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724A -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 Google Patents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724A
KR20110078724A KR1020090135605A KR20090135605A KR20110078724A KR 20110078724 A KR20110078724 A KR 20110078724A KR 1020090135605 A KR1020090135605 A KR 1020090135605A KR 20090135605 A KR20090135605 A KR 20090135605A KR 20110078724 A KR20110078724 A KR 2011007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neck band
porous heating
porous
carb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200B1 (ko
Inventor
영 욱 김
김영문
Original Assignee
영 욱 김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욱 김, 김영문 filed Critical 영 욱 김
Priority to KR102009013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41D2023/004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made of different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2Heat retention or warming using temperature-controll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에 관한 것으로, 반원형 고리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목밴드 지지체(1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내면에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발열체(2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외면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진동체(30)와; 상기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전원선(41)으로 연결되어 DC 전원을 공급에는 충전 배터리(40) 및; 상기 목밴드 지지체(10)를 피복하는 피복체(50)로 구성되어 합성수지제의 고정체인 목밴드 지지체의 내면에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발열체를 부착하여 발열시키고, 외면에 진동체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다공성 발열체가 접히지 않는 고정구조를 이루어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적인 발열과 더불어 목밴드 지지체가 진동하여 착용자의 목을 효율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면서 진동으로 목 근육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가 절감되어 제품가격의 저렴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착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활성단 섬유, 다공성 발열체, 발열 목밴드, 진동체.

