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081A -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081A
KR20110074081A KR1020090130944A KR20090130944A KR20110074081A KR 20110074081 A KR20110074081 A KR 20110074081A KR 1020090130944 A KR1020090130944 A KR 1020090130944A KR 20090130944 A KR20090130944 A KR 20090130944A KR 20110074081 A KR20110074081 A KR 2011007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water
skin ca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3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081A/ko
Publication of KR2011007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시 공기와 접촉하면서 서서히 굳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 0.1∼25중량%,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0∼40중량%,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20중량%, 가소제 1∼10중량%, 유화제 1∼10중량%, 첨가제 0.1∼10중량%, 및 용제 10∼7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로서, 피부 도포시 두께가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막을 형성하여 이물감이 거의 없고, 주성분인 활성 성분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외부의 마찰 및 자극에 대응하여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미, 주근깨, 여드름, 피부질환, 피부미용, 막형성, 막

Description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ISEASE OR SKIN CAR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시 공기와 접촉하면서 신속히 굳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 0.1∼25중량%,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0∼40중량%,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20중량%, 가소제 1∼10중량%, 유화제 1∼10중량%, 첨가제 0.1∼10중량%, 및 용제 10∼7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로서, 피부 도포시 두께가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막을 형성하여 이물감이 거의 없고, 주성분인 활성 성분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외부의 마찰 및 자극에 대응하여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미와 주근깨는 색소성 병변이라고 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지역과 인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한 사람에서도 부위에 따라 그리고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사람의 피부색은 외적 혹은 내적인 많은 요소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중 중요한 것으로는 피부색을 나타내는 멜라닌 과립을 만드는 세포 즉, 멜라닌 형성세포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와 반사도 및 외부에서 섭취하는 여러 색소의 유무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닌 색소는 효소에 의해 여러 화학 반응을 거쳐 형성되는데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호르몬,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을 들 수가 있다.
기미는 안면 주로 뺨과 이마에 양측성으로 경계가 명확한 담갈색 내지 흑갈색의 색소 침참을 나타내는 비교적 흔한 피부 색소성 질환으로서 주로 30-40대의 중년여성에서 호발하며 재발의 경향이 있고 계절적으로는 일광노출이 심한 봄과 여름에 악화된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표피의 과색소증과 진피의 멜라닌 탐식 세포를 볼 수 있고 기저세포의 공포성 변성과 기저막 하부의 부분적인 변성도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임약제에 의해 생길 수 있다. 피임제 속에 포함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은 피부색소 형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를 자극하고, 황체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은 이들 피부색소를 주위로 뿌려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불규칙적인 반점을 형성한다. 임신한 여성에서 이런 이유로 기미가 흔하게 나타난다.
둘째, 햇빛에 다량 노출되었을 때 생긴 염증 반응이 치유되면서 색소 침착의 반흔을 남긴다. 요사이 검게 그을린 피부가 멋있어 보인다는 생각에 썬텐을 하는 여성이 늘어 썬텐에 의한 기미가 생길 수도 있다. 또 피부는 건강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내부 장기를 비춰주는 거울이다. 간이 나빠 신진대사가 잘 안 되는 사람에게는 피부의 색소 침착이 왕성해지고 변비가 심할 때도 피부에 변조 반응이 생긴다. 간반이라고 불리는 이유도 기미가 신진대사 활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증 명해 준다.
셋째, 기미 발생의 주범으로 증명된 것이 스트레스다. 인간의 삶속에는 각종 정신적 외상이 항상 발생하고 있으며 이 스트레스라고 불리는 정신적 외상이 체내 리듬을 깨뜨려 놓는다.
