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412A -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412A
KR20110075412A KR1020090131859A KR20090131859A KR20110075412A KR 20110075412 A KR20110075412 A KR 20110075412A KR 1020090131859 A KR1020090131859 A KR 1020090131859A KR 20090131859 A KR20090131859 A KR 20090131859A KR 20110075412 A KR20110075412 A KR 2011007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mgkoh
laser etching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615B1 (ko
Inventor
이대은
Original Assignee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페인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광페인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6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60~12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6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내장재용 도료로서 자동차 내장재 규격을 만족하면서 고선영성, 고광택성, 고평활성 등이 우수하여 공업용 코팅제, 가전제품 등을 포함한 플라스틱 코팅제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하이그로시, 레이저 에칭, 자동차 내장재

Description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RESIN AND PAINT COMPOSITION FOR LASER ETHING}
본 발명은 레이저 에칭용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글자나 도형을 에칭할 때 사용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에칭 장치와 레이저 에칭 방법을 살펴보면, 무기재료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에칭 위치 주변에 부착물을 생성시키지 않으면서 가공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로머신, IC 또는 다이오드 디바이스 등의 재료의 미세가공에 적합한 에칭방법으로 레이저 가공에 의한 구조체의 미세가공에는 엑시머레이저 또는 YAG 레이저의 고주파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ABS, ABS/PC, PC 등의 소재 위에 고광택의 도막을 형성시키고 레이저광을 이용한 에칭에는 종래에 무광이나 반광을 사용하였으며, 하도 칼라 + 상도 크리어 도장 공정에 의해서 도장 공정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광택에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공정도 복잡하며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지 못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광택도가 우수하고 물성이 뛰어나며, 도장 공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20~5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15000, Tg는 20~5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에칭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의 수지 조성물 50~60 중량%, 안료 3~6 중량%, 경화제 10~20 중량%, 첨가제 0.5~5 중량%, 분산제 0.1~10 중량% 및 용제 26~36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료는 Gas Black 인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60~12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6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수지 조성물 :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5~30 mgKOH/g, 하이드록실가 80~20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40~8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이 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따르면, 광택도가 우수하여 자동차 내외장재, 생활가전(TV,냉장고 등), 일반 가구 등 고품질, 고외관을 요구하는 부품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여 점차 높아져 가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또한, 기존 레이저 에칭용 도료 조성물에 비해 물성이 동등 이상이며,
기존의 하도 칼라+상도 크리어 도장 공정을 1도 도장으로 이루어냄으로써, 공정절감,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도용 차폐도료와 상도 하이그로시 블랙으로 2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하도 도장이 완성된 후 레이저 가공이라는 원리를 이용해서 기존의 무광도료가 아닌 유광이면서 지금까지 구현을 해보지 않은 고광택의 블랙 하이그로시 도료를 적용하며, 그에 대한 도료 조성물에 관한 부분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하도 도료는 차폐기능을 가지면서 하도 도료로서 PC 100%소재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며 특수한 흑색안료를 사용하여 차폐기능과 상도 하이그로시 블랙에 대한 고광택 선영성을 발현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하도 수지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20~5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15000, Tg는 20~5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실시예 1, #B)이다.
수지 함유량이 50~60 중량% 일 때 PC 100%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가장 우수하며, 자체 자동차 내장재 스펙을 만족하며, 수지함유량이 30~50%일 때는 PC 100% 소재는 부착이 떨어진다.
그리고 하도 도료의 안료 종류별 (GAS BLACK,OIL FURANCE BLACK,NAPHTHALENE BLACK,ACETYLENE BLACK,송연,유연 BLACK, ANIMAL BLACK) 함량별 은폐률 시험에서는 안료 함유량이 3~6% 일 때에 은폐가 가장 우수하다.
