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625A -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 Google Patents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625A
KR20110073625A KR1020090130308A KR20090130308A KR20110073625A KR 20110073625 A KR20110073625 A KR 20110073625A KR 1020090130308 A KR1020090130308 A KR 1020090130308A KR 20090130308 A KR20090130308 A KR 20090130308A KR 20110073625 A KR20110073625 A KR 20110073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exhaust
flush
exhaust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준
손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손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손종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Priority to KR102009013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3625A/ko
Publication of KR2011007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에 화장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이동식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왔을 때부터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시작하고, 용변 도중과 용변을 마친 후까지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화장실의 출입구에 일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이동식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개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각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에 그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오염된 공기를 원천적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남자화장실. 여자화장실. 수세식변기. 배기장치. 배기팬. 개별배기팬. 감지센서. 개별감지센서.

Description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A Mobile Toilet}
본 발명은 통상의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각 수세식변기(양변기)에 환풍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에 화장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이동식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양변기)에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각 수세식변기(양변기)의 배기장치는 화장실의 출입구에 일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이동식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일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개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각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에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식화장실은,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시킨 후에 차량에서 내려 설치하도록 된 일반형 이동식 화장실과, 트레일러와 같은 이동용 차량에 화장실을 직접 설치하여서 된 트레일러탑재형 이동식 화장실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은 일반형 이동식 화장실과 트레일러탑재형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로서는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2-43202호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4-92240호 및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5-6949호가 알려져 있다.
도 1a는 본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등록특허 제10-514274호와 등록실용신안 제20-420794호로 선등록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1-1)을 보인 것이다.
트레일러(2)의 하측에 설치된 스트레이트형차축의 양측에는 바퀴(5)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트레일러(2)의 상측에는 구별된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로 형성된 화장실(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남자화장실(10-1)의 남자화장실출입구(12)와 여자화장실(10-2)의 여자화장실출입구(13)에는 접이식계단(1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b는 본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등록특허 제10-514522호로 선등록된 일반형 이동식화장실(1-2)을 보인 것으로서,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로 구분 형성되는 화장실(10)이 밑면 모서리에 설치된 받침판(7)을 갖는 받침지주(6)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받쳐져 설치되어 있고, 남자화장실(10-1)의 남자화장실출입구(12)와 여자화장실(10-2)의 여자화장실출입구(13)에는 접이식계단(1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1a에 예시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1-1)과 도 1b에 예시된 일반 형 이동식화장실(1-2)은, 화장실(10)의 하측에는 저장탱크(3)로서 상수를 저장하여 각 남녀 화장실의 수세식변기(30)와 세면대(20) 및 수세식소변기(21)에 공급하기 위한 상수저장탱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 및 세면대(20)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저장탱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화장실(10)의 지붕에는 천정형에어컨(14)과 채광창(15)이 설치되어 있으며,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의 내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메인배기팬(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a에 예시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1-1)과 도 1b에 예시된 일반형 이동식화장실(1-2)에서 화장실(10)의 내부 즉,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의 내부에는 도 2a 및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씩의 수세식변기(30)와 세면대(20) 및 수세식소변기(21)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종래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2-43202ㆍ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4-92240호ㆍ공개특허 공개번호 특제2005-6949호의 이동식 화장실과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1-1) 및 일반형 이동식화장실(1-2)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화장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 즉, 수세식변기(30)와 수세식소변기(21)를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기를 화장실의 내부로 공급시켜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수세식변기(30)와 수세식소변기(21)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실외)로 배출되지 못하여 화장실의 내부에 머무르게 되므로 화장실에서는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과 배면(후면)에 설치된 창문(8)을 열어주더라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고, 특히 악취를 많이 발생시키는 암모니아 가스는 공기보다 다소 무거워 바닥면에 깔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벽체의 중간이상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8)을 통해서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게 된다.
특히, 하절기에는 창문(8)을 개방시키더라도 열기에 의해 암모니아가 증발하면서 악취가 더욱 극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동절기에는 동파 및 실내공기의 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8)을 거의 개방시키지 않으므로 암모니아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악취가 극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에 화장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이동식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왔을 때부터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시작하고, 용변 도중과 용변을 마친 후까지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의 출입구에 일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이동식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개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각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에 그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오염된 공기를 원천적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에 화장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것과;
상기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 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은,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에 화장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이동식화장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여 왔을 때부터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시작하고, 용변 도중과 용변을 마친 후까지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수세식변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화장실의 출입구에 일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이동식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개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각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에 그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오염된 공기를 원천적으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a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와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및 요부 발췌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에서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도 도 1a에 예시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1-1)과 도 1b에 예시된 일반형 이동식화장실(1-2)과 같은 형태를 형성한다.
