution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plate-shaped feeding part 300 through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the buoyancy body 430.

한편, 체킹 급양부(400)는,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와 마찬가지로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될 수 있고, 외측에는 눈금들이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like the feeding fluid level display part 3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and may be provided so that scales are displayed on the outside.

이에 따라, 체킹 급양부(400)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가 줄어드는 속도와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를 통해 확인되는 판형 사양부(300)에서 사양액이 차오르는 속도를 작업자가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의 눈금들과 체킹 급양부(400)의 눈금들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 또는 체킹 급양부(400)와 판형 사양부(300)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막힘 또는 손상 등이 있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체킹 급양부(400)를 본체(100)에서 탈거 분리하여 손쉽게 수리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eed at which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jected into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decreases and the speed at which the specification liquid fills in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which is confirmed through the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unit 320, can be measur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unit. By visually comparing the scales of 320 and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there is blockage or damage insid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or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nd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problem, and if there is a problem,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can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easily repair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킹 급양부(400)에는 긴급한 경우 상측 누름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체킹 급양부(400) 내부의 사양액이 흡입되어 호스와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판형 사양부(300)의 상측으로 사양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 방지 펌프(44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ure 7,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ks the liquid insid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by pressurizing and releasing the upper pressing part and connects it to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hose. An overflow prevention pump 440 that allows the specification liquid to be injec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체킹 급양부(400)로 너무나 과도한 양의 사양액이 순간적으로 주입되어 외부로 흘러넘치기 전에 오버플로우 방지 펌프(440)로 사양액을 빨아들이도록 하여 판형 사양부(300)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사양액의 흘러넘침으로 인한 체킹 급양부(400)의 오염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n excessive amount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momentarily injected into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nd the overflow prevention pump 440 sucks the specification liquid before it overflows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supplied to the plate-type specification part 300. By doing so, contamination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due to overflow of the feed so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여기서, 오버플로우 방지 펌프(440)의 누름부에는 고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며 내부 압력의 저하에 의해 사양액이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sing part of the overflow prevention pump 44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or spring, so that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specification liquid is sucked in by lowering the internal pressure. do.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aspec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planation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100 : 본체 110 : 소비 수용부
120 : 소문 121 : 슬라이딩 개폐부
130 : 사양부 끼움부 131 : 제1 보조 홈
133 : 사양 통로 140 : 급양부 끼움부
141 : 제2 보조 홈 150 : 호스 끼움부
200 : 덮개 300 : 판형 사양부
310 : 사양액 수용부 320 : 사양액 수위 표시부
330 : 전면 돌출부 400 : 체킹 급양부
410 : 급양 호스 420 : 체킹 커버
430 : 부력체
100: main body 110: consumption receptor
120: Rumor 121: Sliding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Specification part fitting part 131: First auxiliary groove
133: specification passage 140: feeding part fitting part
141: second auxiliary groove 150: hose fitting part
200: Cover 300: Plate specification section
310: specification liquid receiving part 320: specification liquid level display part
330: Front protrusion 400: Checking feeding part
410: Water supply hose 420: Checking cover
430: Buoyancy body

Claims (3)