Description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Hot neck band having porous heating material made by carbon fiber activated}
본 발명은 발열 목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면에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부착하고 외면의 중앙부에 진동체를 부착한 목밴드 지지체를 천으로 피복하여 목밴드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시에 착용자가 목 부위를 따뜻하게 함과 더불어 진동체로 목부위를 진동시켜 목부위 근육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에 관한 것이다.
목도리는 방한·방진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목에 두르는 것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목도리는 동절기의 추운 겨울에 방한의 목적으로 목을 보호하기위해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데, 견직·모직·화학섬유·모피·편물 등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단순히 사용자의 체온을 보온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도리는 그 자체의 보온성 강화를 위하여 보통 두껍게 모 직물 또는 털실 등으로 직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목도리는 단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만 하여 줄뿐, 별도의 발열 기능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추운 겨울에는 두꺼운 목도리를 착용하여야 하므로 동작하기 너무 둔하게 되어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목도리는 사용자가 장시간 야외에서 가만히 있을 때 예를 들어 낚시 등의 활동을 할 때에는 보온의 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41908호의 "발열 목도리"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441908호의 "발열 목도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 절기에 목 부위에 두르는 목도리에 있어서, 모 직물 또는 털실로 직조된 천부(1); 상기 천부(1)에 부착되는 전기적 저항재료를 구비한 면상 발열체(2); 상기 면상 발열체(2)에 전원을 제공하는 축전 수단(4); 및 상기 축전 수단(40)으로부터 면상 발열체(2)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이루고, 전원 공급량을 제어하여 면상 발열체(2)의 온도조절을 이루는 온-오프 스위치(5)와 저항식 온도 조절기(7)를 구비한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2)는 탄소직물 면상 발열체로서, 상기 탄소직물 면상 발열체는 직물로 형성되며 카본액으로 염색된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의 양단부 및 그 사이에 카본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다수의 전극체 및 이 전극체가 부착된 발열체 표면을 코팅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전 수단(4)과 제어부(6)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면상 발열체(2)와 콘넥터(C)를 통해 연결되는 전선(3)을 통하여 길게 연장되며, 의복 주머니(9)에 보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41908호의 "발열 목도리"는 천부(1)에 탄소 직물 면상 발열체(2)가 직접 부착된 것이어서, 사용시나 보관시 빈번한 발열 목도리의 접힙으로 인하여 탄소직물의 탄소성분의 뭉침 현상 등이 야기되어 발열체의 발열효율이 저하되거나 발열체가 발열하지 못하는 고장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41908호의 "발열 목도리"는 착용시 실제로 목에 감기는 부분 외의 많은 부분에도 면상 발열체(2)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소비되는 전력소모가 많아 사용도중에도 빈번하게 축전 수단(4)을 충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41908호의 "발열 목도리"는 발열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갖지 못하여 방한용으로 사용이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발열 목도리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합성수지제의 고정체인 목밴드 지지체의 내면에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발열체를 부착하여 발열시키고, 외면에 진동체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다공성 발열체가 접히지 않는 고정구조를 이루어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적인 발열과 더불어 목밴드 지지체가 진동하여 착용자의 목을 효율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면서 진동으로 목 근육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가 절감되어 제품가격의 저렴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착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는 반원형 고리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목밴드 지지체(1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내면에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발열체(2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외면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진동체(30)와; 상기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전원선(41)으로 연결되어 DC 전원을 공급에는 충전 배터리(40) 및; 상기 목밴드 지지체(10)를 피복하는 피복체(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고정체인 목밴드 지지체의 내면에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발열체를 부착하여 발열시키고, 외면에 진동체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다공성 발열체가 접히지 않는 고정구조를 이루어 고장 없이 장기간 안정적인 발열과 더불어 진동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목을 효율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면서 진동으로 목 근육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가 절감되어 제품가격의 저렴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하면서도 착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는 반원형 고리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목밴드 지지체(1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내면에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발열체(2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외면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진동체(30)와; 상기 다공 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전원선(41)으로 연결되어 DC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40) 및; 상기 목밴드 지지체(10)를 피복하는 피복체(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밴드 지지체(10)는 합성수지로서, 착용하는 사용자의 목의 싸이즈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발열체(20)는 전면과 이면에 접착수지층을 형성하여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외부와 절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목밴드 지지체(10)에 부착시 양면 테이프(21) 대신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선(41)은 다공성 발열체(20)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충전 배터리(40)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 분리되도록 컨넥터(41a)가 설치되고, 충전 배터리(40)의 단부에는 잭(41b)이 설치되어 잭(41b)에 의해 충전 배터리(40)와 연결되며, 전원선(41)의 도중에는 상기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공동으로 또는 개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배터리(40)에는 온도조절기(40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복체(50)는 견직, 모직, 화학섬유, 모피, 편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단이 연장된 피복체(50)의 연장부 일측 단부측 내면과 타측 단부측 외면에는 벨크로테이프(50a, 5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열 목밴드를 사용할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 목밴드를 목에 두르고 벨크로테이프(50a, 50b)를 서로 부착하여 목에 착용한다.
이어서 컨넥터(41a)로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를 전원선(41)에 연결하고, 잭(41b)으로 전원선(41)을 충전 배터리(40)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를 동시에 가동시키고자하면, 스위치(41c)를 온시킴과 더불어 스위치(41c)로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의 동시 동작을 선택한다.
그러면, 충전 배터리(40)의 DC 전원이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함께 공급되어 다공성 발열체(20)가 발열하게 되어 발열 목밴드가 필요로 하는 온도로 가열되고, 동시에 진동체(30)의 진동으로 발열 목밴드가 진동하여 목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발열 목밴드의 착용자가 다공성 발열체(20) 만을 가동시키고자 하면, 스위치(41c)로 다공성 발열체(20)의 동작을 선택하면 되고, 진동체(30) 만을 가동시키고자 하면, 스위치(41c)로 진동체(30)의 동작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다공성 발열체(20)의 발열 온도는 충전 배터리(40)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조절기(40a)로 조절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온도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발열 목밴드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 복대나 발열 방석 등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발열 목도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열 목도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밴드 지지체 20 : 다공성 발열체
21 : 양면 테이프 30 : 진동체
40 : 충전 배터리 40a : 온도조절기
41 : 전원선 41a : 컨넥터
41b : 잭 41c : 스위치
50 : 피복체 50a, 50b : 벨크로테이프

