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292A -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292A
KR20110078292A KR1020090135063A KR20090135063A KR20110078292A KR 20110078292 A KR20110078292 A KR 20110078292A KR 1020090135063 A KR1020090135063 A KR 1020090135063A KR 20090135063 A KR20090135063 A KR 20090135063A KR 20110078292 A KR20110078292 A KR 2011007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output
shutter glass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742B1 (ko
Inventor
김의태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742B1/ko
Priority to US12/969,992 priority patent/US8587643B2/en
Priority to CN2010106129056A priority patent/CN102118592B/zh
Publication of KR2011007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다수의 시청자가 하나의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영상을 해상도의 저하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영상, 시청, 표시

Description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System for Displaying Multi Video}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나의 표시 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이 채용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면(110)이 주화면(120)의 특정 위치에 삽입되는 형태인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을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에 각각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더블 화면(Double Picture) 방식으로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된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영상을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시청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야에 복수개의 영상이 동시에 들어오게 되므로 원하는 영상 의 시청이 방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PIP 방식의 경우 부화면(110)으로 인해 주화면(120)의 일부 영역이 가려지는 문제가 있고, 도 1b에 도시된 더블 화면 방식의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수평 사이즈가 원본 사이즈보다 줄어들어 화면이 세로로 길게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상도의 저하 없이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시청자가 하나의 영상 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영상을 해상도의 저하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겹침 현상이나 영상 끌림 현상의 발생 없이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평면 영상뿐만이 아니라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시청자가 해상도의 저하 없이 서로 다른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영상의 프레임간의 유사도에 따라 각 영상의 프레임을 복수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함으로써 영상 겹침 현상의 발생 없이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의 프레임 표시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광원이 광을 방출하게 함으로써 영상의 끌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평면 영상뿐만이 아니라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200)은 영상 처리부(210), 디스플레이 패널(220), 및 백라이트 유닛(230)을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10)는, 서로 다른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수신되면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유사도에 따라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 처리부(21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2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210)는 제1 버퍼(211), 제2 버퍼(212), 영상 비교부(213), 클럭신호 발생부(214), 출력신호 생성부(215), 및 선택부(216)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버퍼(211)는 RGB 데이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포함하는 제1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1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이러한 제1 버퍼(211)는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215)에서 제공되는 제1 버퍼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버퍼(211)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영상의 프레임을 상기 선택부(216)로 제공한다,
제2 버퍼(212)는 RGB 데이터,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2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이러한 제2 버퍼(212)는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에서 제공되는 제2 버퍼 출력신호에 따라 제2 버퍼(212)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상기 선택부(216)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영상 비교부(213)는 제1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거나 제2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비교부(213)는 각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의 비교를 통해 각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비교부(213)는 제1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각 픽셀값 차이의 평균값 또는 제2 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각 픽셀값 차이의 평균값을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간의 유사도로 결정할 수 있다.
클럭신호 발생부(214)는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제1 영상 및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제2 영상을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의 2배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경우 클럭신호 발생부(214)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영상 비교부(213)에 의해 산출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 및 상기 클럭신호 발생부(214)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출력신호는 제1 버퍼(211)에 저장된 제1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1 버퍼 출력신호, 제2 버퍼(212)에 저장된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2 버퍼 출력신호, 및 상기 선택부(216)를 통해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선택부 출력신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출력신호 생성부(215)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출력신호들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상의 프레임을 A로 표기하고, 제2 영상의 프레임을 B로 표기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비교부(213)에 의해 산출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가 기준치보다 크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상기 클럭신호 발생부(214)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제1 버퍼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1 버퍼(211)에 제공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제2 버퍼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2 버퍼(212)에 제공하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선택부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부(216)로 제공한다.
도 4d에서, High는 제1 영상의 프레임 출력 구간을 나타내고 Low는 제2 영상의 프레임 출력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영상 비교부(213)에 의해 산출된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2개 이상의 프레임 단위(예컨대, 2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상기 클럭신호 발생부(214)에 의해 발생된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제1 버퍼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1 버퍼(211)에 제공하고, 도 5c에 도시된 바 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제2 버퍼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2 버퍼(212)에 제공하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는 선택부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부(216)로 제공한다.
