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929B1 -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929B1
KR100525929B1 KR10-2003-0034295A KR20030034295A KR100525929B1 KR 100525929 B1 KR100525929 B1 KR 100525929B1 KR 20030034295 A KR20030034295 A KR 20030034295A KR 100525929 B1 KR100525929 B1 KR 10052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heating element
activated carbon
porous heating
fiber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715A (ko
Inventor
영 욱 김
Original Assignee
영 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욱 김 filed Critical 영 욱 김
Priority to KR10-2003-003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92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면서 전극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전극(10)이 연결되고,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상하에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수지층(30)의 상하에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10)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 상하부에 적층 연결되거나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절개홈(25)이 형성되어 이 절개홈(25)에 삽입되어 연결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가 2장으로 적층 구성되거나 완전 절개되어 그 사이에 전극(10)이 개재되어 연결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되고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됨에 따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끊어짐이 방지되고 전극(10)과의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전원연결의 불량이 없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와 전극(10)의 접촉면적이 넓어 우수한 열효율을 갖는다.

Description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of porous heating material made by carbon fiber activated}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이 연결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상하에 접착 수지층 및 기재시트를 압착 형성시킴으로써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면서 전극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각종 히터는 램프형 히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램프형 히터는 글래스 튜브나 수정 튜브 속에 저압의 불활성 가스나 할로겐 가스를 넣은 상태로 튜브를 봉입하고 동시에 내부에 필라멘트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필라멘트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그 저항에 의해 열과 빛을 내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필라멘트에서 발생하는 열과 빛을 가열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램프형 히터는 전기를 사용하는 복사방식으로 열을 전달하므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열의발생 및 열의전달에서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이 간편하여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장소에서 열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할로겐 히터에 구비된 필라멘트는 텅스텐합금 등과 같이 열에 강한 재질을 사용하며, 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정튜브나 글래스 튜브 내에는 저압으로 할로겐 가스를 봉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램프형 히터는 열원으로 텅스텐합금 등으로 된 필라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아 비경제적이라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필라멘트형 히터 대용으로서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활성탄섬유 발열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탄섬유 발열체 중에서도 특히 열효율이 우수하도록 단위 체적당 표면적을 크게 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적이 1000㎡/g ∼ 1600㎡/g 이고, 공경이 10 ~ 40Å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는 수많은 구멍들로부터 열이 방출되어 열효율이 매우 높고, 5 ∼ 20㎛ 파장영역 범위에서 이상혹체 대비 84 ∼ 87%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갖는 것이어서, 가정용이나 기타 산업용 열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는 다공성이고 솜털과 같은 섬유임에 따라 그 자체가 부서지기 쉽고, 전원을 공급할 경우 전원접속부가 부서지기 쉬워 일반적인 리드선과 같은 전원선의 전극구조로는 전원을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는 주로 전기장판이나 전기요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가 전기요에 적용된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요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전기요는 일반적으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a) 사이에 수지층(a')을 채운상태에서 그 상부로 메탈릭 섬유층(b)과, 원적외선 발생소재(c), 쿠션재(d), 부직포층(e), 망사층(f), 외피(g)를 순차 적층하고, 그 아래로는 쿠션재(h)와 외피(i)를 순차 적층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때,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a)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전극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발열체(a)에 전극을 연결함에 있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a)의 선단과 전극(12)의 선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a) 사이에 수지층(a')을 형성하고, 그 아래에 형성시킨 쿠션재(h)와 상부에 형성시킨 메탈릭 섬유층(b)의 누름 가압에 의해 발열체(a)와 전극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였다. 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a)의 위에 전극(12)을 적층하여 상하의 메탈릭 섬유층(b)과 쿠션재(h)의 누름 가압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열체(a)와 전극(12)의 전극연결구조가 전기장판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전기장판은 대부분 펴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전극의 접촉불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나, 전기요의 경우에는 접고 펴는 것이 반복되기 때문에 상기한 전극연결구조는 발열체(a)에 전극(12)이 단순히 상하의 메탈릭 섬유층(b)과 쿠션재(h)의 누름 가압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발열체(a)와 전극(12)의 접속부위가 끊어지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a)는 솜털과 같이 섬유입자 간의 인장력이 약하여 상기와 같이 접고 펴짐이 반복될 경우에는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원접속불량 및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a) 자체의 끊어짐은 열효율이 낮고 감전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화재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수지층과 기재시트를 형성함으로써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전극과의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전원연결의 불량을 없도록 할 수 있는 활성탄섬유 면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와 전극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우수한 열효율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양측에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상하에 접착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수지층의 상하에 기재시트가 압착 형성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접착 수지층에 의해 기재시트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활성탄섬유 입자를 기재시트와 일체화시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전극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감싸지도록 상하부에서 기재시트로 압착시킴으로써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전원연결의 불량을 없도록 한 것임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A-A'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A-A'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 상하부에 전극(10)이 적층 연결되고,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상하부에는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된다. 그리고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에 적층된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위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30)이 감싸지도록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된다. 이때,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와 기재시트(40)는 그 사이에 개재된 접착 수지층(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접착 수지층(30)은 다공성 활성탄섬유 입자 상호간을 결합시키면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와 기재시트(40)를 접착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접착성 수지가 기재시트(10)에 도포되어 형성되거나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에 도포 또는 함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착 수지층(30)을 형성하는 접착성 수지는 접착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이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변성 우레탄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기재시트(40)는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감싸서 접속이 끊어지거나 불량 접속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부직포, 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극(10)의 배선 또는 단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다. 이때, 기재시트(40)의 양측 말단부(42)는 열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도 3), 또는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상하부 기재시트(40)의 말단부(42) 사이에 상기 접착 수지층(30)이 연장 형성되어 압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극(10)은 동, 알루미늄, 주석, 아연, 니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을 합금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전도성과 유연성 및 강도를 갖도록 동 95.5중량%, 알루미늄 2.0중량%, 주석 0.5중량%, 아연 0.5중량%, 니켈 1.0중량% 및 카본 0.5중량%로 이루어진 합금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상기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봉재(sewing)하여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전극(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단자이다.
따라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이루는 다공성 활성탄섬유 입자는 접착 수지층(30)에 의해 입자 상호간이 결합되면서 기재시트(40)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접고 펴짐을 반복하여도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끊어짐이 방지된다. 또한, 전극(10)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에 적층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압착된 기재시트(40)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와 일체화되어 접고 펴짐을 반복하여도 접속이 끊어지거나 불량 접속이 발생되지 않으며,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가 봉재(sewing)되는 경우 연결이 더욱 견고하여 접속 불량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전극(10)을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에 연결함에 있어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전극(10)이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25)을 형성하여 이 절개홈(25)에 전극(10)을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홈(25)에 전극(10)이 삽입되는 경우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접촉 면적이 넓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는 시트상의 발열체(20)가 1장 또는 2장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2장으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그 사이에 전극(10)을 개재하여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길이방향(도 6에서 가로방향)으로 완전 절개하여 그 사이에 전극(10)을 개재하여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6에 따른 구조는 더욱더 우수한 열효율을 갖는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전극연결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장판이나 전기요에 적용된다. 일례로, 전기요에 적용되는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극연결구조체 위에, 즉 상부의 기재시트(40) 위에 메탈릭 섬유층(b), 원적외선 발생소재(c), 쿠션재(d), 부직포층(e), 망사층(f) 및 외피(g)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하부의 기재시트(40) 아래로는 쿠션재(h)와 외피(i)를 순차 적층하여 전기요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는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되고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됨에 따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끊어짐이 방지되고 전극(10)과의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전원연결의 불량이 없어 합선, 단락 등에 의한 화재 등의 위험성이나 감전의 위험성이 없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합선이나 단락 등이 없어 본 발명의 전극연결구조가 적용된 각종 제품을 불량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에 형성된 절개홈(25)에 전극(10)이 삽입되거나 2장의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 면적이 넓어 우수한 열효율을 갖는다.
도 1은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가 적용된 일반적인 전기요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기요의 발열체와 전극의 연결구조를 일례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A-A'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도 3의 A-A'선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극 20 :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
25 : 절개홈 30 : 접착 수지층
40 : 기재시트 42 : 기재시트 말단부
a' : 수지층 b : 메탈릭 섬유층
c : 원적외선 발생소재 d,h : 쿠션재
e : 부직포층 f : 망사층
g,i : 외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전극(10)이 연결되고,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상하에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수지층(30)의 상하에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전극(10)이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25)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25)에 전극(10)이 삽입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4.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양측에 전극(10)이 연결되고,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의 상하에 접착 수지층(3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 수지층(30)의 상하에 기재시트(40)가 압착 형성된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가 2장으로 적층 구성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완전 절개되고, 그 사이에 전극(10)이 개재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0)과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20)가 봉재(sew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층(30)이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및 변성 우레탄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접착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시트(4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8.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0)이 동 95.5중량%, 알루미늄 2.0중량%, 주석 0.5중량%, 아연 0.5중량%, 니켈 1.0중량% 및 카본 0.5중량%로 이루어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KR10-2003-0034295A 2003-05-29 2003-05-29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KR10052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95A KR100525929B1 (ko) 2003-05-29 2003-05-29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95A KR100525929B1 (ko) 2003-05-29 2003-05-29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15A KR20040102715A (ko) 2004-12-08
KR100525929B1 true KR100525929B1 (ko) 2005-11-03