또한 내후성 시험에서는 GAS BLACK(COLOUR BLACK FW200, SPECIAL BLACK 6,SPECIAL BLACK 5, SPECIAL BLACK 4, COLOUR BLACK XPB FW 285, COLOUR BLACK S 160,PRINTEX U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 안료)이 가장 우수하며 레이저 가공성은 모든 안료들이 양호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도 도료는 아크릴 수지 (#B)에 GAS BLACK 3~6% 안료 함량이 가장 우수한 하도이며, 소포제 0.1~1 중량%, 자외선안정제, 흡수제 1~3중량%, 레벨링제 0.1~3 중량% 및 분산제 0.1~10 중량% 를 첨가하여 제조된다.
비교예 1에서 후술할 아크릴 수지(#A) 타입은 수지 함유량에 관계없이 소지 부착력이 불량하다.
다음으로, 상도 도료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60~12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6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C) 단독 또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5~30 mgKOH/g, 하이드록실가 80~20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40~8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D) 비가 50:50(중량비)으로 구성된 도료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의 아크릴 폴리올 수지(#C)와 아크릴 폴리올 수지(#D)의 비가 50/50(중량비)일 때 하도 도료와의 부착력 및 광택성, 외관 등이 모두 양호하고 자체 자동차 시험 스펙에 관해서 물성을 만족하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C)/ 아크릴 폴리올 수지(#D)의 비가 65/35% 일 때는 하도와의 부착력은 양호하나 #C수지의 자체 광택도가 낮기 때문에 전체 광택이 낮아지므로 적당하지 않다(광택도:80~90%). 아크릴 폴리올 수지(#C)/ 아크릴 폴리올 수지(#D)의 비가 30/70% 일 때는 광택도는 가장 우수하나(광택도:100~105%) 하도와의 부착력이 다소 불량하여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아크릴 폴리올 수지(#A)는, 스타이렌,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리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리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리레이트, 2-메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20~5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15000, Tg는 20~5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이다.
실시예 2
아크릴 폴리올 수지(#B)는,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리레이트,프로필(메타)아크리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리레이트, 2-메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가교제 를 적절히 혼합시킨 후 촉진제로 경화시킴으로써, 경화성이 빠르고 화학적 물성, 물리적 물성이 뛰어나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5~15 mgKOH/g, 하이드록실가 20~3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5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그 량은 각각 수지고형분 100중량부 중 0.01 내지 5중량부가 적당하며 그 이상의 사용시 부착성 및 내수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도료조성물은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폴리카보네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표면에 스프레이 도장한다.
그리고, 아크릴 폴리올 수지 #A 와 아크릴 수지 #B의 함량별 PC소재 부착력과 흑색 안료 종류 및 함량별 은폐정도 및 내후성 정도와 상도 층간 부착성에 대한 비교 시험을 한다. 그리고 상도 하이그로시 상도 도장물의 성분 및 최종도료의 레이저 가공성과 물성 시험 스펙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
실험예 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도료 주제 중량비 100%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20%를 혼합하여 반영하며, 우레탄 신나로 희석후 실험하며, 위에서 언급된 첨가제 등을 0.5~5% 이내로 사용한다. 아크릴 수지 함량에 따른 소재 접착력과 시험스펙 테스트를 진행한 건조 조건은 80℃, 30분 열풍 가열 건조 후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표1은 수지별 소재부착성 및 시험스펙 테스트 결과이다.
특 성 수지#A 수지#A 수지#B 수지#B
소재 PC 100% PC 100% PC 100% PC 100%
아크릴 수지함량 30~40%(100배합) 50~60(100배합) 30~50%(100배합) 50~60%(100배합)
소재 부착력 × △~○
도장후 외관 ×
내산성시험 ×
내수성 ×
스크레치성 ×
내가솔린성 ×
내충격성 ×
내염수분무성 ×
내알칼리성 × × ×
내열성 × ×
내습성 ×
내열사이클성 × ×
내후성
최종수지결정 × × ×
표2는 하도 시험 후 세부 시험 항목이다.