이러한 기미를 완전히 치료하여 원상태로 완전히 되돌린다는 것은 아직까지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통상적인 치료방법은 가능한 한 햇빛 노출을 삼가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을 취하는 한편, 증상을 개선하는 별도의 약제를 환부에 도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비타민C와 E, 멜라닌 색소 형성과정에서 타이로시나제라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 시켜 필요이상의 멜라닌 형성을 억제시키는 글루타치온제를 투여한다. 국소적으로는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광차단제의 사용과 일시적인 표백효과가 있는 2-4% 하이드로퀴논 연고의 사용이 효과가 있으나, 이때 불규칙한 색소 탈실로 인한 백반증과 과민성으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이 유발될 수 있다. 최근에는 화학약품으로 피부를 얇게 벗겨내는 요법(Chemical peeling) 및 바이탈이온트의 도입으로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
주근깨란 깨알 같은 반점이 얼굴, 목, 어깨 및 일광노출부위에 무수히 생겨나 있는 증상을 말하며 기미만큼 피부 미용을 해친다. 동양인보다는 백인에게 많으며 유아기 때 생겨나는 것이 아니고 7세 이후에 그 증상이 현저해 진다. 이 깨알 같은 반점은 누렇거나 갈색 또는 흑색으로 일광 노출에 예민해 봄, 여름철에 심하게 나타났다가 겨울철에는 거의 없어지기도 한다. 10-20대 여성에게 현저하게 나타나는 이 질환은 선천적으로 결정되어 태어나는 유전소인이 깊이 관여한다. 이 질환은 기미와 달리 조직학적으로 색소형성 세포의 수에는 별로 관계가 없이 그 기능이 일광에 노출되었을 때만 과도히 항진되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주근깨는 과거에는 만족할 만한 치료방법이 없었으나 최근에는 앤디야그레이저를 비롯한 루비 레이저, 피엘디엘 등의 레이저 수술요법이 적은 재발율을 나타내며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고 화학적 박피술 등도 꾸준히 시술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햇볕 노출을 삼가하고 일광차단지수 15이상의 일광차단제를 발라 예방하며 위의 수술적 치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일광 차단제를 도포함으로써 수술 후 색소침착과 병변의 재발을 최대한 예방해야 한다.
여드름은 털 피지선 샘 단위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면포(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 구진(1 cm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병변),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 등 다양한 피부 변화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후유증으로 오목한 흉터 또는 확대된 흉터를 남기기도 한다. 피지선이 모여있는 얼굴, 목, 가슴 등에 많이 발생하며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있는 피지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부터 시작하여 남자는 15세와 19세 사이에, 여자는 14세와 16세 사이에 흔하게 발생한다. 이 중 약 80%정도에서는 20세 중반까지 없어지나 때때로 30∼40세 이후까지도 지속되는 수가 있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한 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즉, 사춘기에 남성호르몬의 과잉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가 이각화증(불완전하고 미숙한 각질화를 보이는 비정상적 각질화)을 일으켜 모낭이 막혀서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comedone,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가 형성된다. 모낭 내에 상주하는 균 중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는 지방분해 효소를 분비하여 이 효소가 피지 중의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고 모낭을 자극한다. 또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이 여드름의 염증 반응에 기여한다. 면포가 오래 되면 주위에 염증이 생기는데 염증의 정도에 따라 붉은 여드름(구진성), 곪는 여드름(화농성), 결절, 낭종 등이 형성되며 이 중 어느 한 형태가 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경우 여러 형태의 발진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드름 발생에 가족력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의 정확한 유전 양식은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다. 화장품의 여러 성분도 여드름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은 잘 알려진 바다. 또한 포마드 중에 포함된 유성물질이나 과도한 세제, 비누의 사용도 여드름의 악화 원인이 될 수 있다.
여드름 치료는 크게 바르는 약, 먹는 약, 외과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바르는 약은 여드름 균에 대한 직접적인 살균 효과를 지니며,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주는 국소도포 항생제(클린다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비타민 A를 변형시켜 만든 약제들이다. 각질을 벗겨내 피지 배출이 잘 되도록 하는 작용이 있는 피부재생 연고(트레티노인, 아답팔렌), 강력한 항균제제로 세균집단을 줄이고 약간의 항염증과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여드름 연고(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먹는 약은 크게 두 가지로 여드름 균을 살균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 는 항생제와 흔히 로아큐탄으로 알려진 약제로 비타민 A를 변형시켜서 만든 레티노이드가 있다. 레티노이드는 피지 분비를 줄여주는 작용이 있어 피지 조절제로 잘 알려져 있으나 이 약제는 피지 조절뿐만 아니라 그 외 여드름 발생 원인인 이상각화(불완전하고 미숙한 각질화를 보이는 비정상적 각질화), 염증반응, 세균증식 등의 여드름 발생의 모든 경로를 차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임신 시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약물 투여 시작 1개월 전부터 투여 중지 1개월 후까지는 피임이 필요하다.
