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112A -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112A
KR20110074112A KR1020090130982A KR20090130982A KR20110074112A KR 20110074112 A KR20110074112 A KR 20110074112A KR 1020090130982 A KR1020090130982 A KR 1020090130982A KR 20090130982 A KR20090130982 A KR 20090130982A KR 20110074112 A KR20110074112 A KR 20110074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ydraulic
valve
hydraulic pump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458B1 (ko
Inventor
안현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58B1/ko
Priority to CN201010613496.1A priority patent/CN102108984B/zh
Publication of KR2011007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CFLUID-CIRCUIT ELEMENTS PREDOMINANTLY USED FOR COMPUTING OR CONTROL PURPOSES
    • F15C3/00Circuit elements having moving parts
    • F15C3/02Circuit elements having moving parts using spo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는 복수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압력을 복수의 유압펌프(10a)(10b) 각각에 마련된 레귤레이터(20a)(20b) 각각에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몸체(31); 상기 밸브 몸체(3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며 상기 레귤레이터(20a)(20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어 탱크(T)와 연결되는 제 3 배출포트(33c); 및 상기 밸브 몸체(31)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홈(35a)(35b)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스풀(35)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35a)(35b) 각각을 통해 상기 제 3 배출포트(33c)와 연결되고, 상기 스풀(35)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설기계, 아이들, 연비 개선, 밸브 개수, 제조원가, 소형화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VALVE FOR CONTROLLING HYDRAULIC PUMP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터 바이패스 라인의 압력과 파일럿 압력 중 어느 하나를 건설기계의 유압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압으로 선택하기 위한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는 주행이나 각종 작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는 엔진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량은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작업 부하에 따라 제어되며, 일 예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에 직결되어 구동되는 한 쌍의 유압펌프(1)는 각 레귤레이터(2)에 입력되는 신호압에 따라 사판각이 조절되어 토출유량이 조절된다. 상기 레귤레이터(2)에 입력되는 신호압은 복수의 컨트롤 밸브(3)를 통과한 센터 바이패스 라인(6)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센터 바이패스 라인(6)에는 릴리프 밸브(4) 와 오리피스(5)가 상호 병렬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압펌프 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조이스틱과 같은 조작부의 조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복수의 컨트롤 밸브(3)는 중립 상태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센터 바이패스 라인(6)을 통해 탱크(T)로 배출된다. 이때, 오리피스(5)에 의해 탱크(T)로 드레인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제한되어 센터 바이패스 라인(6)의 압력은 릴리프 밸브(4)의 릴리프 압력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승된 압력은 레귤레이터(2)로 입력되어 유압펌프(1)의 유량이 감소하도록 유압펌프(1)의 사판각이 조절된다.
반면, 조작부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컨트롤 밸브(3) 중 어느 하나가 변환되고, 이에 의해 센터 바이패스 라인(6)을 통해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레귤레이터(2)에 입력되는 신호압의 크기는 작아지고, 이에 의해 유압펌프(1)의 유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압펌프(1)의 사판각이 조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압펌프 제어장치에 의하면, 작업 장치나 주행 장치가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도 센터 바이패스 라인(6)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4)의 릴리프 압력에 도달될 수 있게 유압펌프(1)는 일정한 유량을 토출해야 한다. 즉, 복수의 컨트롤 밸브(3)가 모두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유압펌프(1)는 일정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동되어야 하고, 이는 엔진의 동력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유압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오리피스(5) 및 릴리프 밸브(4) 를 통해 드레인 탱크(T)로 드레인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엔진(E)의 동력의 손실이 더욱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작동유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작동유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각 액츄에이터의 구동 정밀도가 저하되고 고가의 유압 부품이 손상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건설기계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설기계가 아이들 상태에 있는 경우, 기어펌프의 파일럿 압력을 레귤레이터(2)에 전달되는 신호압으로 채택하고 센터 바이패스 라인(6)의 작동유를 탱크(T)로 배출하여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유압펌프 제어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 쌍이 센터 바이패스 라인(6) 각각을 탱크(T)로 배출시키기 위한 한 쌍의 