시험항목 세부내용
부착성 하도 도장품과 상도 도장품에 대한 cross cut시 부착성 테스트(스카치 테이프 박리 테스트(100/100))
상도 외관 육안 판정후 식별 가능한 결함없을것
광택 GLOSSMETER 60‘C 기준에서 측정
내산성시험
0.5%황산 및 0.1N규정의 염산을 도막표면에 0.2ml떨어뜨린후 실온 24시간 방치후 표면 수분제거후 1시간방치후 부착성검토
내수성 40'c*240시간 방치후 상온 1시간방치후 부착성시험 검토
내습성 50‘C*168시간 경과후 실온 1시간 방치후 부착성시험 검토
내후성 블랙판넬 89‘C,챔버 습도 50%,설정조건 300~400NM기준으로 제논아크 타입으로 진행후 실온 방치 1시간 경과후 부착성 및 외관 검토
썬크림성 아크릴판에 백면포2장겹친후 썬크림0.25g도포후 80'c*1시간 방치후 중성세제로 씻은후 부착성 검토
스크레치성 JIS K6718기준으로 시험으로 외관평가한다
내가솔린성 무연가솔린을 5N 힘으로 10회 문지르고 1시간 방치후 80‘C*2시간 항온조에 3시간 방치후 표면 상태를 조사함
내충격성 ISO 6272기준으로 시험한후 도막상태를 조사함
내염수 분무성 ISO 7253또는 JIS K 5600-7에 의거하여 240시간 분무후 수분제거후 1시간 상온방치후 도막의 표면을 조사한다
내알카리성 0.1N규정의 수산화나트륨 0.2ml적하후 온도20‘c습도 65% 24시간 방치후 물로 씻어내고 상온 1시간 방치후 도막외관 변화를 판단한다
내열성 110'c*300시간 방치후 부착성시험을 한다
내열 사이클성 80‘c*3h후 실온 1h후 -40'c*3h후 실온 1h후 50’c*2h/습도 95%*7~15h후 실온 1h후 실온 1시간 방치후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부착성 시험을 한다
상하도 레이저가공성 현재업체에서 진행중인 자체 조건으로 실시한다
내마모성 왕복 시험기를 사용하여 4.9N*1000회 왕복후 외관을 판단한다
본 발명에 대한 하도 테스트 결과는 아크릴 수지#B 타입이 수지 함유량 50~60% 일 때 PC소재와의 접착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 최종 하도 아크릴 수지#B에서 Carbon Black의 분류별 레이저 에칭성 및 함량별 은폐, 내후성 시험을 진행한다.
실험예 2
아크릴 수지 도료 주제 중량비 100%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20%를 우레탄 신나로 희석 반응하여 실험하며, 위에서 언급된 첨가제 등을 0.5~5% 이내로 사용한다. 건조 조건은 80℃, 30분 열풍 가열 건조 후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기본 소재는 PC 100%이며, 실험의 세부 결과 및 조건은 표3, 표4 및 표5와 같다.
특 성 Gas Black Oil Furnace Black Naphthalene Black Acetylene Black
안료 함량별은폐률 1~2% 3~6% 1~2% 3~6% 1~2% 3~6% 1~2% 3~6%
소재 부착력 O
내후성
레이저 에칭성 ○OO
최종흑색결정 × × × × × × ×
특 성 송연,유연 BLACK ANIMAL Black
안료 함량별은폐률 1~2% 3~6% 1~2% 3~6%
× ×
소재 부착력
내후성
레이저 가공성
최종흑색결정 × × × ×
시험항목 세부내용
하도 도료와의 부착성 하도 도장품과 상도 도장품에 대한 cross cut시 부착성 테스트(스카치 테이프 박리 테스트(100/100))
내후성 블랙판넬 89‘C,챔버 습도 50%,설정조건 300~400NM기준으로 제논아크 타입으로 진행후 실온 방치 1시간 경과후 부착성 및 외관 검토
레이저 가공성 현재 업체 양산기준(세부기준 비밀)
본 발명에서의 하도 도료 조성물 시험은 아크릴 폴리올 수지 #B에 GAS BLACK타입의 안료 함량 3~6%가 은폐률 및 소재 부착성이 가장 양호하고 내후성에서 가장 우수하고 레이저 가공성도 우수하다.
