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705A -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705A
KR20110073705A KR1020090130420A KR20090130420A KR20110073705A KR 20110073705 A KR20110073705 A KR 20110073705A KR 1020090130420 A KR1020090130420 A KR 1020090130420A KR 20090130420 A KR20090130420 A KR 20090130420A KR 20110073705 A KR20110073705 A KR 2011007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conomy
work machine
standard
current
standar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682B1 (ko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8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는 엔진(31)에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준연비 및 현재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 및 작업상태에 따라 상기 표준연비가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작업상태로부터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고, 상기 엔진(3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연비를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건설기계, 표준연비, 현재연비, 작업패턴 개선, 연비개선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FUEL CONSUMPTION RATE DISPLAY APPARATUS, FUEL CONSUMPTION RATE DISPLAY METHOD AND STANDARD FUEL RATE CALCUL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굴삭기나 휠로더 등과 같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설기계의 현 작업상태에서 최적 표준연비와 실제 현재연비를 함께 표시부에 출력하여 작업자가 현재 작업의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는 작업자의 조작 습관과 같은 작업패턴에 의해 연비에 많은 차이가 난다. 특히 건설기계는 작업을 장시간 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연료 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작업자마다 연료소비량의 차이가 크다.
이와 같이, 건설기계는 조작습관에 따라 연료 소비량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작업자가 효율적인 작업패턴으로 건설기계를 운용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연료 소모량은 물론 현재 작업 상태에서 최적의 연료 소모량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패턴을 변경시키는 것을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현재 작업의 효율성을 쉽게 파악하여 작업패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작업상태마다 정확한 최적의 표준연비를 산출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는 엔진(31)에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준연비 및 현재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 및 작업상태에 따라 상기 표준연비가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작업상태로부터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고, 상기 엔진(3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연비를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10)는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표준연비와 상기 현재연비 각각을 문자나 숫자로 상기 제1영역(11)과 제2영역(12) 각각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표준연비와 상기 현재연비를 시간에 대한 그래프로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표준연비에 따른 표준 연료소비량과 상기 현재연비에 따른 실제 연료소비량 및 상기 표준 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비량의 비를 산출하고, 상기 표준 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비량의 비를 백분율로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와, 상기 작업기(40)에 가해지는 작업기 부하하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와 상기 작업기(40)에 가해지는 부하하중을 기초로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40)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붐(41)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붐 자세감지센서(51)와, 상기 아암(42)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아암 자세감지센서(52)와, 상기 버켓(43)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버켓 자세감지센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엔진(31)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으로서, a) 상기 작업기(40)의 현재 작업상태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엔진(3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현재연비를 전송받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표준연비와 상기 전송받은 현재연비를 표시부(10)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작업기(40)의 상기 현재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의 조작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붐(41)과 상기 아암(42) 및 버켓(43)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상기 붐(41)과 상기 아암(42) 및 상기 버켓(43)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a3) 상기 버켓(43)의 부하하중을 입력받는 단계; 및 a4) 상기 a1) 내지 상기 a3)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엔진(31)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으로서, a)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 및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으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과 상기 작업기(40)의 자세 및 상기 조작신호로부터 상기 작업기(40)의 표준 구동 속도을 산출하는 단계; 및 d2) 상기 작업기(40)를 산출된 표준 구동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한 표준 연 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설기계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표준연비와 함께 현재연비를 실시간으로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현재 작업패턴의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자가 고효율 작업패턴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 결국, 건설기계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준연비와 현재연비가 표시부의 각각 다른 영역에 문자나 숫자로 표시됨으로써, 작업자가 표준연비와 현재연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준연비와 현재연비가 시간에 대한 그래프로 표시됨으로써, 현재는 물론 과거의 작업에 대한 효율성도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가 현재는 물론 과거 작업패턴에 대한 효율성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표준연비에 의한 표준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연비에 의한 현재 연료소비량을 백분율로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의 조작신호의 크기에 따라 표준연비를 설정하고, 현재 조작신호의 크기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함으로써, 표준연비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조작신호와, 작업기의 자세와, 상기 작업기에 가해지는 작업기 부하하중을 변수로 표준연비를 설정하고, 현재의 상기 변수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함으로써, 표준연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는 엔진(31)과 직결된 유압펌프(7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준연비 및 현재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 및 표준연비 및 현재연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펌프(70)에는 사판각을 조절하여 토출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사판각 조절부(71)가 마련되며, 상기 사판각 조절부(7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70)의 사판각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유압펌프(70)의 사판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사판각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70)의 토출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는 운전실 내의 계기판이나 별도의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연비를 표시하기 제1영역(11)과 현재연비를 출력하기 위한 제2영역(12)과, 일정 시간 동안 표준연비에 의한 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연비에 의한 연료소모량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하기 위한 제3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연비와 현재연비의 변동량을 시간에 대한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전송된 현재연비를 상기 표시부(10)로 출력함과 아울러 현재 작업상태에 따른 표준연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한다.
