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463A - 모터-기어박스 유닛 - Google Patents

모터-기어박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463A
KR20110073463A KR1020117006561A KR20117006561A KR20110073463A KR 20110073463 A KR20110073463 A KR 20110073463A KR 1020117006561 A KR1020117006561 A KR 1020117006561A KR 20117006561 A KR20117006561 A KR 20117006561A KR 20110073463 A KR20110073463 A KR 2011007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pport
housing
gearbox uni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귄터 카스팅어
마리오 휘스게스
미케 오베르트
데틀레프 라우크
클라우스 리딩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7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or controlling, the machine,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6Pivotal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내의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모터 기어박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전기 모터(12)와 상기 전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박스(14) 및 하우징(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2)은 전기 모터(12) 및 기어박스(14)를 수용하는 셸 하우징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셸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셸 부분(3, 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기어박스 유닛{Motor-gearbox unit}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내의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모터-기어박스 유닛과 청구범위 제 18 항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실제로 사용되는,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하우징은 전기 모터의 폴 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 포트는 2체형 기어박스 하우징의 측면에 플랜지 결합된다. 공지된 하우징의 단점은 복잡한 조립과 개선이 필요한 강성이다.
또한, 2개의 대칭 하프 셸로 형성된 셸 하우징은 전기 모터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셸 하우징에서 지지, 위치설정 및 공차 보상과 같은 개별 기능들은 2개의 셸에 동일하게 분배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대안적으로 형성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터-기어박스 유닛은 바람직하게 비교적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고, 주문 요구 조건에 범용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응하게 최적화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을 구비한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모터-기어박스 유닛과 관련해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되고,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청구범위 제 18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범주에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또는 도면에 공개된 적어도 2개의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셸 하우징으로서 형성된 전기 모터용 공통 하우징 및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웜 기어장치으로 형성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기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셸 하우징으로서 형성된, 전기 모터용 공통 하우징과 기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장착이 훨씬 간단해지고 강성이 높아진다. 2개의 셸 부분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다. 2개의 셸 부분들이 서로 크림핑된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충분한 방습 보장을 위해 셸 부분들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플랫 밀봉부로서 형성된 링 밀봉부가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셸 부분들이 서로 대칭이 아니라 비대칭으로, 즉 동일하지 않게 형성되는 실시예까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셸 하우징에서 지지, 위치설정 및 공차 보상과 같은 하우징의 개별 기능들이 두 개의 셸 부분들에 상이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이것은, 셸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각각의 과제를 위해 최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 셸로 이용되는 제 2 하우징 부분이 특히 하우징 커버(상부 셸)로 이용되는 제 1 하우징 부분보다 큰 원주를 갖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 제 2 셸 부분은 기어장치 하우징의 1/2직경보다 높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셸 부분들이 금속으로 형성된다.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EMC(전자기적 호환성)을 개선하기 위해, 셸 부분들이 강자성 재료, 특히 강 박판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조 공차의 보상을 구현하기 위해, 특히 하우징 커버로서 이용되는 제 1 셸 부분이 바람직하게 하부 셸로서 이용되는 제 2 셸 부분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고 이로써 주어진 한계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 1 셸 부분은 실질적인 기능을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제 1 셸 부분은 그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셸 하우징 내에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의 확실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제조 공차의 공차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폴 포트로서 형성된 폴 하우징에 2개의 조정 박판들이 배치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고, 상기 조정 박판들은 폴 하우징의 표면에 측면으로 접촉하고, 그들 사이에 폴 하우징이 고정 배치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은 제 2 셸 부분과 선형 접촉하고, 이 경우 접촉 라인은 바람직하게 폴 하우징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폴 하우징과 제 1 하우징 부분 사이의 선형 접촉은, 폴 하우징이 특히 짧게 형성되고 응력 없이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형 지지에 의해, 지지부/폴 하우징-유닛(모터 유닛)이 선형 이동함으로써 프레임 모터와 셸 부분 사이의 약간의 길이 공차가 보상될 수 있다. 프레임 모터의 아마추어 샤프트의 공간 좌표는 선형 지지에 의해 제 2 셸부분과 관련해서 명확하게 측정된다.