도 5d에서, High는 제1 영상의 프레임 출력 구간을 나타내고 Low는 제2 영상의 프레임 출력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2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간의 유사도에 따라 연속하여 출력할 각 영상의 프레임 개수를 다르게 하는 것은,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로 인해 영상 겹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 영상의 프레임간의 차이가 심한 경우(유사도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각 영상의 프레임을 교번하여 출력하게 되면 서로 다른 영상의 프레임간의 겹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영상의 프레임간의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동일한 영상의 프레임이 연속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추가로 생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이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즉 백라이트 유닛(230)을 플래시(Flash)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 닛(230)이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600) 중 중반 이후의 시간 구간(610)에서만 광을 방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 한해서만 백라이트 유닛(230)이 하나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이 동영상이고 제2 영상은 정지영상인 경우, 출력신호 생성부(215)는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600) 중 일부 시간 구간(610)에서만 백라이트 유닛(230)이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620)에서는 전 시간 구간에서 백라이트 유닛(230)이 광을 방출하도록 하는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부(216)는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에 의해 제공되는 선택부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버퍼(211)에 저장된 제1 영상의 프레임 또는 제2 버퍼(212)에 저장된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제2 프레임 레이트로 교번하여 출력한다.
즉, 선택부(216)는 선택부 출력신호가 High인 경우에는 제1 버퍼(211)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선택부 출력신호가 Low인 경우에는 제2 버퍼(212)로부터 제공되는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러(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러(217)는 선택부(216)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의 프레임의 스케일을 조정하여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의 해상도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210)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 상기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버퍼(211) 및 제2 버퍼(212)로 제공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상기 영상 처리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제1 기판(미도시) 및 제2 기판(미도시)과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러한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조절을 통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표시된다.
한편, 영상 처리부(21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제공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RGB 데이터,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DE) 신호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230)은 상기 영상 처리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백라이트 유닛(23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의 프레 임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230)의 선택적 구동에 따라 영상의 끌림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1 셔터 글래스(240), 제2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2 셔터 글래스(250)와, 및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와 제2 셔터 글래스(2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는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어 시청자가 상기 제1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셔터 글래스(250)는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셔터 글래스(25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어 시청자가 상기 제2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로부터 제공 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가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도록 하는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출력신호 생성부(215)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셔터 글래스(250)가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도록 하는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240, 2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출력하는 입체영상 처리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영상 처리부(270)는 입체영상인 제3 영상이 수신되면 제3 영상으로부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프레임 단위(예컨대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입체영상 처리부(2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부(271), 제3 버퍼(272), 제4 버퍼(273), 입체영상 출력신호 생성부(274), 및 입체영상 선택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271)는 제3 영상으로부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3 버퍼(272)는 전처리부(271)에 의해 획득된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저장하며, 제4 버퍼(273)는 상기 전처리부(271)에 의해 획득된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저장한다.
입체영상 출력신호 생성부(274)는 상기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과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체영상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입체영상 출력신호는 제3 버퍼(272)에 저장된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3 버퍼 출력신호, 제4 버퍼(273)에 저장된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4 버퍼 출력신호, 및 상기 입체영상 선택부(275)를 통해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상기 우안용 영상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입체영상 선택부 출력신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체영상 출력신호 생성부(274)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기 위해 제3 버퍼 출력신호를 제3 버퍼(272)로 제공하고, 제4 버퍼 출력신호를 제4 버퍼(273)로 제공하며, 상기 입체영상 선택부 출력신호를 입체영상 선택부(275)로 각각 제공한다.