상기 엔진제어유닛(30)은 통상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불리는 것으로서, 엔진(31)에 연료분사량 등 다양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엔진제어유닛(30)은 실시간으로 현재 엔진(31)의 연료분사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표준연비를 현재 작업상태로부터 산출한다. 여기서, 표준연비라는 것은 엔진(31)에 공급되는 최적의 연료소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결국 유압펌프(70)가 엔진(31)에 가하는 부하에 큰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표준연비는 엔진(31)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수들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변수들을 현재 작업상태로 정의한다.
일 예로, 현재 작업상태는 가장 단순하게 조작부(2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작신호의 크기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조작부(21)의 조작신호의 크기가 크면, 유압펌프(70)의 토출유량이 커지고, 이러한 토출유량은 엔진(31)에 가해지는 부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조작부(21)의 조작신호의 크기에 따른 표준연비의 산출은 다양한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결정된 조작신호에 대한 표준연비는 도 4와 같은 테이블의 형태로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작업상태가 조작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조작부(2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도 4와 같은 테이블로부터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현재연비는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단위 시간당 현재 연료소비량으로서, 조작신호의 크기 뿐만 아니라 엔진(31)의 목표회전속도, 유압펌프(70)의 마력제어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표시부(10)에 출력된 표준연비와 현재연비에 많은 차이가 나는 경우, 작업자는 다이얼 게이지 등을 조절하여 엔진(31)의 목표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승압모드로 동작하는 유압펌프(70)를 표준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현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준연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신호의 크기 및 조작방향과 작업기(40)의 자세와,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현재 작업상태는 조작신호의 크기 및 조작방향과, 작업기(40)의 자세와,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변수들에 최적인 표준연비를 시험 등에 의해 산출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형태로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기 전에 작업기(40)이 표준구동속도를 먼저 산출한 후에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표준구동속도 또한 연비가 최적의 상태일 수 있는 구동속도를 시험에 의해 결정하게 되며, 이와 같은 표준구동속도는 작업속도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신호의 크기는 조작부(21)의 조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작업기(40)의 구동 속도를 결정하게 되고, 조작방향은 조작부(21)를 조작한 방향으로서 작업기(40)의 구동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조작신호의 크기가 동일 하더라도 유압펌프(70)의 마력제어모드 즉, 승압모드와 표준모드로 유압펌프(70)가 작동됨에 따라 유압펌프(70)의 토출유량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의해 엔진(31)에 가하는 부하가 달라져 연비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최적의 표준연비는 현재연비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표준연비는 조작신호의 크기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 및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이 함께 고려되어 산출되게 된다.
상기 작업기(40)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는 붐 자세감지센서(51)와 아암 자세감지센서(52)와 버켓 자세감지센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각 자세감지센서(51)(52)(53)가 각도센서인 경우,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의 각도로 특정된다. 이와 같이 작업기(40)의 자세는 각 액추에이터의 부하압력 및 필요유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엔진(31)에 가해지는 부하에 영향을 준다. 또한,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는 상기 조작신호의 크기 및 조작량과 연관되어 상기 작업기(40)에 공급되어야 할 유량 및 압력이 결정된다. 일 예로, 아암(42)이 펼쳐진 상태에서 붐(41)을 상승시키는 경우가 아암(42)이 접혀진 상태에서 붐(41)을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큰 동력이 필요하며, 유압펌프(70)가 엔진(31)에 가하는 부하가 커진다. 이에 의해 표준연비 또한 작업기(40)의 자세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한편, 상기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은 주로 버켓(43)에 적재된 부하하중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에 따라 작업기(40)를 구 동시키기 위한 동력이 달라지게 되어 표준연비가 다르게 산출되어야 한다. 일 예로, 작업기(40)에 적재된 하중이 클 경우, 작업기(40)를 구동시키는데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표준연비가 증가하게 된다.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은 각 작업기(40)의 액추에이터의 부하압력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작업기(40)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 등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의 연비표시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20)는 조작부(21)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된 테이블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한다. 그런 후에, 제어부(20)는 엔진제어유닛(30)을부터 현재연비를 전송받고, 산출된 표준연비와 전송된 현재연비를 표시부(10)에 출력한다. 이때, 작업기(40)의 현재 작업상태는 조작부(21)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제어부(20)는 설정된 시간에 의해, 또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의 표준연비를 적산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표준 연료소모량을 산출하고, 일정 시간 동안의 현재연비를 적산하여 일정시간동안의 현재 연료소모량을 산출한다. 