특히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부는 전기 모터의 전기 및 기계 부품들을 수용하고 및/또는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프레임 모터"의 구현에 의해, 선행기술과는 달리 전기 모터의 전자기 및 기계 부품들은 지지부 내에서 예비 조정될 수 있고, 예비 조정 후에 셸 하우징 내에 지지부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선행기술과는 달리, 하우징에 통합되기 전에 전기 모터의 전자기 및 기계 부품들이 예비 조정됨으로써, 기능적인 전기 모터가 얻어지고, 상기 전기 모터에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최종 조립 전에 출력 검사가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지지부에는 특히 홈 및/또는 돌출부 및/또는 록킹 노즈 등으로 형성된,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 및/또는 전기 모터의 아마추어를 수용 및/또는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바람직하게 볼 베어링과 함께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본 브러시 스프링 레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 억제 초크 및/또는 특히 인서트로서 형성된, 전기 모터의 전압 공급용 접속 콘택 및/또는 아마추어용 축방향 고정부로서 클램핑 브래킷을 지지하고 및/또는 수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이란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고 웨브에 의해 제한되며 지지부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다수의 중공실들을 가진 골격 형태의 구조이다. 지지부가 축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연결 웨브와 서로 연결된 링 섹션들을 갖고, 상기 링 섹션들 중 제 1 링 섹션은 폴 하우징의 고정에 이용되고, 제 2 링 섹션은 간섭 억제 초크와 같은 다른 모터 부품들을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지지부의 강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공실은 특히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웨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의 단부측이 특히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폴 포트의 고정 후에 완전한 기능을 하는 전기 모터가 얻어지고, 상기 전기 모터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는 파워 전자장치에만 접속되어야 하고, 하우징 내에 통합되기 전에 테스트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 지지부에는 전기 모터의 아마추어 샤프틋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가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관통 개구는 아마추어 샤프트와 회전 모멘트 전달 방식으로 결합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샤프트에 의해 관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아마추어 샤프트의 단부측에 또는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와 결합된 샤프트의 단부측에 기어장치의 웜 휠을 구동하는 웜이 배치된다.
셸 부분들 사이에 지지부가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셸 부분이 공차 보상을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가 하우징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결 형태 지지면을 갖는다. 구결 형태 지지면이란, 구를 한 평면으로 자른 부분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지지면이다. 셸 부분들 사이에서 지지부의 피팅 방식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이 하우징의 내부에 큰 면으로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격 배치된 다수의 점들에, 즉 적어도 거의 점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레에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이 연장되는 중심점이 전기 모터의 아마추어 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놓이는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비용과 필요한 조립 공간의 감소를 위해 구결 형태 중심점이 아마추어 샤프트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지지부에 바람직하게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구결 형태 지지면들이 제공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면들은 공통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가상의) 중심점을 갖고, 상기 중심점들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특히 바람직하게 아마추어 샤프트 길이방향 중심축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상의 축에 놓인다. 바람직하게 지지면들은 그들의 각각의 중심점에 대해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하우징 내부에서 부하를 받는 경우 지지부의 비틀림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에 회전 방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에 연결된 부분과 특히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선행기술에 따른 와이퍼-모터 컨셉에서 2개의 기어장치 위치(좌측 기어장치 위치/우측 기어장치 위치)를 구현하기 위해, 좌, 우 실시예에 다수의 복잡한 개별 부분들, 예컨대 파워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기어장치 커버, 브러시 홀더 및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기어장치 하우징이 제조되어야 한다. 지지부가 180˚오프셋된 또는 아마추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된 하우징 내의 2개의 장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개선예에 의해, 복잡한 여러 개별 부분들의 제조가 생략될 수 있다. 지지부의 거울 대칭 배치 방법의 구현을 위해, 지지부가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의 아마추어 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수용하는 거울면에 대해 배칭으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2개의 상이한 장착 위치에서 전기 모터의 전압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2개의 장착 위치를 위한 별도의 접속 콘택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접속 콘택들(특히 콘택 탭)이 바람직하게 180˚서로 오프셋된, 지지부 상의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콘택은 지지부의 상응하는 리세스에 삽입되는 삽입부이다.
하우징 내에서 지지부의 최적의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의 제 1 및/또는 제 2 셸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압축 몰딩에 의해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구 내부면 섹션이 배치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부분구 내부면 섹션은 이것에 할당된,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합동이다.