입체영상 선택부(275)는 상기 입체영상 출력신호 생성부(274)에 의해 제공되는 입체영상 선택부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3 버퍼(272) 또는 제4 버퍼(273)로부터 제공되는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 또는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입체영상 선택부(275)는 입체영상 선택부 출력신호가 High인 경우에는 제3 버퍼(272)에 저장된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하고, 입체영상 출력부 출력신호가 Low인 경우에는 제4 버퍼(273)제 저장된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입체영상 처리부(270)는 상술한 영상 처리부(210)과 동일하게 입체영상인 제3 영상의 스케일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제3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 처리부(270)은 제3 영상이 아날로그 영상인 경우 상기 제3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처리부(271)로 제공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체영상 처리부(270)가 상술한 영상 처리부(210)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영상 처리부(210)가 입체영상 처리부(27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영상 처리부(210)가 전처리부(271)를 추가로 포함하게 되고, 제1 버퍼(211)가 좌안용 프레임을 저장하고 제2 버퍼(212)가 우안용 프레임을 저장하며, 출력신호 생성부(215)가 입체영상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선택부(216)가 좌안용 프레임과 우안용 프레임을 교번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 또는 제2 셔터 글래스(250) 중 상기 제3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셔터 글래스(240)가 제3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인 것으로 가정하고,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260)가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제1 셔터 글래스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 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좌안을 온시키고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좌안을 오프시키는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좌안용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셔터 글래스 구동 신호 생성부(260)는 상기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우안을 온시키고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우안을 오프시키는 제1 셔터 글래스(240)의 우안용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표시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모드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표시 모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영상 표시모드에는 하나의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복수개의 평면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제2 모드, 및 하나의 입체 영상 영상을 표시하는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210) 또는 입체영상 처리부(270)가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 고, 사용자에 의해 제1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영상 처리부(210) 또는 입체영상 처리부(270)는 수신된 영상을 바이패스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복수개의 영상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신호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복수개의 영상을 2개 이상의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신호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백라이트 유닛의 광 방출 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셔터 글래스의 개폐에 따른 영상 출력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입체영상 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Claims (10)

  1.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2개 이상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고, 상기 유사도가 기준치 보다 크면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1개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들이 저장되는 제1 버퍼;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들이 저장되는 제2 버퍼;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 각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영상 비교부;
    제1 프레임 레이트의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신호 발생부;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 및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을 교번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유사도 및 상기 클럭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신호는,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1 버퍼 출력신호;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2 버퍼 출력신호;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소정 개수의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선택부 출력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영상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제1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1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및 상기 제2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2 셔터 글래스를 구동시키는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는,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를 온시키고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1 셔터 글래스를 오프시키며,
    상기 제2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는,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셔터 글래스를 온시키고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체 영상인 제3 영상으로부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제3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의 좌안용 구동 신호 및 우안용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셔터 글래스 구동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글래스의 좌안용 구동신호는, 상기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좌안을 온시키고 상기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좌안을 오프시키며,
    상기 셔터 글래스의 우안용 구동신호는, 상기 우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 되는 시점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우안을 온시키고 상기 좌안용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우안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의 스케일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어 상기 제1 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제1 셔터 글래스; 및
    상기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온되고 상기 제1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시점에 오프되어 상기 제2 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제2 셔터 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의 프레임이 출력되는 구간 내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KR1020090135063A 2009-12-31 2009-12-31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KR10162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63A KR101626742B1 (ko) 2009-12-31 2009-12-31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US12/969,992 US8587643B2 (en) 2009-12-31 2010-12-16 System for displaying multivideo
CN2010106129056A CN102118592B (zh) 2009-12-31 2010-12-17 用于显示多视频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63A KR101626742B1 (ko) 2009-12-31 2009-12-31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92A true KR20110078292A (ko) 2011-07-07
