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994A -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994A
KR20110075994A KR1020090132576A KR20090132576A KR20110075994A KR 20110075994 A KR20110075994 A KR 20110075994A KR 1020090132576 A KR1020090132576 A KR 1020090132576A KR 20090132576 A KR20090132576 A KR 20090132576A KR 20110075994 A KR20110075994 A KR 2011007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all
mobile phone
skin
notif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민
정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박준민
정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민, 정 데이비드 filed Critical 박준민
Priority to KR102009013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5994A/ko
Priority to CN2010105056753A priority patent/CN102111494A/zh
Priority to US12/898,173 priority patent/US20110159864A1/en
Priority to JP2010248357A priority patent/JP2011139434A/ja
Publication of KR2011007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 착신 시 벨소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사람의 피부에 감응하여 자동으로 벨소리가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호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폰과 이동통신망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된 호에 대해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및 화면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착신 시 피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호 착신 시 저장부에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와 터치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인 상태에서 터치감지부에서 피부의 터치가 감지되면 벨 출력 모드에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음 모드 및 화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착신 자동 전환, 벨/진동 모드

Description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call alarming mode changing by skin contact when call and method for call alarming mode automatically changing thereof}
본 발명은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 착신 시 벨소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사람의 피부에 감응하여 자동으로 벨소리가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호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가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환경에서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가 대중화되면서 전화는 이제 집안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급격한 전화의 대중화에 비해 전화에 대한 예절은 갈수록 무감각해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에는 음량조절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판단하여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음량에 대응하는 위치로 스위치를 설정하면, 전화기의 벨음량은 이후 사용자가 스위치를 재조작할 때까지 설정된 음량으로 유지된다.
그런데, 음량조절 스위치를 조정할 당시 사용자는 주변 환경이 조용하다고 판단하여 전화기의 벨음량을 작게 설정하였는데, 주변 환경이 시끄러워져서 전화기의 벨음량을 못듣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반면에, 전화기의 벨음량을 크게 설정하였는데 주변 환경이 조용해져서 전화기의 벨음량에 놀라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들이 발생할 때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즉, 휴대용 전화기는 다양한 장소(예를 들면 백화점, 도로, 만남의 장소 등과 같은 주변 소음이 큰 장소)와 조건하에서 사용되는데,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착신호출을 모르고 지나치는 일이 빈번하다. 즉, 종래의 단말기는 사용자가 벨소리, 진동, 램프 등을 수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착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이므로,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착신호출을 모르고 지나치는 일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음량의 조절은 가능하나 주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벨음량의 크기를 조절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였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벨음량을 특정 음량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하므로 벨음량 조절기능은 사실상 쓸모없는 기능에 불과하다.
정리해 보면, 종래에는 단말기에 수동으로 미리 벨음량을 고정시키거나 진동으로 설정해줘야만 했다. 그러므로, 조용하여야 하는 환경, 예를 들어 회의실, 극 장 등에는 입장시 미리 진동으로 바꿔 놓거나 벨음량을 최소로 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이를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있었다. 만약 그와 같은 조용한 환경이어야 하는 경우에 벨소리가 갑자기 울리게 되면 사용자는 상당히 당황하게 되고 벨 음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해 벨음량을 최소화하여야 하나 사용자가 당황하기 쉬우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벨소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호 착신 시 벨소리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사람의 피부에 감응하여 자동으로 벨소리가 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과 이동통신망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된 호에 대해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및 화면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착신 시 피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호 착신 시 저장부에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와 터치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인 상태에서 터치감지부에서 피부의 터치가 감지되면 벨 출력 모드에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음 모드 및 화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여기서, 휴대폰은 호 착신 시 벨을 출력하는 벨 출력부, 호 착신 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부, 호 착신 시 조명을 발생하는 조명 발생부, 및 호 착신 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휴대폰의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에는 터치 감지부에 상기 피부 터치 시 상기 피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금속이 증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 착신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휴대폰에서 호 착신 시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휴대폰에 호가 착신되면 착신 알림 모드를 검색하여 벨 출력 모드이면, 휴대폰이 피부에 접촉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에 따라 피부 접촉이 아니면 벨을 출력하는 단계; 벨 출력 중 피부가 휴대폰에 접촉되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 및, 벨 출력 중 피부가 휴대폰에 접촉되면 벨 출력을 중지하고 벨 