지지부가 하우징에 넓은 면이 아닌, 적어도 거의 점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분 구 내부면 섹션의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디프드로잉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하우징 내부를 향해 돌출한, 바람직하게 부분 구 형태, 특히 반구 형태의 다수의 위치 설정 섹션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위치 설정 섹션들에 지지부가 지지된다. 위치 설정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이 위치 설정 섹션을 위한 외피(envelope)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 사항은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에 제시된다
도 1은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하우징의 2개의 셸 부분들의 내부에 전기 모터의 폴 하우징이 배치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제 2 하우징 부분만 도시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3은 출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 개구를 포함하며, 기어장치에 할당된 제 2 셸 부분의 섹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압축 몰딩에 의해 제조된 부분 구 내부면이 구현된, 완성 전에 내부에서 본 제 2 셸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지지부의 점 방식 지지를 구현하기 위해 부분 구 내부면 내에 배치된 위치 설정 섹션들을 포함하는 완성된 제 2 셸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플라스틱 프레임으로서 형성된 지지부가 수용된 제 2 셸 부분의 상세도.
도 7은 셸 부분들 사이에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가 배치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기어장치를 향한 단부면에 전기 모터의 전자기 및 기계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도시된 지지부의 사시도.
도 9는 지지부의 측면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클램핑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기어장치를 향한, 지지부의 단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지지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비해 약 90˚회전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전기 모터와 기어장치의 공통 하우징에 장착되기 전에 완성된 전기 모터(파워 전자장치를 포함하지 않음)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지지부의 회전 방지부가 도시된,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파워 전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개방된 하우징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의 중심점이 전기 모터의 아마추어 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놓이고, 개방된 하우징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아마추어 샤프트로부터 이격 배치된, 지지부의 지지면의 중심점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좌측 기어장치 위치를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 19는 우측 기어장치 위치를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의 부분 사시도.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들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된다.
도 1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모터-기어박스 유닛(1)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된다. 모터-기어박스 유닛(1)은 2체형 셸 하우징으로 형성된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커버로서 이용되는 제 1 셸 부분(3)과 상기 제 1 셸 부분(3)에 연결된 제 2 셸 부분(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셸 부분은 전기 모터- 및 기어장치 부품들 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셸로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셸 부분들(3, 4)은 서로 크림핑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 1 셸 부분(3)은 가장자리 측에 브래킷(5)을 갖고, 상기 브래킷은 제 2 셸 부분(4)의 환형 고정 플랜지(6)를 후방 고정하도록 배치된다. 2개의 셸 부분들 (3, 4) 사이에 플랫 밀봉부로서 형성된 링 밀봉부(7)가 배치되고, 상기 링 밀봉부는 하우징(2)의 밀봉을 보장한다.
도 1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셸 부분들(3, 4)은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제 2 셸 부분(4)은 제 1 셸 부분(3)보다 큰 원주각에 걸쳐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제 2 셸 부분(4)의 높이(h)는 하우징(2)의 직경(d)보다 크다. 2개의 하우징 부분들(3, 4) 간의 다른 차이는, 적어도 제 2 셸 부분(4)의 표면 연장부의 대부분에 걸친 제 2 셸 부분(4)의 재료 두께가 제 1 셸 부분(3)의 재료 두께보다 크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 1 셸 부분(3)은 화살표 방향으로, 즉 그 원주 길이 방향으로, 주어진 한계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따라서 간단하게 공차 보상이 가능해진다.
모터-기어박스 유닛(1)의 전기 모터(12)의 전자기 호환성(EMC)을 개선하기 위해, 2개의 셸 부분들(3, 4)은 강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 포트로서 형성된, 전기 모터(12)의 폴 하우징(9)이 셸 부분들(3, 4) 사이에 클램핑되고, 이 경우 폴 하우징(9)과 제 2 셸 부분(4)의 내주 사이에 선형 접촉면(10)이 구현되고, 상기 접촉면은 도면 평면 내로 연장된 아마추어 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L)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폴 하우징(9)의 측면으로, 폴 하우징(9)과 제 2 셸 부분(4) 사이의 방사방향 영역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조정 박판(11)이 배치되고, 상기 조정 박판들은 하우징(2) 내에서 폴 하우징(9)의 정확한 정렬과 클램핑을 보장한다.
