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856A -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856A
KR20110077856A KR1020090134525A KR20090134525A KR20110077856A KR 20110077856 A KR20110077856 A KR 20110077856A KR 1020090134525 A KR1020090134525 A KR 1020090134525A KR 20090134525 A KR20090134525 A KR 20090134525A KR 20110077856 A KR20110077856 A KR 2011007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panel
plate glass
sealing material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744B1 (ko
Inventor
권순호
송수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3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7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 운반, 시공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단 응력 또는 내부를 진공 또는 감압 상태로 형성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인장 응력 등에 의한 유리 패널의 파손 또는 박리를 방지하여, 유리 패널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리 패널을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리 패널, 판유리, 밀봉재, 경사부, 저융점 유리

Description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Glass panel a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패널, 구체적으로 진공 유리 패널은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를 배치하고, 모서리를 밀봉한 후, 상기 판유리 사이의 공간을 저압을 형성한 유리 패널을 의미한다.
이러한 진공 유리 패널은, 유리판 사이의 공간을 저압으로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인 것으로, 종래에는 제조 과정에서의 밀봉 효율 등의 관점에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로서, 크기가 서로 다른 판유리, 즉 한장의 판유리가 다른 한장의 판유리보다 작게 구성된 판유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리 패널의 경우, 제조 후의 운반 또는 시공 과정에서, 크기가 한쪽의 판유리쪽으로만, 중량이 집중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충격으로 인하여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 또는 박리되는 문제가 있 다. 특히 유리 패널을 세워 놓고 작업을 하는 경우, 바닥 또는 적치대에 유리 패널을 내려 놓을 때, 충격이 밀봉재 또는 밀봉재와 판유리의 계면에 집중되어 유리 패널이 파손되거나, 밀봉재와 판유리가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밀봉재에 의해 고정되는 판유리는 평활하게 형성되거 있으므로, 접착 계면에서 판유리 표면과 평행한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계면에서 쉽게 박리 또는 파손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리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밀봉재를 판유리와 함께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때에 내부 응력이 발생하여 박리가 일어나거나, 저압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의해, 대기압의 작용으로 밀봉재와 판유리 사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밀봉재와 판유리가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두 장의 판유리 및 상기 두 장의 판유리의 테두리에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장의 판유리 및 밀봉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로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에는, 판유리 평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존재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경사부를 포함한 상태로 판유리에 부착되어 상기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에 상기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밀봉재를 도포하는 제 1 단계;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판유리를 그 경사부가 제 1 단계에서 도포된 밀봉재에 맞추어 지도록 적층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적층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밀봉재로 융착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 운반, 시공 및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단 응력 또는 내부를 진공 또는 감압 상태로 형성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인장 응력 등에 의한 유리 패널의 파손 또는 박리를 방지하여, 유리 패널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리 패널을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두 장의 판유리 및 상기 두 장의 판유리의 테두리에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장의 판유리 및 밀봉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로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에는, 판유리 평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존재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경사부를 포함한 상태로 판유리에 부착되어 상기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가 대향 배치되고, 그 내부의 공간이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에,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재 가 부착된 양쪽 판유리의 테두리를 경사지게 가공하고, 상기 밀봉재가 상기 경사부를 포함한 상태로 판유리에 부착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른 유리 패널(100)의 단면도로,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밀봉재(120)가 부착되는, 판유리(110a, 110b)의 테두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유리의 테두리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그를 통하여 판유리를 고정함으로써, 패널의 제조, 운반, 시공 및 사용 과정에서의 파손 또는 박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유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형태 및 밀봉재에 의한 밀봉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밀봉재(120)는, 양 판유리(110a, 110b)의 테두리에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 상태로 부착되는 한, 상기 경사부 외의 판유리(110a, 110b)의 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양 판유리(110a, 110b)에 형성된 경사부의 형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부의 각도, 구체적으로 판유리의 표면을 기준으로 한 각도는 5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5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도 내지 40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판유리의 표면을 기준으로 한 경사부의 각도는, 도 3에 나타난 각도 ∠D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사부의 각도가 5도 미만이면, 유리 패널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접착 계면에서 박리 또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60도를 초과하면, 밀봉재가 경사부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융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경사부의 판유리 표면 방향으로의 길이가 1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1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유리 표면 방향으로의 길이는, 판유리의 표면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의 형성 정도를 측정한 수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난 L1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가 1 mm 미만이면, 밀봉재와 접착되는 경사부의 면적이 줄어들 우려가 있고, 20 mm를 초과하면, 판유리에 접착되는 밀봉재의 면적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판유리는,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판유리 두께의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유리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는, 판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의 형성 정도를 측정한 수치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난 L2를 의미한다. 