단속밸브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센터 바이패스라인(6)과 상기 기어펌프의 파일럿 압력 중 어느 하나의 신호압을 선택하기 위한 셔틀밸브와 같은 한 쌍의 선택밸브도 필요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유압부품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전술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설기계의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추가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는 복수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압력을 복수의 유압펌프(10a)(10b) 각각에 마련된 레귤레이터(20a)(20b) 각각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밸브 몸체(31); 상기 밸브 몸체(3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며 상기 레귤레이터(20a)(20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어 탱크(T)와 연결되는 제 3 배출포트(33c); 및 상기 밸브 몸체(31)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홈(35a)(35b)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스풀(35)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35a)(35b) 각각을 통해 상기 제 3 배출포트(33c)와 연결되고, 상기 스풀(35)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는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며 기어펌프(12)의 파일럿 라인(13)과 연결되는 수압부(34); 및 상기 수압부(34)와 연통되게 상기 밸브 몸체(31)와 상기 스풀(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파일럿 통로(36)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펌프(12)의 파일럿 압력이 상기 수압부(34)에 인가되면, 상기 스풀(35)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압부(34)와 상기 제 1 배출포트(33a)가 연통되고, 상기 파일럿 통로(36)가 상기 제 2 배출포트(33b)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파일럿 통로(36)는 상기 스풀(35)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통로(36a); 및 상기 제 1 통로(36a)와 연통되게 상기 스풀(35)의 반경 반향으로 상기 스풀(35)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통로(36b)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로(36b)는 상기 제 1 및 제 2 홈(35a)(35b)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홈(35c)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풀이 제1위치에 있으면 제 1 및 제 2 유입포트를 하나의 제 3 배출포트에 연결하고 스풀이 제2위치에 있으면 제 1 및 제 2 유입포트 각각을 제 1 및 제 2 배출포트에 연결하도록 스풀에 제 1 및 제 2 홈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밸브 추가 없이도 한 쌍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을 탱크에 연결하거나 한 쌍의 레귤레이터에 각각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건설기계의 연비를 향상시키면서도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어펌프의 수압부와 상기 수압부와 연통되는 파일럿 통로를 형성하고 스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압부를 제 1 배출포트에 연통시키고 상기 파일럿 통로를 제 2 배출포트에 연통시킴으로써, 밸브의 추가 없이도 파일럿 압력을 레귤레이터에 전달할 수 있어 밸브수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파일럿 통로를 스풀의 내부에 형성하고 파일럿 통로와 연통되는 제 3 홈을 스풀에 형성함으로써,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가 적용된 유압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의 일측에는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과 파일럿 라인(13)이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탱크(T)와 제 1 및 제 2 레귤레이터(20a)(20b)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의 수압부(34)에는 상기 파일럿 라인(13)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가 도 2와 같은 상태로 변환되면(이하, '제2위치'라 한다),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압력이 레귤레이터(20a)(20b)에 전달된다. 반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가 도 2와 반대 상태로 변환되면(이하, '제1위치'라 한다),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은 탱크(T)와 연결되고, 상기 파일럿 라인(13)의 압력이 제 1 및 제 2 레귤레이터(20a)(20b)에 전달된다. 상기 파일럿 라인(13)은 방향절환밸브(15)에 의해 기어펌프(12)와 연결되거나 탱크(T)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방향절환밸브(15)의 수압부에는 밸브 신호라인(16)이 연결된다. 상기 밸브 신호라인(16)은 상기 복수의 컨트롤 밸브(11a)(11b) 중 주행 컨트롤 밸브(11a)의 변환에 따라 신호압이 가변하는 제 1 밸브 신호라인(16a)과, 상기 주행 컨트롤 밸브(11a) 이외의 컨트롤 밸브(11b)의 변환에 따라 신호압이 가변하는 제 2 밸브 신호라인(16b)과, 상기 제 1 밸브 신호라인(16a)과 제 2 밸브 신호라인(16b) 중 큰 압력을 선택하여 상기 방향절환밸브(15)의 수압부에 신호압으로 인가하는 제 3 밸브 신호라인(16c)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밸브 신호라인(16c)의 압력은 상기 복수의 컨트롤 밸브(11)의 변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복수의 컨트롤 밸브(11a)(11b)가 중립 상태(건설기계의 아이들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신호라인(16a)(16b)이 각 로직 밸브(17)를 통해 드레인 라인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 3 밸브 신호라인(16c)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에 의해, 방향절환밸브(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반대 방향으로 변환되어 기어펌프(12)의 파일럿 작동유를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에 전달한다. 이에 의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는 도 2와 반대 방향으로 절환되어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을 탱크(T)에 연결하고 파일럿 라인(13)의 압력을 제 1 및 제 2 레귤레이터(20a)(20b)에 전달한다.