도 2에는 개방된 하우징(2)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1)이 도시되고, 모터-기어박스 유닛(1)의 모든 작동 부품들은 하부 셸로 이용되는 제 2 셸 부분(4) 내에 수용된다. 제 1 셸 부분(3)보다 더 강성으로 형성된 제 2 셸 부분(4) 내부에 전기 모터(12)의 폴 하우징(9)이 수용된다. 폴 하우징(9)의 지지를 위한 조정 박판(11)이 특히 양호하게 도시된다. 폴 하우징(9)은 프레임 형태의, 도시되지 않은 플라스틱 지지부(13)에 고정되고(도 15 참조), 상기 지지부는 폴 하우징(9)과, 모터-기어박스 유닛(1)의, 웜 기어로서 형성된 기어장치(14)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기어장치(14)가 도시되지 않은 웜에 의해 구동되는 웜 휠(15)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웜 휠은 도면 평면 내로 돌출하고 제 2 셸 부분(4)의 관통 개구를 관통하는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샤프트를 구동한다. 또한, 도 2에는 전기 모터(12)를 조절하는 파워 전자장치(16)가 도시되고, 상기 파워 전자장치(16)는 웜 휠(15)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원으로 표시된 영역(17) 내에서 파워 전자장치(16)는 이 경우에 용접에 의해 전기 모터(12)의 접속 콘택에 전기 접속되고, 접속 콘택들은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부에 삽입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에는 기어장치(14)에 할당된, 제 2 셸 부분(4)의 섹션이 외부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된다.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모터-기어박스 유닛(1)에 의해 구동되는 출력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 개구(18)가 도시된다.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에 모터-기어박스 유닛(1)을 연결하기 위해 3개의 스터드 볼트들(19)이 관통 개구(18)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다.
도 4에는 제조 시 중간 단계에서 제 2 셸 부분(4)이 내부 사시도로 도시된다. 도면 평면 상부에는 기어장치(14)에 할당된 영역이 도시되고, 도면 평면 하부에는 폴 하우징(9)에 할당된 영역이 도시된다. 또한, 도 4에는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이 도시되고, 상기 섹션은 기어장치(14)에 할당된 영역과 폴 하우징(9)에 할당된 영역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구 내부면 섹션의 형태를 갖는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은 압축 몰딩에 의해 제조되지만, 제조로 인해 지지부(13)를 확실히 지지하기에 충분한 정확성을 갖지 않는다. 하우징(2) 내에서 지지부(13)의 확실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압축 몰딩 단계에 후속하는 디프드로잉 제조 단계에서 부분 구 형태의 위치 설정 섹션(21)이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 내로 삽입되고, 이 경우 위치 설정 섹션들(21)은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으로부터 방사방향 내측으로, 하우징(2) 내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프레임으로 형성된 지지부(13)는 상기 위치 설정 섹션(21)에 점 방식으로 접촉하고, 장착 시 상기 지지부의 구결 형태 지지면(22)에 의해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의 내로, 더 정확히는 위치 설정 섹션(21) 상으로 (약간)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정렬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컨대 도 7 및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13)의 설정 위치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7과 도 15에 도시된 지지부(13)는 2개의 셸 부분들(3, 4)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수용되고, 구결 형태 지지면(22)에 의해 전술한 부분 구 형태의 위치 설정 섹션들(21)에 지지되거나 또는 거기에 점 방식으로 놓인다. 지지부(13)는 중량 감소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중공실들(23)을 가진 플라스틱-프레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중공실들(23)은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웨브들(2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지지부(13)는 사출 성형부로서 형성된다(도 7 참조).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는 전기 모터의 도시되지 않은 아마추어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 개구(25)를 갖는다.
도 8에는 지지부(13)가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3에는 기어장치를 향한 단부측(26)이 도시된다. 지지부(13)는 전기 모터의 전자기적 및 기계적 부품들의 고정을 위한 수단(27)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27)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간섭 억제 초크(29)용 수용부(28)를 포함한다. 또한, 파워 전자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인서트로서 형성된 접속 콘택(35;콘택 탭)용 수용부들(30)이 제공된다. 또한, 폴 하우징(9)의 고정을 위한 수용부(31)가 통합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카본 브러시 스프링 레버용 수용부들(32)이 제공된다. 상기 부분들은 지지부(12)에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정확히는 상응하는 수용부들(28, 30, 31, 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단(27)은 전기 모터(12)의 도시되지 않은 아마추어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도 9에 도시된 클램핑 브래킷(34)의 삽입을 위한 측면 슬롯(33;수용부)을 포함한다(도 2 참조).