Claims (5)

  1. 반원형 고리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목밴드 지지체(1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내면에 양면 테이프(21)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활성탄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발열체(20)와; 상기 목밴드 지지체(10)의 외면 중앙부에 부착 고정되는 진동체(30)와; 상기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전원선(41)으로 연결되어 DC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40) 및; 상기 목밴드 지지체(10)를 피복하는 피복체(50)로 구성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발열체(20)는 전면과 이면에 접착수지층을 형성하여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외부와 절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41)은 다공성 발열체(20)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충전 배터리(40)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 분리되도록 컨넥터(41a)가 설치되고, 충전 배터리(40)의 단부에는 잭(41b)이 설치되어 잭(41b)에 의해 충전 배터리(40)와 연결되며, 전원선(41)의 도중에는 상기 다공성 발열체(20)와 진동체(30)에 공동으로 또는 개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40)는 온도조절기(40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50)는 견직, 모직, 화학섬유, 모피, 편물 중 어느 하나이고 좌우 양단이 연장된 피복체(50)의 연장부 일측 단부측 내면과 타측 단부측 외면에는 벨크로테이프(50a, 5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KR1020090135605A 2009-12-31 2009-12-31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KR10106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05A KR101064200B1 (ko) 2009-12-31 2009-12-31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605A KR101064200B1 (ko) 2009-12-31 2009-12-31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724A true KR20110078724A (ko) 2011-07-07
KR101064200B1 KR101064200B1 (ko) 2011-09-14

Family

ID=4491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605A KR101064200B1 (ko) 2009-12-31 2009-12-31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72B1 (ko) 2011-12-08 2013-08-09 안현철 발향 목밴드
KR20220017561A (ko) 2020-08-04 2022-02-14 강종대 생체신호 측정용 목밴드
KR20220034550A (ko) 2020-09-11 2022-03-18 안지혜 발열 목 밴드
KR102590697B1 (ko) 2021-08-19 2023-10-17 기 용 박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온열 목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216A (ja) 2001-02-13 2002-08-23 Mizuo Edamura 体熱保温帯及び被服
KR100525929B1 (ko) * 2003-05-29 2005-11-03 영 욱 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KR200386419Y1 (ko) 2005-03-07 2005-06-13 표성호 세탁 가능한 온열목도리
KR101031284B1 (ko) * 2008-02-25 2011-04-29 양원동 기능성 목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200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36957A (ja) 柔軟な母材に組み込まれた加熱線を有する加温装置
KR101064200B1 (ko)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KR200441908Y1 (ko) 발열 목도리
KR101142285B1 (ko) 발열위치조정이 용이한 건강 열 조끼
KR101860750B1 (ko) 배터리 팩 옆 걸림이 제거된 온열 복대
CN205757342U (zh) 一种石墨烯智能加热校服上衣
JP2006207099A (ja) 防寒衣服
CN213372978U (zh) 一种多功能睡眠蒸汽眼罩
CN207167823U (zh) 新型多功能骑行服
CN202680487U (zh) 热保护衬衫
KR200389640Y1 (ko) 내피 분리가 가능한 발열 방한복
US10285850B2 (en) Holding element for an active article of clothing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CN209403916U (zh) 一种保暖吊床
CN206433800U (zh) 一种智能衣服
CN110859343A (zh) 一种可调节服装内温度的智能服装
JP3043712B2 (ja) 暖房装置
KR20140032629A (ko) 개선된 셔츠
CN213428441U (zh) 一种吸湿抗皱保暖服
JP3103005U (ja) 保温ベストの構造
CN217609656U (zh) 一种可折叠两用的加热保暖服装
CN220326905U (zh) 一种发热帽子
WO2016035859A1 (ja) 衣料
TWM431584U (en) All-weather electric heated clothing
KR200489449Y1 (ko) 어깨 워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