출력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피부에 접촉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이상 접촉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벨 출력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 중 하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모드, 조명을 발생하는 조명 발생 모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 모드 및 벨 출력없이 무음상태를 유지하는 무음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부 접촉이 감지되어 벨 출력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벨 출력 모드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로 자동 전환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시켜 설정된 시간 이내에 명령어 입력을 제외한 피부 접촉은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터치에 의해 벨 출력을 벨출력 모드 이외의 모드로 자동전환함으로써 벨출력에 의한 실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경우 실수에 의해 벨 출력 모드 이외의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휴대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모듈(10), 저장부(20), 터치 감지부(30), 벨출력부(40), 진동 발생부(50), 조명 발생부(60), 화면 출력부(70), 제어부(80) 및 타이머부(9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모듈(10)은 본 발명 휴대폰과 휴대폰의 이동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송수신부로 구성된다.
저장부(20)는 통신모듈(10)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된 호에 대해 상기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 음 모드 및 화면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 경우 해당 모드가 저장된다.
터치 감지부(3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가 착신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포함하는 인체 피부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터치 감지부(30)로는 정전식 터치 감지 센서 및 감압식 터치 감지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된다.
벨 출력부(4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 착신 시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인 경우에 벨 소리를 출력한다.
진동 발생부(5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 착신 시 진동 발생 모드인 경우에 진동을 출력한다.
조명 발생부(6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 착신 시 조명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조명은 LED 조명으로 구성할 수 있다.
화면 출력부(7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 착신 시 화면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조명은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는 전원 소모를 절약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후 자동 오프되는데, 해당 디스플레이부가 자동 온되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착신 호를 알리는 문자 또는 심볼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휴대폰으로 호 착신 시 저장부(20)에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와 터치 감지부(30)의 감지결과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라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인 상태에서 터치감지부(30)에서 사용자를 포함하는 인체의 피부의 터치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와 같은 판단결과에 따라 벨 출력 모드에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음 모드 및 화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자동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 휴대폰에 있어서는 인체 피부가 휴대폰에 터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피부 터치 시 피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터치 감지부(30)로 용이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물질, 예로써,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증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100)의 외주면 중 휴대폰 케이스가 접합되는 부위에 금속박판(110)을 띠 형상으로 두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 케이스(120)의 외주면에 금속박막(130)을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물리증착법)을 이용해 증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케이스가 접착되는 부분이나 외주면에 금속박판(110)을 형성하거나, 금속박막(130)을 증착하는 경우 인체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터치 감지부(30)에서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 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에서 메뉴를 선택한다(S110).
이어, 메뉴에서 호 착신시 알림 모드를 설정한다(S130). 이와 같은 호 착신 시 알림 모드로는 벨을 출력하는 벨 출력 모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모드, 조명을 발생하는 조명 발생 모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 모드 및 벨소리만을 없애는 무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 시 벨 출력을 중지하는 경우 진동/사진/조명/무음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이어 휴대폰의 통신 모듈(10)을 통해 착신 호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S150).
판단결과(S150),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시 알림 모드를 검색한다(S160).
검색결과, 진동/사진/조명/무음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70).
판단결과(S170) 진동/사진/조명/무음 모드 중 하나라면 설정된 모드로 동작한다(S190).
그러나, 판단결과(S170), 진동/사진/조명/무음 모드 중 하나가 아니라면 피부 접촉 상태를 판단한다(S210).
판단결과(S210), 피부가 접촉되었다면 진동 모드로 동작한다(S230).
그러나 판단결과(S210) 피부가 접촉되지 않았다면 벨을 출력한다(S250).
이어서, 피부접촉이 감지되는가를 판단한다(S270).
판단결과(S270), 피부접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벨 출력을 유지한다(S250).
그러나 판단결과(S270), 피부접촉이 감지되었다면 벨출력을 중지하고, 설정된 모드로 동작한다(S290). 이와 같은 설정된 모드로는 진동/사진/조명/무음 모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어,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310). 다시 말하면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한 피부 접촉, 예를 들어 살짝 스친 정도에 벨 출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판단결과(S310), 타이머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명령어 입력을 제외한 피부 접촉을 무시한다(S330). 이는 최근 터치폰 출시 경향도 반영한 것이다.
이어 타이머가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50).
판단결과(S350) 타이머가 경과되었다면 터치 감지, 즉 피부 접촉에 대한 감지로 복귀한다(S37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전도성 물질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 모듈 20 : 저장부
30 : 터치 감지부 40 : 벨 출력부
50 : 진동 발생부 60 : 조명 발생부
70 : 화면 출력부 80 : 제어부
90 : 타이머부 100 : 휴대폰
110 : 금속박판 120 : 휴대폰 케이스
130 : 금속박막