화장실(10)의 내부 즉, 남자화장실(10-1)에는 칸막이(25)와 출입문(26)이 설치된 여러 개씩의 각 화장실에 수세식변기(30)와 하나 이상의 세면대(20) 그리고 다수개의 수세식소변기(21)를 설치하였고, 여자화장실(10-2)의 내부에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5)와 출입문(26)이 설치된 여러 개씩의 각 화장실에 수세식변기(30)와 하나 이상의 세면대(20)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의 각 화장실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세식(30)에는 변기수조(34)에 배기장치(40)를 부가적으로 부설 한 배기장치형 수세식변기(A)를 설치하였다.
상기 배기장치형 수세식면기(A)에서 변기수조(34)에 부설(설치)되는 배기장치(4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일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덮개(37)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에 변기수조(34)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개폐덮개(37)의 개방시 변기수조(34) 내의 물을 변기본체(31)로 배출토록 하는 제 1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41)와 양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어댑터 본체(41)의 일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수직연결구(42)와 일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수평수직연결구(42)의 타단(상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는 변기수조(34)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변기본체(34)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2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수직연결구(43)와 상기 변기수조(35)의 외부에서 수직연결구(43)의 상단부와는 연결구(44)와 패킹(45) 및 너트(46)에 의해 연결되는 개별배기관(47)으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배기장치(40)는 본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등록특허 제10-776253호로 선등록된 맞춤형 변기어댑터를 전용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30)의 배기장치(40)는 각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관(47)을 집결관(48)에 연결하고, 집결관(48)은 상단에 메인배기팬(50)이 설치된 메인배기관(49)에 연결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상기 배기장치(40)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고자할 때에는, 각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관(47)이 연결된 집결관(48)을 상단에 메인배기팬(50)이 설치된 메인배기관(49)에 연결하고,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의 각 출입구에는 메인배기팬(50)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감지센서(60)를 각각 설치하였다.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각 출입구에 설치된 감지센서(60)에 사람이 감지되면 메인배기팬(50)이 작동하여 각 수세식변기(30)의 배기장치(40)에 의해 악취를 일괄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각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팬(51)과 메인배기팬(50)의 작동에 의해 각 각 수세식변기(30)의 배기장치(40)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상기 배기장치(4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고자할 때에는, 상기 개별배기관(47)에 개별배기팬(51)을 각각 설치하고, 각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관(47)이 연결된 집결관(48)을 상단에 메인배기팬(50)이 설치된 메인배기관(49)에 연결하며,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에 설치된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개별감지센서(62)를 각각 설치하고 그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팬(51)과 연결하였다.
상기 메인배기팬(50)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장실의 출입구에 설치된 개별감지센서(62)에 사람이 감지되면 그 화장실에 설치된 각 수세식변기(30)의 배기장치(40) 즉, 개별배기팬(51)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기장치(40)를 이동식화장실에 이미 설치된 내기배출구(55-2)와 연동 되게 연결하고, 메인배기팬(50)을 이동식화장실에 이미 설치된 기존의 배기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대치할 수 있다.