반면, 상기 복수의 컨트롤 밸브(11a)(11b) 중 어느 하나가 중립 상태를 벗어 나 변환되면(건설기계의 작업상태), 상기 로직 밸브(17)는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 신호라인(16a)(16b)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3 밸브 신호라인(16c)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방향절환밸브(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변환되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의 파일럿 라인(13)을 탱크(T)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는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을 제 1 및 제 2 레귤레이터(20a)(20b)에 연결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는 건설기계가 아이들 상태이면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작동유를 탱크(T)로 드레인시키고 파일럿 라인(13)의 압력을 레귤레이터(20a)(20b)에 전달한다. 반면, 건설기계가 작업상태이면, 상기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는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을 레귤레이터(20a)(20b)에 연결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을 하는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는 밸브 몸체(31)와, 상기 밸브 몸체(3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와,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20a)(20b)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와,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어 탱크(T)와 연결되는 제 3 배출포트(33c)와, 상기 밸브 몸체(31)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35)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밸브 몸체(31)에는 상기 스풀(35)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수압부(34)가 마련되며, 상기 수압부(34)는 기어펌프(12)의 파일럿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파일럿 라인(13)과 연결된다.
상기 스풀(35)에는 제 1 내지 제 3 홈(35a)(35b)(35c)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파일럿 통로(36)가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 통로(36)는 상기 수압부(34)와 연통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3 홈(35c)과 연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일럿 통로(36)는 상기 스풀(35)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통로(36a)와, 상기 제 1 통로(36a)의 끝단을 상기 제 3 홈(35c)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풀(35)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통로(36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홈(35a)은 상기 스풀(35)에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35a)은 상기 제 1 유입포트(32a)를 제 1 배출포트(33a)에 연결시키거나 제 3 배출포트(33c)에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도 6a 참조)에 있으면, 상기 제 1 유입포트(32a)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35a)을 통해 제 3 배출포트(33c)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풀(35)이 제2위치(도 7a 참조)에 있으면, 상기 제 1 유입포트(32a)는, 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35a)을 통해 제 1 배출포트(33a)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홈(35b)은 상기 제 1 홈(35a)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스풀(35)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홈(35b)은 상기 제 2 유입포트(32b)를 상기 제 2 배출포트(33b)에 연결시키거나 제 3 배출포트(33c)에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도 6a 참조)에 있으면, 상기 제 2 유입포트(32b)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홈(35b)을 통해 제 3 배출포트(33c)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3 배출포트(33c)와 상기 제 2 홈(35b)은 밸브 몸체(31)에 형성된 연결통로(38)에 의해 연통된다. 한편, 상기 스풀(35)이 제2위치(도 7a 참조)에 있으면, 상기 제 2 유입포트(32b)는, 도 7b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홈(35b)을 통해 제 2 배출포트(33b)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홈(35c)은 상기 제 1 홈(35a)과 상기 제 2 홈(35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풀(35)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홈(35c)은 상기 파일럿 통로(36)를 제 2 배출포트(33b)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에 있으면, 파일럿 통로(36)를 통과한 파일럿 작동유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홈(35c)을 통해 제 2 배출포트(33b)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수압부(34)는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에 있으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출포트(33a)에 연결되어 상기 파일럿 작동유를 제 1 배출포트(33a)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스풀(35)은 제1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파일럿 라인(13)에 기어펌프(12)의 작동유가 공급되는 상태로서, 수압부(34)에 파일럿 작동유가 공급되어 스풀(35)을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유입포 트(32a)(32b) 각각은 스풀(35)의 제 1 및 제 2 홈(35a)(35b) 각각을 통해 제 3 배출포트(33c)와 연결된다. 즉, 한 쌍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이 하나의 제 3 배출포트(33c)를 통해 탱크(T)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작동유를 하나의 밸브를 통해 탱크(T)에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추가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건설기계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부(34)로 공급되는 파일럿 라인(13)의 파일럿 작동유는 수압부(34)를 거쳐 제 1 배출포트(33a)에 공급되고, 수압부(34)와 파일럿 통로(36) 및 제 3 홈(35c)을 거쳐 제 2 배출포트(33b)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압부(34)와 스풀(35) 내부에 파일럿 통로(36)를 형성하여 파일럿 작동유를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에 공급함으로써, 추가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30)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스풀(35)은 제2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라인(13)은 방향절환밸브(15)를 통해 탱크(T)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압부(34)에 파일럿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 스풀(35)은 스프링(37)에 의해 도 7c 및 도 7d와 같은 상태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b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스풀(35)의 제 1 및 제 2 홈(35a)(35b) 각각을 통해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 각각의 작동유를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각각을 통해 각 레귤레이터(20a)(20b)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가 적용된 건설기계의 유압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된 스풀이 제1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도 4에 도시된 스풀이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a, 10b; 제 1 및 제 2 유압펌프 12; 기어펌프