그런 후에, 산출된 표준 연료소모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모량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부(1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표준연비와 현재연비 및 일정 시간 동안의 표준 연료소모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모량의 비가 표시부(10)로 출력되면, 작업자는 현재 또는 과거의 작업 패턴이 효율적인지 파악할 수 있고, 작업 패턴 중 어떠한 작업 패턴이 비효율적 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효율적인 작업패턴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결국, 건설기계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기(40)의 현재 작업상태는 조작부(21)의 조작신호와 작업기(40)의 자세 및 작업기(40)에 적재된 부하하중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어부(20)는 조작부(21)와 각 자세감지센서(51)(52)(53) 및 작업기 부하하중 감지센서(54) 각각으로부터 조작신호와 각 자세에 대한 정보 및 부하하중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이들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작신호와 작업기(40)의 자세에 대한 정보 및 작업기(40)의 부하하중에 대한 정보로부터 작업기(40)의 표준구동속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표준 구동 속도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준연비 산출방법은, 조작부(21)와 각 자세감지센서(51)(52)(53)와 작업기 부하하중 감지센서(54) 각각으로부터 조작신호와 자세감지정보와 부하하중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조작신호와 자세감지정보 및 부하하중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신호와 자세감지정보 및 부하하중정보에 대응하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 각각의 표준구동속도를 산출하고, 각각의 표준구동속도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도랑파기나 레벨링 모드 등 작업모드 별로 표준연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각 자세감지 센서(51)(52)(53)로부터 감지된 신호들로부터 어떠한 작업모드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모드에 대한 표준연비를 표시부(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에 연비 표시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에 연비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에 조작신호의 크기에 따른 표준연비가 설정된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에 조작신호와 작업기 자세 및 부하하중에 따른 표준연비가 설정된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 표시부 11; 제1영역
12; 제2영역 13; 제3영역
20; 제어부 21; 조작부
30; 엔진제어유닛 31; 엔진
40; 작업기 41; 붐
42; 아암 43; 버켓
51; 붐 자세감지센서 52; 아암 자세감지센서
53; 버켓 자세감지센서 54; 작업기 부하하중 감지센서
60; 메모리 70; 유압펌프
71; 사판각 조절부

Claims (12)

  1. 엔진(31)에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로서,
    표준연비 및 현재연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 및
    작업상태에 따라 상기 표준연비가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작업상태로부터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고, 상기 엔진(3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연비를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0)는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표준연비와 상기 현재연비 각각을 문자나 숫자로 상기 제1영역(11)과 제2영역(12) 각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표준연비와 상기 현재연비를 시간에 대한 그래프로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표준연비에 따른 표준 연료소비량과 상기 현재연비에 따른 실제 연료소비량 및 상기 표준 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비량의 비를 산출하고,
    상기 표준 연료소비량에 대한 현재 연료소비량의 비를 백분율로 상기 표시부(1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와, 상기 작업기(40)에 가해지는 작업기 부하하중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와 상기 작업기(40)에 가해지는 부하하중을 기초로 상기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40)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붐(41)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붐 자세감지센서(51)와, 상기 아암(42)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아암 자세감지센서(52)와, 상기 버켓(43)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버켓 자세감지센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
  8. 엔진(31)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으로서,
    a) 상기 작업기(40)의 현재 작업상태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엔진(31)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유닛(30)으로부터 현재연비를 전송받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표준연비와 상기 전송받은 현재연비를 표시부(10)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작업기(40)의 상기 현재 작업상태는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21)의 조작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40)는 붐(41)과 아암(42) 및 버켓(43)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붐(41)과 상기 아암(42) 및 버켓(43)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2)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상기 붐(41)과 상기 아암(42) 및 상기 버켓(43)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a3) 상기 버켓(43)의 부하하중을 입력받는 단계; 및
    a4) 상기 a1) 내지 상기 a3) 단계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건설기계의 연비표시방법.