상기 기존의 배기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대치하는 메인배기팬(50)을 작동시킴으로써 외기는 외기도입구(55-1)를 통하여 실내(화장실의 내부)로 도입되고 내기배출부(55-2)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므로 화장실의 내부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메인배기팬(50)을 남자화장실(10-1)과 여자화장실(10-2) 용으로 각각 설치하여 작동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사용상태 즉, 각 수세식변기(30)의 배기장치(4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상기 배기장치(40)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람이 남자화장실출입구(12) 또는 여자화장실출입구(13)를 통하여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내부로 들어오면 일괄감지센서(60)(61)가 사람이 들어왔음을 감지하고, 감지센서(60)가 사람을 감지되면 메인배기팬(50)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메인배기팬(50)이 내기배출구(55)와 연결되어 있으면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배기팬(50)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와 변기커버(3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림(33)에 앉아 수세식변기(30)를 사용ks다
상기와 같이 수세식변기(3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메인배기팬(50)은 지속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므로 각 배기장치형수세식변기(A)에서 변기본체(31)의 내부 공기(악취)는 통수부(32)와 수평수직연결구(42) 및 수직연결구(44)를 거쳐 개별배기관(47)을 통해 변기본체(31)의 외부로 흡입하게 되고, 개별배기관(47)로 흡입되는 악취는 집결관(48)과 메인배기관(49)을 통해 메인배기팬(5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사용자가 수세식변기(30)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배수레버(35)를 작동시키면 연결부재(36)와 연결된 덮개커버(37)가 들려지면서 변기수조(34)에 충진된 물이 통수부(32)를 통해 배출되고, 변기본체(31)의 내부에 있는 악취는 통수부(32)ㆍ수평수직연결구(42)ㆍ수직연결구(44)를 거쳐 개별배기관(47) 및 집결관(48)과 메인배기관(49)을 통해 메인배기팬(5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배기장치평수세식변기(A)를 사용한 후에 사용한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메인배기팬(50)은 계속 작동하게 되고, 남자화장실출입구(12) 또는 여자화장실출입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나갈 때에 일괄감지센서(60)(61)가 다시 이를 감지하여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외부로 나가면 메인배기팬(5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상기 배기장치(4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메인배기팬(50)이 작동하여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사람이 남자화장실출입구(12) 또는 여자화장실출입구(13)를 통하여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의 내부로 들어간다.
남자화장실(10-1) 또는 여자화장실(10-2)에 들어온 사람이 불특정한 화장실의 물을 열고 화장실로 들어오면 그 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된 개별감지센서(62)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화장실의 개별감지센서(62)가 사람을 감지하게 되면 그 배기장치형수세식변기(A)에 설치된 배기장치(40)의 개별배기팬(51)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별배기팬(51)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와 변기커버(3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림(33)에 앉아 수세식변기(30)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수세식변기(30)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별배기팬(51)이 지속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므로 변기본체(31)의 내부 공기(악취)는 통수부(32)와 수평수직연결구(42) 및 수직연결구(44)를 거쳐 개별배기관(47)을 통해 변기본체(31)의 외부로 흡입하게 되고, 개별배기관(47)로 흡입되는 악취는 집결관(48)과 메인배기관(49)을 통해 메인배기팬(5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사용자가 수세식변기(30)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배수레버(35)를 작동시키면 연결부재(36)와 연결된 덮개커버(37)가 들려지면서 변기수조(34)에 충진된 물 이 통수부(32)를 통해 배출되고, 변기본체(31)의 내부에 있는 악취는 통수부(32)ㆍ수평수직연결구(42)ㆍ수직연결구(44)를 거쳐 개별배기관(47) 및 집결관(48)과 메인배기관(49)을 통해 메인배기팬(50)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배기장치평수세식변기(A)를 사용한 후에 사용한 화장실을 나가게 되면 그 화장실의 개별감지센서(62)가 다시 이를 감지하여 그 배기장치평수세식변기(A)의 배기장치(50)에 설치된 개별배기팬(51)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기장치(40)를 이동식화장실에 이미 설치된 내기배출구(55-2)와 연동 되게 연결한 상태에서 기존에 이미 설치된 기존배기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대치하여 설치되는 메인배기팬(50)을 작동시키게 되면, 각 수세식변기(30)의 악취를 배기장치(40)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남자화장실(10-1) 및 여자화장실(10-2))의 내부에는 외기가 외기도입구(55-1)를 통하여 실내(화장실의 내부)로 도입되고, 화장실(남자화장실(10-1) 및 여자화장실(10-2))의 내부에 있던 오염된 실내공기는 내기배출부(55-2)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므로 화장실(남자화장실(10-1) 및 여자화장실(10-2))의 내부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통상의 트레일러 탑재형 이동식화장실 및 일반형 이동식화장실을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을 보인 평면도 및 요부 발췌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및 요부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배기장치에서 수세식변기에 배기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 1-2: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10: 화장실 10-1: 남자화장실 10-2: 여자화장실
20: 세면대 21: 수세식소변기 25: 칸막이
30: 수세식변기 40: 배기장치 50: 메인배기팬
51: 개별배기팬 60. 61: 감지센서 62: 개별감지센서

Claims (6)

  1. 화장실을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화장실을 트레일러에 일체로 설치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 상기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의 내부공기를 내기배출부와 내기배출관 및 배기팬에 의해 배출시키도록 된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화장실의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는 배기장치를 각각 설치한 것과;