아크릴 폴리올 수지 도료 주제 중량비 100%에 위에서 언급된 것 중 하나인 경화제 20~40%를 혼합하여(혼합비:3/1) 반영하며 우레탄 신나로 희석 후(신나 주제의 10~20%) 실험하며, 위에서 언급된 첨가제 등을 0.5~5% 이내로 사용한다. 아크릴 수지 종류 및 함량에 따른 하도 도료와의 접착력 시험 스펙 테스트를 진행한다. 그리고 건조 조건은 80℃, 30분 열풍 가열 건조 후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실시예 3
(아크릴 폴리올 수지 #C ) /(아크릴 폴리올 수지 #D)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C)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리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리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리레이트, 2-메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 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의 가교제를 적절히 혼합시킨 후 촉진제로 경화시킴으로써, 경화성이 빠르고 화학적 물성, 물리적 물성이 뛰어나며,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60~12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6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와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5~30 mgKOH/g, 하이드록실가 80~20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40~8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아크릴 수지 비가 50:50으로 구성된 도료용 열경화성 수지이다.
상기의 상도 수지 조성물의 하도 도료와의 층간 부착성 및 상도 수지 함량에 따른 광택도, 평활도, 레이저 가공성 및 기존 시험 스펙 기준으로 물성 시험을 진행하고, 실험결과는 표6과 같다.
#1 #2 #3
수지함량별(#C/#D) 50/50 65/35 30/70
하도 도료와의 부착성 양호 양호 불량
상도 외관 양호 불량 양호
광택 95~100% 80~90% 100~105%
내산성시험 양호 양호 양호
내수성 양호 불량 불량
내습성 양호 불량 불량
내후성 양호 불량 불량
썬크림성 양호 불량 불량
스크레치성 양호 불량 양호
레이저 가공성 양호 양호 양호
내약품성 양호 양호 불량
내충격성 양호 불량 불량
내도막 오염성 양호 양호 양호
내염수 분무성 양호 양호 불량
내알카리성 양호 양호 양호
내열성 양호 양호 불량
내열 사이클성 양호 불량 불량
내마모성 양호 불량 불량
본 발명에 대한 세부 시험평가 방법은 표7과 같다.
시험항목 세부내용
하도 도료와의 부착성 하도 도장품과 상도 도장품에 대한 cross cut시 부착성 테스트(스카치 테이프 박리 테스트(100/100))
상도 외관 육안 판정후 식별 가능한 결함없을것
광택 GLOSSMETER 60‘C 기준에서 측정
내산성시험
0.5%황산 및 0.1N규정의 염산을 도막표면에 0.2ml떨어뜨린후 실온 24시간 방치후 표면 수분제거후 1시간방치후 부착성검토
내수성 40'c*240시간 방치후 상온 1시간방치후 부착성시험 검토
내습성 50‘C*168시간 경과후 실온 1시간 방치후 부착성시험 검토
내후성 블랙판넬 89‘C,챔버 습도 50%,설정조건 300~400NM기준으로 제논아크 타입으로 진행후 실온 방치 1시간 경과후 부착성 및 외관 검토
썬크림성 아크릴판에 백면포2장겹친후 썬크림0.25g도포후 80'c*1시간 방치후 중성세제로 씻은후 부착성 검토
스크레치성 JIS K6718기준으로 시험으로 외관평가한다
내가솔린성 무연가솔린을 5N 힘으로 10회 문지르고 1시간 방치후 80‘C*2시간 항온조에 3시간 방치후 표면 상태를 조사함
내충격성 ISO 6272기준으로 시험한후 도막상태를 조사함
내염수 분무성 ISO 7253또는 JIS K 5600-7에 의거하여 240시간 분무후 수분제거후 1시간 상온방치후 도막의 표면을 조사한다
내알카리성 0.1N규정의 수산화나트륨 0.2ml적하후 온도20‘c습도 65% 24시간 방치후 물로 씻어내고 상온 1시간 방치후 도막외관 변화를 판단한다
내열성 110'c*300시간 방치후 부착성시험을 한다
내열 사이클성 80‘c*3h후 실온 1h후 -40'c*3h후 실온 1h후 50’c*2h/습도 95%*7~15h후 실온 1h후 실온 1시간 방치후 도막의 표면상태를 조사하고 부착성 시험을 한다
상하도 레이저가공성 현재업체에서 진행중인 자체 조건으로 실시한다
내마모성 왕복 시험기를 사용하여 4.9N*1000회 왕복후 외관을 판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 개념으로 이해되어 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20~5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15000, Tg는 20~5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 50~60 중량%;
    안료 3~6 중량%;
    경화제 10~20 중량%;
    첨가제 0.5~5 중량% 및
    분산제 0.1~10 중량%; 및
    용제 26~36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에칭용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Gas Blac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에칭용 도료 조성물