  11. 엔진(31)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70)의 작동유에 의해 작업기(40)를 구동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으로서,
    a) 상기 작업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작업기(40)의 자세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조작신호와 상기 작업기(40)의 자세 및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으로부터 표준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
  12. 상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작업기(40)의 부하하중과 상기 작업기(40)의 자세 및 상기 조작신호로부터 상기 작업기(40)의 표준 구동 속도을 산출하는 단계; 및
    d2) 상기 작업기(40)를 산출된 표준 구동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한 표준 연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표준연비 산출방법.
KR1020090130420A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KR10162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420A KR101625682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420A KR101625682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705A true KR20110073705A (ko) 2011-06-30
KR101625682B1 KR101625682B1 (ko) 2016-05-31

Family

ID=4440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420A KR101625682B1 (ko) 2009-12-24 2009-12-24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8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358A (ko) * 2011-12-09 2013-06-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작업 부하에 따른 엔진회전 속도 및 펌프 파워의 설정 방법
KR20130087704A (ko) * 2012-01-30 2013-08-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연비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4069888A1 (ko) * 2012-10-30 2014-05-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운전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80793A (ko) * 2012-12-18 2014-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16024A1 (ko) * 2013-01-23 2014-07-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연비 표시 장치
KR20140127427A (ko) * 2013-04-24 2014-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실시간 연비 산출방법
KR20160036029A (ko) * 2013-03-27 2016-04-01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CN109937294A (zh) * 2016-08-02 2019-06-25 株式会社斗山 工业车辆作业指导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6872B2 (ja) * 2006-09-07 2013-07-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08197076A (ja) * 2007-02-09 2008-08-28 Masaji Sasaki 燃費表示の方法及び装置
JP5119938B2 (ja) * 2008-01-17 2013-0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費表示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358A (ko) * 2011-12-09 2013-06-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작업 부하에 따른 엔진회전 속도 및 펌프 파워의 설정 방법
US9446769B2 (en) 2012-01-30 2016-09-20 Doosan Infracore Co., Ltd. System for providing fuel efficiency informat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KR20130087704A (ko) * 2012-01-30 2013-08-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연비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3115520A1 (ko) 2012-01-30 2013-08-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연비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4069888A1 (ko) * 2012-10-30 2014-05-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운전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80793A (ko) * 2012-12-18 2014-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16024A1 (ko) * 2013-01-23 2014-07-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연비 표시 장치
KR20140095154A (ko) * 2013-01-23 2014-08-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연비 표시 장치
EP2949823A4 (en) * 2013-01-23 2016-10-05 Doosan Infracore Co Ltd DISPLAY DEVICE FOR FUEL SAVING
US10029630B2 (en) 2013-01-23 2018-07-24 Doosan Infracore Co., Ltd. Fuel economy display device
KR20160036029A (ko) * 2013-03-27 2016-04-01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CN104074229B (zh) * 2013-03-27 2017-04-19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KR20140127427A (ko) * 2013-04-24 2014-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실시간 연비 산출방법
KR101877579B1 (ko) * 2013-04-24 2018-07-13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실시간 연비 산출방법
CN109937294A (zh) * 2016-08-02 2019-06-25 株式会社斗山 工业车辆作业指导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682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3705A (ko) 건설기계의 연비표시장치와 연비표시방법 및 표준연비 산출방법
CN113073692B (zh) 挖土机以及挖土机用控制装置
KR101213528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CN109804121B (zh) 挖土机
US9739038B2 (en) Posture computing apparatus for work machine, work machine, and posture computation method for work machine
JP4705099B2 (ja) 作業機械
CN103890273B (zh) 建筑机械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8026715B (zh) 挖土机
CN105339679B (zh) 用于具有浮动功能的工程机械的液压回路以及用于控制浮动功能的方法
JP6401087B2 (ja) ショベル及びその制御方法
US10711436B2 (en) Work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device
CN107923154A (zh) 挖土机
EP3244069A1 (en) Construction apparatus
EP2615311A1 (en) Flow rate control devic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hydraulic pump for construction equipment
EP276524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land leveling work which uses an excavator
CN110832146A (zh) 挖土机
CN107949676A (zh) 工程机械的驱动控制装置
KR20190034648A (ko) 작업 기계
JP2018188957A (ja) ショベル
JP2016169571A (ja) ショベル
KR100433186B1 (ko) 굴삭기의 엔진과 펌프의 출력 자동 제어 시스템
EP3951071A1 (en) Construction equipment
JPH11229444A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その油圧制御方法
JPH11256622A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その油圧制御方法
JP2020143591A (ja) 油圧ポンプの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装置を備える建設機械、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