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324A -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324A
KR20110078324A KR1020090135103A KR20090135103A KR20110078324A KR 20110078324 A KR20110078324 A KR 20110078324A KR 1020090135103 A KR1020090135103 A KR 1020090135103A KR 20090135103 A KR20090135103 A KR 20090135103A KR 20110078324 A KR20110078324 A KR 2011007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cover
storage space
explo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381B1 (ko
Inventor
김언수
소병욱
신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to KR102009013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3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방폭구에 장착되는 커버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으로의 채광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이 보다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공급부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외벽이 하부 내주연에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로 인해 상기 외벽의 하부 내구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가 저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벽, 저장공간, 방폭구, 커버, 지붕, 공급부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SILO STRUCTURE FOR BIOMASS}
본 발명은 방폭구에 장착되는 커버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으로의 채광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이 보다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공급부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외벽이 하부 내주연에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로 인해 상기 외벽의 하부 내구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가 저장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자원이 풍부한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을 중심으로 자연적으로 자연에 버려지는 목재 또는 간벌목을 통하여 얻어지는 목재를 열병합발전용 연료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영국에서도 목재 및 갈대, 옥수수대 등을 열병합발전 연료로 적극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목질계를 칩으로 만든 연료로 이용하여 서대구 공단에 현 재 열병합발전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05년 2월 교토의 정서가 공식 발효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인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유럽의 주요 산업 선진국들은 1990년대 초부터 재생에너지 상용화 정책을 추진해온 결과, 열에너지수요의 최고 50%이상을 바이오매스(Biomass)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에서 담당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우드칩(Wood biomass woodchips)은 회분함량이 3 ~ 5wt%포함되어 있으나, 연료로 활용하는 데 기술적 문제가 없으며, 수분함량이 낮아 별도의 건조공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그 이용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바이오매스 연소시스템의 단위시설 중 바이오매스 사일로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과, 상기 외벽사이에 형성되고 폐우드칩, 폐플라스틱칩 등을 포함한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판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바이오매스를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방향으로 공급된 바이오매스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등의 이송부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공급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터빈 보일러 등의 연소실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공간에 바이오매스가 과량투입될 시 일시에 바이오매스에서 다량발생하는 각종 가스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이 고압상태로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지붕에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다량발생된 각종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방폭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폭구에는 불투명한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는 바이오매스에서 다량발생하는 각종 가스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이 고압상태로 폭발할 시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폭구에서 외부로 분리되고, 이로 인해 개방되는 상기 방폭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 다량발생된 각종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불투명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커버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가 어둡게 되는 즉 채광효율이 극히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공급부 등을 필요에 따라 교체 및 유지보수를 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방폭구에 장착되는 커버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으로의 채광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이 보다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공급부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외벽이 하부 내주연에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로 인해 상기 외벽의 하부 내구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가 저장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연료로써 사용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판의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사이에 형성되고,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외벽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방폭구가 표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폭구에 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가 장착되는 지붕과; 상기 외벽의 바닥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바이오매스를 상기 저장공간의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의 하부 내주연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붕의 표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상기 방폭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하부가 상기 돌출부의 상부와 접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돌출부 주변의 상기 지붕의 표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체결판의 하부와 상기 지붕의 표면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붕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방폭구에 장착되는 커버가 투명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빛이 상기 커버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으로 채광될 수 있는 즉, 채광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이 보다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공급부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의 하부 내주연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외벽의 하부 내구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가 저장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으로의 채광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가 상기 저장공간의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폭구에서 외부로 분리될 시 상기 커버가 작은 조각으로 각각 파단된 상태로 상기 방폭구에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방폭구에서 외부로 분리된 상기 커버로 인해 부상자가 발생되지 않도록 즉, 2차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의 체결판의 하부면과 상기 지붕의 상부 표면사이에 오링이 구비되기 때문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방폭구를 지나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5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벽(10), 저장공간(30), 지붕(50) 및 공급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외벽(10)의 하부에는 바닥판(11)이 수평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은 표면에 다수의 요입부(110) 및 요철부(111)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내구성이 우수한 공지의 건축용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닥판(11)의 테두리 상부에는 원통형의 상기 외벽(1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공간(30)은 상기 바닥판(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벽(1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30)에는 폐우드칩, 폐플라스틱칩 등을 포함한 바이오매스가 일정높이로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붕(50)은 상기 외벽(10)의 상부에 원뿔형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5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저장공간(30)에 저장될 바이오매스가 투입되는 투입구(5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50)의 표면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공간(30)과 연통되는 방폭구(51)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구(51)에는 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53)가 장착된다.