상기 두께가 판유리 두께의 4/5를 초과하면, 유리 패널을 지탱하는 경사부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박리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에서는, 상기 한쌍의 판유리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한쌍의 판유리는 서로의 테두리가 맞추어진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일 면적의 판유리를 테두리를 맞추어 대향 배치함으로써, 유리 패널의 제조, 운반, 시공 및 사용 과정에서의 유리 패널의 파손 또는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판유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진공 유리 패널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판유리 또는 판유리의 표면, 구체적으로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형성된 내부 공간을 향하는 표면에 저방사 코팅(Low-E coating; low emissivity coating)이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로이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방사 코팅은 판유리의 전체적인 방사율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리 패널의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방사 코팅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판유리의 치수, 즉 가로, 세로 또는 두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리 패널이 적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두께가 약 1 mm 내지 50 mm, 1 mm 내지 30 mm, 1 mm 내지 15 mm, 또는 3 mm 내지 7 mm인 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에서는 또한 상기 한쌍의 판유리 중 하나 이상의 판유리에서 내부 공간측 표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에 게터재(gettering material)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유리 패널의 단면도로서, 하부 판유리(110b)의 표면에 홈(140)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하부 판유리(110b)에 홈(14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 또는 상부 및 하부 판유 리에 동시에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형성되는 홈의 수, 크기 또는 홈의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성된 홈에는 유리 패널 내부 공간에서 수분, 습기 또는 기타 가스 등을 흡수할 수 있는 게터재(gettering material)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두 장의 판유리 중 하나 이상의 판유리의 소정 위치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판유리(110a)에 배기홀(1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기홀(150)은 유리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 내부 공간을 감압 또는 진공화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제조된 유리 패널에서는 저융점 유리 등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홀의 형성 개수, 크기 및 형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밀봉재는 도 1 및 2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유리의 테두리에서 융착되어, 판유리를 고정하고,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밀봉재는 적어도 일부가 판유리에 형성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상태로, 양 판유리의 모서리에 융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밀봉재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저융점 유리(glass frit, solder glass)나, 인듐, 납, 주석 또는 아연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땜납을 밀봉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밀봉재로 저융점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재에 의해 형성된 판유리 사이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단열 효율이나, 유리 패널의 적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판유리 사이의 간격, 즉 내부 공간의 높이가 약 0.05 mm 내지 0.5 mm, 바람직하게는 약 0.1 mm 내지 0.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mm 내지 0.4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은 또한, 상기 두 장의 판유리의 사이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판유리를 지지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pilla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판유리의 내부 공간이 진공 또는 감압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대기압으로 인한 응력에 의해 유리 패널의 크기가 커질수록 파손될 우려가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판유리(110a, 110b)의 사이에 배치되어 간격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기둥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지지 부재가 형성될 경우, 지지 부재의 단면의 지름은, 예를 들면, 0.2 mm 내지 0.7mm일 수 있고, 높이는 상술한 판유리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지지 부재의 형상 및 치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가 판유리간의 간격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외부에서 관찰되는 미관을 해 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한,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를 복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 부재간의 간격(도 6의 P)은, 예를 들면, 약 20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약 30 mm 내지 35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을 특정 소재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층을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산화규소(SiO2), 산화티타늄(TiO2), 질화규소(Si3O4) 및/또는 산화주석(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유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에 상기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밀봉재를 도포하는 제 1 단계;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판유리를 그 경사부가 제 1 단계에서 도포된 밀봉재에 맞추어 지도록 적층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적층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밀봉재로 융착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된 판유리에 밀봉재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판유리 테두리의 경사부는 통상의 다이아몬드 휠 등을 사용한 그라인딩(grinding)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라인딩에 의해 테두리를 형성할 때, 상기 테두리에 미세한 홈 및 굴곡을 형성하는 작업을 병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밀봉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 적용하는 판유리에, 그라인딩 가공 또는 드릴링(drilling) 등을 통하여, 상기 기술한 홈 또는 배기홀을 미리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판유리에 밀봉재를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동 디스펜서(dispenser) 등을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밀봉재는 판유리의 테두리 부분의 경사부를 포함하면서, 또한 균일한 양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밀봉재로는 앞에서 전술한 종류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유리,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상의 저융점 유리(glass frit, solder glass)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판유리에 밀봉재가 도포한 후, 판유리를 소정 조건에서 건조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조는 약 200℃에서 약 10 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건조 공정을 통하여, 밀봉재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또한, 판유리상에 소정 패턴으로 전술한 지지 부재를 배열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밀봉재의 건조 전 또는 후 에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또한, 상기 판유리에 미리 형성된 홈에 게터제를 삽입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된 또 다른 판유리를 제 1 단계에서 도포된 밀봉재에 맞추어 적층하는 단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되는 두 장의 판유리의 모서리가 서로 맞추어지도록 적층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로 적층되는 판유리의 테두리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적층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도포된 밀봉재로 융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의 열처리 과정에서는, 미리 두 장의 판유리를 클립(clip) 등으로 고정한 후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처리 조건은 밀봉재가 완전히 융착되도록 제어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 400℃ 내지 500℃의 온도로 20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단계는 또한, 적층된 판유리 사이의 내부 공간을 감압 또는 진공화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압 또는 진공화 공정은 판유리에 미리 형성된 배기홀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밀봉재를 융착시키기 위한 열처리 전 및/또는 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배기홀에 나팔관 모양의 배기관을 장착하고, 상기 배기관을 배기 장치의 배기 해드에 연결하여 감압 또는 진공화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감압 또는 진공화 공정을 열처리 공정을 후에 수행할 경우, 약 370℃에서 배기 장치를 가동하여, 3 시간 내지 4 시간 동안 상온까지 냉각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감압 및 열처리 공정의 종료 후에, 가스 토치나 전열선 등을 이용하여 배기홀을 밀봉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에 이어서, 클립의 제거, 게터재의 활성화 및/또는 배기구를 보호하는 보호캡의 부착 등의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례에 따른 유리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밀봉재에 의한 밀봉 형태를 나타낸다.
도 3는 판유리의 경사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리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유리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패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 : 유리 패널 110 : 판유리
110a : 상부 판유리 110b : 하부 판유리
120 : 밀봉재 130 : 지지 기둥
140 : 홈부 150 : 홀

