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629A - 풍력 터빈 타워 - Google Patents

풍력 터빈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629A
KR20110077629A KR1020090134258A KR20090134258A KR20110077629A KR 20110077629 A KR20110077629 A KR 20110077629A KR 1020090134258 A KR1020090134258 A KR 1020090134258A KR 20090134258 A KR20090134258 A KR 20090134258A KR 20110077629 A KR20110077629 A KR 2011007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tower
wind turbine
unit
tower
vibration character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민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7629A/ko
Publication of KR2011007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9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o prevent, counteract or reduce noise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진동특성의 조절이 가능한 풍력 터빈 타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력 터빈 타워는 발전 장소에 설치되는 타워형 구조물(200); 상기 타워형 구조물(20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발전부(300); 상기 발전부(300)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41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400); 및 상기 타워형 구조물(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질량체(M)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체(M)를 이동시켜서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을 조절하는 진동특성조절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별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질량체에 의해서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풍력 터빈 타워 내에 구비된 기계장치나 구조물 또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등에 관계없이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가지도록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풍력 터빈 타워의 설계/제작/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계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진동특성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풍력, 터빈, 타워

Description

풍력 터빈 타워{WIND TURBINE TOWER}
본 발명은 진동특성의 조절이 가능한 풍력 터빈 타워에 관한 것이다.
풍력 터빈 타워는 바람이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 터빈 타워는 여러 가지 구조물과 기계장치 등이 일체로 되어 함께 거동하도록 되어 있다. 풍력 터빈 타워 내에 구비된 기계장치 등은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풍력 터빈 타워의 설계시 이러한 영향에 대해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풍력 터빈 타워의 설계/제작/시공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계시 고려하지 않은 예상치 못한 돌풍 등에 의해서 풍력 터빈 타워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력 터빈 타워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별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질량체에 의해서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풍력 터빈 타워 내에 구비된 기계장치나 구조물 또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등에 관계없이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가지도록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풍력 터빈 타워의 설계/제작/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설계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진동특성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풍력 터빈 타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동가능한 별도의 질량체를 사용하여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풍력 터빈 타워는 발전 장소에 설치되는 타워형 구조물; 타워형 구조물의 상단부에 구비된 발전부; 발전부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 및 타워형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질량체를 포함하며 질량체를 이동시켜서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을 조절하는 진동특성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진동특성조절부는 일측이 질량체에 연결되어 질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특성조절부는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을 감지하는 진동특성감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특성조절부는 이동유닛과 진동특성감지유닛에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질량체에 의해서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 타워 내에 구비된 기계장치나 구조물 또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등에 관계없이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가지도록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터빈 타워의 설계/제작/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진동특성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풍력 터빈 타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이동가능한 별도의 질량체를 사용하여 풍력 터빈 타워의 진동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터빈 타워(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타워형 구조물(200)과, 발전부(300), 블레이드부(400) 및, 진동특성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타워형 구조물(20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장소, 예컨대 바람이 많이 부는 언덕이나 해변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타워형 구조물(2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발전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가능하며 발전부(300)와 블레이드부(400) 및 진동특성조절부(500)를 지지하는 구 조물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발전부(300)는 타워형 구조물(20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부(300)는 후술할 블레이드부(4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블레이드(410)가 연결된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바람에 의해서 복수개의 블레이드(410)에 힘이 작용되어 회전하게 되면 발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을 감싸도록 구비된 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발전부(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블레이드(410)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발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블레이드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발전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부(400)는 복수개의 블레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4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서 복수개의 블레이드(410) 각각에 힘이 작용되면 복수개의 블레이드(410)가 연결된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감싸는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질량체(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질량체(M)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타워형 구조물(20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질량체(M)는 타워형 구조물(200)의 외부에도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질량체(M)의 이동을 위해서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일측이 질량체(M)에 연결되는 이동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질량체(M)의 이동에 의해서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100) 전체의 진동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질량체(M)가 타워형 구조물(200)의 하부에 있을 때와 상부에 있을 때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100)전체의 진동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질량체(M)의 이동에 의해서 풍력 터빈 타워(100) 전체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풍력 터빈 타워(100) 전체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유닛(51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이 질량체(M)에 연결되어 질량체(M)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진동특성감지유닛(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특성감지유닛에 의해서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100) 전체의 진동특성, 예컨대 진동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특성감지유닛은 예컨대 가속도계(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가속도계에서 감지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도시되지 않음), 증폭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의 특성을 주파수별로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기(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특성감지유닛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100)의 진동특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이동유닛(510)과 진동특성감지유닛에 연결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동특성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일체로 거동하는 풍력 터빈 타워(100)의 현재 진동특성을 입력받은 후 요구되 는 풍력 터빈 타워(100)의 진동특성이 되도록 이동유닛(510)을 구동하여 질량체(M)의 타워형 구조물(200)에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풍력 터빈 타워(100) 내에 구비된 기계장치나 구조물 또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등에 관계없이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가지도록 풍력 터빈 타워(100)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풍력 터빈 타워(100)의 진동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풍력 터빈 타워(100)의 설계/제작/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계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진동특성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유닛(510)과 진동특성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입력된 진동특성에 따라 이동유닛(510)을 구동하여 질량체(M)를 이동시켜서 요구되는 진동특성을 풍력 터빈 타워(100)가 가지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풍력 터빈 타워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터빈 타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터빈 타워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풍력 터빈 타워 200 : 타워형 구조물
300 : 발전부 400 : 블레이드부
410 : 블레이드 500 : 진동특성조절부
510 : 이동유닛 M : 질량체