외과적인 치료로 증상 부위에 대한 주사요법, 여드름 압출치료, 박피술 등이 있다. 크게 곪은 여드름은 보기에도 흉하지만 흉터로 남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주사요법으로 치료하여 흉터 발생을 줄여준다. 여드름이 심해 피부가 딱딱해졌을 때는 그 부위에 묽게 만든 트리암시놀론을 직접 주입하여 여드름이 빨리 없어지도록 하고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한다. 부작용으로 피부가 위축될 수도 있으나 6∼12개월 지나면 회복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여드름을 무리하게 짜면 치료가 끝난 후 흉터를 남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염증에 의해 약해진 기름샘 벽을 무리하게 짜서 파괴시키므로 염증이 더 크게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피부과에서 시행하는 압출치료는 모공 입구를 깨끗이 세안한 후 뜨거운 수증기로 모공을 넓히고 특수한 기구로 여드름을 짜게 되므로 이런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
여드름이 넓게 퍼져 있는 경우에 화학 박피술을 시술하면 각질이 벗겨지면서 막혀있던 모공이 일시에 열리며 염증이 가라앉게 되고 다른 바르는 약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켜 약제의 효능을 높여준다. 또한 빛에 반응하는 물질인 광 과민제를 피 부에 바른 후 피지선과 모공에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특정 파장의 레이저나 빛을 쏘여 활성화시켜 피지선과 모공 속의 여드름 균을 파괴시키고 피부 표면의 각질층을 탈락시켜 모공을 막고 있던 각질을 제거시키는 광역동 치료(PDT: Photo Dynamic Therapy)가 있다. 이 외 폴라리스, 씨너지, 브이빔, 아라미스 등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여드름을 치료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미, 주근깨 및 여드름은 피부 미용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서, 일단 발생하면 완전한 치유가 어렵고 치료하는 기간도 비교적 장기를 요하므로 피부에 지나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상기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피부 미용을 해치는 기미, 주근깨 및 여드름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약물 도포가 손쉬우면서도 피부에 도포시 공기와 접촉하여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도포시 공기와 접촉하면서 신속히 굳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 0.1∼25중량%,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0∼40중량%,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20중량%, 가소제 1∼10중량%, 유화제 1∼10중량%, 첨가제 0.1∼10중량%, 및 용제 10∼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 두께가 상대적으로 매우 얇은 막을 형성하여 이물감이 거의 없고, 주성분인 활성 성분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외부의 마찰 및 자극에 대응하여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결과, 막을 형성하는 고분자 물질과 활성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신속히 막을 형성함을 확인하였으며, 1회 적용으로 약 72시간 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님도 확인하였다. 나아가, 활성 성분으로서 버섯류와 무우 등의 성분과 더덕, 쥐눈이콩, 감자, 닥나무, 우엉, 금은화, 육두구, 쌀겨 등의 천연물질 및 아젤레익산 등의 화학물질 등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천연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을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여 기미, 주근깨 및 여드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조성물은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 0.1∼20중량%,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40중량%,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20중량%, 가소제 1∼10중량%, 유화제 1∼10중량%, 첨가제 0.1∼10중 량%, 및 용제 10∼7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로서, 상술한 막 형성 고분자 물질과 활성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액제 형태로 제조되어 피부에 도포시 공기와 접촉하여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이물감 등을 고려할 때, 0.01∼1.0mm의 두께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이와 유사한 조성물들은 비교적 단기간만 존속하고 자연스럽게 피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회 적용으로 약 3일간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기미와 주근깨를 기선하는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햇빛을 받아 열이 발생하여 발생하는 철분의 철분의 결합과 흡수를 막기 위해 철분을 분해할 수 있는 성분이 필요하며, 또한, 철분이 피부쪽으로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드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드름 균을 살균하거나, 여드름으로 인한 염증을 제거할 수 있는 항염작용, 심할 경우, 여드름으로 인해 발생된 농을 제거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미, 주근깨를 개선하기 위해 햇빛을 받은 피부가 열을 받아 철분이 결합함으로 인해 검어지는 현상을 막고, 철분이 빨리 흡수되지 않도록 하면서 철분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인 버섯류와 무우 등의 성분과 여드름균에 대하여 항균, 항염 작용을 나타내고, 피지를 제거하며, 농을 제거할 수 있는 성분으로 더덕, 쥐눈이콩, 감자, 닥나무, 우엉, 금은화, 육두구, 쌀겨 등의 천연물질 및 아젤레익산 등의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천연물질 및 화학물질을 활성 성분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질환 부위에 막을 형성한 후, 이들 활성 성분들이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피부질환 부위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중 상기한 활성 성분의 함량은 막 형성액 기준으로 0.1∼25중량%, 바람직하게는 1∼15중량%이다. 