    상기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화장실의 수세식변기에 설치되는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는 배기장치의 일괄작동장치는;
    이동식화장실의 출입구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이동식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내기배출부가 설치되는 내기배출관을 메인배기관에 연결한 것과;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의 개별배기관은 집결관을 통해 메인배기관에 연결한 것과;
    상기 메인배기관의 상단에 메인배기팬을 설치하여, 상기 배기팬에 의해 배기장치가 설치된 각 수세식변기의 냄새와 오염된 공기를 일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3. 화장실을 트럭에 탑재하여 운반하도록 하는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화장실을 트레일러에 일체로 설치한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 상기 일반형 이동식화장실 또는 트레일러형 이동식화장실의 내부공기를 내기배출부와 매기배출관 및 배기팬에 의해 배출시키도록 된 이동식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화장실의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각 수세식변기에는 배기장치를 각각 설치한 것과;
    상기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화장실의 수세식변기에 설치되는 배기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배기장치의 개별작동장치는;
    각 화장실의 출입구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각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왔을 때에 그 화장실의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를 작동시키는 것과;
    내기배출부가 설치되는 내기배출관을 메인배기관에 연결한 것과;
    각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의 개별배기관은 집결관을 통해 메인배기관에 연결한 것과;
    상기 각 배기장치의 개별배기관에 개별배기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에서 어느 한 항 있어서, 각 화장실의 수세식변기에 설치되는 배기장치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는 일괄작동장치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는 배기장치의 개별작동장치는;
    상기 배기장치를 화장실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구와 연통되게 연결한 것과;
    메인배기팬은 화장실에 설치된 기존배기팬인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세식변기의 배기장치는;
    일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에 변기수조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시 변기수조 내의 물을 변기본체로 배출토록 하는 제 1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
    양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어댑터 본체의 일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수직연결구;
    일단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단은 상기 수평수직연결구의 타단(상단)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 일측에는 변기수조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변기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2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수직연결구;
    상기 변기수조의 외부에서 수직연결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개별배기관;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KR1020090130308A 2009-12-24 2009-12-24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KR20110073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08A KR20110073625A (ko) 2009-12-24 2009-12-24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08A KR20110073625A (ko) 2009-12-24 2009-12-24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625A true KR20110073625A (ko) 2011-06-30

Family

ID=4440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308A KR20110073625A (ko) 2009-12-24 2009-12-24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6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135A (zh) * 2019-08-28 2019-11-01 陕西优立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车载式移动卫生间
KR102089102B1 (ko) 2019-04-02 2020-03-13 진춘권 이동식 화장실의 좌변기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102B1 (ko) 2019-04-02 2020-03-13 진춘권 이동식 화장실의 좌변기 개폐장치
CN110397135A (zh) * 2019-08-28 2019-11-01 陕西优立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车载式移动卫生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EP2089584B1 (en) Toilet with suction system
US2009005600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US20170009440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WO2013126992A1 (en) Toilet odor removal system
US8984676B2 (en) Toilet with an odor eliminating function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110073625A (ko) 변기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이동식화장실
CN202597800U (zh) 防臭防虫排水阀
US20020112279A1 (en) Odour extraction system for a toilet, urinal, bidet, and the like
KR20140100760A (ko) 공기 처리 장치
JPH11515065A (ja) ポータブルトイレットボウルの換気装置
CN102912839B (zh) 一种排臭马桶
JP2012127173A (ja) 男子トイレ臭気一括換気装置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KR200464462Y1 (ko) 악취 배출 양변기
KR101951603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냄새배출시스템
CN210917626U (zh) 一种防臭马桶
CN112343143A (zh) 一种排臭蹲便器
CN209760382U (zh) 一种气动式脚踏感应水箱及共用冲洗管的感应排风系统
JPH08270042A (ja) 真空式トイレ装置
CN218616647U (zh) 一种高铁卫生间灰水收集单元模块
CN213836911U (zh) 一种排臭蹲便器
CN217759136U (zh) 一种室内净化抽水马桶
CN215802064U (zh) 卫生间防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