KR101626742B1 KR101626742B1 (ko) 2016-06-03

Family

ID=4418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063A KR101626742B1 (ko) 2009-12-31 2009-12-31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87643B2 (ko)
KR (1) KR101626742B1 (ko)
CN (1) CN1021185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83B1 (ko) * 2011-12-30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4225B (zh) * 2010-07-15 2015-09-16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于将多个视频信号同时显示于显示设备上的视频处理装置与方法
US8786674B2 (en) * 2010-11-26 2014-07-22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display control within a video display system, and associated video processing circuit and video display system
KR20120132240A (ko) * 2011-05-27 2012-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영상을 제공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 방법 및 듀얼 뷰 안경 구동 방법,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듀얼 뷰 안경
CN103650026B (zh) * 2011-07-22 2015-10-07 夏普株式会社 视频信号控制装置、视频信号控制方法以及显示装置
GB2495907B (en) * 2011-10-18 2013-09-18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GB2495725B (en) * 2011-10-18 2014-10-01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DE202012103911U1 (de) 2011-12-30 201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Videodarstellungen
US9829715B2 (en) 2012-01-23 2017-11-28 Nvidia Corporation Eyewear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GB2498954B (en) * 2012-01-31 2015-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ng an object in an image
US20140028811A1 (en) * 2012-07-24 2014-01-30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viewing multiple video streams simultaneously from a single display source
US9818379B2 (en) 2013-08-08 2017-11-14 Nvidia Corporation Pixel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pixel interfaces
US9881592B2 (en) 2013-10-08 2018-01-30 Nvidia Corporation Hardware overlay assignment
KR20160025644A (ko) * 2014-08-27 2016-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851411B (zh) 2015-06-04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驱动方法、装置和显示系统
FR3039348A1 (fr) * 2015-07-23 2017-01-27 Valeo Visio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fferenciee muni de lunettes actives
US11202028B2 (en) 2017-04-05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onfiguring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15590B1 (en) * 2020-03-04 2021-09-07 Gopro, Inc. Intelligent sensor switch during recording
US11442753B1 (en) * 2020-10-14 2022-09-13 Wells Fargo Bank, N.A. Apparatuse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dynamic user interfaces to multiple users on the same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960A (ko) * 2007-05-21 2008-11-2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1316A (zh) 1999-12-07 2001-01-24 李昌 分时显示画中画电视机
KR100374646B1 (ko) * 2001-03-10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쳐 인 픽쳐 기능과 프레임 속도 변환을 동시에 수행하기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414795A (zh) 2001-10-22 2003-04-30 矽统科技股份有限公司 在视窗中显示立体动画的装置及方法
US20030103062A1 (en) * 2001-11-30 2003-06-05 Ruen-Rone Le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ereo 3D display using overlay mechanism
US7532253B1 (en) * 2005-07-26 2009-05-12 Pixelworks, Inc. Television channel change picture-in-picture circuit and method
KR20080010689A (ko) * 2006-07-27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JP4586052B2 (ja) * 2007-08-08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80899B2 (ja) * 2007-08-08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230844B1 (en) * 2008-01-17 2017-11-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cording medium on which 3d video is recorded,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3d video, a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3d video
KR101520619B1 (ko) * 2008-02-20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동기화를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시점 결정방법 및 장치
US8207983B2 (en) * 2009-02-18 2012-06-26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Overlaying videos on a display device
KR101301322B1 (ko) * 2009-07-22 2013-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10134231A1 (en) * 2009-11-20 2011-06-09 Hulvey Robert W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Shutter Glasses To A Display Device Refresh Rate
JP2011128548A (ja) * 2009-12-21 2011-06-30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960A (ko) * 2007-05-21 2008-11-26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83B1 (ko) * 2011-12-30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7334A1 (en) 2011-06-30
CN102118592A (zh) 2011-07-06
CN102118592B (zh) 2013-08-07
KR101626742B1 (ko) 2016-06-03
US8587643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742B1 (ko) 멀티 영상 표시 시스템
US10147370B2 (en) Variable refresh rate gamma correction
JP4792054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US8502810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10007140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system
TWI574249B (zh) An image display device, an image display observation system, an image display method, and a program product
US20110090321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9152897A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US9261706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4718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input and output
KR20140010823A (ko) 영상 데이터 스케일링 방법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0494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4165713A (ja) 画像表示装置
US20130235061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for correcting video signal
JP2012078393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信号発生装置
US91375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3-D display control
US891307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5234566A (ja) 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5774702B2 (ja) 映像信号制御装置、映像信号制御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20150080103A (ko) 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TWI446320B (zh) 顯示裝置與時序控制方法
JP2013258588A (ja) 立体表示装置
JP2012084955A (ja) 画像表示装置
KR101778729B1 (ko) 3d 동화상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2017102244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