그러나, 상기한 활성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활성 성분이 약제인 경우에는, 1회 투여량이 본 발명의 1투여 제제 단위 내에서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 범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중 막을 형성하면서 상술한 활성 성분을 담지하는 성분인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의 예들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알킬 올레핀산(alkyl olefinic acid), 알킬 올레핀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lkyl olefinic acid ester copolymer), 아미드/올레핀산(amide/olefinic acid), 아미드/올레핀산 공중합체(amide/olefinic acid copolymer),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 cellulose), 알킬셀룰로오스(alkyl cellulose), 카르복 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Carbopol®)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들은 알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약제학적 코팅 물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나, 본원발명에서는 피부에 도포시 피부 친화적이면서 활성 성분의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하는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4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이 10중량% 미만이면, 막을 형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형성액이 그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중 막을 형성하면서 상술한 활성 성분을 담지하는 성분인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의 예들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Polyethyleneglycol 600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acrylate copolymer),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석시네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succin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Polyvinyl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Cellulose acetate trimellit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쉘락(Shellac), 옥수수단백추출물(Zein) 및 키틴, 키틴산, 대두단백, 소맥단백, 한천, 카라기난, 펙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쌀 전 분등의 전분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들은 통상적으로 알약을 코팅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이나, 본원발명에서는 피부의 pH인 4.5∼6.5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외부의 마찰과 손실에 대응하여 막 내의 활성 성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과 막이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다.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이 1중량% 미만이면, 막을 형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을 초과하면, 필름형성액이 그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에는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한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소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Polyethylene glycol 1500), 솔비톨(D-Sorbitol solution)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중 상술한 가소제의 함량은 막 형성액 기준으로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내에서 활성 성분과 막 형성액과의 유화를 위해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화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스판 20®(Span 20®)),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스판 40®(Span 4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스판 60®(Span 60®)),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스판 80®(Span 8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트윈 20®(Tween 2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트윈 40®(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트윈60®(Tween 6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트윈 80®(Tween 80®))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상술한 유화제의 함량은 막 형성액 기준으로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pH조절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착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상술한 첨가제의 함량은 막 형성액 기준으로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용제의 휘발성 및 잔류시 초래할 수 있는 유기 용제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약제학적으로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물, 유기용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상술한 용제의 함량은 막 형성액 기준으로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20∼60중량%이다.
이하, 상기한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a) 에탄올, 정제수 등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에 수용성 고분자 및 상술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활성 성분을 투입하고, 상기 활성 성분의 용해도에 따라 유화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b) 별도의 용기에 비수용성 고분자 물질, 가소제 및 첨가제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점성이 있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막 형성액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막 형성액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유동성이 적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지 않고, 적용 부위에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막 형성액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약 1,000∼3,000 cps 정도가 적당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기미, 주근깨, 여드름 질환이 있는 피부에 도포시 피부의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철분 흡수 저해 및 항균, 항염 작용을 통해 피부 질환을 지속적으로 치유하고 개선할 수 있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둘째, 활성 성분의 막 용액에 대한 용해를 최적화하여 제조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 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필름형성액 I의 제조
에탄올, 정제수 등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해제에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과 상술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활성 성분을 투입하고, 활성 성분의 용해성에 따라 유화제와 안정화제인 피로아황산나트륨을 첨가한 후, 뭉치지 않도록 잘 저어주었다.