Family

ID=3737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295A KR100525929B1 (ko) 2003-05-29 2003-05-29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15B1 (ko) * 2009-01-19 2010-03-09 김용정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KR101064200B1 (ko) * 2009-12-31 2011-09-14 김영문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 목밴드
KR101706897B1 (ko) 2016-10-24 2017-02-16 노상철 열압착 롤러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15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7530A (en) Fabric heat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5189399B (zh) 贴合玻璃
JP5108228B2 (ja)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絶縁被覆層つきリード導体及び封入容器
KR101582527B1 (ko) 전자 직물
KR100962863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N103202093B (zh) 面状发热体及其制造方法
US20080135120A1 (en) Heat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07110976A1 (ja) 面状発熱体とそれを用いた座席
KR100525929B1 (ko)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KR100549698B1 (ko)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발열구조 및 이를 적용한 전열기구
JP5521763B2 (ja) 布材
KR20050007887A (ko) 활성탄섬유 다공성 발열체의 전극연결구조
CN100521836C (zh) 以导电织布为发热源的可挠片状发热器的制造方法
KR20160129798A (ko) 탄소섬유 발열제품의 탄소섬유 발열체와 전원선 결속구조
CA2373181C (en) Panel made of a highly insulated electrothermal fabric
JPWO2015159665A1 (ja) 炭素被覆面状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041296A (zh) 碳纤维发热片、生产方法及加热理疗装置
KR102098314B1 (ko) 발열 매트리스 패드의 제조 방법
CN209405058U (zh) 一种发热护颈
CN212895629U (zh) 石墨烯自限温发热布及利用其制备的卡车后座沙发坐垫
CN207124774U (zh) 取暖器柔性发热板
CN218387964U (zh) 一种石墨烯耐高压绝缘发热片
CN211296983U (zh) 一种电热膜
CN217849331U (zh) 一种可折叠太阳能板
CN218129592U (zh) 一种远红外理疗片和可佩戴按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