도 10에는 기어장치를 향한, 지지부(13)의 단부측(26)이 도시된다. 수용부(28) 내로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록킹되는 간섭 억제 초크(29;코일)가 도시된다. 간선 억제 초크(29)는 접속 콘택(35)을 각각의 해당 카본 브러시 스프링 레버들(36)에 연결한다. 카본 브러시 스프링 레버들(36)은 각각 카본 브러시들(37;슬라이딩 콘택)을 지지하고, 상기 카본 브러시들은 방사방향 내측으로, 도시되지 않은 콜렉터로 스프링력을 받는다.
도 11 및 도 12에는 지지부(13)의 상이한 2개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2개의 사시도에는, 아마추어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 개구(25)가 도시된다. 또한, 도 12에는 지지부(13)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링 섹션들(38, 3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고, 상기 링 섹션들(38, 39)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평행한 웨브들(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중공실들(23)은 웨브들(24)에 의해 제한되고, 도면 평면에서 좌측 링 섹션(39)에 배치되고, 상기 링 섹션은 장착된 상태에서 기어장치를 향한다.
도 13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장착된 전기 모터(12), 폴 하우징(9) 및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13)가 도시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폴 하우징(9)이 지지된다. 폴 하우징(9)과 지지부(13)는 아마추어 샤프트(41)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는 단부 영역에서 기어 웜(42)을 지지한다.
도 14에는 모터-기어박스 유닛(1)의 단면이 사시도로 도시되고, 제 2 셸 부분(4)에 삽입된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13)가 나타나며, 상기 지지부 내에 삽입부로서 형성된 접속 콘택(35)이 장착된다. 또한, 지지부(13)는 가상의 거울 평면(43;대칭 평면)에 거울 대칭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상의 거울 평면은 아마추어 샤프트(4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L)을 포함한다. 지지부(13)의 대칭 형상은 상응하게 맞춰진 제 2 셸 부분 내에서 도시된 장착 위치 및 이 위치에 대해 180°회전된 장착 위치에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12)의 파워 전자장치를 위한, 단부측에 배치된 수용부(44)가 도시된다.
도 14에는 회전 방지부(45)가 도시되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지지부(13) 내의 측면 리세스로서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내로 금속의 제 2 셸 부분(4)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향한, 합동의 오목부(46)가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삽입되고, 이로써 지지부(13)는 하우징(2) 내에서 비틀리지 않는다.
도 15에는 개방된 하우징(2)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1)이 불완전하게 도시된다. 이 경우 아마추어 샤프트(41) 또는 기어 웜(42)은 웜 휠(15)과 상호 작용하고, 상기 웜 휠은 도면 평면 내로 돌출한, 도시되지 않은 출력 샤프트에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하우징(9)은 지지부(13)에 의해 록킹되고, 상응하는 록킹 노즈에 의해 지지부(13)의 가장자리측 수용부(31)에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 15에는 공차 보상을 보장하기 위해, 장착 시 폴 하우징(9)이 거기에 수용된 단부측 소결 베어링과 함께 화살표 방향(47)으로 소정의 한계만큼 이동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16에는 개방된 하우징(2)을 가진 모터-기어박스 유닛(1)이 도시된다. 도 16에는 아마추어 샤프트(4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L)이 도시되고, 상기 축선에 중심점(48)이 놓이고, 상기 중심점 둘레에 지지부(13)의 구결 형태 지지면(22)이 고정된다.
이에 대한 대안 실시예가 도 17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는 아마추어 샤프트(4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L)이 도시된다. 구결 형태 지지면(22)의 중심점(48)이 도면 평면에서 기어장치의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되고, 이로써 아마추어 샤프트(41)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중심점(48)은 길이방향 중심 축선(L)에 평행한 가상의 축선(A1)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원으로 표시된 영역(49)에서 도 16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조립 공간이 절감된다. 구결 형태 지지면(2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결 형태 지지면(51)의 다른 중심점(50)은 직접 길이방향 중심 축선(L) 상에 상기 중심점(48)에 대해 이격 배치되고, 2개의 중심점들(48, 51)은 길이방향 중심 축선(L)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선(A2) 상에 배치된다.
