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212A - 능동형 시트 서포트 - Google Patents

능동형 시트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212A
KR20110074212A KR1020090131118A KR20090131118A KR20110074212A KR 20110074212 A KR20110074212 A KR 20110074212A KR 1020090131118 A KR1020090131118 A KR 1020090131118A KR 20090131118 A KR20090131118 A KR 20090131118A KR 20110074212 A KR20110074212 A KR 2011007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pivot support
pivot
bas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398B1 (ko
Inventor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형준호
홍규석
박성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3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형 시트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신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편중되어 작용되는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면을 유지하여 착석 시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피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시트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 서포트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설치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각 설치홈에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편중되고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 및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는 각각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내향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좌/우 외측부분을 지지하는 외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서포트, 베이스, 회동지지바, 커버패드

Description

능동형 시트 서포트 {ACTIVE SEAT SUPPORT}
본 발명은 능동형 시트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신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편중되어 작용되는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면을 유지하여 착석 시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피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는 사람의 수직방향 하중을 주로 지지하는 시트와 수평방향 하중을 주로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는 저가형 의자의 경우 합성수지나 금속 판재를 성형하거나 조립한 간단한 판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이 표면이 딱딱한 판형 시트에 앉을 경우 접촉된 둔부와 대퇴부가 강하게 압박되고, 특히 둔부와 대퇴부 중 볼록한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어 착석 시 안락감이 떨어지고 단시간에 피로와 통증을 느끼게 된다.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트에 다공성수지나 발포수지, 또는 스프링 등과 같은 완충재를 내장한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트는 사람이 앉을 때 상기 완충재의 탄성에 의해 시트가 변형되면서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므로, 착석 시 느끼는 피로와 불편이 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트는 완충재의 변형에 의해서만 하중이 분산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접촉되는 신체 부위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다르게 작용되는 압력의 크기와 무관하게 시트의 지지면 전체가 하중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딱딱한 판형 시트에 비해서는 양호하나, 신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에 대한 분산 효과가 부족하여 신체 부위 중 일부에 강한 압력이 집중적으로 작용되고, 이로 인해 착석 시 안락감이 떨어지고 척추나 골반부 등 신체에 이상을 유발하여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트에 앉는 사람의 자세가 바르지 않아 신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하중이 다를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에만 압력이 집중되고 시트의 지지면이 기울어지게 되어 착석자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신체 건강에도 더욱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석자의 신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편중되어 작용되는 하중에 대해 안정 적인 지지면을 유지하여 착석 시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피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능동형 시트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설치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각 설치홈에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편중되고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 및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는 각각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내향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좌/우 외측부분을 지지하는 외향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홈 간에 형성된 각 격벽부의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돌기는 베이스의 전방부에 위치된 것보다 후방부에 위치된 것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 중 적어도 일측의 내향부에는 타측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톱퍼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는, 상기 격벽부의 중앙부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축공 및 제2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제1회동축 및 제2회동축에 의해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가 베이스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패드에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의 설치홈은 바닥면이 양측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설치홈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경사진 측방지지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내향부는 각각 베이스의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외향부는 상기 좌측과 우측의 측방지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내향부 및 외향부에는 각각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패드지지부가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양측 측방지지면 외측단 부분에 측단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패드지지부의 외측단 부분에 상기 커버패드에 결합되고 상기 측단지지면에 안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좌/우측에 구비된 회동지지바에 의해 착석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면 이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은 하향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작용되는 부분은 상향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시 신체 부위에 작용되는 압력을 분산시켜 시트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피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시트의 좌측과 우측에 불균일하게 하중이 가해져도 양측 회동지지바가 대칭된 회동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패드의 지지면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가 바르지 않은 경우에도 안락감 및 안정성을 높이고, 잘못된 착석 자세로 인한 신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하중에 의해 회동지지바가 회동되어도 커버패드의 중앙부는 지지돌기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양측 둔부와 대퇴부 사이의 하중이 항상 고르게 분산 지지되어 더욱 안정되고 편안한 착석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를 인체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후방부의 것이 낮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락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4) 상기 양측 회동지지바의 회동범위가 일정 한도 이상이 되면 스톱퍼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큰 편차가 있어도 지지면의 과도한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착석시 안정감과 안락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5) 각 회동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패드의 각 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작용되는 하중에 대하여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이동 및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구조 및 착석 습관에 적합하게 지지면의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되어 더욱 향상된 안락감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일 실시예를 각각 조립 및 분해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요부인 회동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는 의자의 시트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거나 자체가 시트를 이루어 시트에 앉는 사람의 하중을 자체의 변형을 통해 능동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부에 다수의 회동지지바(120, 130)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바(120, 130)의 상부에 커버패드(140)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11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베이스(110)에는 소정 간격으로 상기 회동지지바(120, 130)가 삽입되는 다수의 설치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13)은 중앙부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도록 바닥면이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설치홈(113)의 바닥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측방지지면(101, 102)이 구비되고, 양측 측방지지면(101, 102)의 외측단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측단지지면(103, 104)이 구비된다.