Claims (14)

  1.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두 장의 판유리 및 상기 두 장의 판유리의 테두리에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장의 판유리 및 밀봉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로서,
    상기 판유리의 테두리에는, 판유리 평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존재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경사부를 포함한 상태로 판유리에 부착되어 상기 판유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판유리의 표면을 기준으로 5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유리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판유리의 표면 방향으로의 길이가 3 mm 내지 10 mm인 유리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판유리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가 판유리 두께 의 1/2 이하인 유리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두 장의 판유리는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양 판유리의 테두리가 서로 맞추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판유리는 표면에 형성된 저방사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판유리는 두께가 3 mm 내지 7 mm인 유리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판유리의 내부 공간측 표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에는 게터재가 삽입되어 있는 유리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재는 저융점 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두 장의 판유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두 장의 판유리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지지 기둥을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지지 기둥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는 유리 패널.
  12.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에 상기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밀봉재를 도포하는 제 1 단계; 테두리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판유리를 그 경사부가 제 1 단계에서 도포된 밀봉재에 맞추어 지도록 적층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적층 판유리를 열처리하여, 밀봉재로 융착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판유리의 표면에 지지 기둥을 배열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에서, 적층된 판유리의 내부 공간을 감압 또는 진공화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90134525A 2009-12-30 2009-12-30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83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25A KR101283744B1 (ko) 2009-12-30 2009-12-30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25A KR101283744B1 (ko) 2009-12-30 2009-12-30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856A true KR20110077856A (ko) 2011-07-07
KR101283744B1 KR101283744B1 (ko) 2013-07-08

Family

ID=4491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525A KR101283744B1 (ko) 2009-12-30 2009-12-30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7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213A (ko) * 2011-11-16 2013-05-24 (주)엘지하우시스 게터용 필러를 구비한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22239A3 (ko) * 2011-08-11 2013-06-13 (주)엘지하우시스 배강도 진공유리
KR20140074678A (ko) * 2012-12-10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발열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75226A (ko) * 2014-12-19 2016-06-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층유리 진공장치
JPWO2019093323A1 (ja) * 2017-11-10 2020-11-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9448U (ko) * 1976-11-13 1978-06-10
JPS6028780Y2 (ja) * 1979-04-24 1985-08-3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
FR2815374B1 (fr) * 2000-10-18 2003-06-06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et ses moyens d'etancheification peripherique
JP2004339010A (ja) * 2003-05-16 2004-12-02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の吸引口形成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39A3 (ko) * 2011-08-11 2013-06-13 (주)엘지하우시스 배강도 진공유리
KR20130054213A (ko) * 2011-11-16 2013-05-24 (주)엘지하우시스 게터용 필러를 구비한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4678A (ko) * 2012-12-10 2014-06-18 (주)엘지하우시스 진공 발열 유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75226A (ko) * 2014-12-19 2016-06-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층유리 진공장치
JPWO2019093323A1 (ja) * 2017-11-10 2020-11-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744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44B1 (ko)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3463171B2 (ja) 熱絶縁ガラスパネルの改良
US8944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pane insulating glass having a high-vacuum insulation
KR102114985B1 (ko) 레이저를 통한 저온 기밀 씰링
US6478911B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edge seal formed via microwave curing,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20035852A1 (en) Vacuum IG window unit with edge seal at least partially diffused at temper and completed via microwave curing,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king the same
ES2659468T3 (es) Método para realización de una unidad de ventana de vidrio aislado al vacío (VIG) con variación reducida de la altura del sellado
JP6635386B2 (ja)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JP6528343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JP6507461B2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EP3170800B1 (en) Vacuum multilayer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multilayer glass
EP3805173B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US20060042182A1 (en) Evacuated glass panel and method of fixing support means, disposed therein
KR101453307B1 (ko) 진공 유리 패널 모듈
US119132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EP35909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llar supply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EP3647290B1 (en) Glass panel unit production method, joinery production method, and gas adsorption unit
KR101137532B1 (ko) 진공창 제조방법
KR101453305B1 (ko)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579265B1 (ko) 진공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2888B1 (ko) 진공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90024313A (ko) 진공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EP36042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window
KR20190019593A (ko) 진공 유리 제조방법
EP38161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