  4.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2~10 mgKOH/g, 하이드록실가 60~12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20~60℃인 아크릴 수지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 :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용액 중합시킨 수지로서, 산가 5~30 mgKOH/g, 하이드록실가 80~200mgKOH/g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 Tg는 40~80℃인 아크릴 수지 도료 1당량에 대하여 0.9~1.5당량을 함유한 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이 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KR1020090131859A 2009-12-28 2009-12-28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KR10105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59A KR101057615B1 (ko) 2009-12-28 2009-12-28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59A KR101057615B1 (ko) 2009-12-28 2009-12-28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412A true KR20110075412A (ko) 2011-07-06
KR101057615B1 KR101057615B1 (ko) 2011-08-19

Family

ID=4491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859A KR101057615B1 (ko) 2009-12-28 2009-12-28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6898A (zh) * 2017-12-29 2018-07-13 湖南松井新材料有限公司 镀膜涂料系统、具有金属效果涂层的塑胶件及其制备工艺
JP2021187967A (ja) * 2020-06-01 2021-12-13 株式会社オリジン レーザーエッチング用塗料組成物、その主剤の製造方法、成形体及びそ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6C (zh) 1995-04-28 2001-09-19 日本油脂Basf涂料株式会社 涂料组合物及制法和无机氧化物溶胶分散组分的制法
JP2003292886A (ja) 2002-04-02 2003-10-15 Nippon Paint Co Ltd ウレタン塗料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6898A (zh) * 2017-12-29 2018-07-13 湖南松井新材料有限公司 镀膜涂料系统、具有金属效果涂层的塑胶件及其制备工艺
CN108276898B (zh) * 2017-12-29 2020-03-13 湖南松井新材料股份有限公司 镀膜涂料、具有金属效果涂层的塑胶件及其制备工艺
JP2021187967A (ja) * 2020-06-01 2021-12-13 株式会社オリジン レーザーエッチング用塗料組成物、その主剤の製造方法、成形体及びそ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615B1 (ko) 201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286B2 (en) Low-VOC-emission waterborne coating having high hardness and good adhes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6459301B (zh) 用于水性涂料组合物的粘合增进剂
EP2986681B1 (en) A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JPH07224146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形成方法
CN105199496A (zh) 涂料组合物
KR101638407B1 (ko) 고투명성 아크릴계 반광 분체 도료
KR101057615B1 (ko)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CA3066860A1 (en) One-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and substrates coated with the same
JP4846255B2 (ja) 水性塗料
JP5881719B2 (ja) 複層塗膜の形成方法及び複層塗膜
CN110982410A (zh) 一种静电喷塑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977032B (zh) 一种用于头盔的水性双组分高光面漆及其制备方法
JP6573773B2 (ja) 車両用塗料組成物
CN116200117A (zh) 一种生物基汽车外饰色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JP2005213274A (ja) 水性塗料、該水性塗料の製造方法及び塗装方法
CN109207053A (zh) 一种彩色涂料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6613826B2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JP7281309B2 (ja) 塗料組成物
KR100772764B1 (ko)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CN112011263A (zh) 一种环保型免磨高固中涂漆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190007189A (ko) 자동차 보수용 멀티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JP5060997B2 (ja) 塗料組成物、これを塗布した塗装物品、及び、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
WO2022049775A1 (ja) 塗料組成物
KR100993876B1 (ko) 원코팅용 피씨엠 도료 조성물
KR100805653B1 (ko) 저취용 비수계 분산형 아크릴우레탄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