13; 파일럿 라인 14a, 14b; 센터 바이패스 라인
30;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31; 밸브 몸체
32a, 32b; 제 1 및 제 2 유입포트 33a, 33b, 33c; 제 1 내지 제 3 배출포트
34; 수압부 35; 스풀
35a, 35b, 35c; 제 1 내지 제 3 홈 36; 파일럿 통로
36a; 제 1 통로 36b; 제 2 통로

Claims (4)

  1. 복수의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의 압력을 복수의 유압펌프(10a)(10b) 각각에 마련된 레귤레이터(20a)(20b) 각각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로서
    밸브 몸체(31);
    상기 밸브 몸체(3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센터 바이패스 라인(14a)(14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며 상기 레귤레이터(20a)(20b)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어 탱크(T)와 연결되는 제 3 배출포트(33c); 및
    상기 밸브 몸체(31)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및 제 2 홈(35a)(35b)이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스풀(35)을 포함하며,
    상기 스풀(35)이 제1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35a)(35b) 각각을 통해 상기 제 3 배출포트(33c)와 연결되고, 상기 스풀(35)이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입포트(32a)(32b)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포트(33a)(33b)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31)에 마련되며 기어펌프(12)의 파일럿 라인(13)과 연결되는 수압부(34); 및
    상기 수압부(34)와 연통되게 상기 밸브 몸체(31)와 상기 스풀(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파일럿 통로(36)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펌프(12)의 파일럿 압력이 상기 수압부(34)에 인가되면, 상기 스풀(35)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압부(34)와 상기 제 1 배출포트(33a)가 연통되고, 상기 파일럿 통로(36)가 상기 제 2 배출포트(33b)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통로(36)는,
    상기 스풀(35)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통로(36a); 및
    상기 제 1 통로(36a)와 연통되게 상기 스풀(35)의 반경 반향으로 상기 스풀(35)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통로(3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36b)는 상기 제 1 및 제 2 홈(35a)(35b)의 사이에 형성된 제 3 홈(35c)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KR1020090130982A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KR10165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82A KR101655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CN201010613496.1A CN102108984B (zh) 2009-12-24 2010-12-24 工程机械的液压泵控制用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82A KR101655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112A true KR20110074112A (ko) 2011-06-30
KR101655458B1 KR101655458B1 (ko) 2016-09-07

Family

ID=4417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982A KR101655458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5458B1 (ko)
CN (1) CN102108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2932B (zh) * 2013-08-05 2015-10-14 四川省宜宾普什驱动有限责任公司 一种均压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35B1 (en) * 1990-12-18 1997-02-26 Teijin Seiki Co Ltd Counter balance valve
KR0167621B1 (ko) * 1992-04-27 1999-03-30 존 더블유. 헤지스 가변 저주파수 유압유체 오실레이터
KR100780897B1 (ko) * 2006-09-28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압력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1395C (sv) * 1983-11-09 1988-11-08 Hydrino Ab Anordning foer pilotoljefoersoerjning foer en servoventil
CN1311168C (zh) * 2001-12-31 2007-04-18 中国水利水电第四工程局 液压蓄能吊罐卸料系统启闭自动控制方法
CN1558119A (zh) * 2004-02-09 2004-12-29 于步胜 一种组合阀
DE102004012362A1 (de) * 2004-03-13 2005-09-22 Deere & Company, Moline Hydraulische Anordnung
CN201166020Y (zh) * 2008-03-05 2008-12-17 赵铁栓 液压恒速切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35B1 (en) * 1990-12-18 1997-02-26 Teijin Seiki Co Ltd Counter balance valve
KR0167621B1 (ko) * 1992-04-27 1999-03-30 존 더블유. 헤지스 가변 저주파수 유압유체 오실레이터
KR100780897B1 (ko) * 2006-09-28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압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8984A (zh) 2011-06-29
KR101655458B1 (ko) 2016-09-07
CN102108984B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1115B1 (en) Hydraulic pump controller for construction machine
US9103355B2 (en) Flow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7587548B (zh) 施工机械的液压回路
CN109563854B (zh) 阀装置和配备该阀装置的流体压力系统
CN107044551B (zh) 换向阀和液压系统
US10969026B2 (en) Valve device
US8562307B2 (en) Pump equipment
KR102026550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CN113544390A (zh) 流量控制阀
KR101655458B1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용 밸브
JP6822930B2 (ja) 流量制御弁
US20230375096A1 (en) Multi-control valve
GB2554244A (en) Flow control valve
JP2000266009A (ja)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US11339884B2 (en) Valve device
KR20180110804A (ko) 포크 작동 유압장치
KR20200109242A (ko) 제어 밸브 및 건설 기계용 유압 시스템
US20180298922A1 (en) Valve device
JP6453820B2 (ja) 建設機械用方向制御弁グループ
US20180283410A1 (en) Fluid pressure control circuit and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20210207622A1 (en) Flow control valve and hydraulic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3686440B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KR20100073496A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유량제어장치
CN117916503A (zh) 阀装置
KR101281251B1 (ko) 굴삭기의 펌프 컨트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