도 4는 저장공간(30)에 바이오매스(3)가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70)는 상기 외벽(10)의 바닥판(11) 중심부 상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30)에 일정높이로 저장된 바이오매스(3)를 상기 저장공간(30)의 하부방향으로 정량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급부(7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공간(30)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11)의 중심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고, 내부로 유입된 바이오매스(3)를 상기 저장공간(30)의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회전부재(701)와;
상기 저장공간(30)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701)의 일측에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701)의 내부로 상기 저장공 간(30)에 저장된 바이오매스를 유입시키고, 상기 회전부재(701)를 따라 회전하는 스크류(7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1)의 테두리 하부에는 원통형의 별도의 외벽(12)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상기 외벽(12)의 하부에는 공지의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바닥판(14)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별도의 상기 바닥판(1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상기 외벽(12)사이에는 상기 공급부(70)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30)의 하부방향으로 공급된 바이오매스(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6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3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수용공간(60)에 구비되는 이송부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60)과 연통되는 보일러의 연소실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별도의 상기 외벽(12)의 일측면에 수직구비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수용공간(60)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고압으로 공급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수용공간(6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공급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6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3)는 고압의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60)의 타측을 지나 상기 수용공간(60)과 연통되는 보일러의 연소실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는 반드시 송풍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공간(6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3)가 보일러의 연소실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60)에 수용된 바이오매스(3)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벽(10)의 하부 내주연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10)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10)의 하부 내주연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경사부(13)로 인해 특히, 상기 외벽(10)의 하부 내구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공간(30)에 도 3에 표시된 좌우폭(W)만큼 보다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3)가 저장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53)는 투명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53)가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저장공간(30)으로의 채광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방폭구(51)에 장착되는 커버(53)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53)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53)의 후술할 수평 판(531)의 하부면에는 하측이 개방된 상태의 복수의 홈(530)이 상기 커버(5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홈(530)은 상기 커버(53)의 수평판(531)의 하부면과 상부면 모두에 상기 커버(5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53)의 수평판(531)의 상부면에 상기 커버(5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홈(530)은 상측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53)의 수평판(531)의 하부면에만 복수의 상기 홈(530)이 상기 커버(5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상기 홈(530)은 제 1, 2홈(532, 5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홈(532)은 상기 커버(53)의 수평판(531)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전후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홈(534)은 상기 제 1홈(532)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커버(53)의 수평판(531) 하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좌우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30)에 바이오매스(3)가 과량투입될 시 바이오매스(3)에서 다량발생되는 각종가스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30)은 고압상태로 되어 폭발하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30)의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폭구(51)에 장착된 상기 커 버(53)는 상기 방폭구(51)에서 외부로 분리되고, 이로 인해 개방되는 상기 방폭구(51)를 통해 각종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3)에 복수의 상기 홈(5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53)가 상기 저장공간(30)이 폭발압력에 의해 상기 방폭구(51)에서 외부로 분리될 시 상기 커버(53)가 작은 조각으로 각각 파단된 상태로 상기 방폭구(51)에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방폭구(51)에서 외부로 분리된 상기 커버(53)로 인해 부상자가 발생되지 않도록 즉, 2차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붕(50)의 표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55)의 내측에 상기 방폭구(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5)는 일측 돌출부(552), 타측 돌출부(554), 전측 돌출부(556) 및 후측 돌출부(55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돌출부(552)는 상기 방폭구(51)의 일측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돌출부(554)는 상기 방폭구(51)의 타측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돌출부(556)는 상기 방폭구(51)의 전측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돌출부(558)는 상기 방폭구(51)의 후측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상부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53)는 수평판(531), 수직판(533) 및 체결판(5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판(531)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55)의 상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수직판(533)은 상기 수평판(531)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533)은 일측 수직판(533a), 타측 수직판(533b), 전측 수직판(533c) 및 후측 수직판(53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직판(533a)은 상기 수평판(531)의 일단부 테두리 하측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판(533b)은 상기 수평판(531)의 타단부 테두리 하측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수직판(533c)은 상기 수평판(531)의 전단부 테두리 하측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수직판(533d)은 상기 수평판(531)의 후단부 테두리 하측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535)은 상기 수직판(533)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돌출부(55)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피스 등의 체결부재(5)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535)은 일측 체결판(535a), 타측 체결판(535b), 전측 체결 판(535c) 및 후측 체결판(535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체결판(535a)은 상기 일측 수직판(533a)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체결판(535b)은 상기 타측 수직판(533b)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체결판(535c)은 상기 전측 수직판(533c)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체결판(535d)은 상기 후측 수직판(533d)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53)의 체결판(535)의 하부면과 상기 지붕의 상부 표면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오링(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3)의 체결판(535)의 하부면과 상기 지붕(50)의 상부 표면 사이에 상기 오링(57)이 구비되기 때문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방폭구(51)를 지나 상기 저장공간(30)으로 유입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방폭구(51)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53)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무에 외부의 빛이 상기 커버(53)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상기 외벽(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저장공간(30)으로 채광될 수 있는 즉, 채광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저장공간(30)이 보다 밝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 가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급부(70)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저장공간에 바이오매스가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방폭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바이오매스, 5; 체결부재,
10, 12; 외벽, 11, 14; 바닥판,
110; 요입부, 111; 요철부,
13; 경사부, 30; 저장공간,
50; 지붕, 501; 투입구,
51; 방폭구, 53; 커버,
530; 홈, 531; 수평판,
532; 제 1홈, 534; 제 2홈,
533; 수직판, 533a; 일측 수직판,
533b; 타측 수직판, 533c; 전측 수직판,
533d; 후측 수직판, 535; 체결판,
535a; 일측 체결판, 535b; 타측 체결판,
535c; 전측 체결판, 535d; 후측 체결판,
55; 돌출부, 552; 일측 돌출부,
554; 타측 돌출부, 556; 전측 돌출부,
558; 후측 돌출부, 57; 오링,
60; 수용공간, 70; 공급부,
701; 회전부재, 703; 스크류.