도 18 및 도 19에는 180˚회전된, 지지부(13)의 상이한 2개의 장착 위치들이 도시된다. 도 18에서, 지지부(13)는 좌측 기어장치 위치를 위해 형성된 하우징(2) 내에 수용되고, 이와 달리, 도 19에서 지지부(13)는 우측 기어장치 위치를 위해 형성된 하우징(2)에 수용된다. 도 18과 도 19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콘택들(35)은 지지부(13) 상의 2개의 상이한 장착 위치에, 즉 서로 180˚ 오프셋된 지지 위치에 고정되므로, 파워 전자장치의 접촉이 가능해진다. 도 18과 도 19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장착 위치에서 접속 콘택(35)이 이용하는 개방 공간(홈)은 회전 방지부(45)로서 사용되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제 2 셸 부분(4)의 오목부(46)와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2 하우징
3, 4 셸 부분
12 전기 모터
14 기어장치

Claims (18)

  1. 특히 차량 내의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모터-기어박스 유닛으로서, 전기 모터(12), 상기 전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장치(14) 및 하우징(2)을 포함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상기 전기 모터(12) 및 상기 기어장치(14)를 수용하는 셸 하우징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셸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셸 부분(3, 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셸 부분들(3, 4)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우징 커버로서 이용되는 제 1 셸 부분(3)이 제 2 하우징 부분(4)보다 작은 원주각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셸 부분들(3, 4)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 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셸 부분(3)은 상기 제 2 셸 부분(4)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고, 특히 공차 보상을 위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내에 수용된, 특히 폴 포트로서 형성된, 전기 모터(12)의 폴 하우징(9)을 클램핑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 박판(1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12)의 상기 폴 하우징(9)은 상기 제 2 셸 부분(4)과 선형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플라스틱 프레임으로서 형성된 지지부(13)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기 모터(12)의 상기 폴 하우징(9)의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볼 베어링과 함께 아마추어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본 브러시 스프링 레버(36)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 억제 초크(29)의 및/또는 특히 인서트로서 형성된 전압 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콘택(35)의 및/또는 클램핑 브래킷(34)의 수용 및/또는 지지를 위한 수단(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는 아마추어 샤프트(41) 또는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41)에 토크 전달 방식으로 결합된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 개구(18, 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셸 부분들(3, 4)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하우징(2)에 접촉하는, 바람직하게는 점 방식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결 형태 지지면(22, 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구결면의 반경이 중심점(48, 5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심점은 상기 전기 모터(12)의 아마추어 샤프트(4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L)에 대해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에 바람직하게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고 각각의 중심점(48, 5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반경을 가진 반구 형태의 2개의 지지면들(22, 51)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면들(22, 51)의 상기 중심점들(48, 50)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에 상기 하우징(2)과 상호 작용하는 회전 방지부(4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하우징(2)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180°오프셋된 2개의 장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12)의 전압 공급을 위한 접속 콘택들(35)은 상기 지지부(13)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180°오프셋된 2개의 상이한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의 제 1 및/또는 제 2 셸 부분(3, 4)에 바람직하게는 압축 몰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구 내부면 섹션(20) 내에는 상기 지지부(13)의 점 방식 지지를 구현하기 위해, 디프드로잉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하우징(2) 내로 돌출한, 바람직하게 부분 구 형태의 다수의 위치 설정 섹션들(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기어박스 유닛.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터-기어박스 유닛(1)을 구비한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 특히 프런트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
KR1020117006561A 2008-09-22 2009-08-06 모터-기어박스 유닛 KR20110073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2250.9 2008-09-22
DE102008042250A DE102008042250A1 (de) 2008-09-22 2008-09-22 Motor-Getriebeeinhe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463A true KR20110073463A (ko) 2011-06-29

Family

ID=4168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61A KR20110073463A (ko) 2008-09-22 2009-08-06 모터-기어박스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10625A1 (ko)
EP (1) EP2332237A2 (ko)