상기 각 설치홈(113)의 사이에 구비된 격벽부(107)의 중앙측 상면부에는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10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08)는 베이스(1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부(107)에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평행한 두 선상에 각각 배치되는 제1축공(119a) 및 제2축공(119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축공(119a) 및 제2축공(119b)에는 각각 제1회동축(115) 및 제2회동축(116)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회동지지바(120, 130)는 서로 쌍을 이루어 하나의 설치홈(113)에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삽입되는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는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설치 위치 및 방향을 달리한다.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는 설치홈(113)의 내부에 좌측으로 편중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동축(115)이 결합되는 결합공(129)이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115)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제1회동지지바(120)는 양측에 각각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내향부(120a) 및 외향부(120b)가 구비되며, 상기 내향부(120a)는 상기 제2회동지지바(130)의 회동중심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외향부(120b)는 상기 베이스(110)의 좌측 측방지지면(101)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회동지지바(130)는 설치홈(113)에 우측으로 편중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회동축(116)이 결합되는 결합공(139)이 형성되어 상기 제2회동축(116)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된다. 이 제2회동지지바(130) 역시 양측에 각각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내향부(130a) 및 외향부(130b)가 구비되고, 내향부(130a)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의 회동중심 상부에, 외향부(130b)는 상기 베이스(110)의 우측 측방지지면(102) 상부에 위치된다. 또한, 이 제2회동지지바(130)의 결합공(139) 주위에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의 하향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톱퍼(135)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내향부(120a, 130a)와 외향부(120b, 130b)에는 각각 폭방향 단부를 따라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패드지지부(121, 122, 131, 132)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지지부(121, 122, 131, 132)는 상기 커버패드(140)의 저면을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 제1회동지지바(120)와 제2회동지지바(130)의 회동 중 상호 간섭을 피하면서 상기 커버패드(140)에 대한 지지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패드지지부(121, 122, 131, 132)의 양측단에는 각각 커버패드(140)의 중앙부 양측과 외측단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부(123, 124, 133, 1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에 대한 제1회동축(115) 및 제2회동축(116)의 결합위치, 즉, 회전중심은 각각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무게중심보다 베이스(110)의 중앙측으로 편중되어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외향부(120b, 130b)가 베이스(110)의 측방지지면(101, 102)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패드(140)는 상부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각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가 해당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회동되게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실리콘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패드(140)에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에 의해 지지되는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141, 142)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양측 결합부(123, 124, 133, 134)가 결합되는 중앙부 양측 및 외측단 양측 부분에 절개부(141, 142)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패드(14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가 외향부(120b, 130b)는 각각 베이스(110)의 측방지지면(101, 102)에 접촉되고 내향부(120a, 130a)는 설치홈(113)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커버패드(140)를 지지한다. 이때, 커버패드(140)를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각 결합부(123, 124, 133, 134)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커버패드(140)가 평평하게 펼쳐진다.
이 상태에서 착석자가 커버패드(140)의 상부, 또는 커버패드(140) 상부에 구 비되는 시트에 앉으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와 제2회동지지바(130)가 회동되면서 착석자의 둔부와 대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의 내향부(120a, 130a)와 외향부(120b, 130b) 중 내향부(120a, 130a)에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므로 상기 내향부(120a, 130a)가 하향 회동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가해지는 외향부(120b, 130b)는 하향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패드(140)의 중앙부가 착석자의 양측 둔부와 대퇴부 내측을 지지할 뿐 아니라, 커버패드(140)의 좌우 양측이 둔부와 대퇴부 외측을 감싸면서 지지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넓은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산된다. 따라서, 둔부와 대퇴부가 안정적이면서 편안하게 지지되어 착석시 느껴지는 안락감은 향상되고 피로감은 감소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가 회동되어도 상기 커버패드(140)의 중앙부는 상기 지지돌기(108)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양측 둔부와 대퇴부 사이의 하중이 항상 고르게 분산 지지되어 더욱 안정되고 편안한 착석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108)가 인체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되므로, 안락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착석자가 자세를 바로 하지 않아 상기 커버패드(140)의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다른 경우에도 커버패드(140)의 내측 좌우에 가해지는 하중이 외측 좌우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태는 계속 유지되므로, 제1회동지 지바(120) 및 제2회동지지바(130)가 서로 대칭된 회동 위치를 유지하여 커버패드(140)의 좌측과 우측 지지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안락감을 높이고 잘못된 착석 자세로 인한 신체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지지바(120)의 내향부(120a)가 하향 회동할 때 일정 범위 이상이 되면 패드지지부(122)가 제2회동지지바(130)에 구비된 스톱퍼(135)에 걸려 제1회동지지바(120)와 제2회동지지바(130)가 함께 회동하게 되므로, 좌측과 우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큰 편차가 있어도 시트의 과도한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착석시 안정감과 안락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사각형 형태 뿐 아니라 의자의 시트부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베이스(11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각 설치홈(113)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각 회동지지바(120, 130)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지지바(120, 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각 격벽부(107)의 축공(119a, 119b)에 관통 결합되는 별도의 축(115, 116)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110)의 격벽부(107)와 회동지지바(120, 130) 중 일측에 피봇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피봇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적인 가구형 의자 이외에 자동차의 좌석 등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의자의 시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리가 없는 좌식 의자나 방석 등에도 적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요부인 회동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능동형 시트 서포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측방지지면 103, 104 : 측단지지면
107 : 격벽부 108 : 지지돌기
110 : 베이스 113 : 설치홈
115, 116 : 회동축 119a, 119b : 축공
120 : 제1회동지지바 120a :내향부
120b : 외향부 121, 122 : 패드지지부
123, 124 : 결합부 129 : 결합공
130 : 제2회동지지바 130a :내향부
130b : 외향부 131, 132 : 패드지지부
133, 134 : 결합부 135 : 스톱퍼
139 : 결합공 140 : 커버패드
141, 142 : 절개부