Claims (5)

  1. 보일러의 연료로써 사용되는 바이오매스(3)가 저장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판(11)의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벽(10)과;
    상기 외벽(10)사이에 형성되고, 바이오매스(3)가 저장되는 저장공간(30)과;
    상기 외벽(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30)과 연통되는 방폭구(51)가 표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폭구(51)에 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53)가 장착되는 지붕(50)과;
    상기 외벽(10)의 바닥판(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30)에 저장된 바이오매스(3)를 상기 저장공간(30)의 하부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0)의 하부 내주연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10)의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3)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3)에는 상기 커버(5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복수의 홈(5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50)의 표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5)의 내측에 상기 방폭구(51)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53)는 하부가 상기 돌출부(55)의 상부와 접하는 수평판(531)과, 상기 수평판(531)의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수직형성되는 수직판(533)과, 상기 수직판(533)의 하부에 외측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돌출부(55) 주변의 상기 지붕(50)의 표면에 체결부재(5)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판(5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53)의 체결판(535)의 하부와 상기 지붕(50)의 표면 사이에 오링(5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KR1020090135103A 2009-12-31 2009-12-31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KR10105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03A KR101052381B1 (ko) 2009-12-31 2009-12-31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03A KR101052381B1 (ko) 2009-12-31 2009-12-31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24A true KR20110078324A (ko) 2011-07-07
KR101052381B1 KR101052381B1 (ko) 2011-07-28

Family

ID=4491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103A KR101052381B1 (ko) 2009-12-31 2009-12-31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01B1 (ko) * 2011-12-14 2013-08-27 주식회사 포스코 폭발 방지 구조를 구비한 사일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057A (ja) * 2001-05-16 2002-11-27 Mitsui Constr Co Ltd 粒状物貯蔵装置
KR200374279Y1 (ko) * 2004-11-11 2005-01-28 전덕수 대단위 급식시설용 미곡 정량보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01B1 (ko) * 2011-12-14 2013-08-27 주식회사 포스코 폭발 방지 구조를 구비한 사일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381B1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381B1 (ko) 바이오매스 사일로의 구조
WO2013064864A1 (es) Sistema modular móvil para el aprovechamiento energético de residuos forestales
WO2014208719A1 (ja) 発電装置及び牛糞を含む家畜糞の再利用システム
KR100905245B1 (ko)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200450891Y1 (ko) 무연통 펠릿난로
KR20180012475A (ko) 톱밥 및 비닐 수지를 함유한 연료용 우드 펠릿 제조방법
US20050155288A1 (en) Gas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187581B1 (ko) 바이오매스 발전 장치
KR101980976B1 (ko) 고체 연료 연소장치
WO2011025300A3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US20040224399A1 (en) Recycle soil manufacturing apparatus
CN214052012U (zh) 一种具有环保新型的生物燃料粉碎装置
CN107333587A (zh) 一种多热源节能温室大棚
JP2019007696A (ja) 燃焼装置
KR101243471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CN109728334A (zh) 一种使用新型安装箱的燃料电池
ES2819004T3 (es) Una estufa mixta y uso de una estufa mixta
KR101317148B1 (ko) 대용량 고형연료 연소기
IT202100001607A1 (it)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calore alimentato con combustibile legnoso, residui di frutti a guscio legnoso e altri residui vegetali simili
KR20120113443A (ko) 폐기물을 이용한 펠릿연료와 이를 이용한 폐기물 자원화시스템
CN217674589U (zh) 一种生物质燃料存放用管理装置
CN201276532Y (zh) 生物质气化炉综合利用装置
KR100718865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92320A (ko) 유기물연소보일러
KR20050062510A (ko) 성형고체 바이오매스 연료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