JP (1) JP2012503459A (ko)
KR (1) KR20110073463A (ko)
CN (1) CN102160260B (ko)
BR (1) BRPI0919819A2 (ko)
DE (1) DE102008042250A1 (ko)
WO (1) WO20100316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0265B2 (en) 2009-07-30 2019-06-11 Mitsuba Corporation Wiper motor
RU2510561C2 (ru) 2009-07-30 2014-03-27 Мицуба Корпорейшн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 редуктором
DE102009047209A1 (de) * 2009-11-25 2011-05-26 Robert Bosch Gmbh Antriebseinheit und Scheibenwischerantrieb mit einer Antriebseinheit
JP5827157B2 (ja) * 2012-03-21 2015-12-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端子接続構造
DE202015105245U1 (de) * 2015-10-05 2017-01-09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Elektromotor
DE102016117965A1 (de) * 2016-09-23 2018-03-29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baugruppe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solchen Gurtaufrollerbaugruppe
CN107769424B (zh) * 2017-10-19 2019-07-02 刘和来 一种固定装置的永磁电动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5042A (en) * 1944-12-15 1949-03-22 Gen Time Instr Corp Motor casing
DE2756531A1 (de) * 1977-12-19 1979-06-21 Siemens Ag Motorischer fensterheber, insbesondere zum einbau in tueren von kraftfahrzeugen
DE3207620C2 (de) * 1982-03-03 1985-07-25 Albert-Frankenthal Ag, 6710 Frankenthal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Leimstreifens auf eine bewegte Materialbahn
JPS58156365U (ja) * 1982-04-13 1983-10-19 アスモ株式会社 小型モ−タ装置
JPS5944153U (ja) * 1982-09-14 1984-03-23 アスモ株式会社 小型モ−タ装置
TW420347U (en) * 1999-01-11 2001-01-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Transfer system structure of main axis motor for CD-ROM drive
JP3670618B2 (ja) * 2002-03-27 2005-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制御アクチュエータ
US6944906B2 (en) * 2002-05-15 2005-09-20 Trico Products Corporation Direct drive windshield wiper assembly
JP3987413B2 (ja) * 2002-10-22 2007-10-10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
JP2005348538A (ja) * 2004-06-03 2005-12-15 Asmo Co Ltd モータ
FR2873868B1 (fr) * 2004-07-28 2010-10-15 Valeo Electronique Sys Liaison Ensemble de commande, notamment pour un dispositif de coupur e et de fermeture du circuit d'une batterie electrique
JP2006230046A (ja) * 2005-02-15 2006-08-31 Jidosha Denki Kogyo Co Ltd アクチュエータ装置
DE102006036523A1 (de) * 2006-07-28 2008-01-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Gehäuse für eine Motor-Getriebeeinheit eines Verstellsystems in einem Kraftfahrzeug und Motor-Getriebeeinheit mit einem solchen Gehäuse
DE102006061676A1 (de) * 2006-12-28 2008-07-03 Robert Bosch Gmbh Wischer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9819A2 (pt) 2019-09-24
CN102160260B (zh) 2014-07-23
US20110210625A1 (en) 2011-09-01
WO2010031638A2 (de) 2010-03-25
EP2332237A2 (de) 2011-06-15
WO2010031638A3 (de) 2010-10-14
DE102008042250A1 (de) 2010-04-01
CN102160260A (zh) 2011-08-17
JP2012503459A (ja)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3463A (ko) 모터-기어박스 유닛
KR101102787B1 (ko) 차량의 액추에이터용 전기 모터와 기어장치 구동 유닛, 및 기어장치-인터페이스에 전기 모터를 연결하는 방법
US7847449B2 (en) Modular electric motor drive unit
US9525314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KR100769840B1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US5894180A (en) Electric motor
WO1994006195A1 (en) Molded resin motor housing
CN104871406B (zh) 固定装置以及用于将电机固定在部件上的方法
US6394436B1 (en) Suspension-strut bearing
CN113646550A (zh) 球窝接头的封闭元件和具有这种封闭元件的球窝接头
CN100367633C (zh) 特别是用于机动车的电驱动机构
US20220263395A1 (en) Electric Actuating Unit
US20220216754A1 (en) Electric machine with a fixation of multiple rotor laminations to a rotor shaft, said fixation allowing an axial tolerance compensation
US11742714B2 (en) Motor and driving member
US20220173643A1 (en) Method for arranging an electric machine on a transmission, and drive device
US20170264177A1 (en) Bldc motor assembly
EP0940906A2 (en) Housing structure of electric motor
CN101008417B (zh) 固定装置
KR20080035526A (ko) 베어링 장치, 베어링 장치를 고정하는 방법 및 베어링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
US7378770B2 (en) Electrical machine comprising brush holder that can be simply positioned and mounting method for electric machine
US11848597B2 (en) Electric motor with deep drawn motor housing
CN105191079A (zh) 风挡擦拭器马达
US20220329137A1 (en) Hybrid transmission device
US20040095029A1 (en) Multifunctional housing piece for an electrical motor
CN220586033U (zh) 骨架组件及使用该骨架组件的极爪式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