Claims (4)

  1. 발전 장소에 설치되는 타워형 구조물(200);
    상기 타워형 구조물(200)의 상단부에 구비된 발전부(300);
    상기 발전부(300)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블레이드(41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400); 및
    상기 타워형 구조물(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질량체(M)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체(M)를 이동시켜서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을 조절하는 진동특성조절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풍력 터빈 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일측이 상기 질량체(M)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M)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타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특성조절부(500)는 풍력 터빈 타워 전체의 진동특성을 감지하는 진동특성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타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특성조절부(500)는 상기 이동유닛과 상기 진동특 성감지유닛에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터빈 타워.
KR1020090134258A 2009-12-30 2009-12-30 풍력 터빈 타워 KR20110077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258A KR20110077629A (ko) 2009-12-30 2009-12-30 풍력 터빈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258A KR20110077629A (ko) 2009-12-30 2009-12-30 풍력 터빈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629A true KR20110077629A (ko) 2011-07-07

Family

ID=4491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258A KR20110077629A (ko) 2009-12-30 2009-12-30 풍력 터빈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76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2608A1 (en) * 2013-10-28 2015-05-07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KR20160060428A (ko) 2014-11-20 2016-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체유동을 이용한 타워의 진동저감 장치
CN107013418A (zh) * 2017-05-02 2017-08-04 沈阳建筑大学 一种机械式抑制大型风力发电机组共振的装置
WO2020001719A1 (en) * 2018-06-29 2020-01-02 Vestas Wind Systems A/S Damper unit for a tower structure
CN113738587A (zh) * 2021-09-23 2021-12-03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塔筒组件及风力发电机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2608A1 (en) * 2013-10-28 2015-05-07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DK201370627A1 (en) * 2013-10-28 2015-05-11 Vestas Wind Sy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US9683556B2 (en) 2013-10-28 2017-06-20 Vestas Wind Systems A/S Method of damping wind turbine tower oscillations
KR20160060428A (ko) 2014-11-20 2016-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체유동을 이용한 타워의 진동저감 장치
CN107013418A (zh) * 2017-05-02 2017-08-04 沈阳建筑大学 一种机械式抑制大型风力发电机组共振的装置
WO2020001719A1 (en) * 2018-06-29 2020-01-02 Vestas Wind Systems A/S Damper unit for a tower structure
CN112313409A (zh) * 2018-06-29 2021-02-02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塔结构的阻尼器单元
US11560878B2 (en) 2018-06-29 2023-01-24 Vestas Wind Systems A/S Damper unit for a tower structure
CN112313409B (zh) * 2018-06-29 2023-08-18 维斯塔斯风力系统有限公司 塔结构的阻尼器单元
CN113738587A (zh) * 2021-09-23 2021-12-03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塔筒组件及风力发电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7629A (ko) 풍력 터빈 타워
MXPA03003859A (es) Planta de energia de viento, arreglo de control para una planta de energia de viento y metodo para operar una planta de energia de viento.
GR20060100428A (el) Μεθοδος λειτουργιας ενος αεροστροβιλου
CY1117043T1 (el) Αιολικο συστημα για την μετατροπη ενεργειας μεσω μιας τουρμπινας κατακορυφου αξονα που ενεργοποιειται μεσω αετων
DE60109447D1 (de) Windturbine
WO2012044089A3 (ko) 수직축 터빈 및 이를 구비하는 양방향 적층식 수직축 터빈
EA201171394A1 (ru) Ветровая турбина
WO2011116845A3 (en) Direct drive wind turbine
KR20100134165A (ko) 풍속계, 풍향계 및 강우감지기를 일체화한 풍속, 풍향 및 강우센서 시스템
JP6371146B2 (ja) 風力発電設備
US10584682B2 (en) 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JP2011007169A (ja) 風力発電装置
KR20140055667A (ko) 진동 감쇠 수단을 갖는 풍력 발전기
GB201200603D0 (en)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RU2458246C1 (ru) Ветроэнергоблок стабилизирующий
JP5705139B2 (ja) 風力発電装置
JP2005036749A (ja) 水平軸風車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94886A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装置
KR101531267B1 (ko) 풍력발전기용 발전모듈 지지장치
KR101000628B1 (ko) 풍력발전장치
ES2887791T3 (es) Sistema para controlar un actuador de orientación de una turbina eólica cuando un sistema de control de actuador de orientación nativo está inoperativo
JP6273547B2 (ja) 風力発電装置
US20210062790A1 (en) Load-Free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JP2005076624A (ja) 水平軸可変羽根付垂直軸風車
KR20110118285A (ko) 회전익 각도 가변형 풍력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