Claims (8)

  1. 휴대폰과 이동통신망간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모듈(10);
    상기 통신모듈(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착신된 호에 대해 상기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음 모드 및 화면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20);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호 착신 시 피부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30); 및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저장부(20)에 설정된 착신 알림 모드와 상기 터치 감지부(30)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알림 모드가 벨 출력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30)에서 피부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벨 출력 모드에서 상기 진동 발생 모드, 조명 발생 모드, 무음 모드 및 화면 출력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상기 호 착신 시 벨을 출력하는 벨 출력부(40),
    상기 호 착신 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부(50),
    상기 호 착신 시 조명을 발생하는 조명 발생부(60), 및,
    상기 호 착신 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30)는
    정전식 터치 감지 센서 및 감압식 터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에는 상기 터치 감지부(30)에 상기 피부 터치 시 상기 피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금속이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5. 청구항 1에 기재된 호 착신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서 호 착신 시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에 호가 착신되면 상기 착신 알림 모드를 검색하여 벨 출력 모드이면, 상기 휴대폰이 피부에 접촉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피부 접촉이 아니면 벨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벨 출력 중 상기 피부가 상기 휴대폰에 접촉되었는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벨 출력 중 상기 피부가 상기 휴대폰에 접촉되면 상기 벨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벨 출력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 중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에 접촉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이상 접촉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벨 출력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 중 하나는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발생모드, 조명을 발생하는 조명 발생 모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 모드 및 벨출력없이 무음상태를 유지하는 무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이 감지되어 상기 벨 출력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상기 벨 출력 모드 이외의 착신 알림 모드로 자동 전환된 후 설정된 시간 동안 타이머를 구동시켜 명령어 입력을 제외한 피부 접촉은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착신 시 피부 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1020090132576A 2009-12-29 2009-12-29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20110075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576A KR20110075994A (ko) 2009-12-29 2009-12-29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N2010105056753A CN102111494A (zh) 2009-12-29 2010-09-30 基于皮肤接触的电子设备模式切换装置和方法
US12/898,173 US20110159864A1 (en) 2009-12-29 2010-10-05 Electronic equipment mod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kin contact, mobile phone for switching call incoming alarming mode on the basis of skin contact when call is received,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witching call incoming alarming mode of the mobile phone
JP2010248357A JP2011139434A (ja) 2009-12-29 2010-11-05 電子機器モード切換装置及び電子機器のモード切換方法、並びに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着信報知モード自動切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576A KR20110075994A (ko) 2009-12-29 2009-12-29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994A true KR20110075994A (ko) 2011-07-06

Family

ID=4491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576A KR20110075994A (ko) 2009-12-29 2009-12-29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5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92B1 (ko) * 2014-02-18 2015-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의 음소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92B1 (ko) * 2014-02-18 2015-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의 음소거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8543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djustable-volume of ringing tone
US11044357B2 (en) User peripheral
JP2006211655A (ja) 携帯電話及び携帯電話の構成要素を照明する方法
US20080170683A1 (en) Adaptive notification of an incoming call in a mobile phone
TWI384850B (zh) 手機及自動切換手機來電提示之方法
JP4658217B2 (ja) 携帯端末
KR101373909B1 (ko) 무음 모드 및 무음 모드에 대한 예외에 대하여 구성가능한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080167006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33679A (ko) 수신 메시지 특성에 따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10075994A (ko) 호 착신 시 피부접촉에 의한 착신 알림 모드 전환이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JP3950825B2 (ja) 携帯電話装置並びにそ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040080650A (ko) 휴대폰
WO2010004669A1 (ja) 携帯端末
TW201429213A (zh) 模式切換系統及方法
KR101022121B1 (ko) 접촉 감응센서를 이용한 스피커 볼륨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300007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자동설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자동설정 방법
JP2006050505A (ja) 電子装置、省電力化方法及び省電力化プログラム
KR100372862B1 (ko) 다수의 스피커 및 스피커 전환 제어 장치를 구비한무선전화기
KR20040042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7773B1 (ko) 이동전화 유니트 및 청소기의 정지제어방법
JPH10215299A (ja) 電話装置
KR20060011168A (ko) 조도감지를 이용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0175586B1 (ko) 램프 자동점등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그에 따른 램프점등방법
KR960009513A (ko) 자동 착신 스피커폰 전환기
KR20050054789A (ko) 광도에 따라 휴대폰의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