상부가 개방된 외관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소비들이 내부에 나란히 설치되도록 소비 수용부(110)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본체(100)와 함께 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구비된 덮개(200);
상기 본체(1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사양액이 충전 및 수용되도록 구비된 판형 사양부(300); 및
상기 본체(1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서 상기 판형 사양부(300)의 일측에 판면 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판형 사양부(300)에 급양 호스(410)로 연결되어 상기 판형 사양부(300)로 사양액이 주입 충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로부터 탈거 분리시 상기 판형 사양부(300)로의 사양액 주입 충전 상태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점검 및 수리가능하게 구비된 체킹 급양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사양부(300)에는 상기 체킹 급양부(400)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판형 사양부(300)의 내부로 충전 및 수용된 사양액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가능하게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된 사양액 수위 표시부(320)가 구비되며,
상기 체킹 급양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급양부 끼움부(140)로 끼워져 맞물려 조립되도록 정면상 방형의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판형 사양부(300)의 사양액 수용부(310)로 연결된 급양 호스(410)가 구비되며, 상부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며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체킹 커버(4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또는 힌지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킹 급양부(400)로의 사양액 공급은 체킹 커버(420)를 개방하여 체킹 급양부(4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으로 사양액을 부어주는 과정을 통해 이뤄지게 되며,
상기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에는 상기 판형 사양부(300)로 주입 충전되는 사양액의 양이 제한되도록 상기 체킹 급양부(4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사양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 승강 되는 부력체(430)가 구비되고,
상기 체킹 급양부(400)에는 상측 누름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상기 체킹 급양부(400) 내부의 사양액이 흡입되어 호스를 통해 상기 판형 사양부(300)의 상측으로 사양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 방지 펌프(4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의 잔량 확인 및 수리가 용이한 벌통.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to have an open appearance at the top and has a consumer receiving portion 110 formed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consumer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side;
A cover 2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forming a hexahedral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a plate-shaped compartment 30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s provided therein to fill and accommodate a storage solu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ate-shaped section 300, and is connected to the plate-shaped section 300 with a water supply hose 410. It is provided to inject and fill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with the specification liquid, and 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0, the specification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a checking supply unit (400) provided so that the state of liquid injection and charge can be inspected and repair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ncluding,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level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njected through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and filled and receiv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 part 300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A water level display unit 320 is provided,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front so as to be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eeding part fitting part 140 of the main body 100, and at the lower part is the specifications liquid receiving part of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A supply hose 410 connected to (310) is provided,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worker can supply the feeding solu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upper open area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inside can be sealed from the outside. The checking cover 420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coupled or hinged to open and close, and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to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done by opening the checking cover 420 to open the upper area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This is done through the process of pouring the specification liquid.
The inside of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has a buoyancy that go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eeding liquid injected into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to limit the amount of feeding liquid injected into the plate-shaped specifications part 300. A sieve 430 is provided,
In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the feeding liquid inside the checking feeding part 400 is sucked by pressurizing and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upper pressing part, and the feed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plate-shaped feeding part 300 through the hose. A beehive that is equipped with an overflow prevention pump (440) and is easy to check and repair the remaining amount of specification liqui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41664A 2022-04-04 2022-04-04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KR102597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64A KR102597295B1 (en) 2022-04-04 2022-04-04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64A KR102597295B1 (en) 2022-04-04 2022-04-04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64A KR20230142964A (en) 2023-10-11
KR102597295B1 true KR102597295B1 (en) 2023-11-02

Family

ID=8829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664A KR102597295B1 (en) 2022-04-04 2022-04-04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34B1 (en) * 2009-12-31 2012-03-07 임준혁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1679649B1 (en) * 2016-02-15 2016-11-25 조은호 Bee water supplying structure for beehive
KR102098390B1 (en) * 2018-10-03 2020-04-07 조상균 Beehive with bee-bree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35Y1 (en) 2017-04-10 2018-12-06 김장춘 Beehive sugar water fee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34B1 (en) * 2009-12-31 2012-03-07 임준혁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1679649B1 (en) * 2016-02-15 2016-11-25 조은호 Bee water supplying structure for beehive
KR102098390B1 (en) * 2018-10-03 2020-04-07 조상균 Beehive with bee-br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64A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356B (en) The improvement of apiculture
KR101667628B1 (en) Bee feed contalner
EP3095317A1 (en) Planting unit and planter
KR101348832B1 (en) Honeybee rearing machine
KR102597295B1 (en) beehive for easy checking of remaining amount of feeding liquid and maintaining
KR101117134B1 (en)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2136410B1 (en) Bee-breeding apparatus with humidifier for beehive
KR20170001000U (en) Beehive bee-breeding apparatus and beehive cover and beehive having the same
KR101394949B1 (en) Bee-breeding apparatus
KR102554257B1 (en) A beehive feeding plate
EP0014170B1 (en) Tray for rearing and feeding bees from the outside for intensive apiculture
KR101141538B1 (en) Separate manual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KR101027461B1 (en) The honeybee hive for the bimodal equipped with the pollen basket
KR102098390B1 (en) Beehive with bee-breeding apparatus
KR101027462B1 (en) Multipurpose horizontal bee-breeding device
KR200369756Y1 (en) Bee-breeding apparatus
FR2578389A1 (en) Feeder for bees
KR100928620B1 (en) Beeding vessel for honeybee
CN110521636A (en) A kind of bees feeder and a kind of honeycomb for having feeding function
CN208095685U (en) A kind of beehive
KR200484138Y1 (en) Sap supplying device for bee-keeping
KR200433173Y1 (en) Bee-breeding apparatus
KR102360432B1 (en) Automatic bee breeding apparatus
KR102390320B1 (en) Nature-friendly automatic wood bee breeding apparatus machine for beekeeping
KR20230052478A (en) Feeding device with food container attached to the bee 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