2) 필름형성액 II의 제조
별도의 용기에 카보폴 940과 정제수, 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탄올아민을 넣어서 완전 용해시켰다. 완전 용해 후 다시 에틸셀룰로오스와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3) 혼합
상기 필름형성액 II에 필름형성액 I의 용액을 천천히 넣으면서 혼합하였다. 혼합시 뭉치지 않고, 활성 성분이 잘 혼합되도록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4) 물성 평가
통상의 점도 측정 방법에 따라 완성된 필름형성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경우, 약 1,000∼3,000 cps 범위의 점도값을 나타내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10 및 비교실시예 조성물
원료명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더덕 추출물 3.0 - - - - - - - - - -
쥐눈이콩 추출물 - 3.0 - - - - - - - - -
감자 추출물 - - 3.0 - - - - - - - -
닥나무 추출물 - - 3.0 - - - - - - -
우엉 추출물 - - - - 3.0 - - - - - -
금은화 추출물 - - - - - 3.0 - - - - -
육두구 추출물 - - - - - - 3.0 - - - -
쌀겨 추출물 - - - - - - - 3.0 - - -
아젤레익산 - - - - - - - - 1.0 -
송이버섯 추출물 - - - - - - - - - 3.0 -
무우 추출물 - - - - - - - - - 2.0 -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Span 8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Tween 2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피로아황산나트륨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에틸셀룰로오스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카보폴 94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실험예 1> 기미, 주근깨, 여드름 개선 및 피지분비 감소 효과 시험
1. 천연물의 추출방법
건조생약재를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 100g에 메탄올(80%) 1000ml를 가하여 상온에서 4∼5일간 침적하여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고 다시 동결 건조하여 건조 엑기스의 최종 산물을 분말형태로 얻었다.
2. 시험방법
상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막 형성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1∼9 및 비교실시예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드름이 있는 10명의 환자에게 약 8주간 사용하게 하였고, 사용 후, 효과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점수의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 그렇다"로 설문에 표기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미, 주근깨를 보유하고 있는 8명의 환자에게 상기 실시예 10 및 비교실시예에 의한 조성물을 약 8주간 사용하게 하였고, 사용 후, 효과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점수의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 그렇다."로 설문에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10 및 비교실시예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 평가 결과
기미,주근깨 개선 색소 침착 개선 염증성 여드름 개선 면포성 여드름 개선 피지 분비 감소 피부 청결 정도 자극 유무
약1↔5강
실시예 1 - - 3.5 3.7 4.5 3.3 1
실시예 2 - - 3.8 3.9 4.5 3.4 1.5
실시예 3 - - 3.4 3.6 4.4 3.4 0.9
실시예 4 - 3.4 3.3 4.6 3.1 1.1
실시예 5 - - 4.5 4.6 3.4 3.2 1.7
실시예 6 - - 4.4 4.5 3.0 3.3 1.6
실시예 7 - - 4.5 4.4 3.1 3.3 1.2
실시예 8 - - 3.1 3.0 3.0 4.6 1.3
실시예 9 - - 4.6 4.5 4.2 3.1 2.0
실시예 10 4.2 4.4 - - - 3.0 1.6
비교실시예 1.6 1.4 1.4 1.2 1.6 1.5 0.8
상기 표 2에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4는 염증을 개선하는 효과보다는 피지분비 감소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실시예 5∼7은 피지분비 감소효과보다는 염증성, 면포성 여드름에 대한 항염 및 항균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8은 여드름에 대한 효과는 전체적으로 미흡했으나, 피부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켜주는 피부 세정효과를 보였다. 기미, 주근깨에 대한 효과는 실시예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가지 천연물을 합해서 사용할 경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막의 부착성 ( 손실율 )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한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막 형성액의 부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깨끗한 유리표면에 상기 막을 도포하였다. 약 20분후 막의 건조가 완료되면, 1차로 막 표면에 물을 흘려 보내면서 수분에 의한 막의 손실율을 측정하고, 2차로 솔을 이용하여 가볍게 문지르면서 마찰에 의한 막의 손실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기재하였다.