Claims (9)

  1.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설치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각 설치홈에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편중되고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 및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는 각각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내향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패드의 좌/우 외측부분을 지지하는 외향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패드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 간에 형성된 각 격벽부의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지지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베이스의 전방부에 위치된 것보다 후방부에 위치된 것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 중 적어도 일측의 내향부에 타측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돌출된 스톱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중앙부 양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축공 및 제2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축공 및 제2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제1회동축 및 제2회동축에 의해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가 베이스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드에는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는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또는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설치홈은 바닥면이 양측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설치홈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경사진 측방지지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내향부는 각각 베이스의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외향부는 상기 좌측과 우측의 측방지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내향부 및 외향부에는 각각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패드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 측방지지면 외측단 부분에 측단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지지바 및 제2회동지지바의 패드지지부의 외측단 부분에 상기 커버패드에 결합되고 상기 측단지지면에 안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서포트.
KR1020090131118A 2009-12-24 2009-12-24 능동형 시트 서포트 KR10113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18A KR101132398B1 (ko) 2009-12-24 2009-12-24 능동형 시트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18A KR101132398B1 (ko) 2009-12-24 2009-12-24 능동형 시트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212A true KR20110074212A (ko) 2011-06-30
KR101132398B1 KR101132398B1 (ko) 2012-04-03

Family

ID=4440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118A KR101132398B1 (ko) 2009-12-24 2009-12-24 능동형 시트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1304A1 (it) * 2016-03-03 2017-09-03 Aldo Federico Morgavi Struttura di seduta multifunzi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053A (ja) * 1994-10-28 1996-05-14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輛用シートにおけるクッションパッドの支持装置
JP3529646B2 (ja) 1997-12-25 2004-05-24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椅 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1304A1 (it) * 2016-03-03 2017-09-03 Aldo Federico Morgavi Struttura di seduta multifunzione
WO2017149058A1 (en) * 2016-03-03 2017-09-08 Morgavi Aldo Federico Multifunctional sea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398B1 (ko)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JP6936369B2 (ja) 姿勢保持具
EP0268746B1 (en) Shell chair and tilt mechanism
US8919885B2 (en) Simple self-assembly chair for health
US10172464B2 (en) Chair
KR101132398B1 (ko) 능동형 시트 서포트
US9591927B2 (en) Standing seat
KR101948506B1 (ko) 인체공학적 구조의 착석용 시트
CA2960301C (en) Chair
CN113995264A (zh) 一种泡棉沙发
JP6923398B2 (ja) クッションおよび車椅子
US11484123B2 (en) Dynamic postural device
JP6905855B2 (ja) 着座具
JP2013123453A (ja) 椅子の身体支持構造物の曲率変更機構
JP4196744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445660Y1 (ko) 의자
CN216316679U (zh) 一种泡棉沙发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JP3245175U (ja) 椅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497164B1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20240008573A (ko) 의자용 좌판 쿠션
KR20230095275A (ko) 척추 케어용 의자 결합 시트
KR200473751Y1 (ko) 인체공학적 듀얼 히프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