막형성액에 의해 형성된 막의 수분 및 마찰에 의한 손실율(%)
시료 수분에 의한 막의 손실율(%) 마찰에 의한 막의 손실율(%)
실시예 1회 0.708 1.723
2회 0.432 1.268
평균 0.570 1.496
상기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막의 수분에 의한 손실율은 1% 이하로, 부착성이 매우 좋은 것을 알 수 있고, 솔에 의해 가볍게 마찰을 가해도 2%를 초과하지 않아, 일상생활에서 막이 소실될 가능성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로서,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 0.1∼25중량%;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0∼40중량%;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 1∼20중량%;
    가소제 1∼10중량%;
    유화제 1∼10중량%;
    첨가제 0.1∼10중량%; 및
    용제 10∼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이 버섯류, 무우, 더덕, 쥐눈이콩, 감자, 닥나무, 우엉, 금은화, 육두구, 쌀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알킬 올레핀산(alkyl olefinic acid), 알킬 올레핀산 에스테르 공중합체(alkyl olefinic acid ester copolymer), 아미드/올레핀 산(amide/olefinic acid), 아미드/올레핀산 공중합체(amide/olefinic acid copolymer),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vinylpyrrolidone-vinylacetate copolymer),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 cellulose), 알킬셀룰로오스(alkyl cellulose),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Carbopol®)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용성 막 형성 고분자 물질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htha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Polyethyleneglycol 600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acrylate copolymer),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석시네이트(Hydroxypropylmethylcellulose succin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Polyvinyl acetate phthalat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Cellulose acetate trimellit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쉘락(Shellac), 옥수수단백추출물(Zein) 및 키틴, 키틴산, 대두단백, 소맥단백, 한천, 카라기난, 펙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쌀 전 분등의 전분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점도가 1,000∼3,000 cps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6.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에탄올, 정제수 등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에 수용성 고분자 및 피부질환 개선 및 피부미용 기능을 갖는 활성 성분을 투입하고, 상기 활성 성분의 용해도에 따라 유화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b) 별도의 용기에 비수용성 고분자 물질, 가소제 및 첨가제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130944A 2009-12-24 2009-12-24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4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44A KR20110074081A (ko) 2009-12-24 2009-12-24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44A KR20110074081A (ko) 2009-12-24 2009-12-24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081A true KR20110074081A (ko) 2011-06-30

Family

ID=4440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944A KR20110074081A (ko) 2009-12-24 2009-12-24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317B1 (ko) 2023-02-28 2023-11-30 이병수 자가 용융 습식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317B1 (ko) 2023-02-28 2023-11-30 이병수 자가 용융 습식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524B1 (ko) 멜라닌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서의 홍합 접착 단백질 제품의 용도
AU2002317053A1 (en) Dermal therapy using phosphate derivatives of electron transfer agents
WO2003011303A1 (en) Dermal therapy using phosphate derivatives of electron transfer agents
EA032439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ран
CN106074206A (zh) 一种护肤主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673044B1 (ko) 경피 투여용 국소 조성물
KR20120118064A (ko) 염증후 과다색소침착의 감소로 비코카서스인 모집단에서의 여드름 치료를 위한 아다팔렌과 벤조일 퍼옥사이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2071627B1 (ko)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22689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10236503A1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
JP2010502700A (ja) アクネを治療する医薬品、加齢および日焼けの症状を回復する医薬品、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KR20100128733A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400071B2 (en) Hest G-18-0 and benzoyl perox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7332078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TW201808261A (zh) 皮膚照護產品及其用途
CN118524828A (zh) 皮脂产生抑制/促进剂
EP1752132A2 (en) Skin cosmetic compositions
KR20110074081A (ko) 피부질환 개선 또는 피부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01575A (ja) オゾン溶存グリセリン溶液を含む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医薬品)等の外用剤
AU2015252207B2 (en) Treatment or prevention of seborrheic keratosis using artemisinin and derivatives thereof
CN113693966A (zh) 一种创新型美白亮采祛斑霜及其制备方法
EP2349192A1 (en) Depigmenting top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s
KR101661694B1 (ko) 히드로퀴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4085913A1 (en) Formulation comprising nicotinamide, zinc, copper and glutathione for treating acne rosacea
JP2024516652A (ja) 過酸化ベンゾイルおよびアゼライン酸を含む外用剤および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